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528A - 조명등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528A
KR20170089528A KR1020160009859A KR20160009859A KR20170089528A KR 20170089528 A KR20170089528 A KR 20170089528A KR 1020160009859 A KR1020160009859 A KR 1020160009859A KR 20160009859 A KR20160009859 A KR 20160009859A KR 20170089528 A KR20170089528 A KR 2017008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led
uni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666B1 (ko
Inventor
전승원
Original Assignee
전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원 filed Critical 전승원
Priority to KR102016000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666B1/ko
Priority to US16/073,215 priority patent/US10539282B2/en
Priority to CN201680079858.9A priority patent/CN108496039B/zh
Priority to PCT/KR2016/013179 priority patent/WO2017131329A1/ko
Priority to JP2018559654A priority patent/JP2019510358A/ja
Publication of KR2017008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05B37/0272
    • H05B37/0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존을 형성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되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전력공급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가 상면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내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등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LED가 구비되어 주변을 밝힐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유도전류를 일으켜 충전할 수 있는 조명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피로회복이나 미용 및 인체손상의 회복에 민간요법이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데, 이러한 민간요법은 한, 양의학과 더불어 대체의학이라는 제 3 의학으로 불리고 있다.
대체의학은 심신의학, 약초의학, 식이요법, 영양요법, 생화학요법, 손치료, 대체의학적 물리치료, 자기요법, 침구학, 자연의학, 진단학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 중 대체의학적 물리치료에 속하는 수치료, 색깔요법, 장요법, 부항 등 중에 컬러테라피를 적용하는 것으로 색깔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파장과 진동수에 따라 하나의 에너지 형태로 사람과 동식물에 영향을 끼치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확인되면서 이를 건강 및 치료에 응용하는 치료방법이 개발되었다.
컬러테라피는 각색이 고유한 파장과 진동수를 갖고, 그 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양하게 나와있는 것으로, 예컨대 붉은색은 충혈된 부위를 풀어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혈액순환을 활성화하고, 주홍색은 뇌에 자극이나 염증을 감소시키며 신장에 에너지를 불어 넣어주는 효과가 있으며, 녹색은 강한 치료효과가 있는 색깔로 교감신경계에 작용해 신장, 간장의 기능을 도와주며 공해 물질에 대한 해독 작용이 강하며, 파란색은 마음을 진정시켜주는 색깔로 불면증에 효과가 있고, 천식이나 호흡기 질환, 근육위축증, 소화장애, 궤양, 갑상선 기능 장애, 기타 의욕이 떨어졌을 때 효과를 발휘하며 당뇨 치료시에도 오렌지색을 자주 보는 것만으로도 인슐린 사용량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보라색은 식욕을 조절해 주는 작용이 있어 비만증 치료에 도움이 되고 심장 활동도 편안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으며, 분홍색은 신체보다는 정신적인 면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몸의 진동을 높여 활력을 주고, 노란색은 점액성 분비물을 제거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감기치료에 효과적이며, 심홍색은 빨간색과 보라색이 합쳐진 색으로, 두통과 편두통을 없애는 한편 사랑과 동정, 그리고 포용력을 갖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4411호에는 면발광을 이용함으로써 몸체의 전면을 통해서 컬러 테라피를 위한 색상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컬러 테라피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매우 자유로워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조명"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컬러 테라피 조명은 단순히 광만을 배출하기 때문에 단순한 시각작용 효과만을 누린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단순한 시각 작용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유용한 기능이 추가로 접목한 조명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4411호 (2012.07.30.공개)
본 발명은 단순한 시각 작용뿐만 아니라 생리적, 감성적 효과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항시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접목시킨 조명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존을 형성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되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전력공급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가 상면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내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부으로 끼움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자기유도, 자기공명,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도전류를 일으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패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판은 내측 하단부에 상기 전력공급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전력공급수단이 배치된 위치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 1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충전패드부가 제 2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 2 케이블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 장치는 별도로 구비되어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제어부에는 상기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온오프버튼; 상기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밝기나 채도를 조절하는 조절버튼; 일정시간마다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이 바뀌도록 하는 색변환버튼; 및 점등된 상태의 상기 LED를 기설정된 시각에 점멸시키는 자동점멸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원격제어부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송수신구; 및 상기 신호송수신구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거나, 상기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밝기나 채도를 조절하거나, 일정시간마다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이 바뀌도록 하거나, 점등된 상태의 상기 LED를 기설정된 시각에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칩;이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받침판의 내부에 내장된 전력공급수단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배선이 연결 설치된 접속기구가 내삽되는 접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 장치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주변을 밝히는 LED에서 다양한 색의 빛을 발산함에 따라 발산되는 빛을 전달받은 사람들의 시신경을 통해 대뇌에 전달되어 자극과 생기, 휴식과 진정 등의 심리적 역할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존을 형성하는 충전패드부를 구비함에 따라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유도전류를 일으켜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치의 본체, 뚜껑 및 받침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치의 본체, 뚜껑 및 받침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산되는 빛을 통한 단순한 시각 작용뿐만 아니라 생리적, 감성적 효과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항시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접목시킨 조명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가 개방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00)과,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하가 개방되고, 그 내부가 중공되며, 중공된 내측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과 같은 다각기둥 형상으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이 끼움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부에는 끼움구가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300)이 끼움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하단부에도 끼움구가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측 하단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00)은 그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부에 끼움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충전패드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본체(100)의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를 갖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부에 끼움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끼움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10)의 외측 하단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10)의 외측 하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패드부(220)는 상기 결합부(210)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를 갖고, 상기 결합부(210)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충전패드부(220)의 상단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되는 영역인 무선 충전 존(Wireless power transfer zone)이 되는데,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충전하려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올려놓으시면 충전이 됩니다."와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패드부(220)는 상기 무선 충전 존에 배치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변압기 1 ~ 2차 코일 간에 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자기유도 방식, 송수신 안테나 간의 공명현상을 이용한 자기공명 방식, 안테나를 통해 전자파를 직접 송수신하는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도전류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300)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310)과,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321)가 상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320)을 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받침판(300)은 상기 본체(100)의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를 갖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단부에 끼움구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끼움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300)의 내측 상단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단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300)의 외측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은 이미 방출된 전류를 다시 외부로부터 유입시켜 전압을 회복할 수 있는 충전지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20) 및 상기 충전패드부(2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300)의 내측 하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은 회로 설계를 근거로 부품을 접속하기 위해 도체 회로를 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이 배치된 위치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3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300b)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력공급수단(3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은 제 1 케이블(33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전력공급수단(310)과 상기 충전패드부(220)는 제 2 케이블(34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케이블(3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20a)을 통과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충전패드부(220)와 연결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의 상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LED(321)에서 발산되는 빛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판(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받침판(300)의 내부에 내장된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을 충전하거나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기배선이 연결 설치된 접속기구가 내삽되는 접속구(300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접속구(300a)는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에 방출된 전류를 다시 외부로부터 유입시키기 위해 전기배선이 연결 설치된 접속기구가 내삽되는 곳으로서, 예를 들어 micoUSB, 라이트닝 케이블 포트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접속기구가 내삽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을 충전하거나,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상태표시LED가 다수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표시LED가 4개가 마련된다면,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이 100%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표시LED 4개가 모두 점등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이 75 내지 99%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표시LED 3개는 점등되고 나머지 하나의 상기 상태표시LED는 점멸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이 50 내지 74%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표시LED 2개는 점등되고 나머지 두 개의 상기 상태표시LED는 점멸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이 25 내지 49%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표시LED 1개는 점등되고 나머지 세 개의 상기 상태표시LED가 점멸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이 0 내지 24%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표시LED 4개가 모두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전력공급수단(310)인 충전지의 잔량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장치는 별도로 구비되어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부(4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의 상면에 구비되는 LED를 원거리에서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 리모트컨트롤과 유사하다. 다만, 상기 원격제어부(400)에는 상기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온오프버튼(410)과, 상기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밝기나 채도를 조절하는 조절버튼(420)과, 일정시간마다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이 바뀌도록 하는 색변환버튼(430)과, 점등된 상태의 상기 LED를 기설정된 시각에 점멸시키는 자동점멸버튼(440)이 구비된다.
상기 원격제어부(400)에는 상기 온오프버튼(410)과, 상기 조절버튼(420)과, 상기 색변환버튼(430)과 상기 자동점멸버튼(440)을 가압하였을 때, 해당 버튼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계된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색변환버튼(430)은 3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버튼에는 'C', 'W', 'T'자 새겨져 있으며, 이때, 'C'가 새겨진 색변환버튼(430)은 가압시 다수개의 LED(321) 에서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산하고, 'W'가 새겨진 색변환버튼(430)은 가압시 상기 LED(321)에서 백색의 빛을 발산하며, 'T'자가 새겨진 색변환버튼(430)은 가압시 일정시간마다 다른 색의 빛을 발산한다.
또한, 상기 조절버튼(430)은 4개가 구비될 수 있고, 2개의 버튼에는 '+' 나머지 2개의 버튼에는 '-'가 새겨져 있으며, 이때, '+'자가 새겨진 2개의 버튼은 가압시 각각 LED(321)에서 발산되는 빛의 밝기와 채도를 높여주며, '-'자가 새겨진 2개의 버튼은 가압시 각각 LED(321)에서 발산되는 빛의 밝기와 채도를 낮춘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에는 상기 원격제어부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받고, 이 수신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수신구(322)와, 상기 신호송수신구(322)로부터 송신된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받고, 이 수신받은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LED(321)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거나, 상기 LED(321)가 점등된 상태에서 밝기나 채도를 조절하거나, 일정시간마다 상기 LED(321)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이 바뀌도록 하거나, 점등된 상태의 상기 LED(321)를 기설정된 시각에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칩(323)이 구비된다.
상기 신호송수신구(322)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무선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로써, 무선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구성이라면, 상술한 방식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본체 200: 뚜껑
210: 결합부 220: 충전패드부
300: 받침판 300a: 접속구
300b: 단턱 310: 전력공급수단
320: 인쇄회로기판 320a: 관통공
321: LED 322: 신호송수신구
323: 컨트롤칩 330: 제 1 케이블
340: 제 2 케이블 400: 원격제어부
410: 온오프버튼 420: 조절버튼
430: 색변환버튼 440: 자동점멸버튼

Claims (7)

  1.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존을 형성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되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전력공급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가 상면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내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부으로 끼움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자기유도, 자기공명,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도전류를 일으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패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내측 하단부에 상기 전력공급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전력공급수단이 배치된 위치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 1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상기 충전패드부가 제 2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 2 케이블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되어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온오프버튼;
    상기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밝기나 채도를 조절하는 조절버튼;
    일정시간마다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이 바뀌도록 하는 색변환버튼; 및
    점등된 상태의 상기 LED를 기설정된 시각에 점멸시키는 자동점멸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원격제어부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송수신구; 및
    상기 신호송수신구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거나, 상기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밝기나 채도를 조절하거나, 일정시간마다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이 바뀌도록 하거나, 점등된 상태의 상기 LED를 기설정된 시각에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칩;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받침판의 내부에 내장된 전력공급수단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배선이 연결 설치된 접속기구가 내삽되는 접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치.
KR1020160009859A 2016-01-27 2016-01-27 조명등 장치 KR10182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59A KR101820666B1 (ko) 2016-01-27 2016-01-27 조명등 장치
US16/073,215 US10539282B2 (en) 2016-01-27 2016-11-16 Lighting lamp device
CN201680079858.9A CN108496039B (zh) 2016-01-27 2016-11-16 照明灯装置
PCT/KR2016/013179 WO2017131329A1 (ko) 2016-01-27 2016-11-16 조명등 장치
JP2018559654A JP2019510358A (ja) 2016-01-27 2016-11-16 照明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59A KR101820666B1 (ko) 2016-01-27 2016-01-27 조명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28A true KR20170089528A (ko) 2017-08-04
KR101820666B1 KR101820666B1 (ko) 2018-01-22

Family

ID=5939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59A KR101820666B1 (ko) 2016-01-27 2016-01-27 조명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9282B2 (ko)
JP (1) JP2019510358A (ko)
KR (1) KR101820666B1 (ko)
CN (1) CN108496039B (ko)
WO (1) WO2017131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904B (en) * 2017-07-27 2022-01-05 Susevo Ltd A multi-function light bulb
US10731809B1 (en) * 2019-08-28 2020-08-04 Thomas Lawrence Mattausch Synthetic gaslight
US11456604B2 (en) * 2020-08-25 2022-09-27 Metromax America Corporation Table lamp with double light-emitting lamp poles and wireless charg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4437B1 (en) * 1999-07-28 2002-09-24 William Kelly Ring lighting
AU2003236424A1 (en) * 2002-08-23 2004-03-11 Todd Kingsley Rangi Electromagnetic work light
CN101375096A (zh) * 2006-01-30 2009-02-25 永备电池有限公司 电池供电的照明器材
IL173539A0 (en) 2006-02-05 2006-07-05 Rami Noach Flow distributor plate
US9338839B2 (en) * 2006-03-28 2016-05-10 Wireless Environment, Llc Off-grid LED power failure lights
JP2008204855A (ja) * 2007-02-21 2008-09-04 Nec Lighting Ltd 可変色縦型照明器具および可変色縦型照明システム
KR101435678B1 (ko) * 2007-08-24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CN101994909A (zh) * 2009-08-12 2011-03-30 彭贵云 掌上灯
CN201661913U (zh) * 2010-03-31 2010-12-01 苏州久腾光电科技有限公司 无线智能控制led灯
WO2012067336A1 (ko) * 2010-11-16 2012-05-24 Park Seong Hoon 정전보상 엘이디조명 장치 및 보조 카메라 서비스 방법
CN202056741U (zh) * 2010-11-25 2011-11-30 巨大矿业有限公司 矿用照明灯
KR20120084411A (ko) 2011-01-20 2012-07-30 송민훈 컬러 테라피 조명
US8947043B2 (en) * 2011-05-25 2015-02-03 Teknion Limited Light with integrated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TWM434164U (en) * 2011-12-23 2012-07-21 Feton Ltd Lamp structure
US9188325B2 (en) * 2012-01-09 2015-11-17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vel nightlight with USB charger
DE102012210743A1 (de) * 2012-06-25 2014-01-02 Osram Gmbh Leuchtvorrichtung mit lichtsensor
KR20140103457A (ko) * 2013-02-18 2014-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시스템
CN203193352U (zh) * 2013-03-20 2013-09-11 深圳市北美通科技有限公司 具有照明功能的无线充电板
CN104235806B (zh) * 2013-06-12 2019-04-23 李哲雄 自点亮音乐式灯用尖顶饰物
KR102129553B1 (ko) * 2013-06-24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결정 그래핀 필름 제조방법
KR20150000362U (ko) * 2013-07-02 2015-01-26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충전 기반의 led 조명 장치
JP6132099B2 (ja) * 2013-09-25 2017-05-2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2149528B1 (ko) * 2013-10-22 202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기능 무선충전 장치
KR20150067673A (ko) * 2013-12-10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CN103742823A (zh) * 2013-12-19 2014-04-23 昆山欣海韵贸易有限公司 一种为无线终端充电的无线台灯
KR20150111217A (ko) * 2014-03-25 2015-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WO2015156427A1 (ko) * 2014-04-08 2015-10-15 한솔테크닉스(주) 무선 충전 패드를 이용한 디자인등
US20150300581A1 (en) * 2014-04-18 2015-10-22 Chia-Ling Huang Portable bluetooth camping light
CN104061477B (zh) * 2014-07-08 2016-02-17 惠州奔达电子有限公司 一种高效散热的led光源模组
CN104633578A (zh) * 2015-01-27 2015-05-20 快捷达通信设备(东莞)有限公司 无线充电led灯
CN204986620U (zh) * 2015-09-25 2016-01-20 河北零利科技有限公司 磁吸供电式金属台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96039B (zh) 2023-07-28
WO2017131329A1 (ko) 2017-08-03
JP2019510358A (ja) 2019-04-11
US20190032876A1 (en) 2019-01-31
KR101820666B1 (ko) 2018-01-22
CN108496039A (zh) 2018-09-04
US10539282B2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2301A1 (en) Shapeable Light Therapy Device and Method
US6902296B2 (en) Nightlight for phototherapy
US9889314B2 (en) Color light therapy device
US20080091250A1 (en) Light therapy desk lamp
KR101820666B1 (ko) 조명등 장치
US20090227996A1 (en) Skin treatment phototherapy method
EP2044973A1 (en)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therapy device
KR101385707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US10881873B2 (en) Apparatus for relaxing smooth muscles of human body
EP2044974A1 (en)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therapy device
KR101479576B1 (ko)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US20150283400A1 (en) Control System for Therapeutic LED System in a Hot Tub or a Whirlpool Bathtub
WO2021261947A1 (ko) 수면 유도 장치
WO2014185558A1 (ko) 부종과 신경병증 치료기
KR200233007Y1 (ko) 목 밴드형 광 치료보조기
KR200233008Y1 (ko) 무릎 밴드형 광 치료보조기
KR200233009Y1 (ko) 변비 완화용 광 치료보조기
CN210409244U (zh) 一种治疗阴道的光谱仪
KR20120084411A (ko) 컬러 테라피 조명
CN106224883A (zh) 多功能led台灯
KR101705124B1 (ko) 광치료 파스
JP2005323661A (ja) 医療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