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717A - 테라리움 화분 - Google Patents

테라리움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717A
KR20190036717A KR1020170125949A KR20170125949A KR20190036717A KR 20190036717 A KR20190036717 A KR 20190036717A KR 1020170125949 A KR1020170125949 A KR 1020170125949A KR 20170125949 A KR20170125949 A KR 20170125949A KR 20190036717 A KR20190036717 A KR 2019003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cover body
wall
plant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274B1 (ko
Inventor
이성해
Original Assignee
이성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해 filed Critical 이성해
Priority to KR102017012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2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의 색모래 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색모래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고, 밀폐된 공간에서 식물이 자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학생들의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내부에 심어진 식물 또는 석부작을 통하여 관상과 장식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시각적인 미감을 제공하면서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체와; 상기 화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로 구성하고; 상기 화분체는, 식물이나 석부작을 심거나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식재공간과, 안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평평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제외한 부위에 내벽과 외벽을 가지는 이중으로 구성하는 벽체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색모래를 채워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 및 모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색모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체의 상측과 커버체의 하측에 서로 맞물리면서 치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테라리움 화분{TERRARIUM FLOWERPOT}
본 발명은 테라리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재질로 화분을 구성하면서 밀폐된 내부에 식물을 심어 성장 또는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색모래를 통하여 다양한 미감과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상과 장식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화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다양한 형상의 화분몸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성장공간에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재배토를 충진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뿌리를 식재한 상태에서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에 비치하여 장식을 겸하면서 관상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분의 경우에는 식재되는 식물이 성장하고 그에 따라 화분의 크기도 커지게 됨에 따라 주기적인 물주기와 영양제의 공급 및 식물의 가지치기 등과 같은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주기적인 화분갈이 등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서 전문적인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이용자들이 많은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의 화분 내부에 색모래를 채워 다양한 형상과 모양 및 무늬가 연출되도록 하고, 색모래의 중앙에는 다육과 같은 작은 식물을 심어 관리에 많은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도 장식과 관상에 필요한 미적인 감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분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색모래를 이용하여 미감을 고조시키는 화분의 경우 관리의 용이성과 더불어 관상 및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투명한 화분의 내부에 채워지는 색모래가 고가이기 때문에 화분 전체의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용자들이 쉽게 화분을 찾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색모래를 이용한 신규한 화분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로서는 문헌 2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2의 기술내용은, 투명 화분(1)의 내벽에 식물성 투명 접착제(2)를 접착시킨 부위에만 칼라 샌드(3)가 접착되도록 하고, 상기 투명 화분(1)의 내부에는 칼라 샌드(4)를 적층하면서 배경이 되는 화상을 만들도록 하고, 상기 투명 화분(1)의 상단 중앙에 식물을 심은 미니화분인 포트(5)을 위치 시키면서 그 둘레를 칼라 샌드(6)로 마무리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화분을 제공하고 있다.
(문헌 1)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93 - 0018166 호 (문헌 2)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99 - 0000567 호 (문헌 3)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14410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화분의 내벽에 색모래를 부착하여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화분의 중앙에 식물이 심어진 포트를 위치시키고 화분의 상부에만 색모래를 채워 마무리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화분의 경우에는 화분의 내벽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색모래를 부착하는 것은 물론, 색모래를 부착하면서 필요한 모양과 무늬를 표현하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게 되는 데, 결국에는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게 되므로 인건비의 상승을 가져오고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화분이 일반적인 것과 같이 상당한 크기를 가지게 되므로 색모래를 화분 내벽에만 부착한다 하여도 상당한 양이 사용되므로 결국에는 화분 내부 전체에 색모래를 채우는 것과 동일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비용절감 측면에서 효과가 없게 되므로 이용자들의 선호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화분의 내벽에 색모래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므로 디자인 가변성이 저하되는 데, 처음 색모래를 부착한 디자인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른 디자인으로 변경하고 싶어도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 색모래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처음 작업한 상태로 화분을 지속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색모래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화분이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심어지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주기와 영양제의 공급 등과 같이 식물 성장에 필요한 관리 또한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장식을 위하여 실내의 어느 한 곳에 비치하거나 걸어둘 경우 화분의 외부로 자라는 식물이 다른 물품 등과 간섭을 일으켜 간편함을 추구하는 이용자들의 호응을 얻기 어렵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시각적인 미감을 제공하면서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체와; 상기 화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로 구성하고; 상기 화분체는, 식물이나 석부작을 심거나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식재공간과, 안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평평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제외한 부위에 내벽과 외벽을 가지는 이중으로 구성하는 벽체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 색모래를 채워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 및 모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색모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체의 상측과 커버체의 하측에 서로 맞물리면서 치합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고가의 색모래 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색모래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고, 밀폐된 공간에서 식물이 자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학생들의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내부에 심어진 식물 또는 석부작을 통하여 관상과 장식을 겸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컴팩트한 크기의 투명한 화분 내부에 착생식물과 같은 작은 크기의 식물이나 석부작을 심어 재배 관찰하면서 관상과 장식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이 큰 기술 없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밀폐된 형태의 투명한 화분 내부에 식물을 심어 화분이 축소된 지구와 같은 환경을 유지하여 성장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이용자 특히 청소년들의 과학적인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화분을 구성하는 벽 내부에 색모래를 소량 채워넣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비용부담을 줄이면서 하나의 화분으로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을 도시한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테라리움 화분(100)은, 다양한 시각적인 미감을 제공하면서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체(101)와, 상기 화분체(1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뚜껑역할을 수행하도록 상부에 손잡이(102)를 가지는 커버체(103)로 구성한다.
상기 화분체(101)와 커버체(103)는 식물의 성장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취급 과정에서 쉽게 손상 및 파손되지 않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화분체(101)와 커버체(103)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구체형상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육면체 형상, 원기둥, 피라미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분체(101)는 내부에 식물이나 석부작을 심거나 안치할 수 있도록 요입된 형태의 식재공간(104)을 가지고, 테이블 등에 안치하였을 때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면(105)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바닥면(105)을 제외한 벽체(106)는 내벽(107)과 외벽(108)을 가지는 이중벽체로 구성하고, 내벽(107)과 외벽(108) 사이에는 색모래(109)를 채워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 및 모양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는 색모래공간(110)을 형성한다.
상기 색모래공간(110)은 벽체(106)의 상측에서부터 바닥면(105)의 연결지점까지 형성하여 색모래(109)를 채워넣었을 때 화분체(101)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색모래(109)에 의한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 및 모양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체(101)와 커버체(103)의 크기는 도면상에서는 화분체(101)가 커버체(103) 보다 작은 크기(높이)를 가지고 있으나, 식물이나 석부작의 종류에 따라 화분체(101)가 커버체(103)보다 더 크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색모래에 의하여 다양한 색감과 모양 및 디자인 표현을 위해서는 화분체(101)가 커버체(103)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화분체(101)의 상측과 커버체(103)의 하측에는 서로 맞물리면서 치합되는 결합수단(111)을 형성하는 데, 상기 결합수단(111)은 화분체(101)와 커버체(103)의 끝단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하는 결합돌기(112)와 돌기홈(113)과 더불어 결합 후 쉽게 이탈 또는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시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수단(111)을 결합돌기(112)와 돌기홈(113)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암,수나사를 형성하는 나사결합되는 형태를 비롯하여 상,하측에서 가압하면 걸림돌기와 걸림홈에 의하여 결합되는 형태 및 보틀이나 압력받솥과 같이 돌려서 잠그고 풀어서 해제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결합수단(111)에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이 탄성과 기밀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밀폐링을 더 개재하여도 된다.
상기 커버체(103)의 내부 하측에는 결합수단(111)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화분체(101)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되는 낙하유도부(115)를 형성하여 화분(100) 내부의 수분이 증발(상승)하여 커버체(103)의 내벽면(116)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화분체(101)에 형성되는 색모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낙하유도부(115)의 상측위치 커버체(103) 내벽면(116)에 낙하유도부(115)보다 더 돌출되고 하향 경사진 낙하유도블레이드(120)를 커버체(103) 둘레에 걸쳐 형성하여 낙하유도부(115)와 함께 2중으로 수분이 색모래공간(110)으로 근접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분체(101)에 대하여 커버체(103)를 이탈시켜 화분체(101)를 개방시킨 후 벽체(106)를 구성하는 내벽(107)과 외벽(108) 사이에 형성되는 색모래공간(110)에 색모래(109)를 주입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모양과 색감 및 디자인을 표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화분체(101)의 식재공간(104)에 식물이나 석부작을 심거나 안치시킨 후 성장에 필요한 물이나 영양제 등을 함께 제공한 후 커버체(103)를 결합수단(111)을 이용하여 결합(밀폐)한 후 원하고자 하는 위치의 테이블에 안치시키거나 천장 등에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걸어서 유지하면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테라리움 화분(100)은 화분체(101)의 색모래공간(110)에 채워진 색모래(109)에 의하여 화분체(101) 외부의 색감과 모양 및 디자인이 시각적으로 표현되고, 동시에 투명한 화분체(101)와 커버체(103) 내부에 식재된 식물 또는 석부작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장식과 관상을 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밀폐된 상태에서 식물이 질식하여 성장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으나, 식물의 경우 광합성작용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며, 흐흡작용시에는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 속에서도 기본자원을 순환해 가면서 이용하여 산소가 부족하여 성장되지 않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는, 테라리움 화분(100)을 밀폐하기 전에 식물에 제공한 물과 영양제가 화분(100) 내부에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증발되어 커버체(103)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커버체(103)의 하방으로 자연낙하거나 커버체(103)의 내벽면(116)을 따라 아래측으로 흘러내리는 순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자체적으로 테라리움 화분(100)을 구성하는 두 개의 화분체(101) 중 하나에는 석부작한 풍란을 식재하고 다른 하나에는 틸란시아를 식재한 후 커버체(103)로 밀봉하여 관찰한 결과 2개월과 5개월이 경과한 시점까지도 계속하여 자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테라리움 화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테라리움 화분(100)을 구성하는 화분체(101) 또는 커버체(102)의 내부에 발열선과 같은 전열수단(130) 또는 엘이디조명(135)을 더 설치하여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어두운 실내에서도 광합성 작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조명역할을 통하여 장식과 관상의 묘미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가의 색모래 사용을 최소화 하면서 색모래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고, 밀폐된 공간에서 식물이 자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학생들의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내부에 심어진 식물 또는 석부작을 통하여 관상과 장식을 겸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테라리움 화분
101; 화분체
103; 커버체
104; 식재공간
105; 바닥면
106; 벽체
107; 내벽
108; 외벽
110; 색모래공간
111; 결합수단
115; 낙하유도부
120; 낙하유도블레이드

Claims (4)

  1. 시각적인 미감을 제공하면서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체(101)와;
    상기 화분체(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103)로 구성하고;
    상기 화분체(101)는, 식물이나 석부작을 심거나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식재공간(104)과, 안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평평한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을 제외한 부위에 내벽(107)과 외벽(108)을 가지는 이중으로 구성하는 벽체(106)와, 상기 내벽(107)과 외벽(108) 사이에 색모래(109)를 채워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 및 모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색모래공간(110)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체(101)의 상측과 커버체(103)의 하측에 서로 맞물리면서 치합되어 완전밀폐시키기 위한 결합수단(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리움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3)의 내부 하측에는 화분(100)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커버체(103)의 내벽면(116)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화분체(101)에 형성되는 색모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수단(111)과 일체로 낙하유도부(1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리움 화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3)의 내부 하측에는 화분(100)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커버체(103)의 내벽면(116)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화분체(101)에 형성되는 색모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낙하유도부(115)의 상측위치 커버체(103) 내벽면(116)에 낙하유도부(115)보다 더 돌출되고 하향 경사진 낙하유도블레이드(120)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리움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체(101) 또는 커버체(102)의 내부에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전열수단(130) 또는 어두운 실내에서도 광합성 작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조명역할을 수행하는 엘이디조명(135)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리움 화분.
KR1020170125949A 2017-09-28 2017-09-28 테라리움 화분 KR10197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49A KR101973274B1 (ko) 2017-09-28 2017-09-28 테라리움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49A KR101973274B1 (ko) 2017-09-28 2017-09-28 테라리움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17A true KR20190036717A (ko) 2019-04-05
KR101973274B1 KR101973274B1 (ko) 2019-04-26

Family

ID=6610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949A KR101973274B1 (ko) 2017-09-28 2017-09-28 테라리움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424B1 (ko) * 2022-12-01 2023-11-29 김도연 결로방지 테라리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26B1 (ko) 2022-12-06 2024-04-30 배범석 제습기를 이용한 습도 조절 테라리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166U (ko) 1992-01-25 1993-08-20 김은환 석탄 운반용 트러프스
KR19990000567U (ko) 1997-06-11 1999-01-15 이형도 세라믹진동자의 압전소자 측정장치
KR200291872Y1 (ko) * 2002-07-08 2002-10-11 배중석 투명커버를 가진 화분
KR200414410Y1 (ko) 2006-01-23 2006-04-19 노효섭 관상용 화분
KR20080102485A (ko) * 2007-05-21 2008-11-26 박상희 장식용 이중 화분
KR20160118529A (ko) * 2015-04-02 2016-10-12 정희창 벽면 정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166U (ko) 1992-01-25 1993-08-20 김은환 석탄 운반용 트러프스
KR19990000567U (ko) 1997-06-11 1999-01-15 이형도 세라믹진동자의 압전소자 측정장치
KR200291872Y1 (ko) * 2002-07-08 2002-10-11 배중석 투명커버를 가진 화분
KR200414410Y1 (ko) 2006-01-23 2006-04-19 노효섭 관상용 화분
KR20080102485A (ko) * 2007-05-21 2008-11-26 박상희 장식용 이중 화분
KR20160118529A (ko) * 2015-04-02 2016-10-12 정희창 벽면 정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424B1 (ko) * 2022-12-01 2023-11-29 김도연 결로방지 테라리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274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274B1 (ko) 테라리움 화분
CN203896846U (zh) 一种生态饰品
US20150313094A1 (en) Modular microenvironment tile
CN206596415U (zh) 植物栽培瓶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CN203884480U (zh) 一种微缩生态景观装置
CN208063951U (zh) 一种吊灯式双培植物栽植容器
CN207720780U (zh) 组合式种植容器
CN201797792U (zh) 生态水族盆栽
CN207940172U (zh) 一种植物根部造型容器
CN207802894U (zh) 一种多层旋转式植物景观平台
TWM477770U (zh) 具有排水、蓄水及保濕功能的完整花盆
CN203985200U (zh) 一种可分离式花盆
KR102582546B1 (ko) 부유식 다육식물 재배장치
KR20170055350A (ko) 장식용 화분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JP3230356U (ja) エッグシェルプランツ
KR101229316B1 (ko) 화분 케이스
CN213056562U (zh) 一种山水盆景
JP3125736U (ja) 観賞用植物セット
CN201659840U (zh) 组培活体植物摆件饰品
CN202310681U (zh) 观赏用植物培养容器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TWM521330U (zh) 休閒療癒led生態盆栽
CN205454854U (zh) 植物栽培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