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561A -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561A
KR20170088561A KR1020160008570A KR20160008570A KR20170088561A KR 20170088561 A KR20170088561 A KR 20170088561A KR 1020160008570 A KR1020160008570 A KR 1020160008570A KR 20160008570 A KR20160008570 A KR 20160008570A KR 20170088561 A KR20170088561 A KR 2017008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joining
curvatu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198B1 (ko
Inventor
김선국
김선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0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10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conically or cylindrically 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8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using presses for radially crimping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롤러 및 접합롤러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중앙관, 곡률관 및 연장관으로 이루어진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의 양측 단부를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 삽입하여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삽입 플랜지를 형성하는 중앙관 제조단계와, 상기 곡률관의 일측 단부에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접합을 이루는 제1접합 플랜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관이 접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형성하는 곡률관 제조단계와, 상기 연장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플랜지에 삽입 및 접합되는 제2접합 플랜지를 형성하는 연장관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단계;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제1접합 플랜지를 상기 접합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 및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곡률관 접합단계; 상기 곡률관의 단부에 상기 연장관을 접합하여 엘보우 배관의 형상, 곡률 반경, 길이를 조정하는 연장관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Elbow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엘보우 배관의 각 연결관들이 한번의 공정에 의해 바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보우 배관의 접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는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설계가 복잡해 질수록 배관의 연결부에 필연적으로 굴곡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배관의 굴곡 부분에 사용되는 엘보우 배관의 신뢰성, 또한 배관시공작업의 효율성에 있어서 더욱더 부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엘보우 배관의 제조시, 여러개의 연결관들을 연결하고, 각각의 연결관들이 맞물리는 부분을 해머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타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보우 배관의 제조시간 및 제조 비용이 과다하게 소될 수밖에 없고, 이와 동시에 숙련된 작업자들만이 수작업으로 제조를 해야함에 따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6361호에는, 엘보우관 조립구조는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속턱의 외주연 상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제1 연결관;과, 일측에 형성된 곡선관 턱의 외주연 상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곡선관턱 안착부의 내주연 상에 결속돌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관의 결속부재와 결속되게 하는 만곡 형태의 곡선관;과, 측방향로 연장 형성된 체결턱의 내주연 상에 결속돌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곡선관의 곡선관 턱에 형성된 결속부재와 결속되게 하는 제2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곡선관의 사용 수량을 달리하거나,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돌기부재의 결합 방향을 좌, 우로 달리하여 엘보우관의 연결 각도를 가변하는 엘보우관 조립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각각의 연결관들을 별도로 제조하고, 더불어 결속돌기부재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더 제조하여야 함에 따라 그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7619호에는 유동 가스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연성 금속 파이프, 파이프 부, 파이프 단편 또는 파이프 만곡부 사이에 고도의 밀봉 기밀성을 갖는 폴드 이음매 연결부로서, 플랜지 모양의 이중 폴드)가 제 1 파이프 단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딱맞게 그리고 전둘레 연속 금속 밀봉으로 제 2 파이프 단부의 제 2 이중 폴드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 이음매 연결부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각각의 파이프 단부들을 결합함에 있어 각 공정들이 복잡하고, 특히 파이프 단부들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가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6361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보우 배관의 각 연결관들이 한번의 공정에 의해 바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보우 배관의 접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는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롤러 및 접합롤러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중앙관, 곡률관 및 연장관으로 이루어진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의 양측 단부를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 삽입하여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삽입 플랜지를 형성하는 중앙관 제조단계와, 상기 곡률관의 일측 단부에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접합을 이루는 제1접합 플랜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관이 접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형성하는 곡률관 제조단계와, 상기 연장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플랜지에 삽입 및 접합되는 제2접합 플랜지를 형성하는 연장관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단계;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제1접합 플랜지를 상기 접합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 및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곡률관 접합단계; 상기 곡률관의 단부에 상기 연장관을 접합하여 엘보우 배관의 형상, 곡률 반경, 길이를 조정하는 연장관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 제조단계에는 상기 곡률관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삽입 한계점을 이루도록 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률관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삽입 플랜지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삽입 한계점을 이루도록 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률관 접합단계는 상기 삽입 플랜지를 상기 제1접합 플랜지에 삽입하여 임시 결합을 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 및 접합롤러 사이에 설치하는 배관 접합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제1접합 플랜지가 절곡이 이루어지면서 서로 접합되어 각각의 배관들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 접합단계는 엘보우 배관이 가지는 각도에 따라 직선 형태, 만곡 형태,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의 연결관들끼리 연결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관과 곡률관 및 연장관들을 접합시켜 엘보우 배관을 제조하는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승하강 작동하면서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배관 가압부와,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연결관 지지부와, 지지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접합롤러; 상기 접합롤러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배관 가압부를 통해 상기 중앙관과 곡률관의 절곡 및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플랜지 접합부와,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턱 형성부가 구성된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 및 접합롤러측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접합롤러와 중앙관 및 곡률관 사이에 소정의 마찰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동력 제공수단;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끝단부와 접하면서 접합롤러의 작동시 각각의 배관들이 배관 제조장치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패널; 및 상기 접합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용이한 형상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롤러 및 지지롤러에는 상기 제1접합 플랜지의 외주면에 소정의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제1접합 플랜지와 삽입 플랜지의 단부측이 열접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팅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엘보우 배관의 각 연결관들이 한번의 공정에 의해 바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보우 배관의 접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배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배관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매관의 접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를 나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엘보우 배관의 제품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배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배관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매관의 접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를 나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엘보우 배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양측부에 모두 삽입 플랜지(212)가 형성된 중앙관(210)과, 엘보우 배관(200)의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중앙관(210)과 연결되는 곡률관(230)과 곡률관(2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엘보우 배관(200)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관(240)으로 이루어진 연결관(220)으로 구성된다.
중앙관(210)은 엘보우 배관(200)의 중심을 이루는 구성으로, 양측부에 각각 연결관(220)들이 연결되어 엘보우 배관(200)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삽입 플랜지(212)가 형성된다.
삽입 플랜지(212)는 연결관(220)의 곡률관(230)에 삽입되어 배관 제조장치(300)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연결관(220)은 중앙관(210)의 양측부에 접합되는 곡률관(230)과, 이 곡률관(2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엘보우 배관(200)의 길이 및 곡률 반경을 조정하는 연장관(240)으로 구성된다.
곡률관(230)은 중앙관(210)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삽입 플랜지(212)가 삽입되며, 이 삽입 플랜지(212)와 접합을 이루도록 일측 단부에 제1접합 플랜지(232)가 형성된다.
또한, 곡률관(230)의 타측 단부에는 연장관(240)이 선택적으로 접합되어 엘보우 배관(200)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240)의 단부와 접합되는 연장 플랜지(2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관(240)은 엘보우 배관(200)의 곡률 반경 및 길이를 연장하여 배관 사이즈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관으로,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직진성을 가지는 직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관(240)은 연장 플랜지(234)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관 제조장치(300)에 의해 접합에 의해 곡률관(230)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2접합 플랜지(242)가 일측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엘보우 배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제조단계(S110), 곡률관 접합단계(S120), 연장관 접합단계(S130)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배관 제조단계(S110)는 엘보우 배관(200)을 이루는 중앙관(210) 및 연결관(220)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배관 제조단계(S110)는 중앙관(210)의 양측 단부를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 삽입하여 소정의 가압력을 가압하여 삽입 플랜지(212)를 형성하는 중앙관 제조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중앙관 제조단계에서는 곡률관(230)의 내주에 삽입 플랜지(212)가 삽입되면, 곡률관(230)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삽입 한계점을 이루도록 하는 단턱부가 외주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앙관 제조단계는 삽입 플랜지(212)가 중앙관(210)의 내부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중앙관(210) 및 곡률관(230)의 결합시, 곡률관(230)에 형성된 접합 플랜지(232)의 내측으로 삽입 플랜지(212)의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관 제조단계(S110)는 중앙관(210)의 삽입 플랜지(212)와 접합을 이루는 제1접합 플랜지(232)가 형성된 곡률관(230)을 제조하는 곡률관 제조단계가 수행된다.
곡률관 제조단계는 일측 및 타측 단부를 각각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 삽입하여 소정의 가압력을 가압하면서 제1접합 플랜지(232) 및 연장 플랜지(23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곡률관 제조단계에서는 중앙관(210)의 삽입 플랜지(212)가 삽입될 때, 이 삽입 플랜지(212)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삽입 한계점을 이루도록 하는 단턱부가 내주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 제조단계(S110)는 곡률관(23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관(240)을 제조하는 연장관 제조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 제조단계는 전술한 곡률관 제조단계와 마찬가지로 일측 단부에 연장 플랜지(234)에 삽입되어 곡률관(230)과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접합 플랜지(24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제2접합 플랜지(242)는 삽입 플랜지(212)와 같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구성된 각각의 플랜지들에는 보다 긴밀한 결합을 이루면서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요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삽입 플랜지(212)와 제2접합 플랜지(242)에는 외주면에 나선형의 요홈을 형성하고, 제1접합 플랜지(232) 및 연장 플랜지(234)에는 내주면에 나선형의 요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곡률관 접합단계(S120)는 후술할 배관 제조장치(300)를 이용하여 중앙관(210)과 곡률관(230)을 접합하여 엘보우 배관(200)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러한 곡률관 접합단계(S120)는 중앙관(210) 및 곡률관(230)이 배관 제조장치(300)를 통해 접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관(210)에 형성된 삽입 플랜지(212)를 곡률관(230)의 제1접합 플랜지(232)에 삽입하여 임시 결합을 한 상태에서 배관 제조장치(300)에 구성된 가이드 롤러(320) 및 접합롤러(340) 사이에 설치하는 배관 접합 전처리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중앙관(210)과 곡률관(2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접합롤러(340)를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압력으로 중앙관(210) 및 곡률관(230)을 가압하여 중앙관(210)의 삽입 플랜지(212)와 곡률관(230)의 제1접합 플랜지(232)가 절곡이 이루어지면서 서로 접합되어 각각의 배관들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연장관 접합단계(S130)는 곡률관(230)의 단부에 연장관(240)을 접합하여 엘보우 배관(200)의 형상, 곡률 반경, 길이 등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연장관 접합단계(S130)는 엘보우 배관(200)이 가지는 각도에 따라 직선 형태, 만곡 형태,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관(240)을 곡률관(23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1접합 플랜지(232)에 삽입되어 배관 제조장치(300)를 통해 상기 곡률관(230)과 접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연장관(240)은 엘보우 배관(200)의 형태에 따라 복수의 연결관(240)들끼리 연결되어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제조장치(300)에 의해 한번의 공정 만으로도 제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수작업으로만 의존하였던 종래의 제조방식을 통해 발생하는 폐단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배관 제조장치(300)를 통해 엘보우 배관(200)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배관 제조장치(300)는 엘보우 배관(200)을 이루는 중앙관(210) 및 복수의 연결관(220)들을 접합하는 장치로서, 중앙관(210)의 삽입 플랜지(212)와 곡률관(230) 및 연장관(240)에 형성된 각각이 플랜지들을 소정의 회전력 및 가압력에 의해 접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관 제조장치(300)는 삽입 플랜지(212)와 제1접합 플랜지(232), 또는 연장 플랜지(234)와 제2접합 플랜지(242)를 접합하기 위해 중앙관(21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20) 및 지지롤러(320)의 상부에 구성되며, 회전 및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중앙관(210)과 곡률관(230), 또는 곡률관(230)과 연장관(240)을 접합시키는 접합롤러(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합롤러(340)는 중앙관(210)의 삽입 플랜지(212)와 곡률관(230)의 제1접합 플랜지(232)를 가압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곡률관(230)의 제1접합 플랜지(23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배관 가압부(344)가 형성된다.
또한, 접합롤러(340)에는 배관 가입부(344)의 전방에 형성되어 후술할 지지롤러(320)의 단턱 형성부(322)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가 수용되는 수용홈(342)이 형성된다.
또한, 배관 가압부(344)의 후방으로는 중앙관(210) 및 곡률관(230)의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관 지지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연결관 지지부(346)에는 곡률관(230)의 제1접합 플랜지(232)의 외주면에 소정의 열원을 제공하여 배관 가압부(344)와 함께 제1접합 플랜지(232)와 삽입 플랜지(212)의 단부측이 열접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팅수단(410)이 구성될 수 있다.
히팅수단(410)은 전원 공급부(41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고온의 열을 발생하고, 발생된 열을 열원 제공부(412)측으로 공급하여 연결관 지지부(346)를 가열하면서 삽입 플랜지(212)와 제1접합 플랜지(232)의 단부가 열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롤러(320)는 접합롤러(340)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관(210)의 삽입 플랜지(212)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 단턱 형성부(322)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관(210) 및 곡률관(230)이 절곡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지롤러(320)는 접합롤러(340)의 배관 가압부(344)를 통해 중앙관(210)과 곡률관(230)이 절곡 및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면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랜지 접합부(324)가 형성된다.
플랜지 접합부(324)는 중앙관(210)과 곡률관(230)이 배관 가압부(344)에 의해 가압되는 면이 수용되면서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면서 서로 접힘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롤러(320)에는 전술한 히팅수단(410)이 구성되어 소정의 열원에 의해 접힘 가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배관 제조장치(300)에는 상기 지지롤러(320) 및 접합롤러(34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10)과, 이 회전축(310)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여 가공롤러(340)와 중앙관(210) 및 연결관(220)과의 소정의 마찰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동력 제공수단이 구성된다.
동력 제공수단은 배관 제조장치(300)를 이루는 케이싱에 구비되며,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60)과, 구동수단(36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362)로 구성되며, 구동벨트(362)와 회전축(310)을 각각 연결하여 구동수단(3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제조장치(300)에는 중앙관(210) 및 연결관(220)의 끝단부와 접하면서 접합롤러(340)의 작동시 각각의 배관들이 배관 제조장치(30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스톱패널(370)이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제조장치(300)에는 접합롤러(3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350)이 더 구성된다.
높이 조절수단(350)은 접합롤러(34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중앙관(210) 및 연결관(220)이 지지롤러(320)와 접합롤러(340)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이 진행될 때, 각각의 배관들(210, 220)의 외주면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배관들의 형상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높이 조절수단(350)은 실린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중앙관 212: 삽입 플랜지
220: 연결관 230: 곡률관
232: 제1접합 플랜지 234: 연장 플랜지
240: 연장관 242: 제2접합 플랜지
300: 배관 제조장치 310: 회전축
320: 지지롤러 330: 회전수단
340: 접합롤러 350: 높이 조절수단
360: 구동수단 370: 스톱패널

Claims (7)

  1. 지지롤러 및 접합롤러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중앙관, 곡률관 및 연장관으로 이루어진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의 양측 단부를 복수의 롤러들 사이에 삽입하여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삽입 플랜지를 형성하는 중앙관 제조단계와, 상기 곡률관의 일측 단부에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접합을 이루는 제1접합 플랜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관이 접합되는 연장 플랜지를 형성하는 곡률관 제조단계와, 상기 연장관의 일측 단부에 연장 플랜지에 삽입 및 접합되는 제2접합 플랜지를 형성하는 연장관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단계;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제1접합 플랜지를 상기 접합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 및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곡률관 접합단계;
    상기 곡률관의 단부에 상기 연장관을 접합하여 엘보우 배관의 형상, 곡률 반경, 길이를 조정하는 연장관 접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 제조단계에는 상기 곡률관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삽입 한계점을 이루도록 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관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삽입 플랜지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삽입 한계점을 이루도록 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관 접합단계는
    상기 삽입 플랜지를 상기 제1접합 플랜지에 삽입하여 임시 결합을 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 및 접합롤러 사이에 설치하는 배관 접합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삽입 플랜지와 제1접합 플랜지가 절곡이 이루어지면서 서로 접합되어 각각의 배관들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접합단계는 엘보우 배관이 가지는 각도에 따라 직선 형태, 만곡 형태,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의 연결관들끼리 연결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의 제조방법.
  6. 중앙관과 곡률관 및 연장관들을 접합시켜 엘보우 배관을 제조하는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승하강 작동하면서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배관 가압부와,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연결관 지지부와, 지지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진 접합롤러;
    상기 접합롤러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배관 가압부를 통해 상기 중앙관과 곡률관의 절곡 및 접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플랜지 접합부와,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턱 형성부가 구성된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 및 접합롤러측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접합롤러와 중앙관 및 곡률관 사이에 소정의 마찰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동력 제공수단;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끝단부와 접하면서 접합롤러의 작동시 각각의 배관들이 배관 제조장치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패널; 및
    상기 접합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중앙관 및 곡률관의 용이한 형상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롤러 및 지지롤러에는 상기 제1접합 플랜지의 외주면에 소정의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제1접합 플랜지와 삽입 플랜지의 단부측이 열접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팅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KR1020160008570A 2016-01-25 2016-01-25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KR10178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70A KR101784198B1 (ko) 2016-01-25 2016-01-25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70A KR101784198B1 (ko) 2016-01-25 2016-01-25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61A true KR20170088561A (ko) 2017-08-02
KR101784198B1 KR101784198B1 (ko) 2017-10-11

Family

ID=596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570A KR101784198B1 (ko) 2016-01-25 2016-01-25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84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수성공조 공동건물의 에어 덕트용 타공 배기부재
KR102096844B1 (ko) * 2019-01-04 2020-04-03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엘보우 덕트 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646B1 (ko) 1997-04-21 1999-07-01 임정인 연결덕트의 원통형관 이음방법 및 이음장치
KR101128336B1 (ko) * 2012-01-16 2012-03-23 프리론 주식회사 덕트 엘보우 이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84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수성공조 공동건물의 에어 덕트용 타공 배기부재
KR102096844B1 (ko) * 2019-01-04 2020-04-03 주식회사 성원에어테크 엘보우 덕트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198B1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7865B (zh) 内窥镜及在内窥镜用挠性管的端部安装连接头的方法
EP2750815B1 (en) Spin forming method and device
CN110431342B (zh) 用于与至少一个管连接的接头和用于制造连接的方法
JP4941054B2 (ja) 継目無ベンド管の製造方法並びに溶接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EP0886098B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ntilation duct system
KR101784198B1 (ko) 엘보우 배관 제조장치
JP2008254168A (ja) 手で操縦される可搬式作業機のためのシャフトシステムおよび手で操縦される可搬式作業機
CN203459483U (zh) 弯管机
WO2020216189A1 (zh) 一种连接接头
KR101636217B1 (ko)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710470B1 (ko)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엘보우 배관
JP2013066911A (ja) 銅管とステンレス鋼管の接続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0199A (ja) 多孔管及び多孔管の製造方法
KR102306587B1 (ko) 파이프 결합구
CN103649484A (zh) 用于制造排气系统的方法和排气系统
JP4470125B1 (ja) 冷却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04573350U (zh) 内燃机连接管
JP2009208120A (ja) 電縫管の製造方法
TW200744827A (en) Welding method for plastic joint, and junction part structure of plastic joint
KR100472350B1 (ko) 열교환기용 부기체 및 그 제조방법
CN213929899U (zh) 弯管、直管及管路系统
JP2009025002A (ja) 熱交換器
US9869417B2 (en) Pipe coupling structure
JP4572690B2 (ja) 超音波接合方法、および超音波接合装置
KR100420675B1 (ko) 배관용 주름관의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