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93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930B1
KR101863930B1 KR1020160068671A KR20160068671A KR101863930B1 KR 101863930 B1 KR101863930 B1 KR 101863930B1 KR 1020160068671 A KR1020160068671 A KR 1020160068671A KR 20160068671 A KR20160068671 A KR 20160068671A KR 101863930 B1 KR101863930 B1 KR 101863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oor
pillar
guide
protru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553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883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01625B1/en
Priority to PCT/KR2016/012920 priority patent/WO2017119599A1/ko
Priority to US15/397,347 priority patent/US9874391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2005/005Pivoting bolts or catches being able to move in an additional direction, e.g. by sliding or by pivoting about an additional axis, in order to allow closing of the wing even if the bolt or catch is in its lock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며, 상측에 돌출 형성된 필라 돌기를 구비하는 필라;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필라를 회전시키는 필라 회전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로 개방하는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저장실(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냉장고에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가 포함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냉기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공급된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측에 있고 냉장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며,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는 냉장고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된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가 개방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이다.
두 개의 양문형 도어가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경우에, 두 개의 도어 중에 하나에는 필라(Pillar)가 설치된다. 필라는 두 개의 도어 중에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고, 두 개의 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면 두 개의 도어에 접촉해서 저장실의 밀폐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라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냉장고의 인너 케이스에 필라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된 형태의 가이드 홈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필라가 구비된 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해당 도어를 벗어나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냉장고에 설치된 드로워가 이동되는 경로가 방해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개의 드로워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드로워의 폭이 달라야 한다.
또한 필라가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에 설치된 바스켓이 도어와 함께 회전될 때에 필라에 접촉하지 않도록 바스켓의 모서리부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바스켓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로 개방하는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며, 상측에 돌출 형성된 필라 돌기를 구비하는 필라;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필라를 회전시키는 필라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 회전부는, 상기 필라 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제2도어에 맞닿아서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을 상하 운동시키는 승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에는 제1자석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에는 상기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는 제2자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해서 상하 운동될 수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사용에 패턴에 따라 아래로 처지더라도 상기 제2도어와 상기 돌출편의 접촉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2자석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자석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제1자석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2자석을 향해서 하강하고,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제1자석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의 높이 방향 중앙은 상기 제2자석의 높이 방향 중앙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어서, 상기 제2도어의 미는 힘이 상기 돌출편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의 높이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자석의 높이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아서, 상기 제1자석이 상기 제2자석이 배치되는 부분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이 불필요하게 많이 하강해서, 상기 제2도어와 예상치 못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필라 회전부는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 부재는 상하 방향 이동은 물론 전후 방향 이동도 가능하다.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두 개의 바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돌출편과 함께 상하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에는 사각 형상의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수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과 상기 수용 돌기가 마주보는 면에는 간격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편은 상기 가이드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자석, 즉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힘에 의해도 동작이 수행되는데, 자력은 두 개의 자석이 마주보는 면의 커질수록 동일한 자력에도 큰 자력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자력을 가진 자석을 사용하더라도, 바라보는 면의 면적을 키워서, 자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 돌기의 꼭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편의 잦은 회전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사용할 때의 회전각과 사용시간이 경과한 때의 회전각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돌기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2수용홈에 간격없이 결합되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승강 부재와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일측은 상기 가이드 핀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핀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여는 동안에,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2자석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제2도어가 저장실을 여는 동안에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필라가 회전되어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는 닫고 상기 제2도어는 연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 측에 위치한 드로워를 인출하는 데에, 상기 필라가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면, 상기 돌출편의 상면이 상기 인너 케이스에 접촉하게 이동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돌출편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며, 상측에 돌출 형성된 필라 돌기를 구비하는 필라;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필라를 회전시키는 필라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 회전부는, 상기 필라 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제2도어에 맞닿아서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에는 제1자석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에는, 상기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는 제2자석과, 상기 제2자석을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자석이 상승해서,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제2도어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제1자석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1자석을 향해서 상승하고, 상기 제2자석의 높이 방향 중앙은 상기 제1자석의 높이 방향 중앙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과 상기 돌출편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상기 제2도어와 상기 돌출편의 접촉 면적이 늘어날 수 있어서, 상기 제2도어의 회전력이 상기 돌출편으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의 높이 방향 길이는 상기 제1자석의 높이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아서, 상기 제2자석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2자석을 둘러싸는 케이스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2자석, 상기 케이스와 상기 천정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를 사용할 때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편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자석을 둘러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최대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최대 압축된 상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직 방향 단면의 합이다. 본 발명을 제품에 적용할 때상기 코일 스프링 중에 수직 방향 단면의 합을 고려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도어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자석을 상승시키는 구조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밀폐되기 때문에, 관련 구성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에 접근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면, 상기 제2자석은 하강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제2자석은 상승해서, 상기 제2도어와 상기 돌출편의 접촉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돌출편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은 상승되어서, 상기 제2도어의 처짐이 증가할 때에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제2도어의 접촉 면적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가 구비된 도어만 저장실을 밀폐하고 반대편 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편 도어 측에 설치된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드로워가 필라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드로워의 폭이 동일해질 수 있다.
또한 필라가 구비된 도어만 저장실을 밀폐하고 반대편 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편 도어를 회전시킬 때에 바스켓이 필라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바스켓의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될 있고, 바스켓의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많은 식품이 저장되어, 도어가 하방으로 처지더라도 필라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편이 회전될 수 있어서, 도어가 돌출편과 바라보는 면의 크기가 증가되어 도어와 돌출편 사이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편의 회전각이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어, 돌출편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편과 도어가 부딪힐 때에 충격이 감소될 수 있어, 돌출편 또는 도어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 돌기와 안내홈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안내홈에 의해서 필라 돌기가 안정적으로 안내되어서 필라가 접히는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의 필라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돌출편이 하강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 도면.
도 6은 제1도어가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안에, 제2도어는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1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2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돌출편의 내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필라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르게 변형된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17은 안내홈이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변형된 안내홈에 따라 필라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2)은 상기 캐비닛(1)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너 케이스(1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면을 마감하도록 상측벽(12)과 하측벽(1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상측벽(12)은 상기 저장실(2)의 천정을 이룬다.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20)와, 상기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을 폐쇄하면 상기 저장실(2)이 전체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0)에는 상기 제2도어(40)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도어(2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1도어(20)의 상기 저장실(2)에 대한 회전 각도 또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는 지 등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도어(20)에 대해서 회전된 각도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는 상측에 돌출 형성된 필라 돌기(110)가 마련된다. 상기 필라(1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하측벽(14)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측벽(14)의 높이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진다.
상기 제1도어(20)는 상기 제1도어(2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40)도 상기 제2도어(4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42, 22)에는 각각 바스켓(44, 24)이 설치되고, 각각의 바스켓(44, 24)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필라(100)가 설치되지 않은 제2도어(40)에 마련된 바스켓(44)는 상기 제2도어(4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바스켓(44)이 상기 필라(100)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바스켓(44)의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둥글게 만곡된 형태의 바스켓에 비해서 상기 바스켓(44)에 저장될 수 있는 식품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에는 상기 제1도어(20)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도어(40)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는 상기 저장실(2) 내에서 동일한 높이 상에,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는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는 동일한 저장용량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가 서로 치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드로워(32)와 상기 제2드로워(34)의 폭이 달라, 두 개의 드로워가 형상이 다르다면 다르게 제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커질 수 있다. 반면에 두 개의 드로워가 동일한 형태라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드로워(34)를 인출할 때에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2드로워(34)를 인출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생산 과정을 일부 공유해서, 도어를 생산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해당 이유에 대해서도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천정(12)에는 상기 필라(100)를 회전시키는 필라 회전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필라 회전부(200)는 상기 필라 돌기(110)에 접촉되어서, 상기 필라 회전부(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필라(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저장실(2)의 좌측을 개폐하는 상기 제1도어(20)와 우측을 개폐하는 상기 제2도어(40)가 구비되어서, 하나의 저장실의 좌우측이 각각의 도어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의 하측은 상기 인너 케이스(14)의 하측벽(14)에는 닿지 않고, 상기 필라 돌기(110)이 상기 필라 회전부(200)에 접촉해서 상기 필라(100)의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의 상기 도어 다이크(42)에는 제2자석(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500)은 이후에 설명할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해서 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의 필라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라 회전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필라 돌기(110)가 삽입되는 안내홈(410)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400)와, 상기 제2도어(40)에 맞닿아서 상기 회전 부재(400)를 회전시키는 돌출편(300)과, 상기 돌출편(300)을 상하 운동시키는 승강 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상측 하우징(220)과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하측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하우징(220과 상기 하측 하우징(2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회전 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하우징(220)에는 상기 회전 부재(40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1결합홈(212)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부재(400)에는 상기 제1결합홈(212)을 관통하는 부재(402)가 마련된다. 상기 부재(402)는 제1결합부(214)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홈(212)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400)는 상기 상측 하우징(220)에 대해서, 상기 제1결합홈(212)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재(402)가 아닌 상기 제1결합부(214)가 상기 제1결합홈(212)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홈(212)은 원형의 구멍 형상을 가져서, 상기 회전 부재(400)가 회전될 때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하우징(220)에는 상기 회전 부재(400)의 회전 궤적을 안내하는 제2결합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400)에는 상기 제2결합홈(216)을 관통하는 부재(404)가 마련된다. 상기 부재(404)는 제2결합부(218)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롬(216)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 부재(400)는 상기 제1결합홈(212) 또는 상기 제1결합부(214), 또는 상기 부재(40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제2결합홈(216)에서 상기 부재(404)가 이동되는 범위의 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4)은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제2결합홈(216)은 상기 제1결합홈(214)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지름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호의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2결합홈(216)의 호의 형상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400)의 회전 궤적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400)에는 관통공(406)이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 부재(250)의 일부가 상기 회전 부재(40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06)은 상기 승강 부재(250)의 단면 보다는 크게 마련되어서, 상기 회전 부재(400)와 상기 승강 부재(250)가 서로 헐겁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헐거운 정도는 상기 회전 부재(4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승강 부재(25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정도를 허용하는 정도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하우징(230)에는 상기 승강 부재(25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측 하우징(230)에는 두 개의 바(240)가 결합되고,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두 개의 바(240)를 관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두 개의 바(240)에서 안내하는 궤적,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하측 하우징(230)에 마련된 두 개의 바(240)에 결합되는 가이드(252)와 상기 가이드(252)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264)와, 상기 탄성 부재(264)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핀(2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 핀(256)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 핀(256)과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 핀(256)에 결합되는 부분과 제1자석(310)이 설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256)이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1자석(310)이 결합되는 부분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400)는 상기 하우징(210)에 대해서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회전 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부재(25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 부재(4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면에 상기 승강 부재(25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 부재(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승강 부재(250)의 전후 방향 이동과는 별개로,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탄성 부재(264)가 압축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돌출편(300)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410)은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필라 돌기(110)가 상기 안내홈(410)의 내측면에 접촉해서 상기 필라 돌기(110)의 이동이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필라 돌기(110)는 상기 필라(110)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필라 돌기(1100가 상기 안내홈(410)에 따라 안내되면, 상기 필라(100)도 함께 안내될 수 있어서, 상기 필라(100)의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라(1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돌출편이 하강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252)의 내측에는 걸림턱(253)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264)는 일측은 상기 가이드 핀(256)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턱(253)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264)는 상기 가이드 핀(256)의 상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264)는 상기 가이드 핀(256)과 상기 걸림터(253)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탄성 부재(264)가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형태에 따라 상기 돌출편(300)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300)에는 상기 제1자석(310)이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40)에는 제2자석(5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서로의 자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되, 서로 인력에 의해서 끌어당기도록 극성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거리가 가까와지면,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서로 가까워지려는 힘이 커지게 된다.
도 4a와 같이,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한 상태, 즉 상기 캐비닛(1)에 대해서 회전된 각도가 큰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자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탄성 부재(264)가 원래 크기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은 하강하지 않고, 상기 돌출편(300)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천정(1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돌출편(300)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b와 같이,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2도어(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하다. 반면에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돌출편(300)에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탄성 부재(264)를 압축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인력에 의해서 하강한다.
따라서 도 4b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이 서로 바라보게 되어서,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제2도어(40)에 접촉되는 면적이 커진다.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돌출편(300)에 면접촉되면서 상기 돌출편(300)을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b의 상태보다,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향해서 더 많이 회전되면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수직 방향 중앙의 높이가 동일한 위치로, 상기 제1자석(310)이 하강된다.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 간의 자력의 간섭이 커지게 되고, 두 개의 자석은 인력에 의해서 서로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 즉 도 4a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제1자석(310)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을 향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제1자석(310)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방향 중앙은 상기 제2자석(500)의 높이 방향 중앙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된다.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가운데 높이가 동일해지면,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돌출편(300)에 충분히 면접촉되어서, 상기 제2도어(40)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40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도어(40)가 다시 상기 저장실(2)의 개방 정도를 크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거리는 멀어지고 서로간의 자력에 의한 인력이 줄어들어서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자력 간섭은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1자석(310)에 영향을 주는 자력이, 상기 탄성 부재(264)를 압축시키지 못하게 되면, 상기 탄성 부재(264)는 원래 크기로 복원되면서, 상기 돌출편(300)의 상면은 상기 천정(12)에 접촉하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되지 않은 상태에 상기 제2도어(40)를 상기 저장실(2)에 진입시킨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지만, 설명을 위해서 인위적으로 도시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방향 길이(h1)은 상기 제2자석(500)의 높이 방향 길이(h2)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방향 길이(h1)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천정(12)에 돌출된 부분이기 때문에, 길이(h1)이 커질수록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천정(12)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저장물을 인출 또는 인입할 때에 불편이 적을 수 있지만, 돌출된 형상으로 사용자가 불편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310)의 길이(h1)은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돌출편(300)을 안정적으로 밀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산출해서, 상기 돌출편(300)의 수직 방향 길이를 작게 설계했다.
상기 제1자석(310)의 길이(h1)을 줄인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2도어(40)이 충분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즉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2도어(40)가 충분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돌출편(300)을 상기 제2도어(40)가 밀 때에 상기 제2도어(40)의 힘이 상기 돌출편(300)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상기 돌출편(300)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되도록 해서, 상기 돌출편(300)의 수직 방향 높이, 즉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방향 길이(h1)이 작아지더라도 상기 제2도어(40)과 충분한 면접촉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된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의 수직 방향 길이는 줄이더라도, 상기 돌출편(300)이 필요한 순간에는 하강하도록 해서,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2도어(40)의 사이에 접촉되는 면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제1도어가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안에, 제2도어는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b와 도 6c는 순차적으로 제1도어가 저장실을 개방하는 정도가 커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게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제2도어(40)에 접촉해서,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제2도어(40)의 후면을 따라, 상기 저장실(2)의 내측까지 진입해 있다.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저장실(2)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부재(40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를 개방함에 따라, 상기 필라 돌기(110)는 상기 안내홈(410)에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필라(100)는 회전된다. 즉 도 6a 상태에서는 상기 필라(100)가 펼쳐진 상태이다가, 상기 제1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필라 돌기(110)가 상기 안내홈(41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필라(100)는 접혀진 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필라(100)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제1도어(20)는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가 닫히도록 상기 제1도어(20)를 닫는 동안에는 도 6c, 도 6b, 도 6a의 순서대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돌출편(300)을 동일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회전 부재(400)는 회전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7은 제1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2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이고, 도 7b와 도 7c에서는 순차적으로 제2도어만 저장실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 부재(250)는 전면으로 이동된다. 도 7a의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에 상기 제2도어(40)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거리가 가깝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 서로 간의 인력으로 인해서 상기 제2자석(50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자석(310)도 상기 제2자석(500)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가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제2도어(40)을 따라 전방을 이동된다.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필라(100)는 정지된 상태이지만, 상기 돌출편(30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400)가 회전되고, 상기 안내홈(410)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필라 돌기(110)는 정지된 상태이지만 상기 안내홈(41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내홈(410)에 상기 필라 돌기(110)가 접촉해서 상기 필라(100)가 접혀진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가 열리게 되면, 상기 필라(100)는 접힌 상태로 변화되어서, 상기 제2도어(40)쪽에 위치하는 드로워를 개방할 때에 상기 필라(100)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가 접혀지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40) 쪽에 위치한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사용자가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필라(100)가 접혀지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40)에 설치된 바스켓을 인출할 때에 바스켓이 상기 필라(100)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스켓의 모서리가 각지도록 만들 수 있어서, 바스켓의 저장 공간이 커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를 닫으려고 동작시킬 때에는, 도 7c, 도 7b, 도 7a의 순서대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0)를 닫은 후에는 상기 필라(100)가 펼쳐져서, 상기 저장실(2)는 상기 제1도어(20), 상기 필라(100), 상기 제2도어(40)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다.
도 8은 돌출편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252)에는 사각 형상의 제1수용홈(254)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300)에는 상기 제1수용홈(254)에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수용 돌기(3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254)과 상기 수용 돌기(304)가 마주보는 면에는 간격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252)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1수용홈(254)과 상기 수용 돌기(304)는 모두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각각이 바라보는 변끼리 형성된 간격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 돌기(304)는 상기 제1수용홈(25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되는 최대 각도는 대략 5도 정도일 수 있으나, 상기 제2도어(40)의 회전 궤적, 즉 상기 제2도어(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도어(40)의 길이를 기준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편(30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40)가 회전되면서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2도어(40)가 면접촉될 수 있는 범위가 커져서,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돌출편(300)을 안정적으로 밀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에 설치된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2도어(4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2자석(500)이 바라볼 때에 중첩되는 면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수용 돌기(304)의 꼭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제2도어(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 돌기(304)의 꼭지점은 마모될 수 있다. 꼭지점의 마모에 따라 상기 돌출편(300)의 회전각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상기 꼭지점을 모따기해서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용 돌기(304)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핀(256)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제2수용홈(30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256)은 상기 제2수용홈(306)에 간격없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252)와는 무관하게, 상기 가이드 핀(25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편(300)의 전후 방향 이동은 상기 가이드(252)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돌출편(300)의 상하 방향 이동은 상기 가이드 핀(256)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닫는 동안에,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제2자석(500)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부재(25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를 구비할 필요 없이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여는 동안에,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하면, 상기 돌출편(300)의 상면이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1자석(310)에 인력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거리만큼 떨어지면,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탄성 부재(264)를 압축하지 못하고, 상기 탄성 부재(264)가 원래 크기로 복원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이 상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돌출편(300)의 존재에 대해서 인식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상기 저장실(2)에 간섭없이 접근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면, 상기 돌출편(300)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제2도어(40)가 면접촉되면서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회전 부재(4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에 식품이 많이 저장되거나, 상기 제2도어(40)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상기 제2도어(40)의 일측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잇다. 이러한 경우에도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탄성 부재(264)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2자석(500)의 높이에 맞추어서 하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돌출편(300)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0)는 상기 돌출편(300)에 안정적은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부재(400)를 회전시켜, 상기 필라(100)가 원하는 각도록 회전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필라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는 달리, 필라 회전부에는 승강 부재가 마련되지 않아서, 돌출편이 상하 이동할 수 없다. 반면에,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된 제2자석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 부재가 구비된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자석과 제2자석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제1자석이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제2자석이 이동된다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라 회전부(20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252)가 구비되지만, 상기 가이드(252)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핀이나 탄성 부재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상기 필라 회전부(200)는 상기 필라 돌기(110)가 삽입되는 안내홈(410)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400)와, 상기 제2도어(40)에 맞닿아서 상기 회전 부재(400)를 회전시키는 돌출편(300)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300)에는 제1자석(3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필라 회전부(200)는 상기 회전 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20, 2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하우징(220, 23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252)는 두 개의 바(240)에 설치되어서, 상기 가이드(25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가이드(25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이 상하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가이드(25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252)와 함께 전후 이동이 가능한 반면에, 상기 가이드(252)에 대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지는 않다.
이때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가이드(252)는 볼트 등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볼트는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핀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가 마련되지 않아서, 상기 가이드(252)와 상기 돌출편(300)이 서로 결합되었음에도, 상기 돌출편(300)은 상하 이동이 불가하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도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252)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편(300)과 상기 가이드(252)는 서로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되, 서로 간격이 형성되게 결합되어서, 상기 돌출편(300)는 상기 제2도어(40)의 위치에 따라 회전되어서, 상기 돌출편(300)이 상기 제2도어(40)를 향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제2도어(40)의 상기 도어 다이크(42)의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일 실시예와 상기 제2자석(500)이 설치 위치는 유사하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2자석(500)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부재가 마련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제2도어(40)에는 상기 제1자석(310)과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는 제2자석(500)과, 상기 제2자석(500)을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자석(500)을 둘러싸는 케이스(600)와, 상기 케이스(600)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63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630)는 상기 케이스(600)의 상측을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탄성 부재(630)가 압축되면 상기 케이스(600)는 상승하지만, 상기 탄성 부재(630)가 원래 크기로 복원되면 상기 케이스(600)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도어(4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610)와, 상기 가이드 돌기(6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62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600)와 상기 탄성 부재(630)는 상기 가이드 돌기(610)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 부재(630)는 상측은 상기 커버(620)에 지지되고, 하측은 상기 케이스(600)에 지지되고, 중앙은 상기 가이드 돌기(610)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 부재(630)는 압축 변형이 가능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상으로, 원기둥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a는 제2자석이 제1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은 상태, 즉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이고, 도 12b는 제2자석이 제1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 즉 제2도어가 저장실을 일정 수준이상 또는 완전히 밀폐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이 고정되어 있다면,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어(40)와 상기 돌출편(300)은 힘을 전달하고 전달받기 위한 충분한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 또는 상기 제2도어(40), 특히 상기 제2도어(40)의 도어 다이크(42)의 관련 부분이 파손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편(300)의 크기를 키운다면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상기 돌출편(300)의 튀어나온 형상이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실을 사용하는데 불편하거나, 저장실이 미려하지 못한다는 감정을 느낄 수 있어서 제품의 가치가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의 크기를 상기 제2도어(40)의 힘이 상기 돌출편(300)이나 상기 회전 부재(40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필라(100)를 구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줄여서, 상술한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2a에서 도 12b로 변하는 것은, 상기 제2도어(40)가 저장실을 닫는 정도가 커지거나,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제1자석(310)으로 접근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제1자석(310)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1자석(310)을 향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자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 간의 자력 간섭이 커져서, 상기 제2자석(500)은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제1자석(310)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2자석(500)의 높이 방향 중앙은 상기 제1자석(300)의 높이 방향 중앙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자석(500)과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방향의 중앙이 서로 일치해서,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돌출편(300)에 면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고,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돌출편(300)을 안정적으로 밀어서, 상기 회전 부재(4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자석(500)의 높이 방향 길이(h2)는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방향 길이(h1)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탄성 부재(630)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만큼 상승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 만큼 상승되더라도, 상기 인너 케이스(10)와의 간섭이 발생할 만큼 상승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2자석(500)이 상승되더라도,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에 식품이 많이 저장되거나, 냉장고의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기 제2도어(40)에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40)의 처지더라도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돌출편(300)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도어(40)가 많이 처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자석(500)이 처짐을 보상하기 위해서 많이 상승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도어(40)가 적게 처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자석(500)은 적게 상승이 된다. 상기 제2도어(40)의 처짐량에 따라 상기 제2자석(500)의 상승 높이가 변화되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도어(40)와 상기 돌출편(300)의 접촉 면적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필라 회전부(200)에 충분한 면접촉이 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300)은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의 상면은 항상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천정(12)에 접촉되도록 위치배치된다.
반면에 도 12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 부재(630)의 최대 압축된 상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직 방향 단면의 합이기 때문에, 상기 제2자석(500)이 상승되는 높이는 제한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의 수직 방향 단면은 원형을 이룰 수도 있고,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자석(500)이 최대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2자석(500)은 물론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천정(12)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600)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1자석(310)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2자석(500)의 수직 방향 중앙이 상기 제1자석(310)의 수직 방향 중앙과 만나더라도 상기 제2자석(500)과 상기 케이스(600)의 상면이 상기 천정(12)에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제1자석(310)의 높이까지 상승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면이 확보되더라도, 상기 제2도어(40)를 회전시킬 때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2도어(40) 및 상기 제1도어(20)를 회전시킬 때에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동작이 동일하게 수행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를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을 여는 동안에,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제2자석(50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이 인접한 상태에서는 서로 간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하면, 상기 제2자석(500)은 하강한다.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의 거리가 멀어지면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이 작아지고,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탄성 부재(630)을 압축시킬 수 있는 힘을 상기 제2자석(500)에 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면, 상기 제2자석(500)은 상승한다.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로 접근하면, 상기 제2자석(500)과 상기 제1자석(310)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서로 간의 인력이 커져서, 상기 제1자석(310)은 상기 탄성 부재(630)를 압축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을 상기 제2자석(500)에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가 조합된 기술이다. 즉 필라 회전부는 승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이동 부재를 포함해서,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이 모두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도록 상기 저장실(2)에 가까워지면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310)은 하강하고, 상기 제2자석(500)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자석(310)과 상기 제2자석(500)은 수직 방향 길이의 중앙이 서로 마주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라 회전부(200)는, 상기 회전 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돌출편(300)을 상하 운동시키는 승강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에 마련된 두 개의 바(24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252)와, 상기 가이드(252)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264)와, 상기 탄성 부재(264)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핀(256)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256)은 상기 돌출편(3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핀(256)은 상기 돌출편(300)과 함께 상하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석(300)은 상기 탄성 부재(264)의 압축된 정도에 따라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52)에는 사각 형상의 제1수용홈(254)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300)에는 상기 제1수용홈(254)에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수용 돌기(30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홈(254)과 상기 수용 돌기(304)가 마주보는 면에는 간격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252)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자석(31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자석(50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나 다른 실시예에서 보다 상기 제2도어(40)의 처짐량이 커지더라도, 상기 제2도어(40)와 상기 돌출편(300)의 접촉 면적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310)이 상기 탄성 부재(264)를 압축시켜서 하강되고, 상기 제2자석(500)이 상기 탄성 부재(630)를 압축해서 상승되는 궤적에 의해서 상기 제2도어(40)의 처짐이 보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면, 상기 제1자석(310)은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제2자석(500)은 상기 제1자석(310)에 자력의 영향을 받아 상승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a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 14b에서는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된 상태이다.
도 14b에서는 도 14a와 달리,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되어서, 상기 수용 돌기(304)와 상기 가이드(252)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높이 방향의 길이가 l을 이루도록 감소된다. 상기 가이드핀(256)이 하강되면, 상기 돌출편(300)이 하강되는데, 상기 수용 돌기(304)는 상기 돌출편(300)의 내측에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300)의 하강과 함께 하강한다. 상기 돌출편(300)은 상기 가이드 핀(256)과 상기 수용 돌기(304)를 매개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도 14b와 같이 중첩된 높이 방향 길이가 l로 감소하면, 상기 돌출편(300)이 도 8에 설명된 것과 달리 설정된 각도를 넘어서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중첩된 길이가 감소하면, 상기 수용 돌기(304)가 상기 제1수용홈(254)의 내에서 움직일 때에, 설정 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가이드(252)에는 걸림 돌기(252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둘출편(300)에는 상기 걸림 돌기(2520)가 수용되는 수용홈(30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52)는 상기 돌출편(300)에 결합되는 부분이 수평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데, 상기 걸림 돌기(2520)는 상기 가이드(252)의 중심으로부터 반지름이 커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2520)는 상기 가이드(252)의 원주면에 원형의 호를 이루는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3000)에서 상기 걸림 돌기(2520)의 부채꼴의 호 형상을 바라보는 대응면도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 돌기(2520)의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면의 양단과 상기 수용홈(3000)에서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면의 양단은 서로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홈(3000)은 상기 걸림 돌기(2520)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 돌기(2520)는 상기 수용홈(3000)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되는 각도의 범위는 간격 g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 돌기(252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기 수용홈(3000)과 g만큼의 간격을 이루기 때문에, 간격 g만큼 상기 걸림 돌기(2520)가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돌기(2520)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상기 수용 돌기(304)가 상기 제1수용홈(254)의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와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홈(3000)은 상기 걸림 돌기(2520)을 수용해서, 전체적으로 상기 돌출편(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걸림 돌기(2520)와 상기 수용홈(3000)의 관계와 상기 수용 돌기(304)와 상기 제1수용홈(254)의 관계의 두 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편(300)에 과도하게 힘이 가해져서, 상기 돌출편(300)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도록 회전되어 상기 돌출편(300)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르게 변형된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a는 돌출편을 위쪽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6b는 돌출편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돌출편(300)의 외주면, 특히 측면과 하면에는 탄성 재질을 가지는 물질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탄성 재질을 가지는 물질은 러버(320)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러버(320)는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어 등과 부딪힐 때에 상기 돌출편(30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돌출편(300)에 도어가 부딪힐 때에 상기 돌출편(300)이 급격하게 이동되지 않도록 이동 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러버(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편(300)은 PC와 ABS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PC와 ABS재질은 상기 러버(320)보다 변형률이 작아서 힘에 의해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도 16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러버(320)는 측면과 하면의 두께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측면은 0.7T를 이루되, 하면은 1.0T를 이루도록 해서, 각각의 면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면이 측면보다 두꺼워서 상기 돌출편(300)에 상기 러버(320)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성형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상기 러버(320)가 상기 돌출편(3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러버(320)가 상기 돌출편(30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러버(320)는 상기 돌출편(300)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300)이 도어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이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300)의 상단에는 상기 러버(320)가 배치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돌출편(300)의 상단에 상기 러버(320)가 배치되지 않아서, 상기 러버(320)를 인서트 사출할 때에 성형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버(320)의 형상에 의해서 PL즉 product line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300)의 상단은 상기 필라 회전부(200)의 하측 하우징(230)의 접촉되는데, 상기 러버(320)가 배치되지 않아서 상기 하측 하우징(230)과 상기 돌출편(300) 사이에 마찰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7은 안내홈이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7a에서는 안내홈의 변형된 형태이고, 도 17b에서는 안내홈이 다르게 변형된 형태이다. 도 1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필라 회전부에서 다른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안내홈(410)의 형상만을 도시하였다.
도 17에서 안내홈은 상술한 필라 회전부(200)의 안내홈과 각각 대체되고 다른 부분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는 형태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8의 안내홈의 형태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어의 개폐에 따라 필라가 회전되는 동작이 동일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7a에서와 달리 도 17b에서와 같이 안내홈의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a에서는 상기 안내홈(410)의 하단부와 일단이 L의 간격을 가지는 개구부(414)가 마련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7b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홈(410)의 하단부와 일단이 L의 간격보다 작아지는 개구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7b에서는 상기 개구부(414)의 일단에 연장부(4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2)는 상기 개구부(414)의 일부를 마감해서, 상기 개구부(414)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상기 안내홈(410)의 하단이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연장부(412)는 상기 안내홈(410)의 상기 개구부(414)에 가깝게 갈수록 상기 안내홈(410)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412)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연장부의 폭이 줄어들어서 날카로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12)에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필라 돌기(110)에 이동 궤적을 확보해서, 상기 필라(10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변형된 안내홈에 따라 필라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로, 도 7a와 동일한 상황이다. 도 19는 제1도어는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위치한 반면에, 제2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태여서 도 7b 또는 도 7c와 같이 회전 부재(400)이 회전된 상태이다. 도 18 및 도 19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안내홈만을 도시하였고, 안내홈이 설치된 회전 부재나 회전 부재가 설치된 필라 회전부는 생략했다.
도 18에서는 상기 필라(10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펼쳐져 있는 상태이다.
도 19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2도어가 개방되면서 회전 부재가 회전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홈(410)이 회전된 상태이다.
상기 안내홈(410)이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홈(410)에 마련된 상기 연장부(412)가 상기 필라 돌기(110)에 접촉하면서 상기 필라(100)를 접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2)는 상기 안내홈(410)에 마련된 개구부가 좁아지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필라 돌기(110)와 상기 안내홈(410)이 쉽게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12)가 구비되면, 상기 안내홈(410)이 회전될 때에 상기 안내홈(410)이 상기 필라 돌기(110)에 접촉되는 부분이 커지고, 상기 필라(100)의 반 시계 방향의 회전 각도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라(100)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할 때에, 회전되도록 하는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412)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필라(100)가 어느 정도의 회전 각도에 도달하면, 그 이상의 회전은 필라에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등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각도까지 회전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 각도를 필라의 사점이라고 하는데, 상기 연장부(412)의 연장된 길이에 의해서 상기 필라 돌기(110)가 상기 연장부(412)에 접촉하는 부분이 커져서, 상기 필라(100)가 사점에 해당되는 각도까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점이라 함은 상기 필라(100)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회전되어서 접혀질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412)는 상기 필라(100)를 사점까지 회전시키도록 접촉 면적이 돌출된 연장부(41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도어가 개방되고, 제1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도어쪽에 위치한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라가 접히지 않으면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드로워에 필라가 걸려서 드로워 인출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2도어만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19에서와 같이 필라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혀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신뢰성이 향상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른 변형된 형태에서는 상기 연장부(412)를 형성해서, 그 연장부(412)의 길어진 길이에 의해서 연장부(412)와 필라 돌기(110)가 접촉되는 궤적을 증가시켜서 필라가 쉽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인너 케이스 20: 제1도어
40: 제2도어 100: 필라
110: 필라 돌기 200: 필라 회전부
250: 승강 부재 300: 돌출편
310: 제1자석 400: 회전 부재
500: 제2자석

Claims (25)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며, 상측에 돌출 형성된 필라 돌기를 구비하는 필라;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필라를 회전시키는 필라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 회전부는,
    상기 필라 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제2도어에 맞닿아서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을 상하 운동시키는 승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에는 제1자석이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에는 상기 제1자석과 자력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는 제2자석이 마련되고,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제1자석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2자석을 향해서 하강되어, 상기 제2도어와 상기 돌출편이 접촉 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2자석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제1자석으로 접근하면, 상기 제1자석의 높이 방향 중앙은 상기 제2자석의 높이 방향 중앙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의 높이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자석의 높이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 회전부는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두 개의 바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돌출편과 함께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사각 형상의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수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홈과 상기 수용 돌기가 마주보는 면에는 간격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편은 상기 가이드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돌기의 꼭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돌기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2수용홈에 간격없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일측은 상기 가이드 핀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핀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여는 동안에,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2자석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걸림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일면이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의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면을 바라보는 상기 수용홈의 대응면은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에서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진 면의 양단과 상기 수용홈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외주면에는 탄성 재질을 가지는 물질이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질을 가지는 물질은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 재질을 가지는 물질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필라의 회전에 대한 사점까지 회전시키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점은 상기 필라가 자체적으로 회전되어서 접혀질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안내홈의 개구부에 가깝게 갈수록 상기 안내홈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면, 상기 돌출편의 상면이 상기 인너 케이스에 접촉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돌출편의 상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68671A 2016-01-04 2016-06-02 냉장고 KR101863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83983.5A EP3401625B1 (en) 2016-01-04 2016-11-10 Refrigerator
PCT/KR2016/012920 WO2017119599A1 (ko) 2016-01-04 2016-11-10 냉장고
US15/397,347 US9874391B2 (en) 2016-01-04 2017-01-0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0641 2016-01-04
KR1020160000641 2016-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53A KR20170081553A (ko) 2017-07-12
KR101863930B1 true KR101863930B1 (ko) 2018-06-01

Family

ID=5935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671A KR101863930B1 (ko) 2016-01-04 2016-06-02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401625B1 (ko)
KR (1) KR101863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307A (ko) * 2019-04-26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502556A (zh) * 2020-11-25 2021-03-16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冷柜用磁性阻尼铰链及冷柜
CN114659320B (zh) * 2022-03-09 2023-11-14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对开门冰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86B1 (ko) * 2013-06-20 2015-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03629187U (zh) * 2013-07-11 2014-06-04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对开门的冰箱
WO2015105305A1 (ko) * 2014-01-07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04521B1 (ko) * 2014-01-0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034973B1 (en) * 2014-12-17 2017-11-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278844B1 (ko) * 2015-02-23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1625B1 (en) 2021-03-10
KR20170081553A (ko) 2017-07-12
EP3401625A1 (en) 2018-11-14
EP3401625A4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514A (ko) 냉장고
US8167389B2 (en) Refrigerator mullion with protection unit
KR101860718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20140097733A1 (en) Refrigerator and filler thereof
EP2843326B1 (en) Refrigerator
KR101721883B1 (ko) 냉장고
KR101863930B1 (ko) 냉장고
KR20150099024A (ko) 냉장고
KR102358761B1 (ko) 냉장고
KR20220054275A (ko) 냉장고
CN111503967B (zh) 一种冰箱
KR102196314B1 (ko) 냉장고
EP3333514B1 (en) Refrigerator
EP3168556A1 (en) Refrigerator
US9874391B2 (en) Refrigerator
KR102548043B1 (ko) 냉장고
KR101176962B1 (ko) 냉장고
KR102592647B1 (ko) 냉장고
KR101727045B1 (ko) 냉장고
KR102100191B1 (ko) 냉장고
KR101952679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80B1 (ko) 냉장고
KR101956034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88307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