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792A -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7792A KR20170087792A KR1020160007819A KR20160007819A KR20170087792A KR 20170087792 A KR20170087792 A KR 20170087792A KR 1020160007819 A KR1020160007819 A KR 1020160007819A KR 20160007819 A KR20160007819 A KR 20160007819A KR 20170087792 A KR20170087792 A KR 201700877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y
- leg
- link guide
- driving
- c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6—Movable parts other than toy figures, driven by the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차체와, 상기 차체의 내부에 장착되되 바퀴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자동차 완구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와, 전륜 측에 결합 되는 앞다리와 후륜 측에 결합 되는 뒷다리를 포함하는 다리조립체와, 일측은 앞다리에 타측은 뒷다리에 링크 연결되되,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임 되는 링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구동판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가이드에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돌기의 회전력을 링크 가이드의 움직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링크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수단과 변신구조가 연동되어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강아지 등의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후 다시 자동차로 복원되어 다양한 형상의 완구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 유발하고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구동수단과 변신구조가 연동되어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강아지 등의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후 다시 자동자로 복원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완구는 복원력을 이용하는 태엽 등의 구동수단이나 건전지로 작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바퀴에 연결되어 유아나 어린이가 자동차를 움직이면서 놀이를 즐기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완구는 종래에는 단순히 자동차가 주행하는 동작만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자동차가 충격 등의 외부조건에 의하여 로봇 등으로 변신하는 것이 주로 발매되고 있다.
즉, 자동차 완구를 단순히 자동차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놀이가 단순하여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로봇 등으로 변신 가능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표현하고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애니메이션이나 교육자료 등 다양한 컨텐츠가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제공됨에 따라서 해당 캐릭터를 완구로 제품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전보다 더욱 다양한 변신 자동차 로봇이 제안되고 발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차가 변신하는 구조는 구동수단과 변신구조가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변신해야 하는 구조이거나 또는 충격에 의하여 변신되어야 하는 것이어서 직접조립시에는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경우가 많고 외부 충격시에는 의자밑으로 돌어갈 경우에는 변신될 경우에 훼손의 우려가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자동차를 로봇으로 변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수단을 이용하는 주행놀이와는 별개로, 사용자인 어린이들이 직접 변신을 하거나, 부모가 변신을 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행과 변신이 연동되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 완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특허등록 제1423622호 와 같이 자석을 매개로 하여 자동차가 주행 중에 다른 형상으로 변신하도록 하는 완구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완구도 변신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더이상 주행하지 않고 변신상태가 최종단계가 되기 때문에 재미가 떨어진다.
특히, 이렇게 변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행하는 경로에 카드를 배치하여 자석을 매개로 하여 변신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반드시 별도의 카드가 필요한데, 자동차의 주행 경로 상에 정확하게 카드를 배치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우며, 카드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변신 작동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변신 가능한 자동차 완구로 제안되고 있는 기술들이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자동차 완구들이 대부분 자동차에서 이족보행인 로봇으로 변신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상품을 다양화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특히 로봇을 좋아하지 않는 여아(女兒)들에게는 관심을 끌기 어려우며 완구로써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완구가 주행하면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이 이루어진 후 다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는 작동이 주행 중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족보행의 다리 부분 및 머리 또는 꼬리부분이 변신할 때 함께 연동 되도록 하여 자동차 완구의 변신 형태를 다양한 종류의 동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족보행 동물의 다리가 움직이는 보행 형태를 디테일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차체와, 상기 차체의 내부에 장착되되 바퀴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자동차 완구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와, 전륜 측에 결합 되는 앞다리와 후륜 측에 결합 되는 뒷다리를 포함하는 다리조립체와, 일측은 앞다리에 타측은 뒷다리에 링크 연결되되,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임 되는 링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구동판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가이드에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돌기의 회전력을 링크 가이드의 움직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링크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에 의하면, 자동차 완구가 강아지나 고양이 등 사족보행 동물의 형상으로 변신할 수 있으므로 남자아이들은 물론, 여자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 보호자가 별도로 변신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자동차 완구가 주행하면서 변신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그 변신동작이 자동으로 반복되므로 아이들의 흥미를 더 유발하고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차체의 좌,우측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체와 구동부와 다리조립체와 링크가이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로 주행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로 보행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의 전체 사이클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로 변신한 상태의 측면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상태의 측면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보조 가이드돌기에 의한 다리조립체의 움직임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리조립체의 일방향 회전풀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차체의 좌,우측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체와 구동부와 다리조립체와 링크가이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로 주행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로 보행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 링크 가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의 전체 사이클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로 변신한 상태의 측면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상태의 측면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보조 가이드돌기에 의한 다리조립체의 움직임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리조립체의 일방향 회전풀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본체 외관을 구성하는 차체(100)와, 차체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0)와, 전륜과 후륜에 장착되어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할 수 있게 되는 다리조립체(300)와, 상기 구동부(200)와 다리조립체(300)를 연계하여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 가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체(100)는 자동차 완구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전륜(110)과 후륜(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행이 이루어지는 대략적인 자동차 모형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일반 승용차나 승합차, 화물차 등 다양한 형태의 차종으로 차체가 구성될 수 있다.
차체(100)는 좌,우로 양분되게 구성되어 구동부(200)와 링크 가이드(400)가 내장되도록 조립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양분된 차체의 사이에 후술하는 머리유닛(500)과 꼬리유닛(600)을 끼워 양측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체에 내장되는 구동부(200)는 건전지나 충전기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를 내장하고, 스위치 또는 무선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지만, 제조단가를 낮추고 유아나 어린이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태엽과 같이 수동으로 감아서 복원력에 의하여 구동력이 발생하는 구동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00)는 자동차 완구인 상태에서 바퀴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자동차 완구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함은 물론, 이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으로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또는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동부(2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202)이 구비되고, 구동축은 일측으로 인출된 레버(204)에 의하여 수동조작으로 태엽 등을 감아서 구동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레버(204) 및 그 레버에 연결된 레버축(206)을 차체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차체(100)와 링크 가이드(400)에는 레버축 인출공(150,45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가이드(400)의 레버축 인출공(450)은 링크 가이드(400)의 움직임 반경에 대하여 레버축이 마찰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에는 구동축과 연계하여 작동하는 구동판(210) 및 가이드돌기(22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판(210) 및 가이드돌기(220)는 구동부(200)의 양측으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판(210)은 구동축(202)과 기어맞물림으로 연결되어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축이 회전할 때 구동판이 함께 연계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조립체(300)는 전륜(110) 측에 결합되는 앞다리(310)와 후륜(120) 측에 결합되는 뒷다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앞다리와 뒷다리는 전륜(110)과 앞다리(310), 후륜(120)과 뒷다리(320)가 각각 동일 축(바퀴축)에 조립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일 축에 결합되지 않더라도 전륜(110)과 앞다리(310), 후륜(120)과 뒷다리(320)가 각각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륜(110)과 후륜(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퀴의 축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에 맞물려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동부(200)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동력이 바퀴로 전달되어 자동차 완구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와 다리조립체(300)는 링크 가이드(400)와 링크 연결되어 구동부(200)가 작동함에 따라 링크 가이드(400)가 작동되어 다리조립체(3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링크 가이드(400)의 일측은 앞다리에 연결되고 링크 가이드의 타측은 뒷다리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링크 가이드(400)가 움직임 되면서 앞다리(310)와 뒷다리(32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크 가이드(400)에는 구동판(210)의 가이드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크 가이드홈(420)이 형성되며, 이 링크 가이드홈에 가이드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판(210)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돌기가 회전할 때 가이드돌기의 회전력을 링크 가이드의 움직임으로 전환하여 앞다리(310)와 뒷다리(320)가 연계하여 움직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조립체(300)는 차체의 하부가에 다리조립체의 형상과 대응되게 내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리조립체가 접혀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다리조립체(300)가 펼쳐질 경우에는 앞다리(310) 또는 뒷다리(320)에는 다리조립체의 펼쳐짐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차체에 맞물림 되게 스토퍼(3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다리(310)와 뒷다리(320)가 링크 가이드(400)에 연결되는 부위가 각각 상이한 위치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면 링크가이드의 움직임에 의하여 다리조립체가 회전할 때 앞다리와 뒷다리가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축 결합되어 작동하는 다리조립체(300)는를 링크 가이드(400)에 연결함에 있어서, 앞다리와 뒷다리가 회전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은 상단에 다른 일측은 하단에 링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링크 가이드를 이용하여 앞다리와 뒷다리가 역방향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가이드홈(420)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기 위하여 앞다리와 뒷다리를 펼치는 사족보행 변신구간(422)과, 사족보행 완구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사족보행 유지구간(424)과,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기 위하여 앞다리와 뒷다리를 접는 자동차 변신구간(426)과, 자동차 완구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유지구간(4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판(210)이 회전할 때 가이드돌기(220)가 제1구간(a)과, 제2구간(b)과, 제3구간(c)과, 제4구간(d)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때 제1구간 내지 제4구간에서 링크 가이드홈(420)의 사족보행 변신구간(422), 사족보행 유지구간(424), 자동차 변신구간(426), 자동차 유지구간(428)에 각각 대응되게 밀착되면서 변신-보행-변신-주행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아나 어린이가 자동차 상태에서 태엽을 감은 후 바닥에 놓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가이드돌기가 제4구간을 경유하면서 자동차 유지구간(428)을 경유하는 시간)동안 자동차 완구로 주행하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20)가 제1구간을 경유할 때 사족보행 변신구간(422)에 맞물려 링크 가이드(400)를 움직이게 되고 그 링크 가이드에 연계된 앞다리(310)와 뒷다리(320)가 펼쳐지면서 주행 중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게 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가이드돌기가 제2구간을 경유하면서 사족보행 유지구간(424)을 경유하는 시간)동안 사족보행 완구로 보행(또는 주행)한다.
그리고 다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20)가 제3구간을 경유할 때 자동차 변신구간(426)에 맞물려 링크 가이드(400)를 움직이게 되고 그 링크 가이드에 연계된 앞다리(310)와 뒷다리(320)가 접혀지면서 보행 중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제1구간 내지 제4구간을 경유할 때 각 구간에서 링크 가이드홈(420)에 맞물려 링크 가이드홈을 이동시키면서 다리조립체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자동차 완구가 주행하다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한 후 보행을 하고 다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는 과정이 순차적이고도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자동으로 변신하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 유발하고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족보행 완구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 앞다리와 뒷다리의 펼쳐짐 상태 또는 접힌 상태를 탄성 고정하기 위한 탄성유지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탄성유지수단(700)은 차체에 고정된 토션스프링(710)에 의하여 작동바(720)가 탄성 고정되고, 그 작동바가 링크가이드(400)에 지지되어 링크가이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비되어 다리조립체가 접히거나 펼쳐짐될 때 탄력적으로 움직임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리조립체가 탄력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가이드(400)에는 작동바(720)와 맞물림되는 경사면(430)을 형성하여 다리조립체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작동바가 경사면으로 안내되면서 탄력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차체(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차체에 축 결합되는 머리유닛(500) 및 꼬리유닛(6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 머리유닛(500)과 꼬리유닛(600)이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머리유닛(500)과 꼬리유닛(600)에는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하면서 변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머리 작동대(510)와 꼬리 작동대(610)가 링크 가이드(400)에 링크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유닛(500)은 자동차로 변신했을 때 자동차의 범퍼로 구성하고, 상기 꼬리유닛(600)은 자동차로 변신했을 때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머리유닛(500)은 차체의 전방에 구비된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유닛에 연결되는 머리 작동대(510)는 그 회동축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링크 가이드(400)의 움직임에 의하여 머리 작동대(510)가 연계되어 움직임 될 때 머리유닛(500)이 연계하여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꼬리유닛(600)은 차체의 후방에 구비된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꼬리유닛에 연결되는 꼬리 작동대(610)는 그 회동축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링크 가이드(400)의 움직임에 의하여 꼬리 작동대(610)가 연계되어 움직임 될 때 꼬리유닛(600)이 연계하여 회전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유닛(500)과 머리 작동대(510)와 링크 가이드(400)가 링크 연결되어 연계되는 구조, 또는 상기 꼬리유닛(600)과 꼬리 작동대(610)와 링크 가이드(400)가 링크 연결되어 연계되는 구조는 축 결합방식으로 끼워 고정되거나 또는 후크방식으로 끼워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 또는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또는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 머리와 꼬리와 연계하여 움직임되면서 사족보행 동물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강아지나 고양이 기타 여러가지 종류의 동물이나 캐릭터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에는 보조 구동판(230)과 보조 가이드돌기(240)를 형성하여 그 보조 가이드돌기(240)가 회전할 때 링크 가이드(400)가 연계하여 움직임되도록 하면 다리조립체(300)의 앞다리(310)와 뒷다리(320)가 움직임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보조 가이드돌기(240)의 회전반경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선회반경 내에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가이드돌기(240)가 회전하면서 링크 가이드(400)를 미세하게 움직여 이에 연계된 다리조립체(300)가 미세하게 움직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 가이드(400)가 구동부(200)의 가이드돌기(220)에 의하여 움직임 될 때 가이드돌기(220)가 제2구간을 경유할 때에는 링크 가이드홈의 사족보행 유지구간(424)에 대응하여 경유하는데, 가이드돌기(220)가 사족보행 유지구간(424)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서 경유하게 되면 링크 가이드(400)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 가이드(400)는 상술한 탄성유지수단(70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된 상태인데, 가이드돌기(220)가 이 구간을 경유할 때 보조 가이드돌기(240)가 링크 가이드(400)의 가이드면(440)을 타격하면 앞다리와 뒷다리가 움직임 된 후, 탄성유지수단(700)에 의하여 복원되며, 이러한 타격 및 복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리조립체(300)가 미세하게 움직임 되며, 전,후방향으로 떨리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판(210)이 보조 구동판(2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움직임을 크게 하고, 보조 구동판(230)은 구동판(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RPM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다리조립체가 구동판의 가이드돌기에 의하여 펼쳐지거나 접힘될 때 상대적으로 보조 구동판의 보조 가이드돌기에 의하여 움직임되는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게 움직임 되며, 도 15와 같이 다리조립체가 미세하고도 빠르게 떨리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조립체(300)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일방향 회전풀리(330)가 장착되어 다리조립체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앞다리 또는 뒷다리 중 어느 하나를 지면에 지지되는 기준으로 하고 다른 하다가 이동하면서 다리조립체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할 때에는 뒷다리의 일방향 회전풀리에 의하여 멈춰져 지지된 상태에서 앞다리의 일방향 회전풀리가 회전하면서 다리가 펼쳐져 사족보행으로 직립하게 되고, 반대로 사족보행 완구에서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에는 앞다리의 일방향 회전풀리에 의하여 멈춰져 지지된 상태에서 뒷다리의 일방향 회전풀리가 회전하면서 다리가 접혀져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될 수 있다.
일방향 회전풀리(3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산이 형성된 풀리(332)가 장공(334)에 축결합되어 축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풀리(332)는 장공에서 축이 위치한 상태에 걸림부(336)에 의하여 풀리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공(334)은 앞다리 또는 뒷다리가 회전할 때, 즉 펼쳐지거나 접힐 때 앞다리와 뒷다리의 후방에 배치되어 변신시 지면에 맞닿는 구간을 설정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이 일방향 회전풀리(330)에 의하여 보조구동판(230) 및 보조가이드돌기(240)에 의하여 다리가 전,후로 왕복 작동하할 때 다리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후방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전방으로만 움직임되므로 사족보행 완구가 실제 네 다리로 전방으로 보행하는 것처럼 걸음걸이를 디테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100: 차체
110: 전륜
120: 후륜 150: 레버축 인출공
200: 구동부 202: 구동축
204: 레버 206: 레버축
210: 구동판 220: 가이드돌기
230: 보조 구동판 240: 보조 가이드돌기
300: 다리조립체 310: 앞다리
320: 뒷다리 322: 스토퍼
330: 일방향 회전풀리 332: 풀리
334: 장공 336: 걸림부
400: 링크 가이드 420: 링크가이드홈
422: 사족보행 변신구간 424: 사족보행 유지구간
426: 자동차 변신구간 428: 자동차 유지구간
430: 경사면 440: 가이드면
450: 레버축 인출공
500: 머리유닛 510: 머리 작동대
600: 꼬리유닛 610: 꼬리 작동대
700: 탄성유지수단 710: 토션스프링
720: 작동바
120: 후륜 150: 레버축 인출공
200: 구동부 202: 구동축
204: 레버 206: 레버축
210: 구동판 220: 가이드돌기
230: 보조 구동판 240: 보조 가이드돌기
300: 다리조립체 310: 앞다리
320: 뒷다리 322: 스토퍼
330: 일방향 회전풀리 332: 풀리
334: 장공 336: 걸림부
400: 링크 가이드 420: 링크가이드홈
422: 사족보행 변신구간 424: 사족보행 유지구간
426: 자동차 변신구간 428: 자동차 유지구간
430: 경사면 440: 가이드면
450: 레버축 인출공
500: 머리유닛 510: 머리 작동대
600: 꼬리유닛 610: 꼬리 작동대
700: 탄성유지수단 710: 토션스프링
720: 작동바
Claims (10)
- 차체(100);
상기 차체의 내부에 장착되되 바퀴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자동차 완구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200);
전륜 측에 결합 되는 앞다리(310)와 후륜 측에 결합 되는 뒷다리(320)를 포함하는 다리조립체(300);
일측은 앞다리에 타측은 뒷다리에 링크 연결되되,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임 되는 링크 가이드(400);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0)에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구동판(210)에 가이드돌기(220)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가이드(400)에는 가이드돌기(220)가 삽입되어 가이드돌기의 회전력을 링크 가이드의 움직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링크가이드홈(420)이 형성되어
구동수단과 변신수단이 연동되면서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축 결합되어 작동하는 다리조립체(300)는 링크가이드의 움직임에 의하여 다리조립체가 회전할 때 앞다리와 뒷다리가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링크 가이드(400)의 양단이 앞다리와 뒷다리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링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이드홈(420)은,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기 위하여 앞다리와 뒷다리를 펼치는 사족보행 변신구간(422)과,
사족보행 완구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사족보행 유지구간(424)과,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기 위하여 앞다리와 뒷다리를 접는 자동차 변신구간(426)과,
자동차 완구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유지구간(42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행 중 자동차 완구에서 사족보행 완구로 사족보행 완구에서 다시 자동차 완구로 자동으로 변신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사족보행 완구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할 때 앞다리와 뒷다리의 펼쳐짐 상태 또는 접힌 상태를 탄성 고정하기 위한 탄성유지수단(7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수단(700)은 차체에 고정된 토션스프링(710)에 의하여 작동바(720)가 탄성 고정되고, 그 작동바가 링크가이드(400)에 지지되어 링크가이드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이드(400)에는 작동바(720)에 의하여 다리조립체가 펼쳐지거나 접혀짐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체(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차체에 축 결합되는 머리유닛(500) 및 꼬리유닛(600)이 장착되고,
상기 머리유닛(500)과 꼬리유닛(600)은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하면서 변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머리 작동대(510)와 꼬리 작동대(610)가 링크 가이드(400)에 링크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에는 보조 구동판(230)과 보조 가이드돌기(240)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가이드(400)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돌기(240)에 맞닿아 움직임되는 가이드면(440)이 형성되어 링크가이드를 움직여 다리조립체(300)의 앞다리(310)와 뒷다리(320)가 움직임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판(210)이 보조 구동판(23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RPM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리조립체(300)는 자동차 또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할 때 앞다리 또는 뒷다리 중 어느 하나를 지면에 지지되는 기준으로 하기 위하여 앞다리(310)와 뒷다리(320)의 하단에 각각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일방향 회전풀리(33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819A KR20170087792A (ko) | 2016-01-21 | 2016-01-21 |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819A KR20170087792A (ko) | 2016-01-21 | 2016-01-21 |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792A true KR20170087792A (ko) | 2017-07-31 |
Family
ID=5941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7819A KR20170087792A (ko) | 2016-01-21 | 2016-01-21 |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8779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886U (ko) | 2019-02-18 | 2020-08-26 | (주)아이비젼 | 주행가능한 로봇 변신 자동차 완구 |
KR20220146291A (ko) | 2021-04-23 | 2022-11-01 | (주)아카데미과학 | 사족보행 완구 |
-
2016
- 2016-01-21 KR KR1020160007819A patent/KR2017008779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886U (ko) | 2019-02-18 | 2020-08-26 | (주)아이비젼 | 주행가능한 로봇 변신 자동차 완구 |
KR20220146291A (ko) | 2021-04-23 | 2022-11-01 | (주)아카데미과학 | 사족보행 완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9248383A (ja) | 走行模擬装置 | |
JPH0319423Y2 (ko) | ||
US4614504A (en) | Walking toy vehicle with ramp | |
US10179294B2 (en) | Bidirectional gear assembly for electromechanical toys | |
US5525090A (en) | Toy vehicle having pivoting pincers | |
KR20170087792A (ko) | 사족보행 완구로 변신하는 자동차 완구 | |
US3940879A (en) | Walking doll | |
AU735604B2 (en) | Ride simulator for use with a children's ride-on vehicle | |
CN201088834Y (zh) | 电动机器马车 | |
US11890553B2 (en) | Doll body motion accessory for recreational vehicles | |
KR200391656Y1 (ko) | 강아지 작동완구 | |
EP2985061A1 (en) | A toy which comprises a toy figure in the form of a quadruped animal | |
JPH0928933A (ja) | 形態変化玩具 | |
JP3112670U (ja) | 玩具駆動モジュール | |
CN201158431Y (zh) | 童车之结构 | |
KR200404029Y1 (ko) | 강아지 작동완구 | |
CN210813902U (zh) | 摇摆机构和玩具鸭 | |
KR20090007105U (ko) | 보행 완구 | |
CN221655816U (zh) | 一种行走动物玩具 | |
CN215585455U (zh) | 一种玩具陀螺车 | |
CN210114823U (zh) | 轨道玩具组合 | |
CN221867374U (zh) | 一种手推车玩具 | |
KR101100842B1 (ko) | 동물 망치 장난감 | |
CN217593803U (zh) | 一种仿恐龙行走玩具 | |
JPH022335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