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281A -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281A
KR20170091281A KR1020160012083A KR20160012083A KR20170091281A KR 20170091281 A KR20170091281 A KR 20170091281A KR 1020160012083 A KR1020160012083 A KR 1020160012083A KR 20160012083 A KR20160012083 A KR 20160012083A KR 20170091281 A KR20170091281 A KR 2017009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nnular
frame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509B1 (ko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기 filed Critical 박성기
Priority to KR102016001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4Large wheels, e.g. higher than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이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구동수단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바퀴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결기어의 기어비(gear ratio)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힘은 키워 바퀴에 전달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고,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체 무게를 줄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각각의 바퀴에 따로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바퀴를 따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고, 전방에 핸들 형태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구동수단에 의한 바퀴의 회전속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chair having easy-steering and no-central axis}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심축이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구동수단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바퀴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결기어의 기어비(gear ratio)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힘은 키워 바퀴에 전달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체 무게를 줄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각각의 바퀴에 따로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바퀴를 따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고, 전방에 핸들 형태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구동수단에 의한 바퀴의 회전속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 및 노약자가 실내외를 이동하기 위한 보조 수단, 사용자가 손으로 바퀴를 직접 잡고 회전시켜 구동하는 수동식과,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바퀴를 굴려 이동하는 전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또는 전동식 휠체어와 관련 하여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와, 이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시트부와, 이 시트부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휠과, 본체의 전면에서 탑승자가 발을 거치하기 위한 발판부를 포함하며, 본체의 전면부 일측에는 가드부가 설치되고 이 가드부는 본체의 메인프레임 전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아암과, 이 지지아암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로울러부재와, 이 로울러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는 하부프레임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손잡이가 형성된 구동바퀴와, 하부프레임의 전방양측에 형성된 보조바퀴와, 상부프레임의 상단에 팔걸이가 형성된 의자의 후단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어지는 공지의 휠체어에 있어서, 휠체어의 바퀴를 사이에 두고 고정편과 체결구에 의해 각각의 바퀴 일측면에 부착되어지는 한쌍의 타이밍 풀리와, 타이밍 풀리에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타이밍 풀리와, 타이밍 풀리를 구비하고 기판에 결합되어지는 한쌍의 감속모터와, 휠체어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며 컨트롤수단을 구비하는 기판과,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와, 팔걸이의 전방에 부착되어 컨트롤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레버로 구성되어지는 휠체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금속제로 된 프레임과, 프레임 중앙부에 설치되며, 등받이와 팔걸이를 구비한 좌석과, 프레임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바깥쪽으로 바퀴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한 큰 바퀴와,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형의 캐스터와, 프레임의 최전방에 절첩 가능케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는 수동휠체어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그 양단부를 프레임에 탈착 가능케 설치하며, 중간 지점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걸림홈을 형성한 회전체를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회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된 축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한 거치대와 휠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심부에 설치하고, 그 회전축의 상부에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그 브라켓 상부에 형성된 축봉을 축잡이부에 회전 가능케 결합한 구동바퀴와, 구동바퀴의 축봉 상단부에 회동부를 형성하여 그 회동부에 하단부를 회전 가능케 나사 결합하고, 상단부에는 기어모터 작동 스위치를 장치하여 정역 및 정지 동작을 시키는 조정레버와 핸들을 형성한 조정간과, 구동바퀴의 브라켓 외측에 설치되어 축전지의 에너지로 작동되는 기어드모터와 기어드모터의 동동기어가 구동바퀴의 휠기어에 접촉하여 구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기어모터를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 휠체어 또는 수동 휠체어와 관련된 기술 중 특허문헌 1 매지 3은 바퀴의 중앙을 중심으로 바퀴 전체가 회전하여 구동되고, 다른 구성 요소들이 바퀴의 회전축을 무게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어 휠체어가 경사진 길에서 이동하거나 다른 물건에 부딛혔을 때, 중심을 잃어 전복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허문헌 4 및 5의 기술이다.
특허문헌 4는 이동수단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롤러들이 설치되는 롤러프레임과, 롤러프레임의 둘레면에 위치하며 핸들의 작동에 따라 롤러를 타고 회전 운동하는 휠림 및 휠림에 끼워지는 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휠림의 내면에는 휠림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포함하는 것으로, 무게중심점의 위치가 바퀴의 하부에 위치함으로 전복의 위험을 최소화하였음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손잡이 자체가 지렛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땅위에서 무거운 드럼통을 굴리는 효과를 갖게 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서 바퀴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4는 다수의 롤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구조가 복잡하고, 수동식으로 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향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상기 특허문헌 5로, 이는 휠체어의 좌대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의 외측에 체결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외주면과 휠림의 내측면에 환형베어링 홈을 상하로 각각 설치하여 그 환형베어링 홈의 내부에 환형베어링을 장입한 환형베어링부와 휠림의 외주에 타이어가 장착되고, 휠림과 프레임의 외주면 상에 역회전 방지장치로 구성된 센터축이 없는 휠체어용 바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5는 바퀴의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의 외주면에 장착된 환형베어링에 의해 상기 바퀴의 응력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회전력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역회전 방지기능으로 래치 휠과 스토퍼의 체결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경사면에서도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증대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5의 기술은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여 지나치게 무겁고, 체인을 사용하고 있어, 체인이 기어로부터 이탈할 경우 체인을 재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바퀴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방향의 전환을 사용자가 임으로 하여야 하므로 방향 전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4465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252호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6118호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830호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9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중심축이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동력전달용 체인이 없으므로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바퀴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결기어의 기어비(gear ratio)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힘은 키워 바퀴에 전달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체 무게를 줄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각각의 바퀴에 따로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바퀴를 따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고, 전방에 핸들 형태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구동수단에 의한 바퀴의 회전속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의해 본체를 이동시키는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바퀴가 설치되는 원형 고리형상의 휠림; 상기 휠림의 내주면에 설치된 환형베어링; 상기 환형베어링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휠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원형으로 굽혀 만들어진 환형프레임; 상기 휠림의 안쪽에 휠림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환형기어; 상기 환형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된 연결기어;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환형프레임의 안쪽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기둥; 상기 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시트의 양단이 고정되는 시트고정바; 상기 수평바의 후단에 설치되어 등받이가 고정되는 등받이고정바; 및 상기 환형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되, 환형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수평지지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림과 환형베어링 사이에는 휠림의 강도를 보강하고, 사각단면을 갖는 원형 고리형상의 보강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형베어링의 양측에는 환형베어링커버가 더 설치되되, 환형베어링 커버는 상기 환형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바의 전후방에는 전방보조바퀴와 후방보조바퀴가 더 설치되고, 전방보조바퀴는 바퀴지지대에 회동막대를 회동되게 설치한 단부에 설치하여 절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퀴지지대에는 핸들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에는 양측에 설치된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이 각각 설치되어 각 바퀴의 회전속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핸들에 설치된 제어버튼과 구동수단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은 상기 핸들지지대와, 바퀴지지대의 중공 내부로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는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심축이 없어 구조가 단순하고, 동력전달용 체인이 없으므로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바퀴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결기어의 기어비(gear ratio)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힘은 키워 바퀴에 전달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각각의 바퀴에 따로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바퀴를 따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고, 전방에 핸들 형태로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구동수단에 의한 바퀴의 회전속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의 일예의 일부를 생략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의 바퀴와 구동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도 3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를 구성하는 전후방 바퀴와 조작수단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를 구성하는 전방보조바퀴가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를 구성하는 바퀴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에 바퀴의 중심축이 없어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무게를 경량화하였으며, 각 바퀴를 개별 구동시킴에 의해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3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20)의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의해 본체를 이동시키는 바퀴(W)를 포함하는 이동수단(10)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0)은, 바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퀴(W)가 설치되는 원형 고리형상의 휠림(11); 상기 휠림의 내주면에 설치된 환형베어링(12); 상기 환형베어링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휠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원형으로 굽혀 만들어진 환형프레임(13); 상기 휠림의 안쪽에 휠림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환형기어(14); 상기 환형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된 연결기어(15); 및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구동수단(16m)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6)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동수단(10)을 각 바퀴에 설치함에 따라 양 바퀴가 따로 구동 제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바퀴의 구동이 따로 제어됨에 따라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휠체어의 이동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방향의 바퀴의 회전속도를 줄임에 따라 휠체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휠림(11)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성을 이루고 있으며, 외주면에는 바퀴(W)가 끼워지는 바퀴안치홈(11w)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림(11)의 내주면에는 보강부(11f)를 더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원형으로 굽히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단면이 "
Figure pat00001
"형상인 바를 원형으로 굽혀 휠림을 제작하고, 안쪽에는 사각단면의 바를 원형으로 굽힌 보강링(17)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보강링(17)은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원형으로 굽혀 제작될 수 있고, 휠림의 강도를 보강하여 휠림이 변형되지 않게 한다.
상기 휠림(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휠림이 회전하여야 바퀴(W)가 회전한다.
이렇게 휠림(11)을 회전가능하게 환형프레임(13)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환형베어링(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환형베어링(12)은 대형 기계 장치에서 사용되는 지름이 큰 대형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환형베어링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휠림(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은 환형프레임(13)이고, 이 환형프레임(13)은 도 1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을 갖는 바를 윈형으로 굽혀 만들어질 수 있고, 안쪽에는 후술하는 프레임(20)이 설치된다. 물론, 환형프레임(13)도 프레임의 일부 구성요소이다.
상기 환형프레임(13)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동수단(16m)과 연결기어(15)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고정판(13f)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기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수평지지바(24)의 양단이 고정되는 바고정판(13p)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형기어(14)는 상기 구동수단(16m)의 회전력을 휠림(11)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림(11)의 내주면을 벗어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형기어(14)는 상기 연결기어(15)의 기어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전거의 체인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환형기어(14)에 구동수단(16m)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한 연결기어(15)와 구동기어(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기어(15)는 구동기어(16)의 회전력을 환형기어(14)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구동기어(16)의 기어치보다 많은 기어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기어(15)와 구동기어(16)의 기어비는 연결기어(15)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통상의 휠체어는 속도가 빠른 것보다는 큰 힘을 날수 있어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용자도 탑승할 수 있어야하고, 경사지에서도 쉽게 등판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구동기어(16)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6m)은 회전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에 바람직한 것으로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환형베어링(12)을 구비하고 있고, 이 환형베어링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환형베어링에 이물질이 끼어 베어링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옷깃이나 물건이 베어링에 끼일 수 있으므로 외부에 베어링커버(18)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커버(18)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프레임(13)에 고정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수단(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바퀴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이동수단들 사이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S)과 등받이(B)으로 이루어진 본체(30)가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본체(30)를 지지하고, 두 이동수단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프레임(13)의 안쪽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기둥(21); 상기 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시트의 양단이 고정되는 시트고정바(22); 상기 수평바의 후단에 설치되어 등받이가 고정되는 등받이고정바(23); 및 상기 환형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되, 환형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수평지지바(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21)은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을 이루는 환형프레임(13)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두 기둥(21) 사이의 중간에는 상기 시트고정바(22)가 수평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물론, 두 환형프레임(13)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환형프레임(13)의 하단에는 상기 수평지지바(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평지지바(24)는 환형프레임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바고정판(13p)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물론, 상기 등받이고정바들 사이에 지지바를 설치하여 등받이지지바들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는 바퀴(W)만으로는 중심을 잡을 수 없으므로 전방과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는 전후방향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바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바(24)의 전후방에는 전방보조바퀴(31)와 후방보조바퀴(32)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바퀴들이 설치될 경우, 휠체어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방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 전방보조바퀴(31)는 바퀴지지대(31s)에 회동막대(31r)를 힌지핀(31h)로 결합하여 회동되게 설치한 단부에 설치하여 절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휠체어를 운반할 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 본체 측으로 상기 보조바퀴를 접어 전체 길이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바퀴에 각각 이동수단을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작수단(40)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나, 바퀴지지대(31s)에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바퀴지지대(31s)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24)의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이렇게 사용자의 중앙에 위치한 바퀴지지대(31s)에 수직으로 핸들지지대(41s)를 설치하고, 핸들지지대941s)의 상단에 핸들(41)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41)에는 양측에 설치된 구동수단(16m)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41b)이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어버튼(41b)는 양 바퀴를 회전시키는 각각의 구동수단(16m)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바퀴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며, 핸들에 설치된 제어버튼(41b)과 구동수단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41c)은 상기 핸들지지대(41s)와, 바퀴지지대(31s)의 중공 내부로 배선하여 배선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자명하고, 이러한 전원공급수단은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가 사용될 수 있고, 설치 위치는 등받이의 배면이나, 좌석의 하부가 될 수 있다.
10: 이동수단
11: 휠림 11w: 바퀴안치홈
12: 환형베어링
13: 환형프레임 13p: 바고정판 13f: 모터고정판
14: 환형기어
15: 연결기어
16: 구동기어 16m: 구동수단
17: 보강링
18: 환형베어링커버
20: 프레임
21: 기둥 22: 시트고정바 23: 등받이고정바
24: 수평지지바
30: 본체
31: 전방보조바퀴 31s: 바퀴지지대 31r: 회동막대
31h: 힌지핀
32: 후방보조바퀴
40: 조작수단
41: 핸들 41s: 핸들지지대
41b: 제어버튼 41c: 제어케이블
50: 발지지판

Claims (5)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과 등받이를 구비한 본체(3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20)의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의해 본체를 이동시키는 바퀴(W)를 포함하는 이동수단(10)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은 바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퀴(W)가 설치되는 원형 고리형상의 휠림(11);
    상기 휠림의 내주면에 설치된 환형베어링(12);
    상기 환형베어링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휠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원형으로 굽혀 만들어진 환형프레임(13);
    상기 휠림의 안쪽에 휠림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환형기어(14);
    상기 환형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된 연결기어(15);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구동수단(16m)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환형프레임(13)의 안쪽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기둥(21);
    상기 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시트의 양단이 고정되는 시트고정바(22);
    상기 수평바의 후단에 설치되어 등받이가 고정되는 등받이고정바(23); 및
    상기 환형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되, 환형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수평지지바(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림(11)과 환형베어링(12) 사이에는 휠림의 강도를 보강하고, 사각단면을 갖는 원형 고리형상의 보강링(17)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베어링의 양측에는 환형베어링커버(18)이 더 설치되되, 환형베어링 커버는 상기 환형프레임(1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24)의 전후방에는 전방보조바퀴(31)와 후방보조바퀴(32)가 더 설치되고, 전방보조바퀴(31)는 바퀴지지대(31s)에 회동막대(31r)를 회동되게 설치한 단부에 설치하여 절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지지대(31s)에는 조작수단(4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조작수단(40)은 상기 바퀴지지대(31s)에 고정된 핸들지지대(41s)에 의해 지지되는 핸들(41)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41)에는 양측에 설치된 구동수단(16m)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41b)이 각각 설치되어 각 바퀴의 회전속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핸들에 설치된 제어버튼과 구동수단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41c)은 상기 핸들지지대(41s)와, 바퀴지지대(31s)의 중공 내부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KR1020160012083A 2016-02-01 2016-02-01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KR10177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083A KR101772509B1 (ko) 2016-02-01 2016-02-01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083A KR101772509B1 (ko) 2016-02-01 2016-02-01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81A true KR20170091281A (ko) 2017-08-09
KR101772509B1 KR101772509B1 (ko) 2017-09-13

Family

ID=5965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083A KR101772509B1 (ko) 2016-02-01 2016-02-01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93A (ko) * 2018-04-30 2019-1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906Y1 (ko) * 2003-01-25 2003-05-09 문흥만 볼 캐스터
JP2010149792A (ja) 2008-12-26 2010-07-08 Tatsuji Hirata 自転車等における車輪の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93A (ko) * 2018-04-30 2019-1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509B1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5449A (en) Wheeled attachment for a chair
KR101715293B1 (ko)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KR101598132B1 (ko)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US20100320716A1 (en)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JP2014234035A (ja) 倒立振子型車両
ES2266914T3 (es) Unidad de pedal regulable para el vehiculo a motor.
JP2015119789A (ja) 介護補助用移乗機
US20020088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izing a wheelchair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1885157B1 (ko) 접이식 휠체어
KR102107236B1 (ko)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JP2001212181A (ja) 車椅子の段差乗り越え装置
KR10177250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JPH10504226A (ja) 天体観測用仰臥装置
CN108478344B (zh) 多功能轮椅
US20140042783A1 (en) Rotatable platform having a straddleable seat to facilitate tranfer to a person having limited mobility
CN102697609B (zh) 电动轮椅及其转向控制装置
KR102221728B1 (ko) 캐터필러 캐리어 가방
KR20120096118A (ko) 수동 및 전동 겸용 휠체어
JP2003339782A (ja) 車椅子の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式車椅子
CN210991612U (zh) 一种成年康复助行器
JP6223834B2 (ja) 歩行器
KR101473862B1 (ko) 투휠 셀프 밸런싱 휠체어
CN208910739U (zh) 多功能轮椅
JP2017164431A (ja) 移動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