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103A -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103A
KR20170089103A KR1020160009081A KR20160009081A KR20170089103A KR 20170089103 A KR20170089103 A KR 20170089103A KR 1020160009081 A KR1020160009081 A KR 1020160009081A KR 20160009081 A KR20160009081 A KR 20160009081A KR 20170089103 A KR20170089103 A KR 2017008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
contents
module
cont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019B1 (ko
Inventor
류승엽
Original Assignee
(주)네오팝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팝콘 filed Critical (주)네오팝콘
Priority to KR102016000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1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pay-per-view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국어 교육 앱(application; app)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에서 가공한 교육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앱을 통해 SNS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교육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 서버와, 교육컨텐츠를 방송컨텐츠 종류 별 및 기간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와 연동되는 SNS 서버와, 가공될 방송 컨텐츠를 상기 교육 서버로 전송하는 방송사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별도로 회원가입 및/또는 로그인을 할 필요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앱에 접속하는 방식을 취하여 접근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접속사용자의 흥미를 높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A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YSTEM BASED ON BROADCATING CONTENT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국어 교육 앱(application; app)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에서 가공한 교육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앱을 통해 SNS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교육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 서버와, 교육컨텐츠를 방송컨텐츠 종류 별 및 기간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와 연동되는 SNS 서버와, 가공될 방송 컨텐츠를 상기 교육 서버로 전송하는 방송사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에서 제공하는 교육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별도로 회원가입 및/또는 로그인을 할 필요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앱에 접속하는 방식을 취하여 접근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접속사용자의 흥미를 높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페이지 또는 앱(application; app)을 통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 컨텐츠는 전형적인 컨텐츠로 딱딱하게 진행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여 학습능률을 저해하는 문제가 단점이 있다. 즉, 교육을 받는 외국인 사용자의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한국어 교육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학습능률을 저해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참여욕구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는 앱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어 널리 보급되기 어려우며, 상기 앱을 별도로 광고한다 하여도 광고만으로 보는 이의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워 그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390968호는 스마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교육생이 원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스마트 교육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영상, 화상 및 생방송, 문제 은행 방식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스마트 교육용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회원 등록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고, 교육 컨텐츠 역시 종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별도의 회원가입 등을 요구하지 않아 접근이 용이하며, SNS를 통한 최대의 광고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국내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교육 컨텐츠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접속사용자의 흥미를 높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NS 계정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 한국어 교육 서버에 접속하여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하고 간편한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앱 화면에 SNS 공유 버튼(예를 들어, Facebook의 '타임라인 공유' 및/또는 '좋아요' 및/또는 Twitter의 '트위터 공유')이 표시되어 상기 공유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를 통해 공유하여 불특정 다수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류열풍에 맞추어 국내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교육 컨텐츠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글로벌 비즈니스를 도모하고 한국 및 방송 컨텐츠를 홍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아쓰기(dictation)(D), 말하기(speaking)(S) 및 듣기(listening)(L)의 유형별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접속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다양한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를 가공하여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교육 컨텐츠 제공 시 별도의 강사섭외비, 촬영장비, 기타 인건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개발 및 분류하고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SNS 서버와 연동하는 한국어 교육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SNS 계정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이용 권한과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회원접속모듈을 포함하여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별 이용 가능한 교육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 컨텐츠리스트 정보와 함께 접속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구매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컨텐츠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특정 교육 컨텐츠의 기간별 교육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리스트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은 선택된 교육 컨텐츠의 기간 리스트 및/또는 기간별 교육 컨텐츠리스트 및/또는 기간별 교육진행정도 및/또는 기간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 및/또는 학습가능 컨텐츠 및/또는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을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기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진행 예정인 교육 컨텐츠에 대한 내용과 함께 교육 컨텐츠의 일 정지화면을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내용표시모듈과, 상기 내용표시모듈을 통한 화면에서 학습진행버튼을 선택한 경우 상기 기간 리스트 중 선택된 기간에 대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맵을 통해 선택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은 선택된 기간 리스트의 일 별 맵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맵표시모듈과, 상기 제 1 맵표시모듈에 의해 선택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가 각각의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이 표시된 채로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그룹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상기 그룹표시모듈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특정 단위 교육 컨텐츠를 실행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진행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교육진행모듈은 선택된 단위 교육 컨텐츠에 관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실행하도록 하는 영상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광고제공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광고제공모듈은 상기 영상제공모듈에 의해 단위 교육컨텐츠 영상이 실행되기 전 사용자 접속 유형에 따라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에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광고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제 1 광고표시모듈은 접속사용자가 무료회원이고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이후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로 공유한 이후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경우 1회 광고 후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이 실행되며 상기 앱을 SNS로 공유하지 않고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경우 2회 이상 광고 후 상기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이 실행되고, 접속사용자가 유료결제회원이며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경우 광고 없이 상기 영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교육진행모듈은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진행 중인 사용자 단말기에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의 시간대 별 일 정지화면에 대한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위컨텐츠맵표시모듈과,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를 건너뛰기 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 SKIP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킵모듈과,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를 통해 습득한 한국어를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교육 컨텐츠 유형에 따른 단위 교육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은 L 유형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영상제공모듈에 의해 단말기에 실행되는 교육 컨텐츠의 특정 구간 음성과 관련된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한국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은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 자막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자막블라인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한국어표시모듈은 디스플레이된 단어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단어와 관련된 유사 예문이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유형별 교육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은 D 유형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영상제공모듈에 의해 단말기에 실행되는 교육 컨텐츠의 특정 구간 음성과 관련된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가 블랭크 처리된 상태로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한국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블랭크에 들어갈 단어 데이터 리스트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블랭크에 들어갈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하도록 하는 보기표시모듈과, 상기 블랭크에 들어간 단어가 적합한 단어인지 여부를 진단하는 입력결과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은 S 유형 교육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3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컨텐츠제공모듈은 사용자가 실행 중인 교육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특정 문장의 음성을 습득하기 위해 입력한 음성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과,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억양 그래프와 상기 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특정 음성에 대한 억양 그래프에 따른 음성 결과를 대조하여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음성결과대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가 종료하면 진행한 교육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학습평가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함께 해당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가 종료된 이후 해당 단위 교육컨텐츠에 따른 학습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학습결과를 SNS 공유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에 상기 앱의 광고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학습결과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광고제공모듈은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학습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전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광고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접속사용자의 이름 및/또는 등록사진 및/또는 최근학습일과, 최근학습일이 없는 경우 접속날짜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접속사용자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은 서버연동접속모듈에 의하여 SNS 계정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이용 권한과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접속단계를 포함하여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은 접속단계를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한 이후 교육컨텐츠제공모듈에 의하여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교육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진행할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컨텐츠선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는 컨텐츠선택모듈에 의해 교육 컨텐츠리스트 정보와 함께 접속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교육 컨텐츠 별 구매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는 상기 방송컨텐츠표시단계를 통해 특정 교육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교육 컨텐츠의 기간별 교육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는 학습 가능한 단위 교육컨텐츠와 학습 불가능한 단위 교육 컨텐츠를 구분하여 각 단위 교육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는 상기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기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내용표시모듈을 통해 진행 예정인 교육 컨텐츠에 대한 간략한 내용이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표시단계와,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기간 리스트 중 선택된 기간에 대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맵을 통해 선택된 일 별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는 학습을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진행하지 않은 단위 교육컨텐츠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각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을 표시하여 진행될 교육 컨텐츠의 유형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은 상기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통해 선택된 특정 단위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에 의하여 단말기를 통해 진행시키는 교육컨텐츠진행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선택된 단위 교육 컨텐츠 실행 전 사용자 접속 유형에 따라 등록된 광고영상을 제 1 광고표시모듈에 의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광고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선택된 단위 교육컨텐츠를 교육진행모듈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서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단위 교육 컨텐츠가 유형별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제 1 광고실행단계는 상기 앱을 통해 무료회원이 접속 시 한국어 교육 앱을 SNS 공유 한 경우 1번의 광고 실행 후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로 진행하고, SNS 공유를 하지 않은 경우 2회 이상의 광고 실행 후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로 진행하며, 유료결제회원인 경우 광고를 실행하지 않고 곧바로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학습평가모듈을 통해 단위 교육컨텐츠가 종료하면 진행한 교육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학습평가단계와, 진행한 단위 교육컨텐츠에 대한 퀴즈가 종료된 이후 학습결과표시모듈을 통해 해당 단위 교육컨텐츠에 따른 학습결과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결과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학습결과표시단계에 의하여 학습결과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전 제 2 광고표시모듈을 통해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광고실행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국내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교육 컨텐츠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접속사용자의 흥미를 높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NS 계정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 한국어 교육 서버에 접속하여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하고 간편한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앱 화면에 SNS 공유 버튼(예를 들어, Facebook의 '타임라인 공유' 및/또는 '좋아요' 및/또는 Twitter의 '트위터 공유')이 표시되어 상기 공유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를 통해 공유하여 불특정 다수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류열풍에 맞추어 국내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교육 컨텐츠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글로벌 비즈니스를 도모하고 한국 및 방송 컨텐츠를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아쓰기(dictation)(D), 말하기(speaking)(S) 및 듣기(listening)(L)의 유형별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접속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다양한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를 가공하여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교육 컨텐츠 제공 시 별도의 강사섭외비, 촬영장비, 기타 인건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한국어 교육 서버의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회원접속모듈의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따른 교육컨텐츠생성모듈의 블럭도
도 5는 도 2에 따른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의 블럭도
도 7은 도 5에 따른 교육진행모듈의 블럭도
도 8은 도 5에 따른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
도 9는 도 6에 따른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
도 10은 도 6에 따른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
도 11은 도 6에 따른 제 3 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
도 12는 도 2에 따른 광고제공모듈의 블럭도
도 13은 도 2에 따른 회원정보표시모듈의 블럭도
도 14는 도 1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개략도
도 15는 도 12에 따른 교육컨텐츠 DB의 개략도
도 16은 도 12에 따른 회원정보 DB의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블럭도
도 18은 도 18에 따른 교육컨텐츠선택단계의 블럭도
도 19는 도 18에 따른 교육컨텐츠진행단계의 블럭도
도 20은 도 6에 따른 제 2 리스트표시모듈에 의한 앱 화면의 참고도
도 21은 도 9에 따른 제 1 컨텐츠제공모듈에 의한 앱 화면의 참고도
도 22 및 도 23은 도 10에 따른 제 2 컨텐츠제공모듈에 의한 앱 화면의 참고도
도 24 및 도 25는 도 11에 따른 제 3 컨텐츠제공모듈에 의한 앱 화면의 참고도
도 26 내지 도 28은 도 5에 따른 학습결과표시모듈에 의한 앱 화면의 참고도
도 29는 도 2에 따른 경쟁상대 추가/표시모듈에 의한 앱 화면의 참고도
도 30은 도 12에 따른 제 1 광고표시모듈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한국어 교육 서버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회원접속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교육컨텐츠생성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교육진행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따른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따른 제 3 컨텐츠제공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12는 도 2에 따른 광고제공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13은 도 2에 따른 회원정보표시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14는 도 1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따른 교육컨텐츠 DB의 개략도이고, 도 16은 도 12에 따른 회원정보 DB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은 한국어 교육 앱(application; app)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30)에서 가공한 교육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상기 앱을 통해 SNS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교육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 서버(30)와, 교육컨텐츠를 방송컨텐츠 종류별(방송 프로그램 별) 및 기간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0)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30)와 연동되는 SNS 서버(70)와, 가공될 방송 컨텐츠를 상기 교육 서버(30)로 전송하는 방송사 서버(90)를 포함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교육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별도로 회원가입 및/또는 로그인을 할 필요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앱에 접속하는 방식을 취하여 접근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간편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하여 사용자가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아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앱을 통해 SNS 서버(70)와 연동되어 SNS로 한국어 교육 앱 및/또는 한국어 교육 진행 정도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한국어 교육 서버 등과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PDA, 개인용 PC 등 공지의 다양한 구성을 의미하여, 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는 방송사 서버(90)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한국어 교육컨텐츠를 개발 및 분류하여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로그인 없이 상기 SNS 계정을 통해 접속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하고 별도의 회원가입을 요구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는 회원접속모듈(310), 교육컨텐츠 생성모듈(320), 유형별 식별모듈(330), 교육컨텐츠 제공모듈(340), 광고제공모듈(350), 회원정보표시모듈(360), 경쟁상대 추가/표시모듈(370), 접속사용자표시모듈(380)과, 커뮤니케이션부(3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원접속모듈(310)은 한국어 교육 앱에서 SNS 계정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30)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이용 권한 및 개인 정보를 후술할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서버연동접속모듈(311)과 회원정보입력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원접속모듈(310)은 사용자가 별도로 회원가입을 하거나 로그인을 할 필요가 없이 상기 SNS 계정을 통해 상기 앱에 로그인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접근성이 뛰어난 동시에 용이하고 간편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연동접속모듈(311)은 상기 앱에서 SNS 계정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 접속한 이후 상기 교육 서버(30)는 접속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교육컨텐츠 이용 권한 및 개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회원정보입력모듈(312)은 상기 앱을 통하여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처음 접속한 사용자의 기초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초 정보 항목을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및/또는 나이 및/또는 지역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컨텐츠 생성모듈(320)은 상기 방송사 서버(70)로부터 방송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분석 및/또는 가공하여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개발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방송컨텐츠입력모듈(321), 방송컨텐츠분석모듈(322),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과, 교육컨텐츠분류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컨텐츠입력모듈(321)은 한국어 교육 컨텐츠로 가공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를 입력하는 모듈로, 영상 파일 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을 모두 입력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방송컨텐츠입력모듈(321)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 컨텐츠는 뉴스, 드라마, 연예, 다큐, 스포츠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 자료, 음악 자료, 이미지 자료를 포함한 컨텐츠로 이루어져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흥미를 높여 한국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방송컨텐츠분석모듈(322)은 상기 방송컨텐츠입력모듈(321)을 통해 입력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말, 소리, 언어를 문자로 텍스트화하고 해당 언어로 번역하는 모듈로, 상기 방송 컨텐츠가 교육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자료가 문자로 변환되어 제공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방송컨텐츠분석모듈(322)에서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파일을 별도로 분별하고 문자로 텍스트화하며, 텍스트화된 문자 파일을 번역기 등을 통해 자동으로 한국어 교육에 사용될 지정 언어로 번역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파일에 대해 관리자 등이 별도로 텍스트화/번역을 진행한 이후 상기 방송컨텐츠분석모듈(322)에 입력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은 상기 방송컨텐츠분석모듈(322)을 통해 번역된 문자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에 사용될 교육 컨텐츠로 가공하는 모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은 상기 방송 컨텐츠를 받아쓰기(dictation)(D), 말하기(speaking)(S) 및 듣기(listening)(L)의 3 가지 유형의 유형별 교육 컨텐츠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을 통해 가공된 유형별 교육 컨텐츠는 후술할 유형별 컨텐츠제공모듈(346)에 자세히 설명된다.
상기 교육컨텐츠분류모듈(324)은 상기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을 통해 생성된 각각의 교육 컨텐츠를 방송 컨텐츠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교육 컨텐츠를 다시 기간 별로 분류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교육 컨텐츠를 방송 컨텐츠 별(예를 들어, '1박2일', '해피투게더')로 분류한 이후, 분류된 교육 컨텐츠를 1주차, 2주차, 3주차 등 주 별로 분류한 이후 분류된 강의를 다시 1일차, 2일차, 3일차 등 일 별로 분류한다. 또한, 각각의 교육컨텐츠 난이도의 경중에 따라 등급을 분류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형별 식별모듈(330)은 상기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을 가공된 교육컨텐츠를 교육 유형별로 식별하는 모듈로, 상기 교육 컨텐츠를 식별한 이후 상기 분류된 교육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커뮤니케이션부(38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50)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방송컨텐츠가공모듈(323)을 통해 받아쓰기, 말하기 및 듣기의 3 가지 유형(D, S, L)으로 식별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340)은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한 사용자별로 이용 가능한 교육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고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340)은 상기 회원접속모듈(310)을 통해 수집한 한국어 교육 서버(30) 접속 사용자 개인정보 및 교육컨텐츠 구매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접속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교육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교육컨텐츠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340)은 컨텐츠선택모듈(341), 제 1 리스트표시모듈(342), 내용표시모듈(343), 제 2 리스트표시모듈(344), 교육진행모듈(345),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346), 학습평가모듈(347)과, 학습결과표시모듈(3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선택모듈(341)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30)에 접속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교육 컨텐츠리스트 정보와 함께 상기 회원접속모듈(310)을 통해 수집한 상기 앱 접속 사용자 정보의 교육컨텐츠 구매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교육 컨텐츠리스트와, 사용자가 특정 교육 컨텐츠를 이미 진행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 및/또는 구매 후 진행 가능 표시 및/또는 무료 컨텐츠 여부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 구매 후 진행 가능 표시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구매 안내 페이지로 이동한다.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342)은 상기 컨텐츠선택모듈(341)을 통해 선택된 특정 교육 컨텐츠의 기간별, 바람직하게 주별(weekly) 교육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교육 컨텐츠의 기간 리스트 및/또는 각 기간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 및/또는 기간별 교육진행정도 및/또는 상기 기간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 중 학습가능 컨텐츠 및/또는 각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예를 들어, D, S, L)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선택한 교육 컨텐츠가 4주차 강의까지 있는 경우, week1, week2, week3 및 week4(기간 리스트)와 함께 그 하단에 각 주별 교육진행정도가 표시되며, week1 내지 week4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각 week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위 교육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유형과 함께 각각 일 정지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학습 가능한 단위 교육 컨텐츠는 컬러로 표시되고 나머지 컨텐츠는 흑백 및/또는 자물쇠 표시와 함께 표현되어 학습 가능 컨텐츠와 불가능 컨텐츠를 구분하여 각 교육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예시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용표시모듈(343)은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34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된 기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또는 클릭한 경우 상기 진행 예정인 교육 컨텐츠에 대한 간략한 내용 또는 줄거리와 함께 상기 교육 컨텐츠의 일 정지 화면을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상기 정지 화면이 여러 장인 경우 스와이프(swipe) 기능을 통해 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리스트표시모듈(344)은 상기 내용표시모듈(343)을 통한 화면에서 학습진행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기간 리스트 중 선택된 기간에 대한 일 별 맵과 함께, 상기 맵을 통해 선택된 일 별(daily)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또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 중 학습을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는 컬러로 표시되고 진행하지 않은 리스트는 흑백으로 표시하여 구분할 수 있고, 상기 단위 교육컨텐츠 유형을 각 단위 컨텐츠 별 D, L, S로 표시하여 진행될 교육컨텐츠의 유형을 사용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리스트표시모듈(344)은 제 1 맵표시모듈(344a)과 그룹표시모듈(34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맵표시모듈(344a)은 선택된 기간 리스트 내에 분류되어 있는 일 별 맵을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간 리스트에 1일차부터 4일차 교육 컨텐츠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10)에 1일차, 2일차, 3일차 및 4일차 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에 표시된 맵의 각 일차를 터치 또는 클릭하여 해당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다(도 20 참조).
상기 그룹표시모듈(344b)은 상기 제 1 맵표시모듈(344a)에 의해 선택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맵표시모듈(344a)을 통해 사용자가 '1일차'를 선택한 경우, 상기 '1일차'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맵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 리스트 중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학습을 진행하지 않은 단위 교육 컨텐츠는 컬러로 구분되고, 학습을 진행할 차례의 교육 컨텐츠 역시 나머지 교육 컨텐츠와 컬러 등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위 교육 컨텐츠들은 각각 컨텐츠 유형(예를 들어, 받아쓰기(D), 말하기(S), 듣기(L), 읽기(R))이 표시될 수도 있다(도 20 참조).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교육진행모듈(345)은 상기 그룹표시모듈(344b)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된 일 별 단위 교육컨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단위 교육컨텐츠를 진행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단위컨텐츠맵표시모듈(345a), 영상제공모듈(345b), 스킵모듈(345c)과, 입력모듈(345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컨텐츠맵표시모듈(345a)은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진행 중인 사용자 단말기(10)에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의 시간대 별 일 정지화면에 대한 맵을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맵표시모듈(345a)을 통해 실행 중인 교육컨텐츠의 시간대 별 일 정지화면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후술할 영상제공모듈(345b)에 의하여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의 진행 시간을 특정 시간대로 건너뛰기 할 수 있다(도 23 내지 도 27 참조).
상기 영상제공모듈(345b)은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선택된 단위 교육 컨텐츠에 관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단위 교육 컨텐츠 관련 영상이 실행된다(도 21 내지 도 25 참조).
상기 스킵(skip)모듈(345c)은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를 건너뛰기 할 수 있도록 SKIP 버튼을 상기 단말기(1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된 SKIP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팝업 창이 표시되며, 상기 팝업 창에 RETURN, DAILY SCHEDULE, CONFIRM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RETURN'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다시 실행 중인 교육컨텐츠 관련 영상을 실행하고, 상기 'DAILY SCHEDULE'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그룹표시모듈(344b)에 의해 표시된 해당 일 단위 교육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CONFIRM'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다음 단위 교육 컨텐츠 관련 영상이 실행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입력모듈(345d)은 상기 영상을 통해 습득한 한국어를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 이를 통하여 단어 입력부가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어 후술할 유형별 교육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문제 및/또는 퀴즈에 대한 답을 입력할 수 있다(도 21 내지 도 25 참조).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346)은 교육 컨텐츠 유형(예를 들어, 받아쓰기(D), 말하기(S), 듣기(L))에 따른 단위 교육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346)은 제 1 컨텐츠제공모듈(346a), 제 2 컨텐츠제공모듈(346b)와, 제 3 컨텐츠제공모듈(346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컨텐츠제공모듈(346a)은 L 유형 단위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제공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제 1 한국어표시모듈(346a-1)과 자막블라인드모듈(346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한국어표시모듈(346a-1)은 상기 영상제공모듈(345b)에 의하여 단말기(10)에 실행되는 단위 교육 컨텐츠의 특정 구간 음성과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통해 실행되는 등장인물 간 대화내용 및/또는 노래 가사 등을 청취한 이후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를 통해 해당 음성을 확인할 수 있어 한국어를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특정 단어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해당 단어와 관련된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유사 예문이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단어를 사용자의 개인단어장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자막블라인드모듈(346a-2)은 상기 실행 중인 교육컨텐츠 영상 자막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상기 자막블라인드모듈(346b-2)에 의하여 같은 영상이라 하여도 고난이도 한국어 학습이 가능하다.
도 8, 도 10 및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컨텐츠제공모듈(346b)은 D 유형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제공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제 2 한국어표시모듈(346b-1), 보기표시모듈(346b-2)과, 입력결과표시모듈(346b-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한국어표시모듈(346b-1)은 상기 영상제공모듈(345b)에 의하여 단말기(10)에 실행되는 교육컨텐츠의 특정 구간 음성과 관련된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가 블랭크(blank) 처리된 상태로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통해 실행되는 대화내용 및/또는 노래 가사 등을 청취한 이후 상기 입력모듈(345d)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단어 입력부에 블랭크 내에 들어갈 단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보기표시모듈(346b-2)은 상기 블랭크에 들어갈 단어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단어 중 블랭크에 들어갈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된 단어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방식 등에 의해 특정 단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력결과표시모듈(346b-3)은 상기 블랭크에 들어간 단어가 적합한 단어인지 여부를 진단하는 모듈이다. 오답인 경우, 정답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답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해당 단어와 관련된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유사 예문이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단어를 사용자의 개인단어장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 도 11 및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컨텐츠제공모듈(346c)은 S 유형 교육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10)에 제공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음성인식모듈(346c-1)과 음성결과대조모듈(346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모듈(346c-1)은 사용자가 상기 실행 중인 교육 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특정 문장의 음성을 습득하기 위해 입력한 음성 입력(voice input)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여 인식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인식모듈(346c-1)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실행 중인 영상의 특정 구간의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앱을 통해 수신하여 인식한다.
상기 음성결과대조모듈(346c-2)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특정 음성에 대한 억양 그래프와 상기 음성인식모듈(346c-2)에 의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억양 그래프에 따른 음성 결과를 대조하여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상기 팝업 창의 'Retry'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시 음성인식모듈(346c-1)에 따라 음성 입력을 하고, 'Next'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다음 장면으로 진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학습평가모듈(347)은 상기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가 종료하면 진행한 교육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종료된 학습 영상 중 일 정지화면과 함께 두 개 이상의 보기를 제공하여 해당 정지화면에 표시된 자막과 대응하는 보기를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막과 일치하는 보기를 터치 또는 클릭할 수 있다. 상기 학습평가모듈(347)은 사용자가 단말기(10)를 통해 터치 또는 클릭한 보기와 정답을 비교하여,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기(10)에 'Correct' 말풍선이 표시되고, 오답인 경우 'False' 말풍선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348)은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함께 해당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가 종료된 이후 해당 단위 교육 컨텐츠에 따른 학습결과를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학습평가모듈(347)에 의하여 퀴즈가 종료된 이후 상기 단말기(10)에 팝업 창을 통해, L 유형 컨텐츠의 경우 교육을 진행한 영상의 진행도에 대한 그래프가 표시되고, D 유형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정답율 또는 정답 및 오답의 개수가 표시되며, S 유형의 컨텐츠의 경우 상기 음성결과대조모듈(346c-2)에 따라 일치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결과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창에는 '복습하기', '주간학습안내', '다음학습' 버튼이 표시되어 '복습하기'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학습한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이 다시 실행되고, '주간학습안내'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342)을 통해 교육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에 다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다음학습'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이어지는 다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348)에 따른 학습결과 화면에는 SNS 공유 버튼(예를 들어, Facebook의 '타임라인 공유' 및/또는 '좋아요' 및/또는 Twitter의 '트위터 공유')이 표시되어, 상기 공유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앱에 의한 교육결과를 SNS를 통해 공유하여 불특정 다수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348)은 상기 학습결과에 따라 사용자 레벨의 경험치를 부여하여 추가된 경험치 및/또는 사용자 레벨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경험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광고제공모듈(35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50)에 등록된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고제공모듈(350)은 제 1 광고표시모듈(351)과 제 2 광고표시모듈(3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광고표시모듈(351)은 상기 단말기(10)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교육 컨텐츠 영상이 실행되기 직전에 사용자 접속 유형에 따라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에 전송하여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고표시모듈(351)은 사용자가 무료회원으로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이후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로 공유한 이후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1회 광고 후 단위 교육 컨텐츠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유료결제회원이며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경우, 광고 없이 곧바로 단위 교육 컨텐츠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무료회원으로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이후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로 공유하지 않고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한 경우, 2회 이상 광고 후 교육 영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도 30 참조).
상기 제 2 광고표시모듈(352)은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348)에 의해 상기 단말기(10)에 학습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전,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송신하여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다만, 유료결제회원인 경우 상기 광고를 실행하지 않고 무료회원으로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한 경우에만 상기 광고영상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회원정보표시모듈(360)은 접속회원이 상기 앱을 통해 마이페이지로 이동하는 경우 회원의 구매강의 및 강의진행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모듈로, 이를 위하여 강의정보표시모듈(361), 수강시간표시모듈(362)과, 기초정보표시모듈(3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의정보표시모듈(361)은 접속회원이 유료결제회원인 경우 총 구매한 교육 컨텐츠의 개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총 구매한 교육 컨텐츠 표시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구매한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또한, 접속회원이 무료회원인 경우 총 기 진행컨텐츠의 개수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기 진행컨텐츠 표시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기 진행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수강시간표시모듈(362)은 기 진행한 강의의 총 수강시간과 함께, 일 단위 평균 수강시간을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상기 총 수강시간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전술한 단위 교육 컨텐츠 별 학습결과표시모듈(348)에 따른 학습결과를 통합하여 진행한 모든 교육 컨텐츠의 유형별 학습결과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L 유형, D 유형 및 S 유형에 따른 학습결과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SNS 공유를 위한 공유버튼을 디스플레이하여 기 진행한 모든 교육 컨텐츠의 통합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일 단위 평균 수강시간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해당일의 유형별 학습결과를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접속회원의 랭킹 순위와 함께, 후술할 경쟁자의 랭킹리스트를 순위별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화면 역시 SNS 공유를 위한 공유버튼을 디스플레이하여 일 단위 교육컨텐츠의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표시모듈(363)은 상기 접속회원의 프로필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진을 클릭 또는 터치하는 경우 접속사용자의 이름 및/또는 국가 및/또는 랭킹 및/또는 사용자레벨 등의 기초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도 2 및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경쟁상대 추가/표시모듈(370)은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경쟁상대 추가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접속사용자의 기초 정보(국가 및/또는 순위 및/또는 레벨 및/또는 이름 및/또는 등록사진)와 함께 경쟁상대의 기초 정보를 랭킹 별로 나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새로운 경쟁상대를 검색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지역 및/또는 국가 별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여 경쟁자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사용자표시모듈(380)은 상기 앱의 모든 페이지에 해당 접속사용자의 이름 및/또는 등록사진 및/또는 최근학습일과 최근학습일이 없는 경우 접속날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상기 커뮤니케이션부(390)는 사용자 단말기 (10), 데이터베이스(50), sns 서버(70) 및 방송사 서버(9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50)는 한국어 교육컨텐츠 영상 데이터, 회원정보 데이터와 구매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저장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30)로부터 회원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교육컨텐츠 DB(510), 회원정보 DB(530)와, 광고 DB(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컨텐츠 DB(510)는 교육컨텐츠 생성모듈(320)을 통해 생성된 교육컨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특정 교육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30)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30)에서 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방송컨텐츠별분류 DB(511)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컨텐츠별분류 DB(511)는 생성된 교육 컨텐츠를 방송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즉, 방송 컨텐츠 종류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방송컨텐츠별분류 DB(511)는 기간별분류 DB(5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간별분류 DB(511a)는 방송 컨텐츠별 분류된 교육 컨텐츠를 기간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각 주 단위로 상기 교육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고, 주 단위로 분류된 교육컨텐츠는 일 단위 교육컨텐츠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주 단위 교육컨텐츠는 1일차부터 7일차 교육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회원정보 DB(530)는 상기 시스템을 통해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모든 회원의 기초 및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원정보 DB(530)는 기초정보 DB(531), 구매정보 DB(533)와, 진행경과 DB(5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 DB(531)는 상기 시스템을 통해 교육컨텐츠를 이용하는 모든 회원의 기초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원 기초정보로는 등록사진 및/또는 이름 및/또는 최근학습일 또는 최근학습일이 없는 경우 접속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10)를 통해 접속할 때마다 상기 기초정보 DB(531)는 한국어 교육 서버(30)로 회원 기초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가 앱으로 기초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매정보 DB(533)는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 모든 회원의 교육 컨텐츠 구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앱을 통해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한 경우 각 사용자 별 구매정보를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로 전송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가 단말기(10)를 통해 회원별 구매정보를 볼 수 있고 구매한 교육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행경과 DB(535)는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든 회원의 교육 컨텐츠 진행경과에 대한 데이터를 한국어 교육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회원이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한 경우 각 회원별 진행경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30)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30)가 단말기(10)를 통해 진행경과를 볼 수 있고 계속하여 상기 교육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광고 DB(550)는 상기 광고제공모듈(350)을 통해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광고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교육컨텐츠 영상 실행 시, 학습결과 디스플레이 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SNS 서버(70)는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교육 서버(30)와 교육컨텐츠를 통한 한국어 교육 서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SNS 서버(70)를 통해 상기 교육 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교육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송사 서버(90)는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로 방송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방송컨텐츠가 교육컨텐츠로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의 블럭도이고, 도 18은 도 18에 따른 교육컨텐츠선택단계의 블럭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따른 교육컨텐츠진행단계의 블럭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30)에서 가공한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앱을 통해 SNS 서버(70)와 연동되는 한국어 교육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1)와,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로부터 교육 컨텐츠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진행할 단위 교육컨텐츠를 선택하는 교육컨텐츠선택단계(S3)와, 선택한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교육컨텐츠진행단계(S5)를 포함하여 상기 교육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별도로 회원가입 및/또는 로그인을 할 필요 없이 SNS를 통해 상기 앱에 접속하는 방식을 취하여 접근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간편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속단계(S1)는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이용하여 SNS 계정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는 상기 서버연동접속모듈(310a)을 통해 상기 앱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S3)는 접속단계(S1)를 통해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30)에 접속한 이후,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340)에 의하여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교육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진행할 한국어 교육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이를 위하여 방송컨텐츠표시단계(S31),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3), 내용표시단계(S35)와,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컨텐츠표시단계(S31)는 상기 컨텐츠선택모듈(341)에 의해 교육 컨텐츠리스트 정보와 함께, 상기 회원접속모듈(310)을 통해 수집한 상기 앱 접속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교육 컨텐츠 별 구매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교육 컨텐츠용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와, 사용자가 특정 교육컨텐츠를 이미 진행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 및/또는 구매 후 진행 가능 표시 및/또는 무료 컨텐츠 여부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의 상기 구매 후 진행 가능 표시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구매 안내 페이지로 이동하여 결제한 이후 상기 결제 교육컨텐츠에 대한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3)로 이동하고, 진행 중인 교육컨텐츠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후술할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3)로 이동한다.
상기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3)는 상기 방송컨텐츠표시단계(S31)를 통해 특정 방송 컨텐트 별 교육 컨텐츠의 기간별, 바람직하게 주별(weekly) 교육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선택한 교육 컨텐츠가 4주차 강의까지 있는 경우, week1, week2, week3 및 week4(기간 리스트)와 함께 그 하단에 각 주별 교육진행정도가 표시되며, week1 내지 week4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각 week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위 교육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유형과 함께 각각 일 정지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학습 가능한 단위 교육 컨텐츠는 컬러로 표시되고 나머지 컨텐츠는 흑백 및/또는 자물쇠 표시와 함께 표현되어 학습 가능 컨텐츠와 불가능 컨텐츠를 구분하여 각 교육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예시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용표시단계(S35)는 상기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3)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된 기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또는 클릭한 경우 상기 진행 예정인 교육 컨텐츠에 대한 간략한 내용 또는 줄거리와 함께 상기 교육 컨텐츠의 일 정지 화면을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지 화면이 여러 장인 경우 스와이프(swipe) 기능을 통해 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단계(S35)를 통한 화면 일측의 학습진행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후술할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7)로 이동한다.
상기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7)는 상기 내용표시단계(S35)를 통한 화면에서 학습진행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기간 리스트 중 선택된 기간에 대한 일 별 맵과 함께, 상기 맵을 통해 선택된 일 별(daily)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 중 학습을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는 컬러로 표시되고 진행하지 않은 리스트는 흑백으로 표시하여 구분할 수 있고, 상기 단위 교육컨텐츠 유형을 각 단위 컨텐츠 별 D, L, S로 표시하여 진행될 교육컨텐츠의 유형을 사용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S5)는 상기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S37)를 통해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된 일 별 단위 교육컨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단위 교육컨텐츠를 진행하는 단계로, 이를 위하여 제 1 광고실행단계(S51),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S51), 학습평가단계(S55), 제 2 광고실행단계(S57)와, 학습결과표시단계(S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광고실행단계(S51)는 상기 단말기(10)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교육 컨텐츠 영상이 실행되기 직전에 사용자 접속 유형에 따라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에 전송하여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고실행단계(S51)는 사용자가 무료회원으로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이후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로 공유한 이후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1회 광고 후 단위 교육 컨텐츠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유료결제회원이며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경우, 광고 없이 곧바로 단위 교육 컨텐츠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무료회원으로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이후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로 공유하지 않고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한 경우, 2회 이상 광고 후 교육 영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S53)는 선택된 단위 교육컨텐츠를 상기 교육진행모듈(345)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30)에서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10)에서 교육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S51)는 상기 단위컨텐츠맵표시모듈(345a)에 의해 단위 교육 컨텐츠의 시간대 별 일 화면에 대한 맵을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제공모듈(345b)에 의해 상기 단말기(10)에 교육컨텐츠 영상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컨텐츠제공모듈(346a)에 따라 L 유형 교육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제 2 컨텐츠제공모듈(346b)에 따라 D 유형 교육컨텐츠를 실행하며, 상기 제 3 컨텐츠제공모듈(346c)에 따라 S 유형 교육컨텐츠를 실행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위 교육 컨텐츠 실행 중 스킵모듈(345c)을 통해 단위 교육 컨텐츠 건너뛰기를 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된 SKIP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팝업 창이 열리며 상기 팝업 창에 RETURN, DAILY SCHEDULE, CONFIRM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RETURN'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다시 실행 중인 단위 교육컨텐츠 관련 영상을 실행하고, 상기 'DAILY SCHEDULE'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그룹표시모듈(344b)에 의해 표시된 해당 일 별 교육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CONFIRM'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다음 단위 교육 컨텐츠 관련 영상이 실행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학습평가단계(S55)는 상기 학습평가모듈(347)을 통해 단위 교육 컨텐츠가 종료하면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료된 학습 영상 중 일 정지화면과 함께 두 개 이상의 보기를 제공하여 해당 정지화면에 표시된 자막에 대한 보기를 상기 단말기(1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막과 일치하는 보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보기가 정답인 경우 단말기(10)에 'Correct' 말풍선이 표시되고, 오답인 경우 'False' 말풍선이 표시되며 다시 보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광고실행단계(S57)는 상기 단말기(10)에 학습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전 상기 제 2 광고표시모듈(352)에 의해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송신하여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다만, 유료결제회원인 경우 상기 광고를 실행하지 않고 무료회원으로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한 경우에만 상기 광고영상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학습결과표시단계(S59)는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함께 해당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가 종료된 이후 해당 단위 교육 컨텐츠에 따른 학습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학습평가모듈(347)에 의하여 퀴즈가 종료된 이후 상기 단말기(10)에 팝업 창을 통해, L 유형 컨텐츠의 경우 교육을 진행한 영상의 진행도에 대한 그래프가 표시되고, D 유형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정답율 또는 정답 및 오답의 개수가 표시되며, S 유형의 컨텐츠의 경우 상기 음성결과대조모듈(346c-2)에 따라 일치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결과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창에는 '복습하기', '주간학습안내', '다음학습' 버튼이 표시되어 '복습하기'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학습한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이 다시 실행되고, '주간학습안내'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342)을 통해 교육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에 다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다음학습'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이어지는 다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348)에 따른 학습결과 화면에는 SNS 공유 버튼이 표시되어, 상기 공유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상기 한국어 교육 앱에 의한 교육결과를 SNS를 통해 공유하여 불특정 다수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학습결과표시단계(S59)는 상기 학습결과에 따라 사용자 레벨의 경험치를 부여하여 추가된 경험치 및/또는 사용자 레벨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경험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기
30 : 한국어 교육 서버
310 : 회원접속모듈 311 : 서버연동접속모듈 312 : 회원정보입력모듈
320 : 교육컨텐츠 생성모듈
321 : 방송컨텐츠입력모듈 322 : 방송컨텐츠분석모듈
323 : 방송컨텐츠가공모듈 324 : 교육컨텐츠분류모듈
330 : 유형별식별모듈
340 : 교육컨텐츠제공모듈
341 : 컨텐츠선택모듈
342 : 제 1 리스트표시모듈 343 : 내용표시모듈
344 : 제 2 리스트표시모듈
344a : 제 1 맵표시모듈 344b : 그룹표시모듈
345 : 교육진행모듈
345a : 단위컨텐츠맵표시모듈 345b : 영상제공모듈
345c : 스킵모듈 345d : 입력모듈
346 :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
346a : 제 1 컨텐츠제공모듈
346a-1 : 제 1 한국어표시모듈 346a-2 : 자막블라인드모듈
346b : 제 2 컨텐츠제공모듈
346b-1 : 제 2 한국어표시모듈 346b-2 : 보기표시모듈
346b-3 : 입력결과표시모듈
346c : 제 3 컨텐츠제공모듈
346c-1 : 음성인식모듈 346c-2 : 음성결과대조모듈
347 : 학습평가모듈 348 : 학습결과표시모듈
350 : 광고제공모듈
351 : 제 1 광고표시모듈 352 : 제 2 광고표시모듈
360 : 회원정보표시모듈
361 : 강의정보표시모듈 362 : 수강시간표시모듈
363 : 기초정보표시모듈
370 : 경쟁상대 추가/표시모듈 380 : 접속사용자표시모듈
390 : 커뮤니케이션부
50 : 데이터베이스
510 : 교육컨텐츠 DB
511 : 방송컨텐츠별분류 DB
511a : 기간별분류 DB
530 : 회원정보 DB
531 : 기초정보 DB 533 : 구매정보 DB 535 : 진행경과 DB
550 : 광고 DB
70 : SNS 서버 90 : 방송사 서버
S1 : 접속단계
S3 : 교육컨텐츠선택단계
S31 : 방송컨텐츠표시단계 S33 :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
S35 : 내용표시단계 S37 :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
S5 : 교육컨텐츠진행단계
S51 : 제 1 광고실행단계 S53 : 컨텐츠실행단계
S55 : 학습평가단계 S57 : 제 2 광고실행단계
S59 : 학습결과표시단계

Claims (27)

  1. 방송 컨텐츠를 가공한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개발 및 분류하고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SNS 서버와 연동하는 한국어 교육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SNS 계정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이용 권한과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회원접속모듈을 포함하여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별 이용 가능한 교육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 컨텐츠리스트 정보와 함께 접속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구매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컨텐츠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특정 교육 컨텐츠의 기간별 교육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리스트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은 선택된 교육 컨텐츠의 기간 리스트 및/또는 기간별 교육 컨텐츠리스트 및/또는 기간별 교육진행정도 및/또는 기간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 및/또는 학습가능 컨텐츠 및/또는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을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제 1 리스트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기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진행 예정인 교육 컨텐츠에 대한 내용과 함께 교육 컨텐츠의 일 정지화면을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내용표시모듈과,
    상기 내용표시모듈을 통한 화면에서 학습진행버튼을 선택한 경우 상기 기간 리스트 중 선택된 기간에 대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맵을 통해 선택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은 선택된 기간 리스트의 일 별 맵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맵표시모듈과,
    상기 제 1 맵표시모듈에 의해 선택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리스트가 각각의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이 표시된 채로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그룹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상기 그룹표시모듈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일 별 단위 교육 컨텐츠 리스트 중 선택된 특정 단위 교육 컨텐츠를 실행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진행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교육진행모듈은 선택된 단위 교육 컨텐츠에 관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실행하도록 하는 영상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광고제공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광고제공모듈은 상기 영상제공모듈에 의해 단위 교육컨텐츠 영상이 실행되기 전 사용자 접속 유형에 따라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에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광고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고표시모듈은 접속사용자가 무료회원이고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이후 상기 한국어 교육 앱을 SNS로 공유한 이후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경우 1회 광고 후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이 실행되며 상기 앱을 SNS로 공유하지 않고 무료 단위 교육 컨텐츠를 진행하는 경우 2회 이상 광고 후 상기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이 실행되고, 접속사용자가 유료결제회원이며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경우 광고 없이 상기 영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진행모듈은 상기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진행 중인 사용자 단말기에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의 시간대 별 일 정지화면에 대한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위컨텐츠맵표시모듈과,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를 건너뛰기 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 SKIP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킵모듈과,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를 통해 습득한 한국어를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교육 컨텐츠 유형에 따른 단위 교육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은 L 유형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영상제공모듈에 의해 단말기에 실행되는 교육 컨텐츠의 특정 구간 음성과 관련된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한국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제공모듈은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 영상 자막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자막블라인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한국어표시모듈은 디스플레이된 단어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단어와 관련된 유사 예문이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유형별 교육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은 D 유형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영상제공모듈에 의해 단말기에 실행되는 교육 컨텐츠의 특정 구간 음성과 관련된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가 블랭크 처리된 상태로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한국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텐츠제공모듈은 상기 블랭크에 들어갈 단어 데이터 리스트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블랭크에 들어갈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부에 입력하도록 하는 보기표시모듈과,
    상기 블랭크에 들어간 단어가 적합한 단어인지 여부를 진단하는 입력결과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별컨텐츠제공모듈은 S 유형 교육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3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컨텐츠제공모듈은 사용자가 실행 중인 교육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특정 문장의 음성을 습득하기 위해 입력한 음성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과,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억양 그래프와 상기 컨텐츠 영상에서 제공하는 특정 음성에 대한 억양 그래프에 따른 음성 결과를 대조하여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음성결과대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실행 중인 단위 교육 컨텐츠가 종료하면 진행한 교육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학습평가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함께 해당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가 종료된 이후 해당 단위 교육컨텐츠에 따른 학습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학습결과를 SNS 공유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에 상기 앱의 광고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학습결과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광고제공모듈은 상기 학습결과표시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학습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전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광고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서버는 접속사용자의 이름 및/또는 등록사진 및/또는 최근학습일과, 최근학습일이 없는 경우 접속날짜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접속사용자표시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18. 서버연동접속모듈에 의하여 SNS 계정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 앱을 통해 한국어 교육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이용 권한과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접속단계를 포함하여 별도의 로그인과 회원가입 없이 SNS 계정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할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은 접속단계를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 접속한 이후 교육컨텐츠제공모듈에 의하여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교육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진행할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컨텐츠선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는 컨텐츠선택모듈에 의해 교육 컨텐츠리스트 정보와 함께 접속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교육 컨텐츠 별 구매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송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는 상기 방송컨텐츠표시단계를 통해 특정 교육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교육 컨텐츠의 기간별 교육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는 학습 가능한 단위 교육컨텐츠와 학습 불가능한 단위 교육 컨텐츠를 구분하여 각 단위 교육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선택단계는 상기 제 1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기간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내용표시모듈을 통해 진행 예정인 교육 컨텐츠에 대한 간략한 내용이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표시단계와,
    제 2 리스트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기간 리스트 중 선택된 기간에 대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맵을 통해 선택된 일 별 교육 컨텐츠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는 학습을 진행한 단위 교육 컨텐츠와 진행하지 않은 단위 교육컨텐츠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각 단위 교육 컨텐츠 유형을 표시하여 진행될 교육 컨텐츠의 유형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은 상기 제 2 기간별리스트표시단계를 통해 선택된 특정 단위 교육 컨텐츠를 상기 앱에 의하여 단말기를 통해 진행시키는 교육컨텐츠진행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선택된 단위 교육 컨텐츠 실행 전 사용자 접속 유형에 따라 등록된 광고영상을 제 1 광고표시모듈에 의하여 상기 앱을 통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광고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선택된 단위 교육컨텐츠를 교육진행모듈을 통해 상기 교육 서버에서 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단위 교육 컨텐츠가 유형별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고실행단계는 상기 앱을 통해 무료회원이 접속 시 한국어 교육 앱을 SNS 공유 한 경우 1번의 광고 실행 후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로 진행하고, SNS 공유를 하지 않은 경우 2회 이상의 광고 실행 후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로 진행하며, 유료결제회원인 경우 광고를 실행하지 않고 곧바로 상기 유형별 컨텐츠실행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학습평가모듈을 통해 단위 교육컨텐츠가 종료하면 진행한 교육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학습평가단계와,
    진행한 단위 교육컨텐츠에 대한 퀴즈가 종료된 이후 학습결과표시모듈을 통해 해당 단위 교육컨텐츠에 따른 학습결과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결과표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컨텐츠진행단계는 학습결과표시단계에 의하여 학습결과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전 제 2 광고표시모듈을 통해 광고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으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광고실행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제공 방법.

KR1020160009081A 2016-01-26 2016-01-26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0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081A KR101805019B1 (ko) 2016-01-26 2016-01-26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081A KR101805019B1 (ko) 2016-01-26 2016-01-26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03A true KR20170089103A (ko) 2017-08-03
KR101805019B1 KR101805019B1 (ko) 2017-12-07

Family

ID=5965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081A KR101805019B1 (ko) 2016-01-26 2016-01-26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575A1 (ko) * 2017-12-19 2019-06-27 (주)투미유 음성 더빙을 이용한 어학 학습 지원 방법 및 어학 학습 지원서버
KR20190084654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아이디어고릴라 교육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248949B1 (ko) * 2020-07-14 2021-05-07 주식회사 케이스타일즈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261539B1 (ko) * 2020-06-02 2021-06-07 주식회사 날다 지능형 한국 문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3672313A (zh) * 2020-05-13 2021-11-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教育内容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494A (ko) 2018-07-19 2020-01-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상채팅을 이용한 언어 교육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575A1 (ko) * 2017-12-19 2019-06-27 (주)투미유 음성 더빙을 이용한 어학 학습 지원 방법 및 어학 학습 지원서버
KR20190084654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아이디어고릴라 교육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3672313A (zh) * 2020-05-13 2021-11-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教育内容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61539B1 (ko) * 2020-06-02 2021-06-07 주식회사 날다 지능형 한국 문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48949B1 (ko) * 2020-07-14 2021-05-07 주식회사 케이스타일즈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019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19B1 (ko)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033659B (zh) 一种远程教学互动方法、服务器、终端以及系统
Priest Doing 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KR20190028045A (ko)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20080261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s
Tecedor et al. Videoconferencing and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nsights from students' self‐reflections
Chopra et al. Exploring crowdsourced work in low-resource settings
KR20200140029A (ko) 동영상 강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83493A (zh) 一种基于社交互动的英语辅助教学系统及数据处理方法
Leone-Pizzighella et al. Gathering everyday metacommentary: A methodology to counteract institutional erasure
KR20200088077A (ko)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nyidoho Ethnography of print and broadcast media in Ghana
KR20180018369A (ko)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시스템
KR20220009578A (ko) 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687B1 (ko)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aylor Ngana Wubulku Junkurr-Jiku Balkaway-Ka: The intergenerational co-design of a tangible technology to keep active use of the Kuku Yalanji Aboriginal language strong
KR20220121517A (ko) 클래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3622A (ko) 수업 매칭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수업 매칭 방법
Boonsuk et al. Repositioning English and teaching practices in global Englishes: A critical perspective from Thai higher education
KR101011773B1 (ko) 교육컨텐츠 개발 및 분류를 통한 수준별 교육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8368A (ko) 양방향 소통 외국어 학습시스템
KR20200116731A (ko) 컨셉 이미지를 이용한 자발적 단어 습득 시스템
KR20150068681A (ko) 모바일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1897A (ko) 학습자이자 교습자인 회원을 서로 매칭시켜 주는 원격 교육 시스템 및 원격 교육 방법
Ruane The utility and cultural framing of global English: Perspectives from a group of Korean English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