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144A -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144A
KR20170087144A KR1020160006775A KR20160006775A KR20170087144A KR 20170087144 A KR20170087144 A KR 20170087144A KR 1020160006775 A KR1020160006775 A KR 1020160006775A KR 20160006775 A KR20160006775 A KR 20160006775A KR 20170087144 A KR20170087144 A KR 2017008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nel
furniture
filler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철
Original Assignee
신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철 filed Critical 신남철
Priority to KR102016000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144A/ko
Publication of KR2017008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표면의 모서리 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일 측에 함입 형성된 제 1 커넥터용 함입부를 구비한 제 1 패널;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패널의 표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 형성된 제 2 커넥터용 함입부를 구비한 제 2 패널;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의 체적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결합면에 함입 형성된 함입부에 커넥터를 수용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가구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접합철물 없이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추가 결합 수단인 자석이 자력 결합을 하기 때문에 보조적인 결합력을 제공하여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중 구조의 커넥터가 높은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그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 패널에 슬릿을 구비하여 분해 시 커넥터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커넥터에 방향 필름을 적층하여 방향 효과를 추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Connecter Assembly For Knockdown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용 패널이나 프레임의 연결 표면에 함입부를 함입 형성하고, 그 사이에 커넥터를 끼움 조립함으로써 접합철물 없이 가구용 패널이나 프레임을 연결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가구는 다수의 가구용 패널이나 프레임을 가로방향, 세로방향으로 결합시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한다. 이 때 패널이나 프레임 간의 연결을 위해 일반적인 경우 나사못과 같은 접합철물을 이용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가구의 측면이나 연결부의 표면을 보게 되면 나사못이 드러나 있는데, 나사못이 빠져 외부로 드러날 경우 가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드러난 나사못에 의해 다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다.
또한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인해 완제품을 구매하는 대신, 반제품을 구매하여 직접 만들거나 수리하려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DIY(Do-It-Yourself)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에 따라 가구 DIY의 인기 역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나사못을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경우 나사못에 따른 드라이버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나사못 체결에 서투른 경우, 결합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가구 조립 자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나사공 부분에 갈라짐이나 박리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11221에 가구용 패널의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이 게시되어있다. 상기 발명은 가구용 패널의 결합 시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이나 지지용 브라켓 없이도 그 이음매 부분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는 가구용 패널의 결합 구조 및 그와 같은 가구용 패널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S(Polystyrene)수지를 발포시킨 일정한 플레이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2 패널(10, 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10)의 테두리에 제 1 다보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패널(20)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다보삽입공에 대응되는 제 2 다보삽입공을 형성하고, PS수지를 신너에 용융시킨 상태의 접착용제를 상기 제 1 및 제 2 다보삽입공에 도포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다보삽입공에 연결부재인 다보를 끼움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제 1 및 제 2 다보삽입공에 PS수지를 신너에 용융시킨 상태의 접착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다보를 끼움 결합하여 다보의 표면과 제 2 다보삽입공의 내부면이 일부 용융되면서 달라붙는 형태의 결합을 채택하여, 나사못 대신 그 결합 방법을 접착용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체한 것이라는 한계성을 지니며,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된 가구는 분해 및 재조립이 힘든 문제점을 동시에 지닌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50403에 블록타입의 가구조립용 체결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블록타입의 가구조립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한 방향의 결합부를 갖는 체결구로 다방향의 결합부를 갖도록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한 개의 조립방향을 갖는 동일 형태의 체결구를 조립핀을 사용하여 다방향의 결합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로의 체결구 조립이 가능토록 한 것인데, 상기 발명에서 나타나는 조립핀의 형태 상 조립구에 쉽게 끼움 조립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명에서 이용되는 조립핀의 재질인 플라스틱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힘들어 체결도구로서 이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면서도 가구 연결의 형태를 유지할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못과 같은 별도의 접합철물 없이도 가구용 패널, 프레임 등을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는 결합 도구를 제공하고, 결합부가 외관에 돌출되지 않는 가구 결합 구조를 제시하여 가구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결합부에서 튀어나온 접합철물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가구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는 보조 결합 수단을 추가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게 하며, 가구 구성 요소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고유한 구조의 가구용 결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 도구가 이용된 가구의 분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가구용 패널의 추가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결합 도구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확장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보다 빠르게 가구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도구의 추가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표면의 모서리 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적어도 일 측에 함입 형성된 제 1 커넥터용 함입부를 구비한 제 1 패널; 상기 제 1 함입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패널의 표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함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 형성된 제 2 커넥터용 함입부를 구비한 제 2 패널; 상기 제 1, 2 함입부의 체적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은, 상기 제 1 함입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제 1 자석용 함입부;와, 상기 제 1 자석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제 1 자석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제 1 자석용 함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자석용 함입부와, 상기 제 2 자석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제 2 자석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제 1, 2 자석이 자력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코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하드 재질인 제 1 충진재; 상기 제 1 충진재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유동성 겔인 제 2 충진재; 상기 제 2 충진재를 둘러싸 최외각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연질 고무인 커넥터 표면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 표면재와 상기 패널의 외측면을 내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과 상기 커넥터용 함입부가 이격된 거리에 상응하며, 상기 패널 내에 함입 연장 형성된 슬릿;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넥터 표면재에는, 방향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방향 필름;을 추가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릿 측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릿 측에 형성된 제 2영역;을 통해 상기 슬릿에 대해 수직에 준하게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충진재로 충진되어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1) 결합면에 함입 형성된 함입부에 커넥터를 수용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가구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접합철물 없이 가구를 조립할 수 있으며,
2) 자석이 자력 결합을 하기 때문에 보조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3) 다중 구조의 커넥터가 높은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에 강한 결합력과 함께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4) 패널에 함입 형성된 슬릿을 통해 커넥터 내부 물질이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분해가 간편해지고,
5) 커넥터에 방향 필름을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방향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6) 슬릿 방향을 기준으로 구획을 나눠 충진재를 충진하기 때문에, 충진재가 빠르게 패널 외부로 빠져나와 가구 분해 시 작업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와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자석이 추가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의 결합도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가구를 조립할 때 사용되는 선반이나 프레임과 같이 가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못과 같은 접합철물 없이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이용하여 방향과 같은 추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면에서는 가구용 패널의 결합에 대한 실시예만 도시하였지만,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패널과 패널, 패널과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과 프레임 간의 결합과 같이 가구를 이루는 구성들의 모든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와 결합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표면의 적어도 일 측에 함입 형성된 제 1 커넥터용 함입부(11)를 구비한 제 1 패널(10)과, 상기 제 1 패널(10)의 함입부가 형성된 표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 형성된 제 2 커넥터용 함입부(21)를 구비한 제 2 패널(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의 체적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수용 결합되는 커넥터(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는 상기 제 1, 2 패널(10, 2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의 위치에는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와 커넥터(30)의 개수 역시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가구를 제작할 때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와 커넥터(30)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2 패널(10, 20)의 결합 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양 끝단에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를 형성하여, 총 두 개의 커넥터(30)를 이용해 상기 제 1, 2 패널(10, 20)을 연결하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커넥터(30)의 크기는 그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너비와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한 패널 세트의 결합에 여러 개의 커넥터(30)를 이용할 경우, 한 개의 커넥터(30)를 이용할 때에 비해서 커넥터(30)의 너비와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는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육면체나 구 형상 등 여러 형상으로 제작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서리가 부드럽게 처리된 육면체 형상의 커넥터(30)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커넥터(30)의 재질 역시 그 제한을 두지 않는데, 목재와 같이 단단한 재질 뿐 아니라 실리콘이나 경질 고무와 같이 가구의 연결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강도와 동시에 높은 탄성력을 가져 탄성 변형에 용이한 고탄성의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30)와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의 체적 차이는 커넥터(30)의 재질에 따라 그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커넥터(30)의 재질로 목재와 같이 탄성이 없는 재질을 선택하는 경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와 커넥터(30)의 체적이 일치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넥터(30)의 재질로써 탄성체를 선택했을 경우, 커넥터(30)의 체적을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 대비 100% 내지 110% 내외로 적용할 수 있다. 외부에서 가한 응력에 의해 탄성을 가진 커넥터(30)가 압축되어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끼움 조립된다.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끼워진 커넥터(30)에는 압축응력이 가해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의 체적과 일치하는 커넥터(30)를 끼움 조립 했을 때보다 더 강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는 가구는 못과 같은 접합철물을 이용하지 않고 커넥터와 커넥터용 함입부 사이의 끼움 결합을 이용해 가구의 패널, 프레임 등을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어 못이나 드라이버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손쉽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구 공장과 같은 곳은 물론이고, 개인이 직접 가구를 조립하는 DIY 가구 제작에 있어서도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기존의 나사못과 나사공을 이용하는 방법과 다르게 결합부가 외관에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존 가구의 연결부나 측면에 드러나 있던 나사못이 빠질 경우 가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드러난 나사못에 의해 다칠 수 있었던 기존 가구 문제점이 해결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미관 역시 수려해지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넥터(30)를 이용해 가구를 조립할 때, 커넥터(30)를 보조하는 결합도구를 추가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가구 프레임의 경우 가구 전체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패널 간의 연결보다 더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2 패널(10, 20)에 자석을 삽입하여 결합의 보조 수단으로써 이용 할 수 있는데, 이 때 강한 자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네오디뮴(Nb) 자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자석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패널(10)은,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11)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제 1 자석용 함입부(12)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1 자석용 함입부(12)에 제 1 자석(40)이 함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널(20)은, 상기 제 2 커넥터용 함입부(21)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제 2 자석용 함입부(22)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자석용 함입부(22)에 제 2 자석(41)이 함입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2 자석(40, 41)은 자력 결합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2 자석(40, 41)을 상기 제 1, 2 자석용 함입부(12, 22)에 삽입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접착용제를 이용해 자석을 자석용 함입부에 부착하거나, 자석의 측면을 탄성체로 감싼 뒤 탄성체로 감싼 자석을 자석용 함입부에 끼움 조립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2 자석(40, 41)을 상기 제 1, 2 자석용 함입부(12, 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자석의 크기, 형태, 개수와 사용 범위는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 1, 2 패널(10, 20)의 결합과, 제 1, 2 프레임(10′, 20′)의 결합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한 패널과 패널, 프레임과 프레임의 결합 뿐 아니라 패널과 프레임 간의 결합과 같이 가구를 이루는 구성들의 모든 결합에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가구 구성요소의 연결에 있어 자석을 결합 보조 수단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서 커넥터(30)가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 1, 2 자석(40, 41)의 자력 결합에 의해 연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가구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30)를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용이하게 끼움 조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1, 2 패널(10, 20)을 단단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커넥터(30)가 높은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커넥터(30)를 탄성체로 제작하여 강도와 탄성 조건을 충족시킬 수도 있으나, 하기의 실시예와 같이 다중 구조의 커넥터(30)를 구성하여, 그 강도와 탄성을 조절하는 방법 역시 가능하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의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3,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30)를 다중 재질의 복합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커넥터(30)에 요구되는 높은 강도와 탄성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응력을 가할 시 완충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는 코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하드 재질인 제 1 충진재(35)와, 상기 제 1 충진재(35)를 둘러싸고 있으며 유체인 제 2 충진재(36), 그리고 상기 제 2 충진재(36)를 둘러싸 최외각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연질 고무인 커넥터 표면재(37)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충진재(35)는 목재와 같은 하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넥터(30) 체적의 70% 내지 90%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충진재(35)는 상기 커넥터(30)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2 패널(10, 20)의 결합의 기반이 되는 지지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충진재(36)는 그 내부에 기공(39)을 포함하는 유동성 겔(gel)로서, 재질의 종류에는 그 제한을 두지 않아, 유동성 겔(gel)을 형성하는 다양한 물질이 제 2 충진재(36)로서 이용될 수 있다. 외부에서 응력을 가할 시, 상기 제 2 충진재(36) 내부에 포함된 기공(39)이 압축되면서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쉽게 삽입되게끔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커넥터 표면재(37)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생고무에 가황을 첨가한 연질 고무과 같이 풍부한 탄성을 지녀 쉽게 찢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커넥터(30)에 높은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 표면재(37)는 상기 제 2 충진재(36)를 감싸, 상기 제 2 충진재(36)가 커넥터(30)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표면재(37)의 두께 역시 한정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 2 충진재(36)를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30) 두께의 5% 내지 10%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3중 구조의 커넥터(30)는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 1 충진재(35)에 의해 커넥터(30)의 강도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충진재(36)는 끼움 조립 시 응력에 의해 쉽게 압축되므로 끼움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패널이나 프레임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덧붙여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로부터 상기 제 1, 2 패널(10, 20)의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함입 연장 형성되는 슬릿(5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구의 분해 시 상기 커넥터(30)를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서 쉽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슬릿(50)이라 함은 상기 제 1, 2 패널(10, 20) 중 하나의 외측면과 상기 패널에 구비된 커넥터용 함입부(11, 21)를 내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2 패널(10, 2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커넥터용 함입부(11, 21)와 상기 패널(10, 20)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커넥터(30)를 상기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결합시킬 경우 슬릿(50)을 통해 바늘(60)과 같은 미세하고 첨예한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커넥터 표면재(37)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 충진재(36)가 상기 슬릿(50)을 통해 슬릿(50)을 구비한 패널의 외측면으로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충진재(36)가 빠져나간 상기 커넥터(30)는 그 체적이 상기 커넥터용 함입부(11, 21)에 비해 작아지게 되므로, 커넥터(30)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릿(50)을 통해 상기 커넥터 표면재(37)에 구멍을 뚫어, 손쉽게 가구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흘러나온 제 2 충진재(36)를 제거하고 커넥터(30)를 교체하는 방법을 통해 재조립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릿(50)이 제 1 패널(10)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슬릿(50)은 제 2 패널(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제 1, 2 패널(10, 2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의 슬릿(50)을 가진 구조를 택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릿(50)은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원기둥이나 삼각기둥, 사각기둥과 같은 기둥 형태 뿐 아니라 테이퍼 형태의 슬릿(50) 역시 가능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슬릿(50)을 적용한,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구가 사용되어지는 환경에 분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을 경우, 상기 슬릿(50)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측이 외측보다 넓은 테이퍼 슬릿(50)을 상기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적용하면, 이물질이 상기 슬릿(50)을 통해 커넥터용 함입부(11, 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커넥터 표면재(37)에 방향 성분을 함유한 방향 필름(38)을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향 성분이 상기 슬릿(50)을 통해 패널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0)에 방향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 필름(38)에 대한 적층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액체 타입의 방향제를 커넥터 표면재(37)에 발라 건조시키는 방법이나, 스프레이 타입의 방향제를 커넥터 표면재(37)에 뿌리는 방법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방향 성분에 대해서도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향의 방향 성분을 상기 커넥터(30)에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방향 필름(38) 내에 함유된 방향 성분은 시간에 따라 점차 휘발되어 상기 슬릿(50)을 통해 가구 밖으로 빠져 나간다. 이를 통해 가구를 통해 방향 효과를 줄 수 있어, 가구를 이용하여 수납과 함께 방향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향 성분이 모두 휘발되었을 경우에도,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분해한 뒤 상기 커넥터(30)를 교체하여 재조립함으로써 방향 필름(38)의 교체 역시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릿(50)을 통한 제 2 충진재(36)의 방출을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30)의 내부 구조를 변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가구의 분해 시, 상기 제 2 충진재(36)의 방출 속도를 높여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관한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슬릿(50) 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 제 1 영역(31)과, 상기 제 1 영역(31)에 인접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릿(50) 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32)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제 1, 2 영역(31, 32)은 슬릿(50) 측에 대해 수직에 준하게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31)은 제 1 충진재(35)로, 상기 제 2 영역(32)은 제 2 충진재(36)로 각각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영역(31, 32)은 상기 커넥터 표면재(37)로 감싸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50)에 바늘(60)을 삽입하여 상기 커넥터 표면재(37)에 구멍을 뚫을 경우, 상기 제 2 영역(32)에 충진된 상기 제 2 충진재(36)가 슬릿(50)을 통해 슬릿(50)이 구비된 패널의 외측면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 때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2 영역(32)이 상기 슬릿(50) 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제 2 충진재(36)의 방출 속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커넥터(30)를 이용한 가구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영역(31)과 제 2 영역(32)의 체적 비율은 그 제한을 두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제 1 영역(31)과 제 2 영역(32)의 비율을 조정하여 커넥터(3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향 필름(38)을 적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패널과 패널, 패널과 프레임, 그리고 프레임 간의 결합과 같이 가구를 이루는 구성들의 모든 결합에 응용할 수 있고, 커넥터의 구조를 변형하여 재조립 및 분해에 더욱 용이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향 필름을 적층하여 가구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기호 역시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DIY 가구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 맞추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조립과 분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까지 만족할 수 있는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 1 패널 10′: 제 1 프레임
11 : 제 1 커넥터용 함입부 12 : 제 1 자석용 함입부
20 : 제 2 패널 20′: 제 2 프레임
21 : 제 2 커넥터용 함입부 22 : 제 2 자석용 함입부
30 : 커넥터 31 : 제 1 영역
32 : 제 2 영역 35 : 제 1 충진재
36 : 제 2 충진재 37 : 커넥터 표면재
38 : 방향 필름 39 : 기공
40 : 제 1 자석 41 : 제 2 자석
50 : 슬릿 60 : 바늘

Claims (6)

  1.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표면의 모서리 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일 측에 함입 형성된 제 1 커넥터용 함입부를 구비한 제 1 패널;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가 형성된 상기 제 1 패널의 표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 형성된 제 2 커넥터용 함입부를 구비한 제 2 패널;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의 체적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2 커넥터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상기 제 1 커넥터용 함입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제 1 자석용 함입부와, 상기 제 1 자석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제 1 자석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제 1 자석용 함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자석(41)용 함입부와, 상기 제 2 자석용 함입부에 수용 결합되는 제 2 자석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제 1, 2 자석이 자력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코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하드 재질인 제 1 충진재;
    상기 제 1 충진재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유동성 겔인 제 2 충진재;
    상기 제 2 충진재를 둘러싸 최외각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연질 고무인 커넥터 표면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 표면재와 상기 패널의 외측면을 내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과 상기 커넥터용 함입부가 이격된 거리에 상응하며, 상기 패널 내에 함입 연장 형성된 슬릿;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표면재에는,
    방향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방향 필름;을 추가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릿 측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릿 측에 형성된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슬릿에 대해 수직에 준하게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60006775A 2016-01-20 2016-01-20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87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75A KR20170087144A (ko) 2016-01-20 2016-01-20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75A KR20170087144A (ko) 2016-01-20 2016-01-20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144A true KR20170087144A (ko) 2017-07-28

Family

ID=5942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775A KR20170087144A (ko) 2016-01-20 2016-01-20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7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58A (ko) * 2018-02-27 2019-09-04 엠티케이솔루션 주식회사 조립식 옷장
FR3097416A1 (fr) * 2019-06-19 2020-12-25 Antoine IMBERT Element d’ameubl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58A (ko) * 2018-02-27 2019-09-04 엠티케이솔루션 주식회사 조립식 옷장
FR3097416A1 (fr) * 2019-06-19 2020-12-25 Antoine IMBERT Element d’ameub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735B1 (en) Joint structure as reinforcing rib to injected frame of door leaf with glass
TWI484707B (zh) 用於連接一電子裝置之電絕緣區段之雙節關節及其製造方法
JP2013001376A (ja) 2つに分割できるサーフボード又はパドルボード。
KR20170087144A (ko) 조립식 가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USD869567S1 (en) Locomotion play construction kit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US20160341243A1 (en) Assembly for ball and socket joints
US20130143466A1 (en) Assembly toy
KR101563632B1 (ko) 완구용 조립블록
CN108721913A (zh) 一种能提供更多玩法的磁性积木组合
JP2005240991A (ja) 多機能モジューラ・フレーム構造
KR20160029424A (ko) 종이 완구
CN202061385U (zh) 多方位快速拼接盒
KR10132565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기둥용 외피
KR101557240B1 (ko) 가구용 패널
CN103615448A (zh) 分体组合式医用床头柜的连接结构
JP2007181588A (ja) ブロック玩具。
KR102050705B1 (ko) 다각형 모듈 조립구조체 및 그것의 조립방법
CN104553219A (zh) 一种皮革、白卡纸与塑胶产品粘合结构及粘合方法
KR101557001B1 (ko) 조립식 가구
JP2019190579A (ja) 部材同士を接合するための接合具、ならびに部材同士を接合する接合構造
JP3143553U (ja) 枠材のコーナー接合部材
KR20130104040A (ko) 책상
KR200222812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320340Y1 (ko) 조립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