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070A -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070A
KR20170090070A KR1020160010463A KR20160010463A KR20170090070A KR 20170090070 A KR20170090070 A KR 20170090070A KR 1020160010463 A KR1020160010463 A KR 1020160010463A KR 20160010463 A KR20160010463 A KR 20160010463A KR 20170090070 A KR20170090070 A KR 2017009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condenser
open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124B1 (ko
Inventor
장지원
김현종
하종철
권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1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01/0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팬,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통로,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1유출통로, 상기 제 1유출통로와 별도로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2유출통로, 및 상기 공기와 열교환시키기 위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순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순환부는, 상기 유입통로 상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 1응축기와, 상기 제 2유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 2응축기와,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제 1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1응축기 배관과, 상기 제 2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2응축기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순환부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및 제 2응축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습장치{Dehumidifier}
본 발명은 복수의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장치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것으로서,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로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 습도를 낮춘 후 에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춘다.
제습장치는 냉매가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와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한다. 제습장치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거치면서 온도가 떨어지고, 이에 따라 이슬점이 낮아져 공기 중 수분이 응축됨으로써 제습이 이루어진다. 제습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거치면서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제습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응축기에서 승온된 공기이고, 제습장치에서 온풍이 토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제 1과제는, 토출되는 온풍을 사용자가 직접 쐬지 않으려고 할 때, 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과제는, 제습장치의 가동 중에도 사용자가 직접 쐬는 공기가 없거나 온풍이 되거나 냉풍이 되도록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3과제는, 토출되는 온풍의 양이나 온풍의 온도를 필요에 따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4과제는, 공기의 토출위치 및 공기의 냉온 상태 등을 가변적으로 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5과제는, 팬에 의해 효율적으로 공기 유로를 분리시키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팬,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통로,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1유출통로, 상기 제 1유출통로와 별도로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2유출통로, 및 상기 공기와 열교환시키기 위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순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순환부는, 상기 유입통로 상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 1응축기와, 상기 제 2유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 2응축기와,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제 1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1응축기 배관과, 상기 제 2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2응축기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순환부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및 제 2응축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팬은 원심 팬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팬에서 상기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 및 상기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심 팬은 회전축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 및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는 각각 상기 팬에서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유출통로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공기를 상기 케비닛의 전방면으로 토출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유출통로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공기를 상기 케비닛의 후방면으로 토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및 상기 제 2응축기 배관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상기 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상기 제 2유출통로 중 어느 하나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1개폐밸브와, 상기 제 2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2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는 제 2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제 2개폐밸브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 중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냉매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응축기를 차단가능 응축기라 정의할 때,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 중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가 배치되는 유출통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공기개폐부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2유출통로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일부 온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상기 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냉온풍 혼합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1개폐밸브와 상기 제 2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2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설치되는 제 1공기개폐부와 상기 제 2유출통로 상에 설치되는 제 2공기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상기 제 1공기개폐부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 및 상기 제 2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2유출통로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일부 온풍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상기 제 1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제 2개폐밸브 및 상기 제 2공기개폐부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2일부 온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제 2개폐밸브를 모두 열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 및 제 2공기개폐부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 및 제 2공기개폐부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 및 제 2공기개폐부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는 제 2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개폐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유로의 물리적 변화 없이도 필요에 따라 냉풍이 토출되게 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을 중심으로 유출유로를 분리시키고 각각의 유출유로에 각각 응축기를 배치시켜, 토출되는 위치의 설계에 따라,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온풍이나 냉풍이 나오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의 회전축을 수직으로 하고 제 1유출유로 및 제 2유출유로를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유로 저항을 줄이고, 이에 따라 소음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냉풍 및/또는 온풍을 복수의 공기토출구에서 각각 토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나의 응축기만을 가동시킬 때와 모든 응축기를 가동시킬 때의 열교환 효율이 달라진다. 즉, 하나의 응축기만을 가동할 때는 제습량 및 온풍 발생량이 같이 줄어들고, 모든 응축기를 가동할 때는 제습량 및 온풍 발생량이 같이 늘어나게 되는데, 이를 사용자의 취향 또는 상황에 따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팬(30)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공기개폐부(6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공기개폐부(6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는 제 1공기개폐부(60a) 및 제 2공기개폐부(60b)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는 제 1공기개폐부(60a)가 열리고 제 2공기개폐부(60b)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제 1공기개폐부(60a)가 닫히고 제 2공기개폐부(60b)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13은 냉매 순환 흐름과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 및 10는 개폐밸브(73)가 제 1응축기 배관(83a,84a)에만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9는 개폐밸브(73)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며, 도 10은 개폐밸브(73)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개폐밸브(73)가 제 2응축기 배관(83b,84b)에만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개폐밸브(73)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 및 13은 제 1개폐밸브(73a)가 제 1응축기 배관(83a,84a)에 배치되고 제 2개폐밸브(73b)가 제 2응축기 배관(83b,84b)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제 1개폐밸브(73a)가 닫히고 제 2개폐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며, 도 13은 제 1개폐밸브(73a)가 열리고 제 2개폐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제습장치는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 등에서 부분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독립적인 제습장치로서 활용되는 실시예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설명 전체에서 상류 및 하류의 기준은 공기의 흐름 방향(X,Y1,Y2)을 기준으로 한다. 화살표 X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팬(30)으로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고, 화살표 Y1은 팬(30)으로부터 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부로 토출되는 흐름 방향을 도시한 것이고, 화살표 Y2는 팬(30)으로부터 유출된 공기 중 다른 일부가 외부로 토출되는 흐름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제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10)과,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30)과, 공기가 흘러가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40)와, 공기와 열교환시키기 위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순환부(7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케비닛(10)은, 하방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7)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18)과, 상방면을 형성하는 탑패널(19)과,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20)과, 양 측방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
케비닛(10)에는 외부의 공기가 케비닛(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된다. 케비닛(10)에는 제습된 공기가 케비닛(10)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토출구(14,16)가 형성된다. 공기토출구(14,16)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4,16)는 각각 별도의 통로와 연결되는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2공기토출구(16)를 포함한다.
공기흡입구(12)는 케비닛(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12)는 리어패널(18)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 1공기토출구(14)는 케비닛(10)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고, 케비닛(10)의 상방면에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케비닛(10)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공기토출구(16)는 케비닛(10)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고, 케비닛(10)의 상방면에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케비닛(10)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1공기토출구(14)는 케비닛(10)의 같은 일측면에 배치되면서 서로 높이차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할 각 모드에 따라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1공기토출구(1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온풍 또는 냉풍일 수 있다. 각 모드에 따라 온풍 또는 냉풍이 선택적으로 토출되거나 공기가 선택적으로 토출되지 않을 수 있는 공기토출구는 케비닛(10)의 전방면 또는 상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서는, 제 1공기토출구(14)가 케비닛(10)의 전방면에 형성되고 제 1공기토출구(14)가 케비닛(10)의 후방면에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공기토출구(14)가 케비닛(10)의 전방면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 1공기토출구(14)가 케비닛(10)의 전방면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될 필요 없이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1공기토출구(14)의 위치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습된 온풍 또는 냉풍이 토출되는 위치는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1공기토출구(14)의 설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제습장치는 증발기(78)에서 응축된 물이 담겨지기 위한 버킷(22)을 포함한다. 버킷(22)은 케비닛(1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케비닛(10)으로 출입될 수 있다. 케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버킷(22)이 출입되는 버킷 수용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킷 수용실은 케비닛(10)의 하부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압축기(72)가 배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케비닛(10)의 하부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장치는 상기 버킷 수용실과 상기 기계실을 나누어 구획해주는 베리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장치는 증발기(7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26)을 포함한다. 드레인팬(26)은 케비닛(10) 내부에 배치된다. 드레인팬(26)은 베리어(24)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78)는 드레인팬(26)의 상측에 배치된다. 드레인팬(26)은 버킷(22)의 상측에 배치된다. 드레인팬(26)으로부터 버킷(22)으로 응축수를 흘러가게 안내해주는 드레인배관(27)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팬(30)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증발기(78(와 응축기(74a,74b) 사이에 배치된다. 팬(30)은 공기가 증발기(78)와 응축기(74a,74b)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공기토출구(14,16)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팬(30)은 공기가 증발기(78) 및 응축기(74a,74b)를 통과하게 하기 위해 정압 성능이 높은 고정압 팬이 설치될 수 있고, 터보팬(Turbo fan)과 시로코팬(Sirocco fan) 등의 원심 팬 또는 믹스드 플로우 팬(Mixed flow fan)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팬(30)은 원심 팬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팬(30)은 임펠러(31)와, 임펠러(31)를 회전시키는 모터(32)와, 임펠러(31)를 둘러싸고 임펠러(31)의 회전시 형성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팬하우징(33)과, 팬하우징(33)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31)를 기준으로 모터(32)는 오리피스(34)의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30)이 원심 팬인 경우에, 팬(30)에서, 후술할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38a) 및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38b)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심 팬(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둘레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각각 후술할 제 1팬유출구(38a) 및 제 2팬유출구(38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펠러(31)에 의해 압력을 받은 공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효율적으로 공기의 유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팬(30)으로 2개의 유출통로(46a,46b)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34)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후방에서 팬하우징(33) 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모터(32)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모터(32)의 후방에 배치된 임펠러(31)를 회전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34)는 상방이나 하방을 향해 배치되어 상방이나 하방에서 팬하우징(33) 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모터(32)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모터(32)의 하방이나 상방에 배치된 임펠러(31)를 회전시킨다.
팬하우징(33)에는 오리피스(34)를 통해 공기가 팬하우징(33) 내로 유입되도록 오리피스(34)에 대응하여 형성된 팬유입구(36)가 형성된다. 팬하우징(33)에는 임펠러(31)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공기가 팬하우징(33)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임펠러(31)의 배열방향인 원주를 따라 형성된 2개의 팬유출구(38a,38b)가 형성된다.
2개의 팬유출구(38a,38b)를 각각 제 1팬유출구(38a) 및 제 2팬유출구(38b)로 정의한다. 제 1팬유출구(38a)는 후술할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38a)이고, 제 2팬유출구(38b)는 후술할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38b)이다.
팬하우징(33)의 토출부는 덕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33)의 토출부는 상측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공기통로(40)는, 팬(30)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통로(43)와, 팬(30)에 연결되고 공기를 팬(30)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1유출통로(46a)와, 제 1유출통로(46a)와 별도로 팬(30)에 연결되고 공기를 팬(30)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2유출통로(46b)를 포함한다.
유입통로(43)는 공기흡입구(12)로부터 팬(30)까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유입통로(43)의 상류 말단은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되고, 유입통로(43)의 하류 말단은 팬유입구(36)가 형성된다. 유입통로(43)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유입통로(43) 상에는 증발기(78)가 배치된다. 증발기(78)가 배치된 유입통로(43)의 하측면 부분은 상기 드레인팬(26)을 이룬다. 유입통로(43)는 제습장치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78)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떨어지고 제습되는 통로이다.
제 1유출통로(46a)는 팬(30)으로부터 제 1공기토출구(14)까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 1유출통로(46a)의 상류 말단은 제 1팬유출구(38a)가 형성되고, 제 1유출통로(46a)의 하류 말단은 제 1공기토출구(14)가 형성된다. 제 1유출통로(46a)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유출통로(46a) 상에는 제 1응축기(74a)가 배치된다. 제 1유출통로(46a)는 팬(30)에서 유출된 공기가 제 1응축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올라갈 수 있는 통로이다.
제 2유출통로(46b)는 팬(30)으로부터 제 1공기토출구(14)까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 2유출통로(46b)의 상류 말단은 제 2팬유출구(38b)가 형성되고, 제 2유출통로(46b)의 하류 말단은 제 1공기토출구(14)가 형성된다. 제 2유출통로(46b)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유출통로(46b) 상에는 제 2응축기(74b)가 배치된다. 제 2유출통로(46b)는 팬(30)에서 유출된 공기가 제 2응축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올라갈 수 있는 통로이다.
공기흡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통로(43)를 따라(X) 팬(30)으로 유입된다. 팬(30)에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31)에 의해 압력을 받아 일부는 제 1팬유출구(38a)로 유입되어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Y1)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제 2팬유출구(38b)로 유입되어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Y2)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원심 팬(30)은 회전축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38a) 및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38b)는 각각 팬(30)에서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다. 즉, 팬(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는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면 상에서 전방에 제 1팬유출구(38a)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 2팬유출구(38b)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유출통로(46a)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공기를 케비닛(10)의 전방면으로 토출시키고, 제 2유출통로(46b)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공기를 케비닛의 후방면으로 토출시킨다. 이를 통해, 공기의 토출방향을 앞뒤로 분리시키면서도, 유출통로(46a,46b)의 꺾임을 최소화하여 공기 흐름 상 유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13을 참고하여, 냉매순환부(7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72)와, 냉매가 응축하며 공기에게 열을 전달시키는 응축기(74a,74b)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76)와, 냉매가 기화하며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게 하는 증발기(78)를 포함한다. 증발기(78)는 유입통로(43) 상에 배치되고, 제 1응축기(74a)는 제 1유출통로(46a) 상에 배치되고, 제 2응축기(74b)는 제 2유출통로(46b) 상에 배치된다.
압축기(72)는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72)는 냉매 흐름 방향으로 증발기(78)와 응축기(74a,74b) 사이에 설치되어 증발기(78)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한 후 응축기(74a,74b)로 유동시킨다. 압축기(72)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74a,74b)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응축기(74a,74b)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76)에 의해 팽창되고, 팽창밸브(76)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78)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응축기(74a,74b)는, 제 1유출통로(46a) 상에 배치된 제 1응축기(74a)와, 제 2유출통로(46b) 상에 배치된 제 2응축기(74b)를 포함한다. 제 1응축기(74a)와 제 2응축기(74b)는 하나의 냉매순환부(70)에 병렬로 배치된다.
냉매순환부(70)는 제 1응축기(74a) 및 제 2응축기(74b)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냉매배관(81,82,83a,83b,84a,84b,85,86)을 포함한다.
냉매배관(81,82,83a,83b,84a,84b,85,86)은 냉매가 거쳐가도록 상기 압축기(72)와 제 1응축기(74a)와 제 2응축기(74b)와 팽창밸브(76)와 증발기(78)를 서로 연결시켜준다. 상기 냉매배관(81,82,83a,83b,84a,84b,85,86)은 냉매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도 9 내지 13을 참고하여, 상기 냉매배관(81,82,83a,83b,84a,84b,85,86)은 다음의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각 세부배관을 포함한다. 증발기(78)로부터 압축기(72)로 냉매의 흐름(a)을 안내하도록 제 1냉매배관(81)이 구비된다. 압축기(72)로부터 응축기(74a,74b)로 냉매의 흐름(b,b1,b2)을 안내하도록 제 2냉매배관(82,83a,83b)이 구비된다. 응축기(74a,74b)로부터 팽창밸브(76)로 냉매의 흐름(c1,c2,c)을 안내하는 제 3냉매배관(84a,84b,85)이 구비된다. 팽창밸브(76)로부터 증발기(78)로 냉매의 흐름(d)을 안내하는 제 4냉매배관(86)이 구비된다.
상기 냉매배관은, 제 1응축기(74a)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b)과, 제 2응축기(74b)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2응축기 배관(83b,84b)을 포함한다. 제 1응축기 배관(83a,84b)은 제 2냉매배관(82,83a,83b)의 냉매 흐름 하류측 일부(83a)와 제 3냉매배관(84a,84b,85)의 냉매 흐름 상류측 일부(84a)로 이루어진다. 제 2응축기 배관(83b,84b)은 제 2냉매배관(82,83a,83b)의 냉매 흐름 하류측 다른 일부(83b)와 제 3냉매배관(84a,84b,85)의 냉매 흐름 상류측 다른 일부(84b)로 이루어진다. 화살표b를 따라 흐르는 냉매는 분리되어, 일부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b)을 따라(b1,c1) 흐를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제 2응축기 배관(83b,84b)을 따라(b2,c2) 흐를 수 있다.
냉매순환부(70)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 및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73)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9 및 10을 참고하여, 개폐밸브(73)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 상에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개폐밸브(73)가 열린 경우(도 9)에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으로 냉매가 흐르게 되고, 개폐밸브(73)가 닫힌 경우(도 10)에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으로 냉매가 흐르지 않게 된다. 도 11를 참고하여, 개폐밸브(73)는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상에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개폐밸브(73)가 열린 경우에는 제 2응축기 배관(83b,84b)으로 냉매가 흐르게 되고, 개폐밸브(73)가 닫힌 경우(도 11)에는 제 2응축기 배관(83b,84b)으로 냉매가 흐르지 않게 된다. 도 12 및 13을 참고하여, 개폐밸브(73)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 상에 배치되는 제 1개폐밸브(73a)와,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상에 배치되는 제 2개폐밸브(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응축기(74a) 및 제 2응축기(74b) 중 개폐밸브(73)에 의해 냉매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응축기를 이하 '차단가능 응축기'라 정의한다. 예를 들면, 도 9 및 10에서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는 제 1응축기(74a)이고, 도 11에서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는 제 2응축기(74b)이고, 도 12 및 13에서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는 제 1응축기(74a) 및 제 2응축기(74b) 이다.
도 4 내지 8을 참고하여, 제습장치는,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 중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가 배치되는 유출통로 상에 설치되는 공기개폐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개폐부(60)는 공기개폐부(60)가 설치된 유출통로 상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도 9 및 10과 같이 제 1응축기(74a)가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인 경우, 도 4 및 5와 같이 공기개폐부(60)는 제 1유출통로(46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와 같이 제 2응축기(74b)가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인 경우, 공기개폐부(60)는 제 2유출통로(46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2 및 13과 같이 제 1응축기(74a) 및 제 2응축기(74b)가 모두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인 경우, 도 6 내지 8과 같이 2개의 공기개폐부(60a,60b)는 각각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개폐부(60)는, 제 1유출통로(46a) 상에 설치되는 제 1공기개폐부(60a)와, 제 2유출통로(46b) 상에 설치되는 제 2공기개폐부(60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개폐부(60)는 유출통로인 덕트의 단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된 복수의 루버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폭과 두께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뻗은 판형상이다.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축을 가지도록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루버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이 서로 형행이 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루버가 모두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넓은 면이 서로 연결되면서 상기 덕트의 단면을 가리면(도 5 참조), 해당 덕트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상기 루버가 모두 90도로 회전하여 각각의 넓은 면이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상태가 되면(도 4 참조), 해당 덕트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해진다.
공기개폐부(60)는 덕트의 단면을 가릴 수 잇는 판형의 부재가 상기 덕트에 힌지 결합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힌지 구조를 중심으로 상기 판형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덕트의 닫힘과 열림을 조정할 수 있다. 공기개폐부(60)는 그 밖에도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공기개폐부(6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팬(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Y1) 토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Y2) 토출된다. 도 5에서는 공기개폐부(6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팬(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Y2) 토출된다. 도 6에서는 제 1공기개폐부(60a) 및 제 2공기개폐부(60b)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팬(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Y1) 토출되고 다른 일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Y2) 토출된다. 도 7에서는 제 1공기개폐부(60a)가 열리고 제 2공기개폐부(60b)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팬(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Y1) 토출된다. 도 8에서는 제 1공기개폐부(60a)가 닫히고 제 2공기개폐부(60b)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팬(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Y2) 토출된다.
제습장치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와, 제습장치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72)와 팬(30)과 개폐밸브(73)와 공기개폐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제습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 또는 케비닛(10)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제습장치의 운전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52)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개폐밸브(73)의 개수/배치 및 공기개폐부(60)의 유무/배치에 따른 복수의 모드에 대해,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3실시예는, 도 1 및 2와 같이 공기개폐부(60)가 없고 도 9 및 10과 같이 개폐밸브(73)가 제 1응축기 배관(83a,84a) 상에만 배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1 및 9와 같이 개폐밸브(73)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도 1 및 10과 같이 개폐밸브(73)를 닫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46b)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한다.
도 1, 2 및 9을 참고하여, 상기 전체 온풍 모드에서는, 제 1응축기(74a) 및 제 2응축기(74b)에 모두 냉매가 공급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 제 1응축기를 지나면서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되고, 제습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 제 2응축기를 지나면서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모두 온풍이 토출되며, 온풍이 토출되는 위치는 제 1공기토출구(14) 및 제 1공기토출구(14)의 설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1, 2 및 10을 참고하여, 상기 냉온풍 혼합 모드에서는, 제 1응축기(74a)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제 2응축기(74b)에만 냉매가 공급되어, 제 1응축기(74a)는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게 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X)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 흘러가도(Y1) 그대로 냉풍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습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 제 2응축기를 지나면서(Y2)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냉풍이 토출되고,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11과 같이, 개폐밸브(73)가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개폐밸브(73)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 및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체 온풍 모드는 개폐밸브(73)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모드이고, 상기 냉온풍 혼합 모드는 개폐밸브(73)를 닫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 중 어느 하나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모드이다.
제 4실시예는, 도 1 및 2와 같이 공기개폐부(60)가 없고 도 12 및 13과 같이 제 1개폐밸브(73a)가 제 1응축기 배관(83a,84a) 상에 배치되고 제 2개폐밸브(73b)가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상에 배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1 및 12와 같이 제 1개폐밸브(73a)를 닫고 제 2개폐밸브(73b)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46b)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와, 도 1 및 13과 같이 제 1개폐밸브(73a)를 열고 제 2개폐밸브(73b)를 닫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46b)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는 제 2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제 1개폐밸브(73a) 및 제 2개폐밸브(73b)를 모두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실시예의 전체 온풍 모드의 작용은 상기 제 3실시예의 전체 온풍 모드의 작용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2 및 12을 참고하여, 상기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에서는, 제 1응축기(74a)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제 2응축기(74b)에만 냉매가 공급되어, 제 1응축기(74a)는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게 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X)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 흘러가도(Y1) 그대로 냉풍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습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 제 2응축기를 지나면서(Y2)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냉풍이 토출되고,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도 1, 2 및 13을 참고하여, 상기 제 2냉온풍 혼합 모드에서는, 제 2응축기(74b)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제 1응축기(74a)에만 냉매가 공급되어, 제 2응축기(74b)는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게 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X)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 흘러가도(Y1) 그대로 냉풍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습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 제 1응축기를 지나면서(Y2)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온풍이 토출되고,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냉풍이 토출된다.
제 5실시예는, 도 4 및 5와 같이 공기개폐부(60)가 제 1유출통로(46a) 상에만 설치되고 도 9 및 10과 같이 개폐밸브(73)가 제 1응축기 배관(83a,84a) 상에만 배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5 및 10과 같이 개폐밸브(73) 및 공기개폐부(60)를 닫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2유출통로(46b)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일부 온풍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4 및 9와 같이 개폐밸브(73) 및 공기개폐부(60)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도 4 및 10과 같이 개폐밸브(73)를 닫고 공기개폐부(60)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46b)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냉온풍 혼합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실시예의 전체 온풍 모드 및 냉온풍 혼합 모드의 작용은 상기 제 3실시예의 전체 온풍 모드 및 냉온풍 혼합 모드의 작용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10을 참고하여, 상기 일부 온풍 모드에서는, 제 1응축기(74a)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제 2응축기(74b)에만 냉매가 공급되며, 제 1응축기(74a)로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X)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전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 제 2응축기를 지나면서(Y2)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다른 실시예로, 공기개폐부(60)가 제 2유출통로(46b) 상에만 설치되고 개폐밸브(73)가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공기개폐부(60)는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고, 개폐밸브(73)는 제 1응축기 배관(83a,84a) 및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중 상기 공기개폐부에 의해 공기가 차단될 수 있는 응축기로 연결되는 배관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체 온풍 모드는 개폐밸브(73)를 열고 공기개폐부(60)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모드이고, 상기 냉온풍 혼합 모드는 개폐밸브(73)를 닫고 공기개폐부(60)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 중 어느 하나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모드이고, 상기 일부 온풍 모드는 개폐밸브(73) 및 공기개폐부(60)를 닫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제 1공기토출구를 통해 온풍이 토출되는 모드이다.
제 6실시예는, 도 6 내지 8과 같이 제 1공기개폐부(60a)가 제 1유출통로(46a) 상에 설치되고 제 2공기개폐부(60b)가 제 2유출통로(46b)상에 설치되며, 도 12 및 13과 같이 제 1개폐밸브(73a)가 제 1응축기 배관(83a,84a) 상에 배치되고 제 2개폐밸브(73b)가 제 2응축기 배관(83b,84b) 상에 배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8 및 12와 같이 제 1개폐밸브(73a) 및 제 1공기개폐부(60a)를 닫고 제 2개폐밸브(73b) 및 제 2공기개폐부(60b)를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2유출통로(46b)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일부 온풍 모드와, 도 7 및 13과 같이 제 1개폐밸브(73a) 및 제 1공기개폐부(60a)를 열고 제 2개폐밸브(73b) 및 제 2공기개폐부(60b)를 닫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2일부 온풍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6과 같이 제 1개폐밸브(73a) 및 제 2개폐밸브(73b)를 모두 열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60a) 및 제 2공기개폐부(60b)를 모두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 및 제 2유출통로(46b)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는, 도 6 및 12와 같이 제 1개폐밸브(73a)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73b)를 열고 제 1공기개폐부(60a) 및 제 2공기개폐부(60b)를 모두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46b)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와, 도 6 및 13과 같이 제 1개폐밸브(73a)를 열고 제 2개폐밸브(73b)를 닫고 제 1공기개폐부(60a) 및 제 2공기개폐부(60b)를 모두 열고 팬(30)을 작동시켜 제 1유출통로(46a)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46b)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는 제 2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실시예의 전체 온풍 모드, 제 1냉온풍 혼합 모드 및 제 2냉온풍 모드의 작용은 상기 제 4실시예의 전체 온풍 모드, 제 1냉온풍 혼합 모드 및 제 2냉온풍 모드의 작용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12를 참고하여, 상기 제 1일부 온풍 모드에서는, 제 1응축기(74a)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제 2응축기(74b)에만 냉매가 공급되며, 제 1응축기(74a)로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X)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전부는 제 2유출통로(46b)를 따라 제 2응축기를 지나면서(Y2)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도 7 및 13을 참고하여, 상기 제 2일부 온풍 모드에서는, 제 2응축기(74b)에 냉매가 공급되지 않고, 제 1응축기(74a)에만 냉매가 공급되며, 제 2응축기(74b)로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팬(30)이 작동하면, 유입통로(43)를 지나는(X) 공기는 증발기(78)에서 열을 빼앗겨 온도 하강 및 제습되고, 제습된 공기 전부는 제 1유출통로(46a)를 따라 제 1응축기를 지나면서(Y2) 온도 상승되어 온풍이 된다. 결과적으로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제 1공기토출구(14)를 통해 온풍이 토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케비닛 12 : 공기흡입구
14 : 제 1공기토출구 16 : 제 2공기토출구
17 : 베이스 18 : 리어패널
19 : 탑패널 20 : 프론트패널
22 : 버킷 24 : 배리어
26 : 드레인팬 27 : 드레인배관
30 : 팬 31 : 임펠러
32 : 모터 33 : 팬하우징
34 : 오리피스 36 : 팬유입구
38a : 제 1팬유출구 38b : 제 2팬유출구
40 : 공기통로 43 : 유입통로
46a : 제 1유출통로 46b : 제 2유출통로
60 : 공기개폐부
60a : 제 1공기개폐부 60b : 제 2공기개폐부
70 : 냉매순환부 72 : 압축기
73 : 개폐밸브
73a : 제 1개폐밸브 73b : 제 2개폐밸브
74a : 제 1응축기 74b : 제 2응축기
76 : 팽창밸브 78 : 증발기
83a, 84a : 제 1응축기 배관 83b, 84b : 제 2응축기 배관

Claims (13)

  1.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팬;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통로;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1유출통로;
    상기 제 1유출통로와 별도로 상기 팬에 연결되고 공기를 상기 팬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제 2유출통로; 및
    상기 공기와 열교환시키기 위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순환부는, 상기 유입통로 상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 1응축기와, 상기 제 2유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 2응축기와,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제 1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1응축기 배관과, 상기 제 2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냉매를 안내하는 제 2응축기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순환부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및 제 2응축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원심 팬이고,
    상기 팬에서, 상기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 및 상기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제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심 팬은 회전축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유출통로의 유입구 및 제 2유출통로의 유입구는 각각 상기 팬에서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출통로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공기를 상기 케비닛의 전방면으로 토출시키고,
    상기 제 2유출통로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공기를 상기 케비닛의 후방면으로 토출시키는 제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및 상기 제 2응축기 배관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상기 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상기 제 2유출통로 중 어느 하나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1개폐밸브와,
    상기 제 2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2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는 제 2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제 2개폐밸브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 중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냉매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응축기를 차단가능 응축기라 정의할 때,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 중 상기 차단가능 응축기가 배치되는 유출통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부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공기개폐부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2유출통로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일부 온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상기 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 1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1개폐밸브와,
    상기 제 2응축기 배관 상에 배치되는 제 2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개폐부는,
    상기 제 1유출통로 상에 설치되는 제 1공기개폐부와,
    상기 제 2유출통로 상에 설치되는 제 2공기개폐부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상기 제 1공기개폐부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 및 상기 제 2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2유출통로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일부 온풍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상기 제 1공기개폐부를 열고 상기 제 2개폐밸브 및 상기 제 2공기개폐부를 닫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2일부 온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제 1개폐밸브 및 제 2개폐밸브를 모두 열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 및 제 2공기개폐부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 및 제 2유출통로에 모두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전체 온풍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 및 제 2공기개폐부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는 제 1냉온풍 혼합 모드와, 상기 제 1개폐밸브를 열고 상기 제 2개폐밸브를 닫고 상기 제 1공기개폐부 및 제 2공기개폐부를 모두 열고 상기 팬을 작동시켜 상기 제 1유출통로에는 온풍이 흐르게 하고 제 2유출통로에는 냉풍이 흐르게 하는 제 2냉온풍 혼합 모드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KR1020160010463A 2016-01-28 2016-01-28 제습장치 KR10179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63A KR101798124B1 (ko) 2016-01-28 2016-01-28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63A KR101798124B1 (ko) 2016-01-28 2016-01-28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70A true KR20170090070A (ko) 2017-08-07
KR101798124B1 KR101798124B1 (ko) 2017-11-15

Family

ID=5965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463A KR101798124B1 (ko) 2016-01-28 2016-01-28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328A (zh) * 2018-06-29 2018-12-18 安徽省弘诚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空气去湿器
KR20200112034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온항습장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328A (zh) * 2018-06-29 2018-12-18 安徽省弘诚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空气去湿器
KR20200112034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온항습장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124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3433B2 (en) Air conditioner
KR100487381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1939586B1 (ko) 공기 조화기
US11067298B2 (en) Air conditioner
US7363770B2 (en) Air conditioner
US20160231007A1 (en) Air conditioner
EP3514459B1 (en) Air conditioner
US3301003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4516037B2 (ja) 空気調節装置
CN109804202B (zh) 空调
KR20150028171A (ko) 제습기
JP4107333B2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CN113454395A (zh) 空调器
KR101798124B1 (ko) 제습장치
KR101970763B1 (ko) 공기조화기의 동파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KR101522899B1 (ko) 복수 룸의 선택적 환기와 제습이 가능한 공조시스템
KR20180078833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375780Y1 (ko) 분리형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7031650B2 (ja) 空気調和機
JP2008298298A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078785A (ko)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5040464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10144363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89859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KR20110087894A (ko) 열교환 환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