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17A -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17A
KR20150111217A KR1020140034890A KR20140034890A KR20150111217A KR 20150111217 A KR20150111217 A KR 20150111217A KR 1020140034890 A KR1020140034890 A KR 1020140034890A KR 20140034890 A KR20140034890 A KR 20140034890A KR 20150111217 A KR20150111217 A KR 2015011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munication module
power supply
pow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민
이재명
안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217A/ko
Publication of KR2015011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조명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광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기{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영,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조명기기에는 원격제어기기와 무선 통신을 위해, 통신모듈이 설치되게 된다. 통신모듈이 조명기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통신모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조명기기 전체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모듈이 전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통신 규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가 힘들고, 통신 규격의 변경이 생기면 전원부의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통신모듈의 교체 및 정비가 용이하고, 통신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조명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광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여서, 통신 규격의 변경이 생기거나 통신모듈의 수리 시에 조명 전체를 분해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통신모듈이 전원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통신 규격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고, 통신모듈만 교체함으로써, 빠른 수리가 가능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통신모듈이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통신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고, 광원부에서 생성되는 열에 의해 통신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조명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과 전원부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조명 제어 시스템은 원격제어기기(200) 및 조명기기(100)를 포함한다.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는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중의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 각각은 후술한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원격제어기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을 받은 경우, 그에 따른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명기기(100)에 송신한다.
원격제어기기(200)에서 조명기기(100)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조명기기(100)에 포함된 발광 소자의 밝기 제어 신호, 색상 제어 신호 및 온-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블루투스란 약 10m 내지 100m 정도의 근거리 상에서 2.4GHz 대역을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규격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통신 규격은 동일 주파수가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혼선을 처리하거나, 기기 간의 식별을 위하여 약정된 규격을 포함하고 있다.
실시 예에서의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Bluetooth Low Energy) 규격을 따른다.
원격제어기기(200)는 조명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이동 단말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기기(200)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을 제공하는 간단 구조의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원격제어기기(200)가 이동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원격제어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토대로 한 동작을 수행한다.
조명기기(100)는 원격제어기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90)이 구비되어 있다.
통신모듈(190)은 상기 원격제어기기(200)에서 사용하는 통신 규격과 같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90)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19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및 DALI(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기술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기기(100)는 전원부(160), 조명 구동부(169), 광원부(130) 및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전원부(160)는 조명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60)는 110V~220V의 교류 전원을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 구동부(169)에 25V, 5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상기 입력된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190)로 3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조명 구동부(169)는 전원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토대로 광원부(130)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변경한다. 또한, 조명 구동부(169)는 통신모듈(19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광원부(130)의 밝기, 색상 등을 제어하게 된다.
광원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통신모듈(190)은 원격제어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90)은 원격제어기기(2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조명 구동부(169)에 전달하여, 상기 광원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통신모듈(190)은 원격제어기기(200)의 블루투스 송신 모듈 또는 지그비 송신 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대응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내부에 통신모듈(190)을 구비하며 통신모듈(190)을 통해 원격제어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부(13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조명기기(100)와 원격제어기기(200)의 무선 통신을 위해, 통신모듈(190)이 조명기기(100)에 설치되게 되는데, 통신모듈이 전원부와 함께 위치되는 경우, 전원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통신모듈(190)의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모듈(190)이 전원부(16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통신 규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가 힘들고, 통신 규격의 변경이 생기면 전원부(160)의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조명기기(100)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조명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과 전원부의 분해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100)는 하우징(110)과, 광원부(130)와, 전원부(160) 및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고, 특히 광을 생성하는 광원부(130)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은 금속, 금속 합금 및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 방향에 개구(119)가 형성된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배면(111)과, 배면(111)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제1측면(112) 및 제2측면(113)과, 배면(111)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개구(119)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111)은 하우징(110)의 바닥을 형성하고 지지부(140)와 광원부(13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배면(1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조립의 편의성 및 부품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측면(112)과 제2측면(113)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배면(111)의 양단에서 상부(도 3기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물론, 제1측면(112) 및 제2측면(113)과 다른 방향에 위치되는 제3측면(116) 및 제4측면(117)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개구(119)는 하우징(110)의 일 방향이 오픈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19)는 하우징(110)의 배면(111)과 적어도 제1측면(112) 및 제2측면(113)에 의해 배면(111)과 마주보는 방향이 오픈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면(112)과 제2측면(113) 사이는 제1측면(112)과 제2측면(113) 사이에 광학 커버(120) 및 지지부(140)가 위치될 수 있는 정도로 충분이 이격될 수 있다.
제1베젤(114)은 제1측면(112)에서 제2측면(113)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개구(119)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고, 제2베젤(115)은 제2측면(113)에서 제1측면(112) 방향으로 돌출되어 개구(119)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제1베젤(114) 및 제2베젤(115)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된 광학 커버(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베젤(114)과 제2베젤(115) 사이의 거리는 광학 커버(120)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광원부(130)는 광을 생성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발광소자(131)와 발광소자(131)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소자(131)가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소자(131)는 발광소자(131)를 포함하는 패키지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133)은 예를 들면,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전극패턴 및 절연성을 가지며 전극패턴을 감싸고, 전극패턴의 일 영역이 노출되는 오프닝부를 가지는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패턴에 발광소자(131)가 실장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33)의 바디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33)은 장방형의 사각형 또는 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133)의 일단에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35)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케이블(135)에는 전원부(160)와 접속되는 연결단자(1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배면(111)과, 지지부(140)에는 전원 케이블(135)이 관통되는 연결공(147,119)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131)는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광원부(130)는 단일 색을 생성할 수 있고, 다수의 발광소자(131)에서 생성된 빛이 혼색되어 백색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광원부(130)는 복수의 발광소자(131)와 발광소자(1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 기판(133)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광원부(130)는 복수의 발광소자(131)와 베이스 기판(133)과 발광소자(131)에서 생성된 빛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광변환부(미도시)가 유닛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원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부(130)는 지지부(140)의 바닥부재(14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133)이 바닥부재(145)에 접하게 배치되고, 베이스 기판(133)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131)가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도 4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원부(130)는 하우징(110)의 배면(111)에 위치될 수도 있다.
광학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일면을 차폐하여서 외부에서 광원부(130)를 보호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부(130)에서 입사되는 광을 면광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커버(120)는 개구(119)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119)의 폭은 제1베젤(114)과 제2베젤(115) 사이의 거리로 결정되고, 광학 커버(120)의 폭은 상술한 바와 같다.
광학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지지부(140)에 의해 개구(119)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광학 커버(120)의 상면 중 일부는 제1베젤(114) 및 제2베젤(115)의 하면과 접하게 배치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광학 커버(120)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 또는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학 커버(120)는 일정한 강성과, 연성을 가지고 가공성이 좋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커버(120)는 광원부(130)에서 생성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커버(120)의 내부에 광원부(130)에서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입자를 포함하여서, 광원부(130)에서 입사되는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커버(120)는 광원부(130)에서 입사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시키는 도광시트(121)와, 도광시트(121)의 상면에 위치되어 도광시트(121)에서 입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키는 광학시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시트(121)는 광원부(130)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광학시트(122)로 제공할 수 있다.
도광시트(121) 예를 들면,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시트(121)의 내부에는 산란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광학시트(122)는 도광시트(121)에서 입사되는 면광을 집광 및 광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122)는 도광시트(121)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비드(bead) 등의 확산입자를 포함하여 개구(119)(하우징(110)의 외부)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필름(123), 확산필름(123)의 상부에서 광을 집중시키기 위해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필름(125) 및 프리즘필름(125)을 보호하기 위해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필름(12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광학 커버(120)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40)는 광학 커버(120)를 지지한다.
지지부(140)는 하우징(110) 내에 위치되어 개구(119)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광학 커버(120)를 지지하고, 고정한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전원부(160)는 조명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메인 기판(164)과 다수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164)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부품들은 메인 기판(164)에 실장되어, 메인 기판(16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변환부 및 조명 구동부(169)를 포함한다. 변환부는 메인 기판(164)을 통해 외부 전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변환부는 외부 전원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조명 구동부(169)는 광원부(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부(160)는 광원부(130)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부(160)는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PSU)일 수 있다. 이 때 전원부(160)는 통신 모듈(190)에서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60)는 급전 단자(167)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급전 단자(167)는 광원부(1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급전 단자(167)는 메인 기판(164)에 결합되며, 메인 기판(164)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급전 단자(141)는 광원부(130)의 연결단자(137)와 접속된다. 급전 단자(167)는 광원부(13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급전 단자(167)는 광원부(130)에 광원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즉, 전원부(160)는 연결단자(137)를 통해 광원부(130)에 광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전원부(160)는 통신 모듈(19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60)는 통신 모듈(190)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60)의 메인 기판(164)에는 통신모듈(190)과 접속되는 결합단자(166)가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결합단자(166)는 통신모듈(190)의 접속단자(192)와 접속하게 된다.
전원부(160)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60)는 하우징(110)의 광학커버(120)가 위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원부(160)는 사용자에게 주는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의 배면(111)의 외면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실시예는 전원부(160)가 수용되는 전원 케이스(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케이스(161)는 하우징(110)의 외면(구체적으로, 배면(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케이스(161)는 전원 케이스(161) 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는 고정판(162)을 더 포함하고, 고정판(162)에는 보스가 관통되는 홀(16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단자(166)는 전원 케이스(161)의 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단자(166)는 전원 케이스(161)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통신 모듈(190)은 조명기기(100)(상세하게는 광원부(130))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 모듈(190)은 전원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되며, 전원부(16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통신모듈(19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통신 규격의 변경이 생기거나 통신모듈(190)의 수리 시에 조명 전체를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데, 실시예는 통신모듈(190)을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하여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통신모듈(190)이 전원부(16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통신 규격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고, 통신모듈(190)만 교체함으로써, 빠른 수리가 가능한 이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190)은 안테나 소자(193), 접속단자(192), 안테나 소자(193) 및 접속단자(192)와 안테나 소자(193)가 배치되는 구동기판(19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판(191)은 통신 모듈(190)에서 지지를 위해 제공된다. 이 때 구동기판(191)은 평판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구동 기판(191)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기판(191)은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판(191)은 평판구조를 가지고, 전원부(160)의 메인 기판(164)과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소자(193)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이를 구동기판(191)의 구동소자 등에 전달하게 된다.
안테나 소자(193)는 통신 모듈(190)에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93)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93)는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impedance)에서 공진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소자(193)는 패치(patch) 타입으로 형성된 다음, 구동기판(191)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93)는 구동기판(191)에 도전성 잉크로 드로잉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93)는 구동기판(191)에 패터닝(patterning)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93)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93)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92)는 통신 모듈(190)에서 전원부(160)와 인터페이스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접속단자(192)는 구동 기판(191)의 일단에 배치되고, 전원부(16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접속단자(192)는 전원부(160)의 결합단자(166)에에 체결되어, 결합단자(166)에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단자(192)를 통해, 통신 모듈(190)에 전력이 공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접속단자(192)는 안테나 소자(193)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190)은 보호커버(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195)는 통신모듈(190)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고, 하우징(110)에 결합시킨다.
보호커버(195)는 구동 기판(191)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보호커버(195)는 구동 기판(191)과 안테나 소자(193)를 커버하며, 접속단자(192)를 노출시킨다.
즉, 보호커버(195)는 안테나 소자(240)를 수용하며, 접속단자(192)를 노출시킨다. 다시 말해, 접속단자(192)가 보호커버(195)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보호커버(195)는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195)에는 하우징(110)의 외면과 체결을 위한 보스가 관통되는 보스홀(199)이 형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190)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190)은 하우징(110)의 광학커버(120)가 위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모듈(190)은 사용자에게 주는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의 배면(111)의 외면에 결합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기기
110: 하우징
120: 광학커버
130: 광원부
160: 전원부
190: 통신모듈

Claims (10)

  1. 조명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광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는 전원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결합되는 조명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전원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안테나 소자가 배치되는 구동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구동 기판을 커버하고, 적어도 상기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접속 단자와 결합 및 접속되는 결합단자를 가지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자는 상기 전원 케이스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조명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체결을 위한 보스가 관통되는 보스홀이 형성되는 조명기기.
  10.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기기; 및
    상기 원격제어기기를 통해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조명의 구동 상태를 변경하는 조명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기는,
    조명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광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 시스템.



KR1020140034890A 2014-03-25 2014-03-25 조명기기 KR20150111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90A KR20150111217A (ko) 2014-03-25 2014-03-25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90A KR20150111217A (ko) 2014-03-25 2014-03-25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17A true KR20150111217A (ko) 2015-10-05

Family

ID=5434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90A KR20150111217A (ko) 2014-03-25 2014-03-25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2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329A1 (ko) * 2016-01-27 2017-08-03 전승원 조명등 장치
WO2018139838A1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구동 장치 및 이의 조명 구동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329A1 (ko) * 2016-01-27 2017-08-03 전승원 조명등 장치
CN108496039A (zh) * 2016-01-27 2018-09-04 全升元 照明灯装置
US10539282B2 (en) 2016-01-27 2020-01-21 Sung Won JAN Lighting lamp device
WO2018139838A1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구동 장치 및 이의 조명 구동 방법
CN110235526A (zh) * 2017-01-25 2019-09-13 Lg伊诺特有限公司 光驱动装置及其光驱动方法
CN110235526B (zh) * 2017-01-25 2021-06-04 Lg伊诺特有限公司 光驱动装置及其光驱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7640B1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module
CN103133912B (zh) 发光二极管灯源
US7722221B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EP2320134B1 (en) Lighting device
EP2796782B1 (en) Lighting device
KR102015911B1 (ko) 조명장치
US20150153037A1 (en) Combination led lamp and speakerphone assembly
EP2372413A1 (en) Lighting apparatus
CN102138039A (zh) 发光装置
KR20140013280A (ko) 조명 장치
WO2013018902A1 (ja) 発光体を用いた面照明光源装置
KR100990421B1 (ko) 빛 반사수단을 갖는 직하광원 방식의 면광원이 적용된조명기구
KR20150111217A (ko) 조명기기
CN103104843A (zh) 照明装置
KR20170047763A (ko) 아치형 슬라이드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기구
US2009003324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CN104848058A (zh) 可调led照明装置
JP2009147348A (ja) 照明装置
US11480307B2 (en) Downlight apparatus
KR101694153B1 (ko) 조명기기
US9612384B2 (en) Light fitting
CN211232450U (zh) 飞碟灯
KR101661990B1 (ko) 조명장치
KR101999658B1 (ko) 돌출형 양면간판
KR20160125235A (ko)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