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73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736A
KR20170087736A KR1020160007682A KR20160007682A KR20170087736A KR 20170087736 A KR20170087736 A KR 20170087736A KR 1020160007682 A KR1020160007682 A KR 1020160007682A KR 20160007682 A KR20160007682 A KR 20160007682A KR 20170087736 A KR20170087736 A KR 2017008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der
pillar
magnetic for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043B1 (ko
Inventor
이희준
김현범
권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043B1/ko
Priority to PCT/KR2017/000426 priority patent/WO2017126846A2/ko
Priority to DE112017000451.9T priority patent/DE112017000451T5/de
Priority to US16/071,800 priority patent/US10393424B2/en
Publication of KR2017008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Y02B40/30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인너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을 감지해서 상기 필라의 회전을 안내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로 개방하는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저장실(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냉장고에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가 포함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냉기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공급된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측에 있고 냉장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며,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는 냉장고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된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가 개방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이다.
두 개의 양문형 도어가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경우에, 두 개의 도어 중에 하나에는 필라(Pillar)가 설치된다. 필라는 두 개의 도어 중에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고, 두 개의 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면 두 개의 도어에 접촉해서 저장실의 밀폐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필라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냉장고의 인너 케이스에 필라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와 가이드 홈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필라가 구비된 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해당 도어를 벗어나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냉장고에 설치된 드로워가 이동되는 경로를 방해되어서, 두 개의 드로워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드로워의 폭이 달라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라가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에 설치된 바스켓이 도어와 함께 회전될 때에 필라에 접촉하지 않도록 바스켓의 모서리부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바스켓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로 개방하는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인너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을 감지해서 상기 필라의 회전을 안내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의 상측에는 필라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달 부재에는 상기 필라 자력부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전달 부재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의 상측에는 상기 전달 부재를 동작시키는 제1도어 자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필라가 접히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필라가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가 설치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라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상기 구동부의 좌우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안내부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랙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안내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는, 하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제1홀더와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상측에는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홀더는 후방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전방이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홀더에는, 상기 제1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1홀더의 전방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홀더는 전방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후방이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홀더에는, 상기 제2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2홀더의 후방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에는 제3홀더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3홀더는 좌측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우측이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홀더에는, 상기 제3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3홀더의 우측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라의 상측에는 필라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홀더가 하강되면, 상기 필라 돌기는 상기 제3돌기에 걸려서 상기 필라가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는, 상기 필라 자력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전달 부재 자력부와, 상기 필라 자력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전달 부재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전달 부재 자력부와 상기 필라 자력부는 서로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전달 부재 자력부와 상기 필라 자력부는 서로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는 안내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자력부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 자력부가 접근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되면서 상기 안내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폭이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의 폭과 상기 제2도어의 폭이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가 구비된 도어만 저장실을 밀폐하고 반대편 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편 도어 측에 설치된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드로워가 필라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드로워의 폭이 동일해질 수 있다.
또한 필라가 구비된 도어만 저장실을 밀폐하고 반대편 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편 도어를 회전시킬 때에 바스켓이 필라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바스켓의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될 있고, 바스켓의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의 회전 여부를 필라가 구비되지 않은 도어에 위치에 따라 결정하기 때문에, 필라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제1도어가 회전될 때에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필라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에에서 제1도어가 회전될 때에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7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2)은 상기 캐비닛(1)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너 케이스(1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면을 마감하도록 상측벽(12)과 하측벽(1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20)와, 상기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을 폐쇄하면 상기 저장실(2)이 전체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에는 상기 제1도어(20)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도어(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는 지 등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회전된 각도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필라(1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필라(1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과 하측벽(14)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측벽(12)과 하측벽(14)의 사이의 간격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제2도어(4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더라도 상기 필라(100)는 상측벽(12)과 하측벽(14)에 모두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제1도어(20)는 상기 제1도어(2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40)도 상기 제2도어(4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42, 22)에는 각각 바스켓(44, 24)이 설치되고, 각각의 바스켓(44, 24)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필라(100)가 설치되지 않은 제1도어(20)에 마련된 바스켓(24)는 상기 제1도어(2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바스켓(24)이 상기 필라(100)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바스켓(24)의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둥글게 만곡된 형태의 바스켓(24)에 비해서 상기 바스켓(24)에 저장될 수 있는 식품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에는 상기 제1도어(20)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도어(40)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상기 저장실(2) 내에서 동일한 높이 상에,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동일한 저장용량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가 서로 치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의 폭이 달라, 두 개의 드로워가 형상이 다르다면 다른게 제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커질 수 있다. 반면에 두 개의 드로워가 동일한 형태라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드로워(34)를 인출할 때에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1드로워(34)를 인출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생산 과정을 일부 공유해서, 도어를 생산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해당 이유에 대해서도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의 내측에는 상기 제1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해서 상기 필라(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전달 부재(10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10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내측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전달 부재(1000)를 쉽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부재(1000)는 상기 상측벽(12)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저장실(2)로부터 식품을 인출할 때에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부재(1000)는 상기 제1도어(2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안내부(1200)가 마련된다. 상기 안내부(1200)는 상기 제1도어(20)의 위치를 인식해서, 상기 전달 부재(1000)에 의해 상기 필라(100)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라(100)의 상측에는 필라 자력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전달 부재(1000)에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전달 부재 자력부(1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20)의 상측에는 상기 전달 부재(1000)를 동작시키는 제1도어 자력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자력부는 모두 자력을 가지는 자석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는 상기 제1도어(20)의 도어 다이크(22)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 다이크(22)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동일한 자력을 가지는 자력부인 경우에도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전달 부재(1000)에 상대적으로 큰 자력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상측에는 걸림홈(6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빈 공간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상측에는 필라 돌기(130)가 마련된다. 상기 필라 돌기(130)는 상기 필라(10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라 돌기(130)는 상기 필라(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에만 배치된다. 즉 상기 필라 돌기(130)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상측에 전부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일부에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달 부재(1000)는 상기 제1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안내부(1200)와, 상기 필라(100)를 펼치거나 접게 하는 구동부(1400)와, 상기 안내부(1200)에서 발생된 운동을 상기 구동부(1400)로 전달하는 변환부(130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1200)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1200)는 상기 제1도어(20)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변환부(1300)는 상기 안내부(12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상기 변환부(1300)의 좌우 방향이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0)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1400)는 전달 부재 자력부(1420)를 포함해서,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와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사이에 자력 간섭을 이용해서 상기 필라(1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라(10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0)는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를 구비하는 하우징(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200)가 이동될 필요가 있으면, 상기 하우징(1210)이 함께 이동된다.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전달 부재(1000)에 마련된 바(1110)에 결합되어서, 상기 하우징(1210이 상기 바(1110)에 의해서 전후 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바(1110)는 상기 하우징(1210)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바(1110)의 형상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우징(1210)에는 상기 바(11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200)는 하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제1홀더(1220)와 제2홀더(1230)을 구비한다.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는 각각 일측에 회전축이 구비되어서,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자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철판 부재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로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접근하면, 상기 철판 부재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자력에 영향을 받게 되어,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의 내측에는 각각 인장 스프링(1222, 123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에 접근하면,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2)에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인장 스프링(1222, 1232)가 인장된다. 반면에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2)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자력의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1222, 1232)은 원래 크기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의 자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스프링(1222, 1232)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측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1200)는 상기 변환부(1300)의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 기어(124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1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달부(13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안내부(12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달부(1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부(1400)는 상기 변환부(1300)의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 기어(1440)을 포함한다. 상기 변환부(1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부(1400)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변환부(13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부(1440)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동부(1400)에 마련된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와 가까워짐에 따라 척력이 커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와 상기 필라 자력부(110)는 마주볼 때에 서로 척력이 발생된다.
상기 구동부(1400)에는 제3홀더(1430)이 마련된다. 상기 제3홀더(1430)는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철판 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필라 자력부(110)가 접근하면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홀더(1430)에도 내측에 인장 스프링(1432)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3홀더(14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인장 스프링(1432)에 의해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10)에는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와 상기 제3홀더(1430)가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부(1400)가 이동하면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와 상기 제3홀더(1430)가 함께 이동된다. 상기 구동부(1400), 즉 상기 제3홀더(1430)와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는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필라(1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10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내측에 매립되어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전달 부재(100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다. 특히 상기 제1홀더(1230), 상기 제2홀더(1240), 상기 제3홀더(1430)는 각각의 자력부가 가깝게 접근하는 순간에만 하방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자력부가 각각의 홀더에 가깝게 접근하는 순간은 사용자가 상기 전달 부재(1000)롤 전체적으로 볼 수 없고, 도어에 의해서 가려지기 때문이다. 한편 각각의 자력부가 대응되는 홀더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각각의 홀더는 원래 위치, 즉 상기 전달 부재(1000)의 상측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의 홀더의 존재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고, 상기 저장실(2)을 사용할 때에 홀더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제1도어가 회전될 때에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서 필라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a, 3b, 3c은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4a, 4b, 4c는 도 3a, 3b, 3c의 상황을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b와 도 4b에서 상기 필라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필라(100)는 펼쳐져 있고, 상기 제1도어(20), 상기 제2도어(40)와 함께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다.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안내부(1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는 모두 아래쪽으로 하강된다. 상기 제1홀더(1220)는 도 3a를 기준으로 후방에 회전축(1224)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1홀더(1220)의 전방만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홀더(1230)는 도 3a를 기준으로 전방에 회전축(1234)가 마련되어서, 상기 제2홀더(1230)의 후방만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홀더(1220)의 전방과 상기 제2홀더(1230)의 후방은 상기 걸림홈(60)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는 바닥은 평평하게 마련되고, 상측면은 호의 형상을 가지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그 바닥면만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필라 자력부(110)은 상기 제3홀더(1430)의 하부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3홀더(1430)도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3b와 도 4b를 참조해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할 수 있다.
도 3b를 기준으로 상기 제1도어(20)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홀더(1230)가 상기 걸림홈(60)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부(1200)가 전방으로 상기 제1도어(2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홀더(1220)는 상기 걸림홈(60)에 삽입되어 있기는 하지만, 도 4b를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제1도어(20)의 이동을 상기 안내부(1200)에 전달할 수는 없다.
상기 안내부(12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변환부(1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맞물려 있는 상기 구동부(1400)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3홀더(1430)의 우측이 하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3홀더(1430)의 우측은 상기 필라 돌기(130)에 걸려있다. 따라서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제3홀더(143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필라 돌기(130)도 우측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필라(1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홀더(1430)는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자력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강한다. 상기 제3홀더(1430)가 상기 필라 돌기(130)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필라 돌기(130)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3홀더(1430)는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홀더(1430)가 이동되고, 상기 제3홀더(1430)에 걸려있는 상기 필라 돌기(130)도 상기 제3홀더(1430)와 함께 회전될 수 밖에 없다.
상기 필라 돌기(130)는 상기 필라(100)의 상부 중에서 일측에만 마련되어서, 상기 필라(100)가 접혀지는 동작만을 안내하고, 펼쳐지는 동작을 안내할 수는 없다.
도 3c와 도 4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그대로 둔 채, 상기 제1도어(20)를 충분히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부(1200)는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한다. 상기 안내부(1200)는 상기 전달 부재(1000)의 구성요소로,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인너 케이스(10)를 벗어나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은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에 자력에 의한 간섭을 발생시키지 못한다. 상기 제1홀더(1220)의 인장 스프링(1222)와 상기 제2홀더(1230)의 인장 스프링(1232)는 외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원래의 크기로 압축되면서,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가 상승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홀더(1430)도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자력 간섭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상기 인장 스프링(1432)도 원래 크기로 압축되면서, 상기 제3홀더(1430)를 상측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220), 상기 제2홀더(1230), 상기 제3홀더(1430)는 상기 전달 부재(1000)에 수용되어서,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3c와 도 4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만을 개방한 상태에는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2도어(40)를 향해서 접혀진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의 개방된 부분만을 이용해서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때에 상기 필라(100)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상기 필라(100)가 접히면,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2도어(40)의 일단까지만 연장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도어(20)에 위치한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상기 필라(100)가 접혀진 만큼, 사용자의 접근 가능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20)가 회전될 때에 상기 제1도어(20)에 마련된 바스켓의 이동 궤적 상에 상기 필라(100)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도어(20)의 바스켓의 내적이 커져서 더 많은 식품을 상기 제1도어(20)의 바스켓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개방했다가 닫는 동작은 상술한 설명의 반대로 구현된다. 즉 도 3c, 3b, 3a와 도 4c, 4b, 4a의 순서대로 동작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만을 충분히 개방하고, 상기 저장실(2)을 사용한 후에 상기 제1도어(20)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0)의 일단이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인접하지 않으면,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는 상기 안내부(1200)에 자력에 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부(1200)는 도 3c에서와 같이 정지해 있는다.
사용자가 도 3c에서 좀 더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닫도록 회전시키면, 도 3b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에 자력에 의한 영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가 각각의 회전축(1224, 1234)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인장 스프링(1222, 1232)는 인장된다.
상기 제1홀더(1220)와 상기 제2홀더(1230)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60)에 걸린 상태가 된다. 도 4b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홈(60)에 걸려있는 상기 제1홀더(1220)로 인해서 상기 안내부(120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홀더(1230)는 도 4b를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홈(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부(12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없다. 상기 걸림홈(60)의 높이가 변화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홀더(1220)는 더 이상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220)는 상기 걸림홈(60)에 걸려서, 상기 제1도어(20)의 이동을 상기 안내부(12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부(1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변환부(13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1400)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와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필라 자력부(110)와의 척력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라 자력부(110)는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의 척력이 커짐에 따라,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1420)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되어서, 도 3a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3b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3홀더(1430)가 상기 필라 자력부(110)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3홀더(1430)는 회전축(1434)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상기 제3홀더(1434)는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라(100)가 펼쳐지는 방향, 즉 상기 필라(1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필라(100)에 대해서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된다.
도 3a와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가 되면, 상기 제3홀더(1430)은 하강되어서 상기 필라 돌기(130)의 우측에 위치한다. 추후에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개방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필라 돌기(130)에 걸려서, 상기 필라(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1홀더(1220)는 후방에 회전축(1224)가 마련되고, 상기 제2홀더(1230)는 전방에 회전축(1234)이 마련되며, 상기 제3홀더(1430)은 좌측에 회전축(1434)이 마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안내부(1200), 변환부(1300), 구동부(140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1200)는 상기 제1도어(2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변환부(1300)는 상기 안내부(1200)의 이동 방향을 변환해서 상기 구동부(1400)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1400)는 상기 필라(1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일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상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복수 개의 홀더가 삭제되고, 자력부가 추가되는 구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에는 걸림홈이 없고, 상기 필라 돌기도 없다는 차이가 있다.
상기 안내부(1200)는 안내부 자력부(1250)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링크(1260)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1260)의 후방에는 탄성 부재(1262)가 설치되어서,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가 외력이 없으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 부재(1262)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해서, 상기 탄성 부재(1262)가 압축되면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1262)가 원래 크기로 복원되면 상기 안내 자력부(125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은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에 대해서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안내부(1200)는 랙 기어(1240)를 포함해서, 상기 변환부(1300)의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다.
상기 구동부(1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4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410)의 외측에는 상기 변환부(1300)의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 기어(1440)이 구비되어서, 상기 변환부(1300)가 회전되면 상기 하우징(1410)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10)에는 제1전달 부재 자력부(1422)와 제2전달 부재 자력부(142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전달 부재 자력부(1422)와 상기 제2전달 부재 자력부(1424)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에 대해서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전달 부재 자력부(1422)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달 부재 자력부(1424)는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전달 부재 자력부(1422)와 상기 제2전달 부재 자력부(1424)는 상기 하우징(1410)의 내부에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력 간섭이 발생되더라도 서로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못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에에서 제1도어가 회전될 때에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 7b, 7c은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8a, 8b, 8c는 도 7a, 7b, 7c의 상황을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와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안내부(1250)는 상기 탄성 부재(1262)의 복원력으로 인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로부터 멀어지면 척력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탄성 부재(1262)에 가해지는 외력이 줄어든다.
상기 안내부(1200)가 도 7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변환부(1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1400)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필라 자력부(110)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1424)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기 필라 자력부(110)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1424)의 자력에 의한 척력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필라(1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필라(100)는 접혀지게 된다.
상기 제2도어(40)는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1도어(20)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필라(100)는 접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해서 상기 저장실(2)을 사용할 때에 상기 필라(100)에 의해서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저장실(2)을 닫고, 상기 제1도어(20)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닫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7c, 7b, 7a와 도 8c, 8b, 8a의 순서로 변환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2)을 닫도록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상기 탄성 부재(1262)를 압축할수 있을 정도의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에 자력 간섭을 발생시키기 전까지 상기 안내부(1200)는 도 7c와 도 8c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1도어(20)가 충분히 회전해서 상기 제1도어 자력부(50)가 상기 안내부 자력부(1250)에 인접하게 되면, 도 7b와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262)가 압축되면서 상기 안내부(1200)가 후방(도 7b기준)으로 이동된다.
상기 안내부(1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변환부(13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1400)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동부(140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필라 자력부(1422)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1424)도 함께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필라 자력부(14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필라 자력부(1422)가 상기 필라 자력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1필라 자력부(1422)와 상기 필라 자력부(110)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척력의 크기가 커진다. 따라서 상기 필라(100)는 척력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7a에서와 같이 펼쳐져서,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에 접해서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달 부재(1000)는 상기 제1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필라(100)를 접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1도어(20)가 닫히면 상기 필라(100)를 펼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캐비닛 10: 인너 케이스
20: 제1도어 40: 제2도어
50: 제1도어 자력부 100: 필라
110; 필라 자력부 1000: 전달 부재
1200: 안내부 1220: 제1홀더
1230: 제2홀더 1300: 변환부
1400: 구동부 1430: 제3홀더

Claims (22)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인너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을 감지해서 상기 필라의 회전을 안내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의 상측에는 필라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달 부재에는 상기 필라 자력부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전달 부재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의 상측에는 상기 전달 부재를 동작시키는 제1도어 자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필라가 접히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필라가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가 설치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라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상기 구동부의 좌우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안내부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랙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안내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하방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제1홀더와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상측에는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후방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전방이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에는,
    상기 제1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1홀더의 전방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전방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후방이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에는,
    상기 제2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2홀더의 후방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제3홀더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3홀더는 좌측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우측이 회전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홀더에는,
    상기 제3홀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3홀더의 우측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의 상측에는 필라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홀더가 하강되면, 상기 필라 돌기는 상기 제3돌기에 걸려서 상기 필라가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 자력부는,
    상기 필라 자력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전달 부재 자력부와,
    상기 필라 자력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전달 부재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 부재 자력부와 상기 필라 자력부는 서로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달 부재 자력부와 상기 필라 자력부는 서로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안내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자력부는 상기 제1도어 자력부와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 자력부가 접근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되면서 상기 안내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폭과 상기 제2도어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07682A 2016-01-21 2016-01-21 냉장고 KR10254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682A KR102548043B1 (ko) 2016-01-21 2016-01-21 냉장고
PCT/KR2017/000426 WO2017126846A2 (ko) 2016-01-21 2017-01-12 냉장고
DE112017000451.9T DE112017000451T5 (de) 2016-01-21 2017-01-12 Kühlschrank
US16/071,800 US10393424B2 (en) 2016-01-21 2017-01-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682A KR102548043B1 (ko) 2016-01-21 2016-01-2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36A true KR20170087736A (ko) 2017-07-31
KR102548043B1 KR102548043B1 (ko) 2023-06-27

Family

ID=5936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682A KR102548043B1 (ko) 2016-01-21 2016-01-21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3424B2 (ko)
KR (1) KR102548043B1 (ko)
DE (1) DE112017000451T5 (ko)
WO (1) WO20171268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521B1 (ko) * 2014-01-0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8844B1 (ko) * 2015-02-23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2647B1 (ko) * 2016-01-14 202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095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82065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218B1 (ko) * 2004-12-28 2006-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렌치도어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도어 실링장치
KR20110022849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U2013232923B2 (en) * 2012-03-16 2016-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564911B1 (ko) * 2012-03-16 2015-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22186B1 (ko) * 2013-06-20 2015-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84265A (ko) * 2014-01-13 2015-07-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의 필러장치
KR102196314B1 (ko) * 2014-12-1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8844B1 (ko) * 2015-02-23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83708B1 (ko) * 2016-01-0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7119599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56835B1 (ko) * 2016-01-05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095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82065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3424B2 (en) 2019-08-27
KR102548043B1 (ko) 2023-06-27
US20190024967A1 (en) 2019-01-24
WO2017126846A3 (ko) 2018-08-02
WO2017126846A2 (ko) 2017-07-27
DE112017000451T5 (de)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883B1 (ko) 냉장고
KR102439470B1 (ko) 냉장고
KR101644438B1 (ko) 냉장고
KR101844072B1 (ko) 냉장고
US20110095670A1 (e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83708B1 (ko) 냉장고
JP2018505379A (ja) 冷蔵庫
KR20170087736A (ko) 냉장고
CN111412703A (zh) 冰箱
US10871321B2 (en) Refrigerator
KR101863930B1 (ko) 냉장고
KR20190020385A (ko) 냉장고
KR101176962B1 (ko) 냉장고
KR102592647B1 (ko) 냉장고
KR101727045B1 (ko) 냉장고
KR20080014554A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KR102100191B1 (ko) 냉장고
KR101988307B1 (ko) 냉장고
KR19980057706U (ko) 투 도어 쇼케이스의 도어개폐 충격방지장치
KR2011012290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