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620A -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 Google Patents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620A
KR20170087620A KR1020160007398A KR20160007398A KR20170087620A KR 20170087620 A KR20170087620 A KR 20170087620A KR 1020160007398 A KR1020160007398 A KR 1020160007398A KR 20160007398 A KR20160007398 A KR 20160007398A KR 20170087620 A KR20170087620 A KR 2017008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foam
flower
molding foam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310B1 (ko
Inventor
이진화
Original Assignee
이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화 filed Critical 이진화
Priority to KR102016000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3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훼 상품의 일종인 보존화의 특성상 후각적인 요소가 가미되지 못하는 단점을 적극 보완함으로써 생화와 같은 향기의 발산 기능이 보유될 뿐 아니라 소정의 제반 요소를 채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향기 발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에 관한 것으로, 수용용기(10) 내부로 성형폼(20)을 내설하여 보존액으로 처리된 화훼부재(50)의 수개 직립이 유도됨에 따라 하나의 장식용으로 세팅 구성하고 상기 성형폼(20)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되 액상 내지 오일 소재의 발향부재를 공급 및 침투하게 함으로써 다공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부재로부터 기인하는 향기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폼(20)의 상방은 장식부재(40)로 마감 처리하여서 구성된다.

Description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THE PRESERVED FLOWER HAVING THE SCENT OF A FLOWER}
본 발명은 생화와 같은 시각 미를 구현하기 위하여 보존액으로 처리되는 장식용 보존화(Preserved flower)에 관한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훼 상품의 일종인 보존화의 특성상 후각적인 요소가 가미되지 못하는 단점을 적극 보완함으로써 생화와 같은 향기의 발산 기능이 보유될 뿐 아니라 소정의 제반 요소를 채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향기 발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에 관한 것이다.
꽃은 경조사나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데, 생화의 경우 조화와 차별되는 상품성이 있음에도 그 수명기간이 짧아 지속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장미의 경우 길어야 5~7일 동안 관상할 수 있을 뿐 이후 색상의 변화 내지 부패가 진행되면서 폐기 대상으로 전락한다.
이에 수명이 짧은 생화의 관상기간을 좀 더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서 거꾸로 매달아 건조되게 하거나 냉동건조나 온풍건조 등 몇 가지 건조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가공된 건조화의 경우 수축이 심하게 일어나고 색상이 변화되어 관상가치가 떨어지고, 특히 조직의 수분이 빠져나가 쉽게 바스러지는 등 손상에 매우 취약하게 된다.
이러한 생화의 단점을 보완하고 소비 촉진 또한 유도하고자 염색액을 물올림하여 만드는 염색화, 단색이 아닌 3~5개의 염료를 동시에 물올림하는 무지개 꽃, 생화에 온도와 광에 반응하는 특수염료인 시온 및 시광 염료를 도포하여 만드는 매직 플라워 등 기존의 화색에 새로운 색을 가공하는 가공화 개발이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고가의 가격대를 형성할 뿐 아니라 염색액 등이 주입됨에 따른 신선도 유지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바, 생화 내지 가공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한창이고 그 방안들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 보존화(Preserved Flower)이다.
통상 프리저브드 플라워(보존화)는 생화의 촉감과 생명력을 그대로 유지한 화훼가공 상품으로 농촌진흥청에서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기술 개발하여 부산시에 이전한 기술이다. 지난 2013년 부산지역 농가에 처음 보급되어 현재까지 꾸준한 연구를 통해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확대되면서 장미에 이어 컬러 안개가 화훼시장에서 히트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농업기술센터는 현재까지 생화로 출하되는 안개꽃을 컬러안개로 변신·출하함으로써 농가소득향상에 기여하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소비확대를 위해 다양한 교육, 홍보행사도 기획 중이다.
예컨대, 이러한 보존화는 생화의 수분을 유기 용매로 빼내고 조직의 유연성과 형태를 유지해 줄 수 있는 유연제로 치환하는 가공 과정을 거쳐 통상적으로 제조되는데,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9690호(2008.05.07), 특허등록 제10-1083278호(2011.11.08), 특허등록 제10-1097756호(2011.12.16)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특허등록 제10-0829690호에 의해 생성된 보존화의 경우 형태와 질감은 생화에 가깝게 제조된다 하더라도 향기가 없어 수요자들로 하여금 생화의 느낌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조화로 착각하게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장식용 보존화에 향기를 부여함으로써 보다 차별화되고 가치있는 화훼 상품으로 인식되게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아울러 소정의 보존화에 향기를 부여함에 있어 균일하고 지속적인 향기 발산이 유도될 수 있도록 관련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또한, 향기 발산을 위한 소정의 제반 요소를 취하고 이러한 제반 요소의 채용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100)는 수용용기(10) 내부로 성형폼(20)을 내설하여 보존액으로 처리된 화훼부재(50)의 수개 직립이 유도됨에 따라 하나의 장식용으로 세팅 구성함을 전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성형폼(20)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되 액상 내지 오일 소재의 발향부재를 공급 및 침투하게 함으로써 다공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부재로부터 기인하는 향기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성형폼(20)의 상방은 장식부재(40)로 마감 처리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폼(20)과 장식부재(40) 상간에는 발향부재의 공급을 위한 원형의 전달체(30)를 더 구비하여 성형폼 상면으로 끼움 구속되게 함으로써 전달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발향부재의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성형폼으로의 균일한 공급 내지 침투가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체(30)는 성형폼(20)의 상면 가장자리를 경유하도록 대응 형성되는 원형의 바디(31);와, 바디 상에서 등간격으로 수개 구분 배열되고 발향부재의 배출 및 성형폼으로 끼움 개재되도록 원추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구(32);와, 바디 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치되고 발향부재의 주입을 위하여 상향 돌출되는 주입구(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구(33)는 수용용기(10)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수용용기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되 해당 외면을 꽃가지 형상으로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주입구(33)는 외부와의 소통 여부가 결정되게 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주입구(33)의 차폐 정도를 가변함으로써 배출구(32)로부터 인출되는 발향부재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용 보존화에 향기를 부여하고자 성형폼의 관련 구성을 보다 차별화되게 제안함으로써 더욱 가치있는 화훼 상품으로 인식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존화에 향기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전달체를 부가 채택하였는바 이러한 전달체는 성형폼과의 결합력이 쉽게 유도될 뿐만 아니라 성형폼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발향부재의 침투가 실시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균일하고 지속적인 향기 발산이 유도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달체의 주입구 상에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마개를 더 개재함으로써 마개의 작용 여부에 따라 배출구로 인출되는 발향부재의 양을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선택 또는 기타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향기의 발산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장식용 보존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생화와 같은 시각 미를 구현하기 위하여 보존액으로 처리되는 장식용 보존화(Preserved flower,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화훼 상품의 일종인 보존화의 특성상 후각적인 요소가 가미되지 못하는 단점을 적극 보완함으로써 생화와 같은 향기의 발산 기능이 보유될 뿐 아니라 소정의 제반 요소를 채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향기 발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장식용 보존화(100)는 발향부재의 적용으로 생화와 같은 향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바 성형폼(20)의 관련 구성을 바탕으로 한 발향부재의 발산은 물론 소정의 전달체(30)로부터 비롯되는 보다 효율적인 향기의 발산을 요부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100)는 수용용기(10) 내부로 성형폼(20)을 내설하여 보존액으로 처리된 화훼부재(50)의 수개 직립이 유도됨에 따라 하나의 장식용으로 세팅 구성함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성형폼(20)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되 액상 내지 오일 소재의 발향부재를 공급 및 침투하게 함으로써 다공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부재로부터 기인하는 향기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성형폼(20)의 상방은 장식부재(40)로 마감 처리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향부재라 함은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액상 내지 기타 오일 소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향기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아로마 등을 비롯하여 공지된 모든 발향 제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성형폼(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에 적합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화훼부재(50)의 식립을 가능하게 하는 제반 요소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형폼의 또 다른 기능으로 발향부재의 침투 및 향기의 발산을 부여하는바 다공 소재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일정량의 발향부재를 쉽게 흡수한 후 점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해당 향기를 내뿜는 수단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다공질이 가지는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인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하여금 발향부재의 전방위적인 침투가 유도될 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상에서 발향부재가 서로 분산된 상태로 일정 시간 지체 내지 잔류한 후 공기 중으로 확산됨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성형폼(20)과 장식부재(40) 사이 공간으로 전달체(30)를 더 제공하여 향기의 발산이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성형폼(20)과 장식부재(40) 상간에는 발향부재의 공급을 위한 원형의 전달체(30)를 더 구비하여 성형폼 상면으로 끼움 구속되게 한다. 이로써 전달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발향부재의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성형폼으로의 균일한 공급 내지 침투가 유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체(30)는 성형폼(20) 상에 구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발향부재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공급된 발향부재는 전달체의 내부 공간을 유동한 후 성형폼으로 침투되는 경로를 취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체(30)는 성형폼(20)의 상면 가장자리를 경유하도록 대응 형성되는 원형의 바디(31);와, 바디 상에서 등간격으로 수개 구분 배열되고 발향부재의 배출 및 성형폼으로 끼움 개재되도록 원추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구(32);와, 바디 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치되고 발향부재의 주입을 위하여 상향 돌출되는 주입구(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폼(20)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성형폼 가장자리 영역으로 안착 배치되며, 중공의 내부 공간을 구축함으로서 발향부재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디의 직경을 성형폼의 직경에 비해 다소 협소하게 형성하여 안착 고정시 여유로운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상기 배출구(32)는 바디(31)의 안착 고정을 위하여 개재되는 구성요소로, 성형폼(20) 내부로 쉽게 진행되도록 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원추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배출구(32)는 바디의 내부 영역과 내통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해당 단부를 천공 형성함으로써 바디로 유입된 발향부재의 배출이 유도된다.
상기 주입구(33)는 발향부재의 공급을 위하여 바디(31) 상에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되고, 그 돌출 정도는 수용용기(10)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수용용기 상단을 벗어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33)의 돌출 정도는 사용시 편의함을 고려한 것으로, 전달체(30)에 발향부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 장식부재(40) 및 화훼부재(50)가 적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관련 행위를 유도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이러한 주입구 역시 또 하나의 향기 발산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주입구(33)는 해당 외면을 꽃가지나 기타 나뭇가지 등의 형상으로 제공함에 따라 화훼부재와의 이질감을 방지하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시각적인 미려함이 제공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주입구(33)를 형성함에 있어 발향부재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상기 주입구(33)는 외부와의 소통 여부가 결정되게 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고, 이때 마개는 주입구(33)의 차폐 정도를 가변함으로써 배출구(32)로부터 인출되는 발향부재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공기의 내외 소통으로 발향부재의 인출 행위가 가능함에 착안한 것이다. 즉 전달체(30) 내부로 유입된 발향부재가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통수단인 해당 주입구(33)를 마개로 막을 경우 발향부재의 이동이 억제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적극 활용하고자 발향부재의 제공량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보다 지속적인 향기 발산을 유도하면서 향기의 정도를 쉽게 가변 유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개(미도시함)는 차폐 정도가 변화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야 하는바 예컨대 마개 상면에 통공을 형성한 후 부채와 같이 서로 충첩된 회전형 날개를 해당 통공에 장착함으로써 날개의 펼침 정도를 가변시킴에 따라 주입구의 소통 영역이 쉽게 조절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하나의 바디(31)를 주입구(33)가 있는 영역별로 구획 편성한 후(바디 내부 공간을 소정의 격벽으로 차단) 해당 주입구를 별개로 운용함으로써 발향부재의 개별 적용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용 보존화(100)에 향기를 부여하고자 성형폼의 관련 구성을 보다 차별화되게 제안함으로써 더욱 가치있는 화훼 상품으로 인식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존화에 향기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전달체를 부가 채택하였는바 이러한 전달체는 성형폼과의 결합력이 쉽게 유도될 뿐만 아니라 성형폼(20)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발향부재의 침투가 실시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므로 균일하고 지속적인 향기 발산이 유도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달체(30)의 주입구(33) 상에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마개를 더 개재함으로써 마개의 작용 여부에 따라 배출구(32)로 인출되는 발향부재의 양을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선택 또는 기타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향기의 발산을 실시할 수 있다.
10. 수용용기
20. 성형폼
30. 전달체
40. 장식부재
50. 화훼부재
100. 보존화

Claims (5)

  1. 수용용기(10) 내부로 성형폼(20)을 내설하여 보존액으로 처리된 화훼부재(50)의 수개 직립이 유도됨에 따라 하나의 장식용으로 세팅 구성하는 보존화에 있어서,
    상기 성형폼(20)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되 액상 내지 오일 소재의 발향부재를 공급 및 침투하게 함으로써 다공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부재로부터 기인하는 향기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폼(20)의 상방은 장식부재(40)로 마감 처리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폼(20)과 장식부재(40) 상간에는 발향부재의 공급을 위한 원형의 전달체(30)를 더 구비하여 성형폼 상면으로 끼움 구속되게 함으로써 전달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발향부재의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성형폼으로의 균일한 공급 내지 침투가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30)는 성형폼(20)의 상면 가장자리를 경유하도록 대응 형성되는 원형의 바디(31);와, 바디 상에서 등간격으로 수개 구분 배열되고 발향부재의 배출 및 성형폼으로 끼움 개재되도록 원추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구(32);와, 바디 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분 배치되고 발향부재의 주입을 위하여 상향 돌출되는 주입구(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33)는 수용용기(10)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수용용기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되 해당 외면을 꽃가지 형상으로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33)는 외부와의 소통 여부가 결정되게 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주입구(33)의 차폐 정도를 가변함으로써 배출구(32)로부터 인출되는 발향부재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장식용 보존화.
KR1020160007398A 2016-01-21 2016-01-21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KR101772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398A KR101772310B1 (ko) 2016-01-21 2016-01-21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398A KR101772310B1 (ko) 2016-01-21 2016-01-21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620A true KR20170087620A (ko) 2017-07-31
KR101772310B1 KR101772310B1 (ko) 2017-08-28

Family

ID=5941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398A KR101772310B1 (ko) 2016-01-21 2016-01-21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4568A1 (en) * 2020-08-05 2023-09-14 Kanizsa Designs Inc. Free-standing floral fl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695B1 (ko) 2019-11-05 2021-03-08 강자영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9423B2 (ja) * 2002-05-10 2004-07-07 省二 小松 給水タンク付植木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4568A1 (en) * 2020-08-05 2023-09-14 Kanizsa Designs Inc. Free-standing floral fl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310B1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310B1 (ko)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Day Scents of place and colours of smell: fragranced entertainment in ancient Rome
CN102919476B (zh) 一种兰花茶
US6566416B2 (en) Fragrant thermoplastic snow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US20100269966A1 (en) Scented Balloon Cover and Methods of Scenting the Same
JP3162803U (ja) 芳香液入り芳香器
KR200483524Y1 (ko) 장식기능이 우수한 액상 방향제 용기
KR200492012Y1 (ko) 피톤치드 기능을 최적화시킨 구조를 구비한 목재 블럭
FR2808440A1 (fr) Procede de parfumage des fleurs artificielles utilisant des tissus ou du papier pour realiser des petales
KR102224695B1 (ko)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KR200402454Y1 (ko) 발향 조화 화분
JP3194240U (ja) プリザーブド植物を利用した盆栽、及び同盆栽用の鉢
TWM570150U (zh) 傢飾型多功能擴香
CN216969276U (zh) 扩香装置
US20090280038A1 (en) Fresh scent flowers
CN103770558A (zh) 一种芳香饰品
JP2008063710A (ja) 造花及び装着器具に香り発生機構を有する装飾方法及び装飾用品
CN209047702U (zh) 一种椅脚
JP2021006461A (ja) 薬液揮散器
JP2021006075A (ja) 薬液揮散器
KR20160085181A (ko) 생화를 담은 디퓨저
JP2021006462A (ja) 薬液揮散器
JP2021006076A (ja) 薬液揮散器
TWM627651U (zh) 擴香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