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695B1 -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 Google Patents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695B1
KR102224695B1 KR1020190140174A KR20190140174A KR102224695B1 KR 102224695 B1 KR102224695 B1 KR 102224695B1 KR 1020190140174 A KR1020190140174 A KR 1020190140174A KR 20190140174 A KR20190140174 A KR 20190140174A KR 102224695 B1 KR102224695 B1 KR 10222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iffuser
coupled
ring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자영
Original Assignee
강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자영 filed Critical 강자영
Priority to KR102019014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47G7/07Guiding means for flowers in vases, e.g. perforated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에 관한 것으로, 반구형상 부재에 디퓨저를 거치하여 사용하되, 디퓨저의 발향 액을 침투하게 하여서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함은 물론 화병의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반구형상 부재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고 가루 날림이 발생하지 않아서 건강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스탭 및 블루밍 과정의 수공과정의 시간을 단축 시켜 기술이 없는 일반인들도 보존화 꽂꽂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MATRIX MODULATION FOR PRESERVED FLOWER AND DECOR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반구형상 부재에 디퓨저를 거치하여 사용하되, 디퓨저의 발향 액을 침투하게 하여서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함은 물론 화병의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식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flower)은 경조사나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데, 생화(生花)의 경우 조화와 차별되는 상품성이 있음에도 그 수명 기간이 짧아 지속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장미의 경우는 길어야 5~7일 동안 관상할 수 있을 뿐 이후 색상의 변화 내지 부패가 진행하면서 폐기 대상으로 전락한다. 이에 수명이 짧은 생화의 관상 기간을 좀 더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풍(通風)이 잘 되는 음지에서 거꾸로 매달아 건조하거나 냉동건조나 온풍건조 등 몇 가지 건조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가공한 건조 화는 수축이 심하게 일어나고 색상이 변화되어 관상 가치가 떨어지고, 특히 조직의 수분이 빠져나가 쉽게 바스러지는 등 손상에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생화의 단점을 보완하고 소비 촉진 또한 유도하고자 염색액을 물 올림하여 만드는 염색 화, 단색이 아닌 3~5개의 염료를 동시에 물 올림하는 무지개 꽃, 생화에 온도와 광에 반응하는 특수 염료인 시온 및 시광 염료를 도포하여 만드는 매직 플라워 등 기존의 화색에 새로운 색을 가공하는 가공 화의 개발이 진행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고가의 가격대를 형성할 뿐 아니라 염색액 등이 주입됨에 따른 신선도 유지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바, 생화 내지 가공 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한창이고 그 방안들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 보존화(Preserved Flower) 이다.
통상 프리저브드 플라워로 불리기도 하는 보존화는 생화의 촉감과 생명력을 그대로 유지한 화훼 가공 상품으로 농촌진흥청에서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기술 개발하여 부산시에 이전한 기술이다. 지난 2013년 부산지역 농가에 처음 보급되어 현재까지 꾸준한 연구를 통해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확대되면서 장미에 이어 컬러 안개가 화훼 시장에서 히트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농업기술센터는 현재까지 생화로 출하되는 안개꽃을 컬러 안개로 변신*?*출하함으로써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소비 확대를 위해 다양한 교육, 홍보행사도 기획 중이다.
예컨대, 이러한 보존화는 생화의 수분을 유기 용매로 빼내고 조직의 유연성과 형태를 유지해 줄 수 있는 유연제로 치환하는 가공 과정을 거쳐 통상적으로 제조되는데,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9690호, 특허등록 제10-1083278호, 특허등록 제10-1097756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특허등록 제10-0829690호에 의해 생성된 보존화의 경우 형태와 질감은 생화에 가깝게 제조된다 하더라도 향기가 없어 수요자들로 하여금 생화의 느낌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조화로 착각하게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 등록번호 제10-1772310호에는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생화를 꽃꽂이 등에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우레탄폼인데, 꽃꽂이 형태에 맞게 우레탄폼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호흡기에 해로운 우레탄 가루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레탄폼을 활용하여 꽃꽂이를 수행하는 경우, 꽃을 방향에 따라 꽂는 각도가 조절되어야 하는데 꽃꽂이 초보자는 꽃을 꽂는 각도를 조절하기 힘들어 완성된 꽃꽂이완성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존화용 화병(화분)이 6.5, 7, 9cm로 규격화되어 있어 화병의 내경 사이즈가 고정되며, 더구나, 보존화 꽃꽂이 작업 시, 철사를 활용하여 줄기처럼 사용하므로, 일반인이 꽃꽂이 작업을 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많이 시간이 소요되고, 기존 보존화의 경우 우레탄 폼 사용하므로 가루 날림이 발생하여 호흡기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화병이 일반적으로 규격화되어 있고, 그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된데 반하여 보존화를 꽃꽂이하기 위한 모듈이나 장치는 일률적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화분의 직경에 따라 기존의 장식기구를 별도로 자르거나 가공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772310호 한국 특허등록 제10-0829690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구형상 부재에 디퓨저를 거치하여 사용하되, 디퓨저의 발향 액을 침투하게 하여서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함은 물론 화병의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반구형상 부재가 다공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가루 날림이 발생하지 않아서 건강을 해치지 않는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은, 수개의 화훼 부재를 직립으로 꽂기 위한 결합구멍을 다수 구비하는 반구형상 부재; 상기 반구형상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고, 내주에는 화병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턱가 형성된 결합 링; 및 상기 결합 링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화훼 부재를 꽂기 위한 결합구멍을 다수 구비하며, 내주에는 상기 화병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턱이 형성되는 환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구형상 부재 하면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링의 상면에 제1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상 부재 하부에 상기 결합 링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 링의 하면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재의 상면에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링 하부에 상기 환형부재 상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구형상 부재 하부에 배치되어 디퓨저를 장착하기 위한 디퓨저 결합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결합 봉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디퓨저의 발향 액이 침투되면 다공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가 제공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기구는, 수개의 화훼 부재를 직립으로 꽂기 위한 십자형 결합구멍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디퓨저 결합 봉이 형성된 반구형상 부재; 상기 반구형상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고, 내주에는 제1 결합 턱이 형성되는 결합 링; 및 상기 결합 링의 하부에 결합하고, 수개의 화훼 부재를 직립으로 꽂기 위한 십자형 결합구멍을 구비하며, 내주에는 제2 결합 턱이 형성되는 환형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반구형상 부재 하면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링의 상면에 제1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상 부재 하부에 상기 결합 링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 링의 하면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재의 상면에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링 하부에 상기 환형부재 상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포함하는 장식기구로서, 상기 디퓨저 결합 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 및 상기 결합 링의 제1 결합 턱 또는 상기 환형부재의 제2 결합 턱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화병;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저의 발향 액이 침투되면 다공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가 제공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구형상 부재에 디퓨저를 거치하여 사용하되, 디퓨저의 발향 액을 침투하게 하여서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폼과는 다르게 수공가공 과정을 거치지 않아 호흡기에 해로운 우레탄 가루 흡입을 방지하고 블루밍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꽃꽂이 과정에서 일부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꽃꽂이 소요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병의 규격화된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부의 십자모양의 타공은 꽂의 꽂을 때 방향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트릭스 모듈을 이용한 장식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은 반구형상 부재(110)와, 결합 링(120)과, 환형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는 수개의 화훼 부재(F)를 직립(直立)으로 꽂기 위한 십자형 결합구멍(H)을 다수 구비하며, 하부에는 디퓨저(10)를 장착하기 위한 디퓨저 결합 봉(111)이 형성된다.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 특히 디퓨저 결합 봉(111)은 다공질의 신축소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저(10)의 발향액이 다공질의 신축소재를 통해 침투되면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가 제공되고, 이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 링(120)은 반구형상 부재(110)의 하부에 결합하고, 내주에는 화병(20)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턱(122)이 형성된다.
상기 환형부재(130)는 결합 링(1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결합 링(120)의 하부에 결합되며, 화훼 부재(F)를 꽂기 위한 십자형 결합구멍(H)이 다수 구비하며, 내주에는 화병(20)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턱(1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환형부재(13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결합 링(120)의 제1 결합 턱(122)이 화병(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화병(20)의 직경이 더 커진 경우는 환형부재(130)를 결합시킴으로써 환형부재(130)의 제2 결합턱(132)이 화병(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와 결합 링(120) 및 환형부재(130)는 차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끼움 결합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결합방식은 나사산에 의한 회전에 의해 결합되거나 나사 등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고, 결합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십자형 결합구멍(H)에는 손상방지를 위해서 고무 갈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십자형 결합구멍(H)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지상과의 각도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십자형 결합구멍(H)은 가로 라인 간 교차로 뚫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병(20)의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100)은 화병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고 삽입 결합하도록 구성되는바, 반구형상 부재(110) 하부에 결합 링(120)을 결합하기 위하여 반구형상 부재(110) 하면에는 제1 결합 홈(115)가 형성되고, 결함 홈(115)에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 링(120)의 상면에는 제1 결합 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링(120)의 하부에 환형부재(130)를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 링(120)의 하면에 제2 결합 홈(127)이 형성되고, 결함 홈(127)에 결합하기 위하여 환형부재(130)의 상면에는 제2 결합 돌기(1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환형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고, 화병(20)의 사이즈에 따라 환형부재(13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기구는, 상기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100)을 포함하는바, 상기 디퓨저 결합 봉(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10); 및 상기 결합 링(120)의 제1 결합 턱(122) 또는 상기 환형부재(110)의 제2 결합 턱(13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화병(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100)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저(10)의 발향 액을 침투하게 하여서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식기구로서,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이 반구형상 부재(110)와, 결합 링(120)과, 환형부재(130)로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화병의 사이즈가 큰 경우 또는 많은 화훼 부재(F)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식기구로서,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이 반구형상 부재(110)와, 결합 링(120)으로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장식기구로서,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이 반구형상 부재(110)로만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화병(20)의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은 화병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고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화훼 부재(F)를 적당한 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구형상 부재에 디퓨저를 거치하여 사용하되, 디퓨저의 발향 액을 침투하게 하여서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의 제공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게 함은 물론 화병의 사이즈에 따라 결합부위의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반구형상 부재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고 가루 날림이 발생하지 않아서 건강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F: 화훼 부재
H: 십자형 결합구멍
10: 디퓨저(발향제)
20: 화병
100: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110: 반구형상 부재
111: 디퓨저 결합 봉
115: 결함 홈
120: 결합 링
122: 제1 결합 턱
125: 제1 결합 돌기
127: 제1 결합 홈
130: 환형부재
132: 제2 결합 턱
137: 제2 결합 돌기

Claims (4)

  1. 수개의 화훼 부재(F)를 직립으로 꽂기 위한 결합구멍(H)을 다수 구비하는 반구형상 부재(110);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의 하부에 결합하고, 내주에는 화병(20)의 상단이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 턱(122)이 형성된 결합 링(120); 및
    상기 결합 링(12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링(120)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화훼 부재(F)를 꽂기 위한 결합구멍(H)을 다수 구비하고, 내주에는 상기 화병(20)의 상단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 턱(132)이 형성되는 환형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 하면에 제1 결합 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링(120)의 상면에 제1 결합 돌기(125)가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 하부에 상기 결합 링(120)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 링(120)의 하면에 제2 결합 홈(127)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재(130)의 상면에 제2 결합 돌기(137)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링(120) 하부에 상기 환형부재(130) 상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 하부에 배치되어 디퓨저(10)를 장착하기 위한 디퓨저 결합 봉(1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결합 봉(111)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디퓨저(10)의 발향 액이 침투되면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가 제공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3. 삭제
  4. 수개의 화훼 부재(F)를 직립으로 꽂기 위한 십자형 결합구멍(H)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디퓨저 결합 봉(111)이 형성된 반구형상 부재(110);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의 하부에 결합하고, 내주에는 제1 결합 턱(122)가 형성되는 결합 링(120); 및 상기 결합 링(120)의 하부에 결합하고, 수개의 화훼 부재(F)를 직립으로 꽂기 위한 십자형 결합구멍(H)을 구비하며, 내주에는 제2 결합 턱(132)가 형성되는 환형부재(130);를 구비하며,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 하면에 제1 결합 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링(120)의 상면에 제1 결합 돌기(125)가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상 부재(110) 하부에 상기 결합 링(120)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 링(120)의 하면에 제2 결합 홈(127)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재(130)의 상면에 제2 결합 돌기(137)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링(120) 하부에 상기 환형부재(130) 상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100)을 포함하는 장식기구로서,
    상기 디퓨저 결합 봉(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10); 및
    상기 결합 링(120)의 제1 결합 턱(122) 또는 상기 환형부재(130)의 제2 결합 턱(13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화병(2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100)은 다공질의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저(10)의 발향 액이 침투되면 다공(多孔)의 내부 공간을 통한 확산 경로가 제공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발향 액의 발산이 지속적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구.
KR1020190140174A 2019-11-05 2019-11-05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KR10222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74A KR102224695B1 (ko) 2019-11-05 2019-11-05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74A KR102224695B1 (ko) 2019-11-05 2019-11-05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695B1 true KR102224695B1 (ko) 2021-03-08

Family

ID=7518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174A KR102224695B1 (ko) 2019-11-05 2019-11-05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6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192A (ja) * 1995-09-18 1997-03-25 Kagoshima Sekizai Kogyo:Kk 墓石用花立
KR200282869Y1 (ko) * 2002-04-26 2002-07-23 이학수 꽃꽂이용 방향제 용기
KR100829690B1 (ko) 2007-01-29 2008-05-28 김태엽 생화를 시들지 않는 상태로 오래 동안 그대로 보존할 수있는 용액(물질)의 제조 방법과 보전처리 과정
JP2010057675A (ja) * 2008-09-03 2010-03-18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法、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の保持ブロック、及び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教具
KR101772310B1 (ko) 2016-01-21 2017-08-28 이진화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192A (ja) * 1995-09-18 1997-03-25 Kagoshima Sekizai Kogyo:Kk 墓石用花立
KR200282869Y1 (ko) * 2002-04-26 2002-07-23 이학수 꽃꽂이용 방향제 용기
KR100829690B1 (ko) 2007-01-29 2008-05-28 김태엽 생화를 시들지 않는 상태로 오래 동안 그대로 보존할 수있는 용액(물질)의 제조 방법과 보전처리 과정
JP2010057675A (ja) * 2008-09-03 2010-03-18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法、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の保持ブロック、及び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教具
KR101772310B1 (ko) 2016-01-21 2017-08-28 이진화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908A (en) Plant culture receptacle
US5867938A (en) Natural appearing planter
KR102224695B1 (ko) 보존화용 매트릭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장식기구
CN100464628C (zh) 现代盆景
US5549500A (en) Animalian figurine
CN201929675U (zh) 可定制的树架
CN205468232U (zh) 一种植物画框
KR20190036717A (ko) 테라리움 화분
KR101772310B1 (ko) 발향 기능을 보유한 보존화를 이용한 장식기구
KR102582546B1 (ko) 부유식 다육식물 재배장치
CN103782832A (zh) 一种生态饰品、制作方法及其定制方法和信息系统
KR100897904B1 (ko) 말린 연씨집을 이용한 학습교재
CN217445974U (zh) 一种魔方式装饰性陶瓷花盆
Brilmayer All about miniature plants and gardens indoors and out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CN211091140U (zh) 一种水培植物栽培相框
CN205547492U (zh) 一种新型石斛兰立体彩晶玻璃花
CN208805982U (zh) 一种雾化无土栽培蔬菜少儿科普观察仪
Wei The Division of Color and Ecological Garden Plant Landscape.
JPH0392398A (ja) 座右の銘台及びその製造法
KR200203411Y1 (ko) 장식용 계란 화분
KR200182766Y1 (ko) 관상용 식물배양 용기(容器)
Heibel et al. Rooted in Design: Sprout Home's Guide to Creative Indoor Planting
KR20040039702A (ko) 이동 가능한 상황버섯 관상세트 및 그 재배방법
CN206118539U (zh) 一种植物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