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740A -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740A
KR20170089740A KR1020160068837A KR20160068837A KR20170089740A KR 20170089740 A KR20170089740 A KR 20170089740A KR 1020160068837 A KR1020160068837 A KR 1020160068837A KR 20160068837 A KR20160068837 A KR 20160068837A KR 20170089740 A KR20170089740 A KR 2017008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pace
blade
blade body
bla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991B1 (ko
Inventor
칼와이건트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8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6Form or construction for counteracting blade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4Antivibration arrangements
    • F01D25/06Antivibration arrangements for preventing blade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41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26Antivibration means not restricted to blade form or construction or to blade-to-blade connections or to the use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D2230/22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sin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3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leading edge of a ro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조립체{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조립체는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 조립체는 압축기, 가스터빈, 증기 터빈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조립체는 회전함으로써 내부의 유체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조립체의 회전에 따라서 블레이드 조립체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조립체는 회전체와 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체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는 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디부는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 일정한 주파수를 갖도록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파수가 공진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는 경우 진공이 발생할 수 있다.
진공이 발생한 바디부는 길이 방향으로 각 부분이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는 진공에 따라 동응력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응력의 증가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파손시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는 동적 응력 레벨(dynamic stress level)에서 낮은 공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원심력 또는 열적 힘으로부터 높은 레벨의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많은 가스 또는/및 스팀 터빈이나 다른 압축기에서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순간적으로 공진 범위를 통과하면서 동적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공진 영역에 가까워지는 경우 파손이 발생하는 정도의 힘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테스트 조건을 조절하는 조건하에서 공진 영역에 해당하는 동응력으로 인하여 몇초만에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파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완충 장치에 대해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와 연결되는 디스크의 완충 장치의 경우 공진에 근접한 영역에서 동응력을 감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블레이드 조립체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2095호(발명의 명칭: 비확개형 압축기 블레이드, 출원인: 알스톰 트크놀러지 리미티드)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2095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회전 시 상기 바디부의 가변변위 중 최대점을 형성하는 상기 바디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분말(powder)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 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은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공간과 마찰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마찰 접촉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의 속도와 상이한 상(Phase)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회전 속도보다 작은 회전 속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는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바디부의 회전 속도보다 작은 회전 속도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하는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조립체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평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직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블레이드의 회전 시 블레이드의 변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주파수비에 따른 동응력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스트레스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조립체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평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직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블레이드의 회전 시 블레이드의 변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주파수비에 따른 동응력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스트레스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회전체(110), 바디부(120), 진동저감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10)는 외부의 장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체(110)는 블레이드 조립체(100)가 설치되는 외부 장치에 따라 다양한 장치 또는 구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외부 장치가 압축기인 경우 회전체(110)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외부 장치가 가스터빈인 경우 회전체(110)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의 연소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외부 장치가 증기터빈인 경우 회전체(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의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 장치가 압축기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부(120)는 회전체(110)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20)는 회전체(110)와 연결되는 허브(121)와, 허브(1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바디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21)는 회전체(110)에 일부가 십입되거나 회전체(110)의 일부가 허브(121)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블레이드바디부(122)는 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바디부(122)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유체와 가장 먼저 접촉하는 리딩 에지(122a,Leading edg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딩 에지(122a)는 유선형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를 양 측으로 분할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블레이드바디부(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딩 에지(122a)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면(122b, pressure surface) 및 흡입면(122c, suction su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면(122b)과 흡입면(122c)은 서로 대향할 수 있으며, 각각 리딩 에지(122a)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끝단(예를 들면,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간(123)은 구 형태, 원기둥 형태, 타원기둥 형태,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잇는 것과 같이 블레이드바디부(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12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바디부(122)는 원주 형태일 수 있으며, 공간(123)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내부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블레이드바디부(122) 내부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간(123)은 리딩 에지(122a)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간(123)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높이 방향(예를 들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공간(123) 중 일부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중심과 리딩 에지(12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중심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중심과 리딩에지 사이에 형성된 공간(123)의 개수의 합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123)의 개수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공간(123) 중 대부분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중심을 기준으로 리딩 에지(122a) 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특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 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가변변위 중 최대점을 형성하는 블레이드바디부(122)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부(120)가 회전하는 경우 블레이드바디부(122)가 진동이나 유체와의 충돌로 인하여 휘어질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바디부(122)는 초기 위치에서 변위가 변할 수 있다. 이렇게 블레이드바디부(122)가 초기 위치에서 변위가 변하는 정도를 가변변위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변변위의 형상은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다. 이때,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가변변위는 도 5에서와 같이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가변변위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A지점에 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공간(123)은 A지점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30)는 공간(12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진동저감부재(1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 공간(12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저감부재(130)는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진동저감부재(130)는 분말(Powd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저감부재(130)는 금속, 세라믹 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진동저감부재(130)는 블레이드바디부(1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블레이드 조립체(100)의 경우 바디부(120)를 제조한 후 바디부(120)를 회전체(110)에 설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바디부(122) 내부의 공간(123)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바디부(122)를 복수개의 조각으로 형성한 후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각각 홈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조각을 서로 용접 등을 통하여 접합함으로써 블레이드바디부(122)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블레이드바디부(122)를 DMLS(Direct Metal Laser Sintering)방식을 통하여 제조하면서 공간(123)을 형성하고, 공간(123) 내부에 진동저감부재(13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공간(123)과 진동저감부재(13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도 5와 같이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길이 방향으로 블레이드바디부(122)가 휘어질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바디부(122)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변위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블레이드바디부(122)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가변변위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가변변위가 증대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바디부(122)에 가해지는 동응력(dynamic stress)은 최소일 수 있다. 반면, 블레이드바디부(122)에 가해지는 동응력은 휘어짐이 발생하는 지점에서 최대일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수에 따라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주파수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공진주파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바디부(122)는 공진으로 인하여 가변변위가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응력이 증가함으로써 블레이드바디부(122)가 파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진에 의한 효과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공간(123)을 형성하고, 공간(123) 내부에 진동저감부재(130)를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가변변위가 최대가 되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내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123)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 시 동응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형성되지 않으면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공진에 따른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가변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간(123) 내부에서의 진동저감부재(130)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공진으로 인한 가변변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바디부(122)가 공진 영역 근접하여 회전하는 경우 진동저감부재(130)는 관성에 의하여 블레이드바디부(122)보다 늦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정 질량(m)을 갖는 진동저감부재(130) 사이에는 마찰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마찰접촉으로 발생하는 마찰력(Ff)와 공진 시 각 진동저감부재(130)의 속도(
Figure pat00001
)는 서로 상이한 위상을 가짐으로써 하기와 같은 식이 성립하고, 진동저감부재(13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이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수학식 2]
Figure pat00003
한편, 상기와 같은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경우 공간(123)과 진동저감부재(13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블레이드바디부(122)는 공진으로 인하여 공진주파수에서 최대 동응력이 무한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레이드 조립체(100)의 경우 상기와 같이 공간(123) 내부의 진동저감부재(130)에 의하여 블레이드바디부(122)의 공진주파수에서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동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바디부(122)는 공진주파수에서 동응력이 갑자기 급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바디부(122)가 수용 가능한 동응력을 초과하게 되고, 블레이드바디부(122)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간(123)과 공간(123) 내부에 진동저감부재(130)를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 시 공진주파수에서 동응력을 저감시켜 블레이드 조립체(1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저감부재(130)는 블레이드 조립체(10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마찰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마찰력은 진동저감부재(130)의 속도와 상이한 상(Phase)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진동저감부재(130)의 회전 속도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속도와 상이해질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30)의 회전 속도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공진 주파수에서 진동저감부재(130)의 회전 속도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회전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응력 해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간(123) 내부의 진동저감부재(130)에 의하여 블레이드바디부(122)에 형성되는 동응력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저감부재(130)가 있는 경우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동응력은 진동저감부재(13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진공주파수에서 블레이바디부(120)의 최대동응력의 1/5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분을 차지하도록 서로 다른 금속 파우더를 체운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운동 에너지를 마찰로써 소멸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금속 파우더는서로 충돌함으로써 기계적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적인 열 에너지는 복사, 대류, 전도를 통하여 작동 유체와 열교환함으로써 살아질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공진주파수에서 최대동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블레이드 조립체(10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블레이드바디부(122)의 최대가변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블레이드바디부(122)의 변형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Claims (10)

  1.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회전 시 상기 바디부의 가변변위 중 최대점을 형성하는 상기 바디부 부분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분말(powder) 형태인 블레이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공간 중 일부는 상기 바디부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 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블레이드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공간과 마찰 접촉하는 블레이드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마찰 접촉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의 속도와 상이한 상(Phase)를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회전 속도보다 작은 회전 속도를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저감부재는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바디부의 회전 속도보다 작은 회전 속도를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60068837A 2016-01-27 2016-06-02 블레이드 조립체 KR102617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07,534 US10215029B2 (en) 2016-01-27 2016-01-27 Blade assembly
US15/007,534 2016-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40A true KR20170089740A (ko) 2017-08-04
KR102617991B1 KR102617991B1 (ko) 2023-12-26

Family

ID=5935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837A KR102617991B1 (ko) 2016-01-27 2016-06-02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5029B2 (ko)
KR (1) KR102617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2387B2 (en) * 2017-05-25 2020-04-0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irfoil damping assembly for gas turbine engine
US11220913B2 (en) * 2019-10-23 2022-01-11 Rolls-Royce Corporation Gas turbine engine blades with airfoil plugs for selected tuning
WO2021150579A1 (en) * 2020-01-20 2021-07-29 Blade Diagnostics Corporation Techniques for automated maintenance of integrally bladed rotors
US11725520B2 (en) 2021-11-04 2023-08-15 Rolls-Royce Corporation Fan rotor for airfoil damping
US11560801B1 (en) 2021-12-23 2023-01-24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Fan blade with internal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ing
US11746659B2 (en) 2021-12-23 2023-09-05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Fan blade with internal shear-thickening fluid damp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344A (en) * 1992-01-17 1993-08-0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rnally damped blades
WO1999043955A1 (en) * 1998-02-24 1999-09-02 Lm Glasfiber A/S Wind turbine blade
KR20140012095A (ko) 2011-02-23 2014-01-29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비확개형 압축기 블레이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9187A (en) * 1941-03-08 1944-05-1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Vibration dampener
US2984453A (en) * 1957-03-25 1961-05-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Vibration damper for blading in elastic fluid apparatus
US5219144A (en) * 1990-07-20 1993-06-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ss impact damper for rotors
US5820348A (en) * 1996-09-17 1998-10-13 Fricke; J. Robert Damping system for vibrating members
US5924845A (en) * 1997-04-07 1999-07-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for engine blades
EP1566519A1 (de) 2004-02-23 2005-08-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ochtemperatur-Komponente für eine Strömungsmaschine und eine Strömungsmaschine
US7147437B2 (en) 2004-08-09 2006-12-12 General Electric Company Mixed tuned hybrid blade related method
GB2451779A (en) 2004-09-22 2009-02-11 Rolls Royce Plc Manufacturing aerofoil with metal foam core
GB2450936B (en) * 2007-07-13 2010-01-20 Rolls Royce Plc Bladed rotor balancing
GB201009216D0 (en) 2010-06-02 2010-07-21 Rolls Royce Plc Rotationally balancing a rotating pa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344A (en) * 1992-01-17 1993-08-0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rnally damped blades
WO1999043955A1 (en) * 1998-02-24 1999-09-02 Lm Glasfiber A/S Wind turbine blade
KR20140012095A (ko) 2011-02-23 2014-01-29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비확개형 압축기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991B1 (ko) 2023-12-26
US10215029B2 (en) 2019-02-26
US20170211391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9740A (ko) 블레이드 조립체
EP3284963A2 (en) High load capacity hybrid foil bearing
EP3249177A2 (en) Bearing damper with external support spr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JP2011530038A (ja) ターボ機械ブレードアタッチメント用振動減衰装置、関連ターボ機械、および関連エンジン
CN103717840B (zh) 用于涡轮机引擎的装有叶片的转子轮
US11566526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blade of rotating machine and rot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2013537953A (ja) ブレード配列、及び当該ブレード配列を具備するガスタービン
KR100413060B1 (ko) 하중 지지능력 및 안정성이 개선된 반능동형 댐퍼포일저널베어링
CN103282604B (zh) 燃气涡轮叶片的减振方法和实施该方法所用的减振器
JP6802729B2 (ja) 回転機械の翼のダンパ装置及び回転機械
EP2894337B1 (en) Rotary compres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7892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US11326456B2 (en)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for rotary machine and rotary machine
KR101204867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CN215979909U (zh) 涡旋压缩机的平衡块和包括该平衡块的涡旋压缩机
JP6177142B2 (ja) 振動抑制装置及びタービン
US11181141B2 (en) Air foil bearing
US9624777B2 (en) Mobile member of a turbomachine which comprises means for chang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same
JP6430459B2 (ja) タービンのシーリング構造
KR101187893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JP7235536B2 (ja) 回転機械
KR20170061497A (ko) 에어 포일 베어링
WO2023189092A1 (ja) フォイル軸受及び流体機械
CN113423971B (zh) 扭振减振组件
WO2020195941A1 (ja) 真空ポンプ、及び、真空ポンプに用いられる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