KR20170091313A -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1313A KR20170091313A KR1020160012163A KR20160012163A KR20170091313A KR 20170091313 A KR20170091313 A KR 20170091313A KR 1020160012163 A KR1020160012163 A KR 1020160012163A KR 20160012163 A KR20160012163 A KR 20160012163A KR 20170091313 A KR20170091313 A KR 201700913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lange
- identification
- cutting
- c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커플링은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파이프를 감싼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식별지를 끼워 넣고,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정확하게 결합되었을 때 두 개의 식별지가 모두 잘라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어느 한쪽의 볼트가 느슨하게 체결되는 작업상의 하자를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커플링은 2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flexible pipe cooupling)과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rigid pipe coupling)의 2종류로 나누어진다.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체결된 후 이 파이프들이 진동되거나 열변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약간 유동될 수 있는 커플링이며, 이에 반하여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체결되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없는 커플링을 말한다.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때에는 고정식 커플링이 주로 사용되며, 고정식 커플링들 사이에 유동식 커플링을 하나씩 설치하여 파이프의 열변형이나 진동 등에 대비한다. 예컨대 5개의 고정식 커플링을 연속되게 설치된 후 하나의 유동식 커플링을 설치한다.
유동식 커플링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측면도로서, 파이프 커플링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연결대상인 파이프는 2점 쇄선의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의 양단부에는 연결부(j)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j)는 파이프들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외경이 파이프 본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와 연결부(j) 사이에 약간의 단차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유동식 커플링(1a)은 연결부(j)에 결합되어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를 상호 연결시킨다. 유동식 커플링(1a)은 제1부재(2)와 제2부재(3)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부재(2)는 연결부(j)의 상측을 감싸며 배치되고 제2부재(3)는 연결부(j)의 하측을 감싸며 배치된다. 참조번호 9a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맞닿은 결합선이다. 1부재(2)와 제2부재(3)의 양단부에는 각각 관통공(7,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7,8)에 끼워진 볼트(5)가 너트(6)에 체결됨으로써 제1부재(2)와 제2부재(3)는 상호 결합된다.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는 커플링의 압착력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연결부(j)의 외주면에는 개스킷(4)이 끼워져 두 파이프(p1,p2)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유동식 커플링의 양측으로는 약간의 간격(d)이 있으므로 약간의 유동이 허용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는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1b)의 모든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1a)와 동일하다. 다만, 제1부재(2)의 단부와 제2부재(3)의 단부가 만나는 결합선(9b)은 볼트(5)의 체결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볼트(5)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되지만, 볼트(5)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제1부재(2)와 제2부재(3)는 상호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와 제1부재(2)는 상호 미끄러져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렇게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어긋나게 배치되면, 제1부재(2)는 제2파이프(p2)에 완전히 밀착되고 제2부재(3)는 제1파이프(p1)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식 커플링(1b)는 파이프의 연결부(j)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유동식 커플링(1a)과는 달리, 고정식 커플링(1b)은 파이프의 연결부(j)에 고정되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고정식 커플링(1b)은 파이프들 사이의 완고한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커플링은 고정식과 유동식 모두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볼트(5)와 너트(6)에 의하여 결합된다.
커플링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기계적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커플링 자체의 결함에 의하여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문제는 커플링을 설치할 때 볼트와 너트의 조임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한다. 즉, 파이프 내부에 높은 수압이 걸리더라도 커플링 양측의 볼트와 너트가 정확히 체결되어 있다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의 현장 사진과 같이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고압의 수압이 걸리면 커플링의 결합이 해제되어 대형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커플링의 설치시에 하자가 발생하는 이유는 작업상의 오류에 기인한 것이다. 앞에서도 설명하였지만, 커플링은 양측에서 각각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어느 한쪽이 깊게 체결되면, 다른 한쪽이 얕게 체결될 수 밖에 없다. 양측이 일정한 깊이로 체결되어야 하는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체결이 됨으로써 작업상의 하자가 발생한다. 작업자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체결이 된 경우 볼트를 풀고 다시 작업을 해야 하지만 간과하기 일수이다. 이러한 하자는 기본적으로 작업자의 실수이지만, 구조적으로 작업상의 하자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파이프 커플링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플링이 견고하게 체결되었는지를 육안으로 명확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된 부분의 상부를 감싸도록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호 대면하는 플랜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컷팅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호 대면하는 플랜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식별지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되면서 상호 대면하는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이 소정 범위 이내가 되면 상기 식별지가 상기 컷팅부에 의하여 잘려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컷팅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양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부재의 일측 플랜지부 하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의 타측 플랜지부 하면에는 반대로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부재에서는 일측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후단측에 컷팅부가 형성되며, 타측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선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컷팅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선단 또는 후단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동일한 주물틀에서 형성되어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낮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진 낮은 부분에 상기 식별지가 삽입되며,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턱에는 상기 식별지가삽입되는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별지의 단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별지가 위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식별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볼트가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컷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컷팅부가 상기 요철부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다.
그리고 컷팅부에 의하여 상기 식별지가 잘려나가는 것을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식별지에서 상기 컷팅부와 만나는 위치의 중앙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2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상의 오류와 하자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파이프 커플링 양쪽에 끼워진 식별지 중 어느 하나만 잘리면 작업이 완전하지 않은 것이며, 두 개의 식별지가 모두 잘라지는 경우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파이프 커플링의 양측의 너트와 볼트의 결합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양측의 식별지가 모두 잘라지도록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매우 간단한 것으로 보이지만, 작업자에게 작업의 완료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자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감독자도 파이프 커플링이 설치된 영역을 돌아다니면서 식별지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의 하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동일한 형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점에 큰 장점이 있다. 즉 공장에서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나누어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재만을 생산함으로써 일단 제조 금형에 대한 설비투자가 적게 이루어진다.
또한 재고 관리가 용이하다.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각각 제조해야 한다면 재고량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동일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재고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작업도 수월해진다. 작업자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각각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하나의 부재를 방향만 바꾸어서 설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방향을 바꾸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 방향을 잘못 배치하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컷팅부재가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에 파이프 커플링이 부실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현장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에 식별지가 끼워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파이프 커플링의 제1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플랜지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플랜지부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식별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적으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에 파이프 커플링이 부실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현장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에 식별지가 끼워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파이프 커플링의 제1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플랜지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플랜지부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식별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적으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에 식별지가 끼워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8은 파이프 커플링의 제1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플랜지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은 제1부재(10)와 제2부재(50)를 구비한다.
제1부재(10)는 두 개의 파이프가 맞닿아 있는 부분('파이프 연결부'라 함)의 상측을 감싸도록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부재(50)는 파이프 연결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된다. 파이프 연결부를 함께 감싼 상태에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50)는 상호 볼트(b)와 너트(n)에 의하여 결합된다. 두 개의 파이프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될 때의 압착력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1부재(10)와 제2부재(50)의 내주면 및 파이프 연결부의 외주면 사이에 고무 등 압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개스킷이 개재되어 파이프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부재(10)는 본체부(20)와 플랜지부(30)를 구비한다. 본체부(20)는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되며 파이프 연결부를 감싸는 부분이다. 플랜지부(30)는 본체부(2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플랜지부(30)에는 관통공(39)이 형성되어 볼트(b)가 통과할 수 있다.
도 9에는 제1부재(10)의 플랜지부 하면이 자세하게 확대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플랜지부(30)의 하면에는 컷팅부(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컷팅부(40)는 그 단면이 삼각형으로 첨예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컷팅부(40)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하자없이 정확하게 결합되었을 때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개재(도 7 참고)되는 식별지(90)를 잘라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컷팅부(40)는 제1부재(10) 플랜지부(30)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 10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컷팅부(40)은 플랜지부(3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또한, 제1부재(10)의 플랜지부(30) 하면은 식별지(90)의 삽입을 위하여 단차지게 형성된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부재(10) 플랜지부(30)의 하면은 제2부재의 플랜지부와 맞닿는 베이스면(31)으로부터 상방으로 단차져서 식별지(90)가 삽입되는 삽입면(32)이 형성된다. 베이스면(31)과 삽입면(32) 사이에는 걸림턱(33)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33)에는 식별지(9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34)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중요한 점은, 컷팅부(40)는 플랜지부(30)의 단차 보다 더 높게 돌출된다는 점이다. 단차의 2배의 높이 또는 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돌출된다. 돌출 높이는 식별지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데, 식별지가 두꺼우면 돌출 높이가 약간 낮아도 상관없다. 그러나 돌출 높이가 단차의 2배를 넘을 수는 없다.
마지막으로 컷팅부(40)의 타측도 단차부(35)가 형성되어 잘려진 식별지(90)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지금까지 제1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30)와 컷팅부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도 8을 참고하면 제1부재(10)의 타측의 플랜지부(30a)도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다만, 컷팅부(40a)의 형성 위치가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만 다르다.
한편, 제2부재는(50)는 제1부재(10)와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10)와 제2부재(50)가 동일한 몰드에서 제작되므로 본체부, 플랜지부의 형상은 물론 컷팅부도 완전히 동일하다. 다만 설치 방향만 다를 뿐이다. 즉, 제1부재의 경우 파이프의 상부를 덮고, 제2부재는 방향이 뒤집어져서 파이프의 하부를 덮는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준방향을 설정하고 나면, 제1부재(10)의 경우 플랜지부(30)의 하면에 컷팅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제2부재(50)는 거꾸로 뒤집어져 있으므로 플랜지부의 상면에 컷팅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부재(5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번호는 앞에 100단위를 더 붙이는 것으로 하여 제1부재와 동일하게 표현하였다. 예컨대, 본체부는 110, 플랜지부는 130, 130a, 컷팅부는 140,140a와 같다. 앞에 100이 붙었을 뿐 십자리부터는 제1부재와 동일하며, 제1부재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부재는 파이프 연결부의 상측 그리고 제2부재는 파이프 연결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방향만 다르게 배치된다.
위와 같이 제1부재(10)와 제2부재(50)가 상호 설치되면, 두 개의 대면하는 플랜지부, 즉 참조번호 30과 130 사이 및 참조번호 30a와 130a 사이에는 컷팅부(40,140 및 40a,140a)가 일렬로 배치된다. 즉 도 10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제1부재(10)의 컷팅부(40)와 제2부재(50)의 컷팅부(140)가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부재(50)의 컷팅부(140)는 제1부재 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2에는 식별지(90)가 도시되어 있다. 식별지(90)는 얇은 판 형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91)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멍(91)으로부터 후단으로 연장되어 슬릿(92)이 형성된다. 식별지(90)가 플랜지부(30,130) 사이에 배치되면 슬릿(92)은 두 개의 컷팅부(40,14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두 개의 컷팅부(40,140)가 플랜지부 전체에 걸쳐 연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컷팅부(40,140)는 식별지(90)의 중앙부분을 잘라낼 수 없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미리 슬릿(92)을 형성하여 식별지(90)가 완전히 잘려나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식별지(90)의 후단에는 제2부재(50)에 형성된 컷팅부(140)의 형상과 대응하여 요철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식별지(90)는 제2부재(50)의 플랜지부(130)에 일단 놓여진 후 제1부재(10)와 제2부재(50) 사이에 압착된다. 그런데 제2부재(50)의 플랜지부(130)에는 상방으로 컷팅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별지(90)가 안정적으로 플랜지부(130) 위에 거치되기 위해서는 식별지(9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철부(9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은 제1부재(10)와 제2부재(50)를 상호 나사결합시킬 때, 플랜지부(30,130) 사이에 식별지(90)를 개재한다.
제1부재(10)와 제2부재(50)가 볼트(b)와 너트(n)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면서 가까워지면, 컷팅부(40,140 및 40a140a)는 식별지(90)를 가압함으로써 식별지(90)는 절개된다.
컷팅지(90)를 개재하여 컷팅지가 잘려지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시공상의 오류와 하자를 구조적으로 극복하기 위함이다. 즉,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정확하게 결합이 되면 컷팅부는 식별지를 잘라 내게 된다. 중요한 점은 플랜지부 양측에 있는 식별지가 모두 잘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도 설명하였지만, 어느 일측의 플랜지부에서 너트와 볼트를 너무 세게 체결하면, 타측의 플랜지부에서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 양측의 플랜지부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베이스면이 모두 접촉되도록 체결하는 것이 가장 좋다. 베이스면이 모두 접촉하게 되면 양측의 식별지가 모두 잘라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2개의 식별지가 모두 잘라지도록 파이프 커플링의 양측의 너트와 볼트의 결합세기를 조절함으로써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의 오류와 하자를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매우 간단한 것으로 보이지만, 작업자에게 작업의 완료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자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감독자도 파이프 커플링이 설치된 영역을 돌아다니면서 식별지가 그대로 남아 있는지 아니면 잘려져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작업의 하자 여부를 쉽게 체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동일한 형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점에 큰 장점이 있다. 즉 공장에서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나누어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재만을 생산함으로써 일단 제조 금형에 대한 설비투자가 적게 이루어진다.
또한 재고 관리가 용이하다.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각각 제조해야 한다면 재고량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동일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재고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작업도 수월해진다. 작업자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각각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하나의 부재를 방향만 바꾸어서 설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방향을 바꾸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 방향을 잘못 배치하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컷팅부재가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1부재의 양측 플랜지부와 제2부재의 양측 플랜지부에 각각 컷팅부가 설치되고, 각 컷팅부는 플랜지부의 절반을 넘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컷팅부가 플랜지부 전체 길이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부재의 양측 플랜지부에 플랜지부 전체 길이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일측 플랜지부에는 제1부재에 컷팅부가 형성되고, 타측 플랜지부에는 제2부재에 컷팅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파이프 커플링
10: 제1부재, 50: 제2부재
30,30a,130,130a: 플랜지부
31: 베이스면, 32:삽입면, 33:걸림턱, 34:홈부,
35:단차부, 39:관통공
40,40a,140,140a: 컷팅부, 90: 식별지
10: 제1부재, 50: 제2부재
30,30a,130,130a: 플랜지부
31: 베이스면, 32:삽입면, 33:걸림턱, 34:홈부,
35:단차부, 39:관통공
40,40a,140,140a: 컷팅부, 90: 식별지
Claims (10)
- 상호 맞닿아 있는 두 개의 파이프의 파이프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상부를 감싸도록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제1부재;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내주면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호 대면하는 플랜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컷팅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호 대면하는 플랜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식별지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되면서 상호 대면하는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이 소정 범위 이내가 되면 상기 식별지가 상기 컷팅부에 의하여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양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일측 플랜지부 하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의 타측 플랜지부 하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선단 또는 후단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일측 플랜지부 하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의 타측 플랜지부 하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에 상기 컷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낮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진 낮은 부분에 상기 식별지가 삽입되며,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턱에는 상기 식별지가삽입되는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별지의 단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별지가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지는 판상으로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지는 상기 컷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컷팅부가 상기 요철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지에서 상기 컷팅부와 만나는 위치의 중앙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163A KR101810063B1 (ko) | 2016-02-01 | 2016-02-01 | 파이프 커플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163A KR101810063B1 (ko) | 2016-02-01 | 2016-02-01 | 파이프 커플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1313A true KR20170091313A (ko) | 2017-08-09 |
KR101810063B1 KR101810063B1 (ko) | 2017-12-18 |
Family
ID=5965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163A KR101810063B1 (ko) | 2016-02-01 | 2016-02-01 | 파이프 커플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006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110426A (ja) * | 2020-01-15 | 2021-08-02 | ショーボンドマテリアル株式会社 | 管継手の締付確認用スペーサ |
KR20230166588A (ko) *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 은닉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KR20230166586A (ko) *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 폴딩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KR20240059196A (ko) * | 2022-10-27 | 2024-05-07 | (주)보현산업 | 출몰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634B1 (ko) | 2018-08-30 | 2020-04-14 |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22107A (ja) | 2008-03-14 | 2009-10-01 | Riken Corp | ハウジング形管継手 |
KR101452360B1 (ko) | 2014-04-22 | 2014-10-22 | 디케이락 주식회사 |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인지부재를 갖는 관이음 조립체 |
-
2016
- 2016-02-01 KR KR1020160012163A patent/KR101810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110426A (ja) * | 2020-01-15 | 2021-08-02 | ショーボンドマテリアル株式会社 | 管継手の締付確認用スペーサ |
KR20230166588A (ko) *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 은닉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KR20230166586A (ko) *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 폴딩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KR20240059196A (ko) * | 2022-10-27 | 2024-05-07 | (주)보현산업 | 출몰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0063B1 (ko) | 2017-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0063B1 (ko) | 파이프 커플링 | |
KR102100634B1 (ko) |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 |
US7540540B2 (en) | Pipe coupling | |
US9644778B2 (en) | Device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and method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 |
JP5710569B2 (ja) | ダイヤフラム弁 | |
US20090311551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Metal Plates | |
KR102098963B1 (ko) | 표식체, 그리고 식별와셔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 | |
KR101854531B1 (ko) | 분기장치 | |
KR102381672B1 (ko) | 루즈 플랜지 및 관 조인트 | |
CN103775789A (zh) | 具有两个由塑料制成的壳体部分的壳体 | |
JP7114111B2 (ja) | 筐体装置及び筐体装置の装着方法 | |
US20160195210A1 (en) | Press seal having a press body | |
KR200295415Y1 (ko) | 이음부 커버 | |
CN114651146A (zh) | 设有护板的联接器 | |
KR101758261B1 (ko) | 배관 유니온 봉인장치 | |
WO2014119053A1 (ja) | 三面合せ部の密封構造 | |
WO2014188608A1 (ja) | 杭の継手部構造 | |
KR20090001795U (ko) |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 |
KR102671287B1 (ko) | 폴딩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 |
US11291823B2 (en) |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 |
JP3641161B2 (ja) | 不断水分岐継手 | |
KR101873628B1 (ko) | 파이프 커플링 | |
JP6833411B2 (ja) | ガスケット | |
WO2017159881A1 (ja) | ガスケットとこれを用いた配管機材のフランジ接合構造 | |
US20240326180A1 (en) | Method of making a weld connection for a fluid line, method of disconnecting it, welded fluid line connection, and mount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