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714A -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 Google Patents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714A
KR20170088714A KR1020160008965A KR20160008965A KR20170088714A KR 20170088714 A KR20170088714 A KR 20170088714A KR 1020160008965 A KR1020160008965 A KR 1020160008965A KR 20160008965 A KR20160008965 A KR 20160008965A KR 20170088714 A KR20170088714 A KR 2017008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main body
coupled
side plate
corrugat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986B1 (ko
Inventor
이동복
Original Assignee
(주)에스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시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시아이
Priority to KR102016000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9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s- or watertight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을 이용하여 우수저류조의 제작시 파형강관의 개방된 좌우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의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좌우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파형 강관으로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좌우 양측 단부가 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와, 본체와 상기 측면플레이트가 결합된 코너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부위의 수밀을 유지하는 코너수밀막과, 코너수밀막이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너수밀막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water storage tank using corrugated steel pipe}
본 발명은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을 이용하여 우수저류조의 제작시 파형강관의 개방된 좌우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의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와 같이 투수성이 없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인도, 차도를 포함하는 각종 구조물이나 시설물 주변 지역은 빗물이 도로 등의 지표면에 정체되지 않고 빠르게 배출되므로 지하로 흘러드는 빗물의 양이 현격하게 감소한다. 이러한 현상은 지하수의 고갈을 발생시켜 수자원 부족현상을 유발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의 빗물이 낮은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함으로써 저지대에서는 강수량이 적음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자원 부족현상 및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우수저류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우수저류조는 배수되는 다량의 빗물을 가두어 놓고 서서히 배출함으로써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농업용이나 청소용으로 사용 가능한 수자원을 확보하는 구조물이다. 그런데 종래의 우수저류조는 콘크리트를 사용해서 대형의 수조를 만들거나 합성수지 등을 통해 제작된 블록을 연결하여 대형의 수조를 만드는 등의 형태이기 때문에 시공에 상당한 긴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시공장소의 형태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워 시공성도 좋지 않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수명이 20년 이하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큰 단점이 있었다.
이런 콘크리트 우수저류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가 개발되고 있다. 파형강관은 일반적으로 토목 분야에서 오수 및 폐수의 배수, 생활 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급수를 위해 사용되고, 건축분야에서 중공 거푸집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배수관 건설 시에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 기존의 콘크리트재 배관의 대체 자재로 파형강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배관자재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파형강관은 하중 및 반력이 관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커서 수로, 통로 및 기타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며,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므로 조립과 시공이 모두 간단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식에 강하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파형강관의 장점을 우수저류조에 활용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814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우수저류조는 파형강판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형강관 및 파형강관 양단의 내측면에 접하는 절곡면이 형성되는 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우수저류조는 파형강관의 양단에 막음판을 용접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있으나 파형강관의 특성상 단면이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용접이 용이하지 않아 용접부위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81446호: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의 개방된 좌우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의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저류조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우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파형 강관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 단부가 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와 상기 측면플레이트가 결합된 코너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부위의 수밀을 유지하는 코너수밀막과; 상기 코너수밀막이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너수밀막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너수밀막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1나사부재와, 일단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너수밀막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나사부재와, 상기 제 1나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의 일측을 상기 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1가압부와, 상기 제 2나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의 타측을 상기 측면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가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나사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에 매립되는 제 1매립부와, 상기 제 1매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 1가압부와 나사결합되는 제 1나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가압부는 상기 제 1나사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에 면접촉하는 가압판과, 상기 제 1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을 상기 코너수밀막으로 가압시키는 잠금부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측면플레이트의 결합부위에 코너수밀막을 형성시키고 코너수밀막을 고정수단으로 가압시키므로 결합부위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측면플레이트가 파형강관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제 1나사부재와 제 1가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는 파형 강관으로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20)와, 코너부위의 수밀을 유지하는 코너수밀막(30)과, 코너수밀막(3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좌우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체로서 파형강관을 이용한다. 파형강관은 강판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관으로서, 원통형상을 이룬다.
파형강관으로 이루어진 본체(10)는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갖는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내부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2개의 점검구(15)와 환기파이프(19)가 설치될 수 있다. 각 점검구(15)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뚜껑(17)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관리자가 점검구(15)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플레이트(20)는 본체(10)의 개방된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일측 측면플레이트에는 우수유입관(25)이 연결되고, 타측 측면플레이트에는 우수배출관(27)이 연결된다.
측면플레이트(20)는 본체(10)의 외경보다 더 큰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개방된 좌우 양측 단부가 측면플레이트(20)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측면플레이트(20)와 본체(10)의 결합방식으로 용접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파형강관의 특성상 본체(10)의 좌우 양측 단부는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10)와 측면플레이트(20)의 용접이 용이하지 않아 용접부위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저류조에 저장된 우수가 외부로 새어나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코너수밀막과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코너수밀막(30)은 본체(10)와 측면플레이트(20)가 결합하는 코너부위에 형성된다. 코너수밀막(30)은 액상의 실링조성물을 코너부위에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시트 형상의 코너수밀막(30)을 코너 부위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코너수밀막(30)을 형성하기 위한 실링조성물로 에폭시 수지나 우레탄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코너수밀막(30)이 본체(10) 및 측면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수단의 일 예로 일단은 본체(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코너수밀막(30)을 관통하여 본체의 내측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1나사부재(40)와, 일단은 측면플레이트(20)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코너수밀막(30)을 관통하여 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나사부재(60)와, 제 1나사부재(40)에 결합되어 코너수밀막(30)의 일측을 본체(1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1가압부(50)와, 제 2나사부재(60)에 결합되어 코너수밀막(30)의 타측을 측면플레이트(20)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가압부(70)를 구비한다.
제 1나사부재(40)는 본체(1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된다. 제 1나사부재(40)는 본체(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코너수밀막(30)에 매립되는 제 1매립부(41)와, 제 1매립부(41)에서 연장되어 코너수밀막(30)을 관통하여 제 1가압부(50)와 나사결합되는 제 1나사부(45)를 구비한다.
제 1나사부재(40)의 제 1매립부(41)는 본체(10)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매립부(41)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코너수밀막(30)에 매립된다. 제 1매립부(41)는 제 1나사부(45)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코너수밀막(30)에 견고하게 매립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나사부(4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 2나사부재(60)는 측면플레이트(20)의 일면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 2나사부재(60)는 측면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코너수밀막(30)에 매립되는 제 2매립부(61)와, 제 2매립부(61)에서 연장되어 코너수밀막(30)을 관통하여 제 2가압부(70)와 나사결합되는 제 2나사부(65)를 구비한다.
제 2나사부재(60)의 제 2매립부(61)는 측면플레이트(20)의 일면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매립부(61)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코너수밀막(30)에 매립된다. 제 2매립부(61)는 제 2나사부(65)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코너수밀막(30)에 견고하게 매립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나사부(6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가압부(50)(70)는 코너수밀막(30)을 가압하여 코너수밀막(30)이 본체(10) 및 측면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가압부(50)는 제 1나사부재(40)에 결합되어 코너수밀막(30)의 일측을 본체(1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시키고, 제 2가압부(70)는 제 2나사부재(60)에 결합되어 코너수밀막(30)의 타측을 측면플레이트(20)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제 1가압부(50)는 코너수밀막(30)에 면접촉하는 가압판(51)과, 제 1나사부(45)에 나사 결합되어 가압판(51)을 코너수밀막(30)으로 가압시키는 잠금부재(55)를 구비한다.
가압판(51)은 곡면으로 굽어진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판(51)에는 제 1나사부(4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잠금부재(55)는 제 1나사부(4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된다. 잠금부재의 일 예로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가압부(70)는 제 2나사부(65)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코너수밀막(30)에 면접촉하는 가압판(71)과, 제 2나사부(65)에 나사 결합되어 가압판(71)을 코너수밀막(30)으로 가압시키는 잠금부재(75)를 구비한다.
가압판(71)은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판(71)에는 제 2나사부(6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잠금부재(75)는 제 2나사부(6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이 형성된다. 잠금부재의 일 예로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와 측면플레이트의 결합부위에 코너수밀막을 형성시키고 코너수밀막을 고정수단으로 가압시키므로 결합부위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우수저류조를 조립하기 위한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제 1나사부재(40)를 결합시킨다. 제 1나사부재(40)는 본체(1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한다. 제 1나사부재(40)는 본체(10)의 내측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제 1나사부재(40)는 제 1매립부(41)를 본체(10)의 내측측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측면플레이트(20)에 제 2나사부재(60)를 결합시킨다. 제 2나사부재(60)는 다수를 원형으로 배치한다. 제 2나사부재(60)는 제 2매립부(61)를 측면플레이트(20)의 일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측면플레이트(20)를 본체(10)의 단부에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29는 용접부위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체(10)의 내측에서 코너부위에 실링조성물을 도포하여 코너부위에 코너수밀막(30)을 형성시킨다. 제 1 및 제 2매립부(41)(61)가 코너수밀막(30)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코너수밀막(30)은 충분한 두께로 형성시킨다. 제 1 및 제 2나사부(45)(65)는 코너수밀막(3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된다.
제 1나사부(45)에 가압판(51)을 삽입시킨 후 잠금부재(55)를 제 1나사부(45)에 나사결합시킨 다음 조여서 코너수밀막(30)의 일측을 가압시킨다. 그리고 제 2나사부(65)에 가압판(75)을 삽입시킨 후 잠금부재(75)를 제 2나사부(65)에 나사결합시킨 다음 조여서 코너수밀막(30)의 일측을 가압시킨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측면플레이트
30: 코너수밀막 40: 제 1나사부재
50: 제 1가압부 60: 제 2나사부재
70: 제 2가압부

Claims (4)

  1. 좌우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파형 강관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 단부가 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와 상기 측면플레이트가 결합된 코너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부위의 수밀을 유지하는 코너수밀막과;
    상기 코너수밀막이 상기 본체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너수밀막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너수밀막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1나사부재와, 일단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너수밀막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나사부재와, 상기 제 1나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의 일측을 상기 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1가압부와, 상기 제 2나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의 타측을 상기 측면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나사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에 매립되는 제 1매립부와, 상기 제 1매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 1가압부와 나사결합되는 제 1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압부는 상기 제 1나사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코너수밀막에 면접촉하는 가압판과, 상기 제 1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을 상기 코너수밀막으로 가압시키는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KR1020160008965A 2016-01-25 2016-01-25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KR10190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65A KR101902986B1 (ko) 2016-01-25 2016-01-25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65A KR101902986B1 (ko) 2016-01-25 2016-01-25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14A true KR20170088714A (ko) 2017-08-02
KR101902986B1 KR101902986B1 (ko) 2018-10-01

Family

ID=5965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965A KR101902986B1 (ko) 2016-01-25 2016-01-25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152B1 (ko) * 2020-06-04 2020-10-23 최금석 파형 강관을 이용한 정화조 거푸집
KR102541588B1 (ko) * 2022-08-04 2023-06-13 주식회사 퍼팩트 반구형 마감캡을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4483B2 (ja) * 2003-04-22 2008-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案内路付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3511B1 (ko) * 2012-01-30 2012-05-09 김재영 우수저류조
KR101359101B1 (ko) * 2013-08-08 2014-02-06 (주) 보원건설산업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19B1 (ko) * 2007-10-05 2007-12-24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수로관 파손 방지장치
KR101054490B1 (ko) * 2011-02-18 2011-08-04 주식회사 시스턴 조립식 물탱크의 칸막이패널 방수장치
KR101304799B1 (ko) * 2012-07-27 2013-09-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격벽을 구비한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4483B2 (ja) * 2003-04-22 2008-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案内路付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3511B1 (ko) * 2012-01-30 2012-05-09 김재영 우수저류조
KR101359101B1 (ko) * 2013-08-08 2014-02-06 (주) 보원건설산업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152B1 (ko) * 2020-06-04 2020-10-23 최금석 파형 강관을 이용한 정화조 거푸집
KR102541588B1 (ko) * 2022-08-04 2023-06-13 주식회사 퍼팩트 반구형 마감캡을 활용한 수밀성과 안전성을 향상한 다용도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986B1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986B1 (ko)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CN112879682A (zh) 螺旋缠绕复合地下管道
KR101907869B1 (ko)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KR101093540B1 (ko) 수로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CN209724369U (zh) 一种单线海底隧道可维护排水系统
KR101481446B1 (ko) 파형강관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KR20040473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용 시트
KR100871429B1 (ko) 구조물의 관 연결부 수밀장치
KR101215875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조 방법
US20110008108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hole wall sealing
CN112944058A (zh) 螺旋缠绕复合地下管道
US5180270A (en) Water flow patch
KR100903088B1 (ko)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KR102417309B1 (ko) 집수정 연결 수밀 소켓
CN210395243U (zh) 一种水利工程施工止水结构
CN214838995U (zh) 螺旋缠绕复合地下管道
KR200361426Y1 (ko) 하수용 관의 일체화 결합구조
CN218264011U (zh) 基于抗浮锚杆的抗浮结构
CN211621675U (zh) 一种用于地下防水工程的复合结构
CN211312754U (zh) 一种地下室防渗漏施工结构
RU220607U1 (ru) Основание колодца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02211987B1 (ko) 파형관 hm 수밀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구조
WO2022193457A1 (zh) 螺旋缠绕复合地下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