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865A - 자동차용 카메라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메라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865A
KR20170089865A KR1020177014843A KR20177014843A KR20170089865A KR 20170089865 A KR20170089865 A KR 20170089865A KR 1020177014843 A KR1020177014843 A KR 1020177014843A KR 20177014843 A KR20177014843 A KR 20177014843A KR 20170089865 A KR20170089865 A KR 20170089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ousing
connecting device
outer conduct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388B1 (ko
Inventor
콜린 패트릭 헤이르
캐롤 그림스
Original Assignee
코너트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너트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너트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하우징(5)을 구비하고, 하우징(5) 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16)을 구비하며, 카메라(2)를 자동차(1)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11)를 구비하는 자동차(1)용 카메라(2)로서, 인터페이스 장치(11)는 회로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내부 도체(13) 및 외부 도체(14)를 갖는 동축 플러그(12)를 구비하며 카메라(2)는 외부 도체(14)를 하우징(5)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17)를 갖는 카메라(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메라 및 자동차{CAMERA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카메라를 자동차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갖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카메라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카메라는 대부분 하우징, 회로 기판, 및 카메라를 자동차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갖는다. 전자기 방사선은 예를 들어 촬상 칩, 비디오 직렬화기 또는 전류 공급원과 같은 카메라의 추가 부품으로부터 방출된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전자파 적합성(EMC)을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하우징에 의해 가급적 차폐하는 것이 시도된다. 전자파 적합성은 기술 장비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전자기 효과에 의해 상호 간섭하지 않는다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조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 적합성이 보다 신뢰성있게 달성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로 자동차를 형성하는 것도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각각의 독립항에 따른 특징을 갖는 카메라 및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자동차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카메라를 자동차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는 내부 도체 및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플러그를 구비하고 카메라는 외부 도체를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자동차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하면, 전자파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은 연결 장치에 의해 외부 도체에 특히 효과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장치는 또한 하우징 및/또는 외부 도체 및/또는 회로 기판의 제조 부정확성에 대해 신뢰성있게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예를 들어 외부 도체를 거쳐서 회로 기판의 접지 전위에 연결된다. 하우징을 접지 전위에 연결시킴으로써, 하우징은 전자기 방사선을 특히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동축 플러그가 하우징의 개구에 동심적으로 배치되지 않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제조 부정확성의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연결 장치가 사용된다. 동축 플러그 또는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동축 플러그는 낮은 전자기 간섭 및 양호한 전기적 차폐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동축 케이블처럼 동축적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동축 플러그는 예를 들어 소위 FAKRA 커넥터일 수 있다.
특히, 연결 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연결 장치의 탄성적 변형에 의해, 하우징 및/또는 동축 플러그의 제조 정확성에서의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및/또는 동축 플러그의 제조 부정확성 및 치수 편차 각각에도 불구하고, 하우징에 대한 동축 플러그 외부 도체의 전기적 연결이 신뢰성있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장치는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및/또는 외부 도체에 스프링 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스프링 요소는 하중 하에서 항복하고 해방(relief) 이후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부품이며, 따라서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거동을 한다.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에서, 따라서 하우징이 폐쇄되고 회로 기판이 동축 플러그에 연결될 때, 스프링 력은 연결 장치에 의해 하우징 및/또는 외부 도체에 가해진다. 이는 외부 도체에서 하우징까지의 거리가 예상보다 크거나 작으면 연결 장치 자체가 거리에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추가로, 외부 도체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가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온도 변화로 인해 조립된 상태 중에 변경되는 경우에도 연결 장치가 자체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것은 유리하다.
또한, 연결 장치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외부 도체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는 연결 장치가 바람직하게 외부 도체 주위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결 장치는 내부 도체로부터 외면하는 외부 도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동축 플러그는 연결 장치에 의해 방해받거나 훼방당하지 않으면서 자동차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외부 도체는 연결 장치를 거쳐서 내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외부 도체의 접지 전위는 내부 도체와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 장치의 조립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는 톱니형(serrated) 와셔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연결 장치는 톱니형 와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형 와셔는 예를 들어 내치 및/또는 외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톱니형 와셔는 내측면에 티쓰를 가지며 따라서 외부 도체에 양호하게 유지된다. 톱니형 와셔의 티쓰는 예를 들어 뒤틀릴 수 있고 따라서 스프링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러나, 티쓰는 스프링 요소로서 기능하기 위해 톱니형 와셔의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굴곡될 수도 있다. 티쓰는 균일하게, 따라서 톱니형 와셔의 회전축의 일방향으로만 굴곡될 수 있거나, 아니면 교차되는 방식으로, 따라서 예를 들어 교호적으로 하나의 티쓰는 회전축의 일방향으로 다른 티쓰는 회전축의 다른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톱니형 와셔의 티쓰는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에서 따라서 톱니형 와셔가 외부 도체를 둘러싸고 스프링 요소들이 가압될 때 외부 도체의 축방향으로 스프링 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형 와셔는 나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톱니형 와셔의 톱니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충합되며 따라서 하우징에 대한 외부 도체의 전기적 연결을 수립한다. 톱니형 와셔는 외부 도체 상에 놓이거나 및/또는 톱니형 와셔의 티쓰를 거쳐서 외부 도체와 접촉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 장치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환형 요소 및 제 2 환형 요소를 갖고, 상기 제 1 환형 요소 및 제 2 환형 요소는 각각 상호 정렬되어 배치되는 관통-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 1 환형 요소 및 상기 제 2 환형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조립 시에, 관통-개구를 갖는 연결 장치는 외부 도체를 둘러싸도록 외부 도체 상에 끼워진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스프링 력이 동축 플러그에 대해 축방향으로 수용 및/또는 전달될 수 있다. 조립된 카메라에 의해, 따라서 폐쇄된 하우징에 의해, 스프링 요소는 제 1 환형 요소가 외측 도체의 제 1 단부 상의 회로 기판과 꼭 맞게 충합되고 제 2 환형 요소가 반대로 하우징의 내측과 꼭 맞게 충합되기 때문에 압축된다. 따라서, 하우징과 외부 도체 사이의 특히 신뢰성있는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는 미리결정된 곡률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미리결정된 곡률은 회로 기판 근처에서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사이의 미리결정된 제조 공차를 포함하는 거리가 연결 장치에 의해 커버되거나 브리지 결합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결정된 곡률은 연결 장치가 카메라의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프링 력은 예를 들어 연결 장치에 의해 하우징 및 외부 도체 상에 영구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는 연결 장치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분포되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특히, 스프링 요소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호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하우징과 외부 도체를 장착 또는 조립함으로써 연결 장치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하우징에 대한 외부 도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전성 증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들 중 하나가 고장나면, 스프링 력 및 따라서 하우징에 대한 외부 도체의 전기적 연결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는 제 1 부분 요소 및 상기 제 1 부분 요소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 요소를 구비하고, 제 1 부분 요소의 제 1 외측 반경이 제 2 부분 요소의 제 2 외측 반경보다 작은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부분 요소는 특히 예를 들어 카메라를 자동차에 연결하기 위해 동축 플러그에 연결된 플러그에 대한 연결을 수립한다. 제 2 부분 요소는 더 큰 제 2 외측 반경으로 인해 동축 플러그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영역을 갖는다. 접촉 영역은 외부 도체의 측면에 연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에 대한 외부 도체의 특히 신뢰성있는 전기적 연결이 제 2 부분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의 제 2 환형 요소는 외부 도체의 제 2 부분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도체와 하우징 사이의 특히 신뢰성있는 전기적 연결이 연결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환형 요소는 동축 플러그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부분 요소의 접촉 영역에 놓일 수 있고, 그곳으로부터 동축 플러그의 축방향으로 카메라 조립 시에 발생하는 힘을 수용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회로 기판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수용 요소를 가지며, 수용 요소에서 연결 장치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 배치되고 수용 요소는 연결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수용 요소는 예를 들어 연결 장치가 하우징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연결 장치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의 조립에 있어서 장점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에 대한 외부 도체의 확고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 요소에 의해, 하우징이 연결 장치와 연결 또는 접촉되게 하는 표면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장치는 바람직하게 하우징을 예를 들어 제 1 환형 요소와 충합시킬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와 충합시킨다. 하우징에 대한 외부 도체의 전기적 연결과 그로 인한 회로 기판의 접지 전위에 대한 하우징의 전기적 연결은 따라서 특히 신뢰성있게 및 견고하게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부분 및 제 2 하우징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하우징 부분은 외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연결 장치를 거쳐서 회로 기판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제 2 하우징 부분은 예를 들어 나사를 통해서 제 1 하우징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또한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체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카메라 내의 부품들로부터의 전자기 방사선을 특히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이것이 하우징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의해, 전자기 방사선이 외부로부터 하우징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전자파 적합성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전기 절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특히 자동차의 통신 버스와 카메라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카메라는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서 자동차의 탑재 네트워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는 고속 데이터 플러그로서, 특히 HSD 로젠버거(Rosenberger) 플러그로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HSD 로젠버거 플러그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임피던스-제어식 100 Ohm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부품이다. HSD 로젠버거 플러그는 예를 들어 스타 쿼드(star quad) 원리에 기초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및 외부 간섭 소스에 의한 불요(spurious) 신호가 특히 방지된다. 따라서, 카메라로부터 자동차로의 불요 신호가 거의 없는 특히 효과적인 연결이 유리하다.
특히, 외부 도체는 카메라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접지 전위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에 의해서 및/또는 자동차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외부 도체를 카메라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카메라의 하우징은 또한 연결 장치에 의해 카메라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전자파 적합성이 또 다시 보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또는 그 유리한 실시예를 갖는 자동차를 구비한다. 자동차는 특히 승용차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및 그 장점과 관련하여 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청구범위, 도면 및 도면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명세서에서 앞서 언급된 특징들 및 특징 조합들뿐만 아니라 도면 설명에서 후술되거나 및/또는 도면에만 도시되어 있는 특징들 및 특징 조합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각각 특정된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망라되고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고 설명되지 않지만, 설명된 실시예로부터의 개별 특징 조합으로부터 발생되고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 및 특징 조합 또한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것은 최초에 형성된 독립항의 특징 전부를 갖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도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카메라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동축 플러그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속 데이터 플러그로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의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하우징 부분과 제 2 하우징 부분을 구비하는 개방된 하우징 및 연결 장치를 갖는 카메라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하지만 다른 시각에서의 카메라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6은 고속 데이터 플러그를 갖는 연결 장치와 개방된 하우징을 구비한 카메라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와 유사하지만 다른 시각에서의 카메라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2와 유사한 카메라의 개략 단면도이며, 연결 장치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부 도체 및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도 3과 유사한 카메라의 개략 단면도이며, 연결 장치는 외부 도체 및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를 갖는 자동차(1)의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1) 상에서의 카메라(2) 배치는 자동차(1)의 환경 구역(3) 및/또는 자동차(1)의 내부 영역(4)이 캡처될 수 있도록 임의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1)는 또한 이러한 카메라(2)를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상보형 금속 산화 반도체) 카메라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CCD(charge-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 또는 임의의 촬상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카메라(2)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카메라(2)는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제 2 하우징 부분(7)을 갖는 하우징(5)을 구비한다.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제 2 하우징 부분(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나사(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제 1 하우징 부분(6) 및/또는 제 2 하우징 부분(7)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는 밸브(9) 및 렌즈(10)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카메라(2)는 인터페이스 장치(11)를 갖는다. 인터페이스 장치(11)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자동차(1)의 통신 버스의 대응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1)는 내부 도체(13)와 외부 도체(14)를 갖는 동축 플러그(12)를 구비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1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는 커넥터 엔벨로프(envelope)(26)를 갖는다. 커넥터 엔벨로프(26)는 특히 하우징(5)의 외부에 배치된다. 커넥터 엔벨로프(26)는 예를 들어 자동차(1)의 케이블 하네스를 로크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것에 의해 카메라(2)가 자동차(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카메라(2)의 사시도이다. 또한, 카메라(2)는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제 2 하우징 부분(7)을 갖는 하우징(5)을 구비한다.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제 2 하우징 부분(7)은 역시 나사(8)에 의해 연결된다. 도 3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11)는 고속 데이터 플러그로서, 특히 HSD 로젠버거 플러그(15)로서 형성된다. HSD 로젠버거 플러그(15)는 예를 들어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구성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카메라(2)의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여기에서,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제 2 하우징 부분(7)은 개방된다. 하우징(5) 내에는 회로 기판(16)이 배치된다. 내부 도체(13)와 외부 도체(14)를 갖는 동축 플러그(12)는 회로 기판(16)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도체(14)는 카메라(2)의 접지 전위에 연결된다. 제 1 하우징 부분(6) 또한 카메라(2)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카메라(2)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도체(14)를 둘러싸는 연결 장치(17)가 제공된다.
도 4에 따르면, 연결 장치(17)는 제 1 환형 요소(18) 및 제 2 환형 요소(19)를 갖는다. 제 1 환형 요소(18)와 제 2 환형 요소(19)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환형 요소(18)는 제 1 관통-개구(20)를 가지며, 제 2 환형 요소(19)는 제 2 관통-개구(21)를 갖는다. 제 1 관통-개구(20)와 제 2 관통-개구(21)는 상호 정렬되어 배치된다. 이는 제 1 관통-개구(20)와 제 2 관통-개구(21)가 정렬됨을 의미한다. 제 1 환형 요소(18)와 제 2 환형 요소(19)는 다수의 스프링 요소(22)에 의해 연결된다. 스프링 요소(22)는 연결 장치(17)가 전체적으로 구형의 형상을 얻도록 미리결정된 곡률을 갖는다.
외부 도체(14)는 제 1 부분 요소(23) 및 제 2 부분 요소(24)를 갖는다. 제 1 부분 요소(23)는 제 2 부분 요소(24)보다 작은 외부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회로 기판(16)에 대해 제 1 부분 요소(23)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제 2 부분 요소(24)는 접촉 영역(25)을 갖는다. 접촉 영역(25)은, 회로 기판(16)의 주 연장 방향으로 위치하고 따라서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 요소(24)의 부분이다.
이제 제 1 하우징 부분(6)과 제 2 하우징 부분(7)을 서로를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5)이 폐쇄되면, 따라서 연결 장치(17)는 제 2 부분 요소(24)의 접촉 영역(25)을 제 2 환형 요소(19)와 충합시키고 제 1 하우징 부분(6) 또는 내측, 따라서 회로 기판(16)과 대면하는 제 1 하우징 부분(6)의 측면을 제 1 환형 요소(18)와 충합시킨다. 제 1 환형 요소(18)와 제 2 환형 요소(19)의 충합에 의해, 제 1 하우징 부분(6)이 제 2 하우징 부분(7)에 더 접근하면, 축방향 힘이 동축 플러그(12)에 대하여 연결 장치(17)에 가해진다. 특히, 상기 힘은 스프링 요소(22)에 의해 수용되며, 스프링 요소는 결과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카메라(2)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22)는 따라서 외부 도체(14)와 제 1 하우징 부분(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립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 부분(6) 역시 카메라(2)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 부분(6)은 전자기 방사선에 대한 차폐 작용을 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부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8)에 의해 제 2 하우징 부분(7)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하우징 부분(7)과 카메라(2)의 접지 전위 사이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하우징 부분(7)은 특히 전자기 방사선에 대한 차폐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5)은 따라서 전자기 방사선에 대해 완전히 차폐하는 작용을 한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하지만 다른 시각에서 카메라(2)를 도시한다. 다른 시각에서, 회로 기판(16)과 대면하는 제 1 하우징 부분(6)의 내측면(27)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부분(6)의 내측면(2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요소(28)가 존재한다. 수용 요소(28)에서, 연결 장치(17)는 특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장치(17)는 수용 요소(28) 내에 특히 제 1 환형 요소(18)와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 부분(6)과 연결 장치(17)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수용 요소(28)는 제 1 하우징 부분(6)의 하우징 개구(29) 주위에 충합된다. 동축 플러그(12)는 하우징 개구(29)를 통해서 카메라(2) 또는 하우징(5)의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도 5에는, 제 2 관통-개구(21)도 명확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동축 플러그(12) 상에 끼워진 후의 외부 도체(14)와 합체된다.
도 6은 도 3과 유사하게 카메라(2)를 분해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카메라(2)는 HSD 로젠버거 플러그(15)를 구비한다. HSD 로젠버거 플러그(15)는 커넥터 엔벨로프(26)가 회로 기판(16)에 더 근접하여 배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제 1 하우징 부분(6)의 외측면(31)에 있는 오목부(30)에 의해 가능해진다. 외측면(31)은 내측면(27)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하우징 개구(29)가 도 5에 비해서 회로 기판(16)에 더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연결 장치(17)는 특히 톱니형 와셔(32)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톱니형 와셔(32)는 내치를 갖는다. 따라서, 톱니형 와셔(32)는 특히 내치형이다. 티쓰는 바람직하게 각각 스프링 요소(22)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따른 스프링 요소(22)는 또한 동축 플러그(12)에 대한 축방향 힘을 수용할 수 있고 이를 스프링 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 력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도체(14)의 제 2 부분 요소(24)의 접촉 영역(25)과 제 1 하우징 부분(6)의 내측면(27)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제 1 하우징 부분(6)과 접촉 영역(25) 사이의 거리가 스프링 효과의 범위 내에서 변화해도 확실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톱니형 와셔(32)는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그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요소(22)를 갖는다. 스프링 요소(22)는 톱니형 와셔 상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하지만 다른 시각에서 카메라(2)를 역시 분해도로 도시한다. 톱니형 와셔(32)로서의 연결 장치(17)는 제 1 하우징 부분(6)과 제 2 하우징 부분(7) 사이에 위치한다. 톱니형 와셔(32)는 내부 스프링 요소(22)를 갖는다. 톱니형 와셔(32)는 제 1 하우징 부분(6)의 내측면(27)을 일 측면과 충합시킨다. 또한, 톱니형 와셔(32)는 제 2 부분 요소(24)를 대향 측면과 충합시킨다. 따라서, 외부 도체(14)와 제 1 하우징 부분(6)의 전기적 연결이 수립된다. 따라서, 이제 제 1 하우징 부분(6) 또한 카메라(2)의 접지 전위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HSD 로젠버거 플러그(15)를 갖는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제 1 하우징 부분(6)은 수용 요소(28)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하우징 부분(6)의 내측면(27) 상의 하우징 개구(29) 구역 내의 영역은 특히 편평하다.
도 8은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제 1 하우징 부분(6)과 제 2 하우징 부분(7)은 하우징(5)이 폐쇄되도록 결합된다. 연결 장치(17)에는 이제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축방향 힘이 가해진다. 각각의 스프링 요소(22)는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항복하거나 스프링 요소(22)는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반발한다. 스프링 요소(22)의 스프링 력에 의해, 제 1 환형 요소(18) 및 제 2 환형 요소(19)는 제 1 환형 요소(18)가 제 1 하우징 부분(6)의 수용 요소(28)에 가압되고 제 2 환형 요소(19)가 외부 도체(14)의 제 2 부분 요소(24)의 접촉 영역(25)에 가압되도록 상호 가압 분리되거나 상호 이격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외부 도체(14)는 연결 장치(1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한 카메라(2)의 개략 단면도이다. HSD 로젠버거 플러그(15)에 의해, 제 1 하우징 부분(6)은 도 8의 실시예에 비해서 제 2 하우징 부분(7)에 더 가깝다. 제 1 하우징 부분(6)과 외부 도체(14)의 제 2 부분 요소(24)의 접촉 영역(2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톱니형 와셔(32)에 의해 제공된다. 톱니형 와셔(32)는 톱니형 와셔(32) 상에 티쓰로서 배치되는 스프링 요소(22)를 가지며, 이들 스프링 요소는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축방향으로 하부에, 따라서 회로 기판(16)을 향하여 배치되거나 및/또는 상부에, 따라서 회로 기판(16)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도록 뒤틀린다. 스프링 요소(22)에 의해, 따라서, 동축 플러그(12)에 대해 축방향으로도 힘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장치(17)는 특히 가압되는 스프링 요소(22)의 스프링 력에 의해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외부 도체(14)에 영구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HSD 로젠버거 플러그(15)를 갖는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축 플러그(12)는 두 개의 내부 도체(13)를 갖는다.

Claims (15)

  1.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하우징(5)을 구비하고, 하우징(5) 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16)을 구비하며, 카메라(2)를 자동차(1)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11)를 구비하는 자동차(1)용 카메라(2)로서, 인터페이스 장치(11)가 회로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2)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는 내부 도체(13) 및 외부 도체(14)를 갖는 동축 플러그(12)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2)는 외부 도체(14)를 하우징(5)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는 카메라(2)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5) 및/또는 외부 도체(14) 상에 스프링 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외부 도체(14)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는 톱니형 와셔(3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환형 요소(18) 및 제 2 환형 요소(19)를 갖고, 상기 제 1 환형 요소(18) 및 제 2 환형 요소(19)는 각각 상호 정렬되어 배치되는 관통-개구(20, 21)를 가지며, 상기 제 1 환형 요소(18) 및 제 2 환형 요소(19)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2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22)는 미리결정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는 연결 장치(17)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분포되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14)는 제 1 부분 요소(23) 및 상기 제 1 부분 요소(23)와 상기 회로 기판(16)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 요소(24)를 구비하며, 제 1 부분 요소(23)의 제 1 외측 반경이 제 2 부분 요소(24)의 제 2 외측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7)의 제 2 환형 요소(19)는 외부 도체(14)의 제 2 부분 요소(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회로 기판(16)과 대면하는 내측면(27)에 수용 요소(28)를 가지며, 수용 요소에서 연결 장치(17)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 배치되고 수용 요소는 연결 장치(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제 1 하우징 부분(6) 및 제 2 하우징 부분(7)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6)은 연결 장치(17) 및 제 2 하우징 부분(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는 고속 데이터 플러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14)는 카메라(2)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5. 자동차(1)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2)를 갖는
    자동차.
KR1020177014843A 2014-12-02 2015-11-20 자동차용 카메라 및 자동차 KR102462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7648.0 2014-12-02
DE102014117648.0A DE102014117648A1 (de) 2014-12-02 2014-12-02 Kamera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PCT/EP2015/077185 WO2016087227A1 (en) 2014-12-02 2015-11-20 Camera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865A true KR20170089865A (ko) 2017-08-04
KR102462388B1 KR102462388B1 (ko) 2022-11-03

Family

ID=5470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843A KR102462388B1 (ko) 2014-12-02 2015-11-20 자동차용 카메라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9458B2 (ko)
EP (1) EP3227973B1 (ko)
JP (1) JP6563496B2 (ko)
KR (1) KR102462388B1 (ko)
CN (1) CN107005002B (ko)
DE (1) DE102014117648A1 (ko)
WO (1) WO2016087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8595B2 (en) * 2015-03-09 2018-11-13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DE102015115361A1 (de) 2015-09-11 2017-03-16 Connaught Electronics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amera für ein Kraftfahrzeug in Abhängigkeit von einer Schnittstelleneinrichtung, Kamera sowie Kraftfahrzeug
DE102015217499A1 (de) * 2015-09-14 2017-03-1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Kameramodul, Kameramodul sowie Verfahren zum Kontaktieren eines Kameramoduls
US10230875B2 (en) 2016-04-14 2019-03-12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for vehicle vision system
DE102015121396A1 (de) * 2015-12-09 2017-06-14 Connaught Electronics Ltd. Kamera mit einem Gehäuse zum Abschirmen von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und Kraftfahrzeug
JP6704806B2 (ja) * 2016-07-01 2020-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カメラ
US10264219B2 (en) * 2016-10-03 2019-04-16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mpliant coaxial connector
DE102016219635A1 (de) * 2016-10-10 2018-04-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Nebenaggregat
KR102612541B1 (ko) 2016-10-18 2023-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797654B2 (ja) 2016-12-08 2020-12-0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撮像装置
JP2018098069A (ja) 2016-12-14 2018-06-2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撮像装置
GB2559195A (en) * 2017-01-31 2018-08-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nnector arrangement for a sensor mounted on a vehicle
EP3462550B1 (en) * 2017-10-02 2021-01-27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module and onboard camera using the same
CN109278644A (zh) * 2018-07-27 2019-01-29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高清摄像头的智能电子后视镜及其图像采集方法
EP3751834A1 (en) * 2019-06-11 2020-12-16 Ficosa Adas, S.L.U. Vehicle imaging device
KR20200144692A (ko) * 2019-06-19 2020-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직방향 접이식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CN112859490A (zh) * 2019-11-12 2021-05-28 法雷奥汽车内部控制(深圳)有限公司 具有用于屏蔽电磁辐射的壳体的相机及机动车辆
US11163966B2 (en) * 2019-12-31 2021-11-0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Symbology reader imaging engines and components associated therewith
JP7411505B2 (ja) 2020-06-03 2024-01-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シールド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6524A1 (en) * 2008-05-22 2011-04-28 Yazaki Corporation Electric apparatus module
US20130242099A1 (en) * 2012-03-06 2013-09-19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tolerance compensat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91341Y (zh) * 1999-08-26 2000-08-09 王明进 监控用摄影机之电源输入端子固定结构
DE102004043518B3 (de) * 2004-09-08 2006-05-18 Kathrein-Werke Kg 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s Koaxialkabels an ein Gehäuse
JP2007022364A (ja) * 2005-07-19 2007-0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
JP2007028430A (ja) * 2005-07-20 2007-02-01 Kyocer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JP4889660B2 (ja) * 2007-03-27 2012-03-07 京セラ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JP5133196B2 (ja) * 2008-10-10 2013-01-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プローブコネクタ
US8077480B2 (en) * 2008-11-26 2011-12-13 Rosemount Aerospace Inc. Faraday cage for camera
SG181191A1 (en) * 2010-11-23 2012-06-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 gasket for an emi connector
DE102011109594A1 (de) * 2011-08-05 2013-02-07 Connaught Electronics Ltd. Vorrichtung mit einem Gehäuse, zumindest zwei Leiterplatten und zumindest einem Wärmeableitelement
US8608506B2 (en) * 2011-10-06 2013-12-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and system
CN202405539U (zh) * 2011-10-26 2012-08-29 临沂市海纳电子有限公司 一种弹簧连接的电磁屏蔽连接器壳体
JP5862225B2 (ja) * 2011-11-22 2016-02-1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DE102011090209B4 (de) * 2011-12-30 2014-10-30 Ims Connector Systems Gmbh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JP2014011565A (ja) * 2012-06-28 2014-01-20 Kyocer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JP6039514B2 (ja) * 2013-07-29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モジュール
JP2015216444A (ja) * 2014-05-08 2015-12-03 Smk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6524A1 (en) * 2008-05-22 2011-04-28 Yazaki Corporation Electric apparatus module
US20130242099A1 (en) * 2012-03-06 2013-09-19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tolerance compensat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7227A1 (en) 2016-06-09
US20170271819A1 (en) 2017-09-21
CN107005002A (zh) 2017-08-01
US10079458B2 (en) 2018-09-18
EP3227973B1 (en) 2020-06-24
JP2018500733A (ja) 2018-01-11
CN107005002B (zh) 2020-08-11
DE102014117648A1 (de) 2016-06-02
KR102462388B1 (ko) 2022-11-03
JP6563496B2 (ja) 2019-08-21
EP3227973A1 (en)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388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및 자동차
EP3386802B1 (en) Camera with a housin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motor vehicle
US10128595B2 (en)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CN108242645B (zh) 插座连接器及照相机单元
CN108988006B (zh) 连接器安装结构和端子台
US8808026B2 (en) Waterproof structure
JP677912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20150325964A1 (en) Connector structure
EP3333986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imaging device
US20180006390A1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JP6555065B2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EP3220487B1 (en) Connector device for a waterproof connector, waterproof connector as well as assembled cable
WO2021093800A1 (en) Camera with a housin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motor vehicle
US10638027B2 (en) Low-impedance coaxial connection device with housing for a camera module
WO2016091770A1 (en) Camera for a motor vehicle with a connecting device formed as a surface-mounted device as well as motor vehicle
KR101496574B1 (ko) 자동차 분야에서 고전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JP2017092020A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17208286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7082080A1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15198051A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