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408A -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408A
KR20170085408A KR1020160023803A KR20160023803A KR20170085408A KR 20170085408 A KR20170085408 A KR 20170085408A KR 1020160023803 A KR1020160023803 A KR 1020160023803A KR 20160023803 A KR20160023803 A KR 20160023803A KR 20170085408 A KR20170085408 A KR 2017008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resent
pixel
conductiv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박윤배
Original Assignee
박윤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배 filed Critical 박윤배
Publication of KR2017008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용 통신기기용 필름을 구성하는 상부의 제 2 도전성 필름상에는 격자형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하부의 제 2 도전성 필름상에는 격자형의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패턴을 형성하여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터치패널 위에 부착된 본 발명의 휴대용 보호필름을 터치하는 경우에 스마트폰 터치패널 표면의 정확한 지점이 터치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Protective Film for Touch Input}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용 통신기기용 필름을 구성하는 상부의 제 2 도전성 필름상에는 격자형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하부의 제 2 도전성 필름상에는 격자형의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패턴을 형성하여 비전도성 물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터치패널 위에 부착된 본 발명의 휴대용 보호필름을 터치하는 경우에 스마트폰 터치패널 표면의 정확한 지점이 터치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특히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Capacitive Overlay) 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보호필름과 관련된 기술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기능에 치중하거나, 터치 감도를 높이는 기술 개발에 주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
최근에는 장갑을 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로 장갑을 낀 손가락으로 휴대폰 및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정보 입력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필름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휴대용 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 보호필름이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휴대용 통신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의 커버 (뚜껑) 를 비정전 물체에 의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투명한 보호필름으로 구현한다면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상품성이 증대되어 새로운 시장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고자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보호필름 기술이 특허등록 10-1537659-0000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및 특허출원 10-2013-103345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에 개시되었다.
다만,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발명으로 제품을 구현해 보면, 사용자가 종래의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눌러서 스마트폰상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의 정확한 부분이 터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가끔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ㄱ' 을 터치하고자 하더라도 'ㄱ' 부분이 터치되지 못하고 옆에 위치한 부분이 터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제 1 도전성 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로 인하여 서포트가 설치된 부분은 터치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과 유사한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등록 10-1537659-0000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및 특허출원 10-2013-103345 (발명의 명칭: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플럭스(FLUX) 를 제 1 도전성층 필름을 패턴화하여 각각의 도전성부가 서로 단락이 되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도전성부에 전자플럭스를 모아두었다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상단 중 일점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제 2 도전성층 필름이 제 1 도전성층에서 접촉되는 특정한 도전성부 눌러서 터치입력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터치되도록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용 통신기기는 제품의 생산시에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 등 터치패널을 누르는 부분 (예를 들어 손가락의 닿는 부분의 크기) 을 감안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때문에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를 누를 때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이 인식되는 부분의 크기를 제품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도전성부의 가로 세로 길이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제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 대한 터치입력시 휴대용 통신기기의 터치패널은 보호필름을 통한 터치입력을 오작동 없이 인식을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로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으로,
제 1 보강층; 상기 제 1 보강층 위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성층; 상기 제 1 도전성층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전성층; 및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2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마주보는 안쪽 테두리는 테두리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은 전후좌우로 같은 모양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이 형성되고, 각각의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에칭에 의해 제거된 에칭부를 형성하고, 상기 에칭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도전성층은 전후좌우로 같은 모양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에칭되어 에칭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2 보강층위에는 제 2 도전성층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도전성층 위에는 제 3 보강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보강층 밑면에는 상기 보호필름의 폭의 길이보다 더 연장되게 구성된 보호필름 고정시트층에 더 접착되고, 상기 보호필름 고정시트층은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밀착되게 놓인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의 옆면과 밑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로 정보의 입력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으로, 제 1 보강층; 상기 제 1 보강층 위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성층;
상기 제 1 도전성층 위에 위치하는 제 3 도전성층; 및
상기 제 3 도전성층 위에 결합되는 제 3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도전성층의 마주보는 안쪽 테두리는 테두리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은 전후좌우로 같은 모양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배치되는 격자무늬 모양이 형성되고, 각각의 격자무늬의 경계선은 에칭에 의해 제거된 에칭부를 형성하고, 상기 에칭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도전성물질로 구성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도전성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3 도전층의 밑면에는 도전성잉크가 바둑판의 선모양으로 패턴화되도록 메탈인쇄된 도전성잉크 패턴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은,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는 픽셀들로 구성된 보호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셀들의 각각의 픽셀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다수개의 픽셀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도성 물질로 상기 보호필름을 터치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보호필름에서 터치된 부분과 맞닿는 부분이 터치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픽셀들 중 하나의 픽셀은 이격되어 있는 다른 픽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픽셀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터치가 되면 상기 다른 픽셀로 상기 터치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나의 픽셀은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다른 픽셀은 상기 전기적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과 동일한 숫자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전기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 영역은, 상기 다른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들과 서로 독립적으로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은,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에 도포되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는 픽셀들로 구성된 보호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의 양면의 각각의 픽셀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다수개의 픽셀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도성 물질로 상기 보호필름을 터치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보호필름에서 터치된 부분과 맞닿는 부분이 터치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픽셀들 중 하나의 픽셀은 이격되어 있는 동일한 면의 다른 픽셀 또는 다른 면의 다른 픽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픽셀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터치가 되면 상기 다른 픽셀로 상기 터치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나의 픽셀은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동일한 면의 다른 픽셀 또는 다른 면의 다른 픽셀은 상기 전기적으로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과 동일한 숫자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전기적으로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 영역은, 상기 동일한 면의 다른 픽셀 또는 다른 면의 다른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들과 서로 독립적으로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은 휴대폰,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신체 (특히 손가락) 나 전극팁을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이 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뿐 아니라,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도전성층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도전성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도전성부의 경계면이 에칭공법에 의해 식각되어 각각의 도전성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구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누르는 경우에 눌려지는 부분이 정확하게 휴대용 통신기기가 인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도전성층을 바둑판 무늬 모양을 가지고, 그리드 형태를 가지는 서로 교차하는 선으로 구성된 도전성부만이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에칭공법에 의해 도전성 필름이 제거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 2 도전성층이 제 1 도전성층과 접촉시에 제 2 도전성층이 접촉되는 면적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제 2 도전성층이 제 1 도전성층에 늦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서 터치입력에 대한 반응이 정확하고 빠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은 서브 서포트를 설치하지 않더라고 사용자가 보호필름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다가 멈추는 경우 제 2 도전성층이 즉각적으로 제 1 도전성층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종래 특허문헌에 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서브서포트가 설치된 부분은 각 도전성층이 서로 터치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터치입력이 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서브서포트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제 2 도전성층의 복원력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공기층이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시 휴대용 통신기기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립커버 사용시 전화 또는 문자 등이 왔을 때 상단을 열고 확인을 하거나, 조작을 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이 커버로 사용되기 때문에 보호필름으로 구성된 커버를 열지 않고, 직접 커버인 보호필름 위를 눌러서 휴대용 통신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휴대폰용 방수케이스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방수케이스에서 휴대용 통신기기를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도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정보의 입력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부착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적층구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 사이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물이나 습기 등이 묻은 경우에도 휴대용 통신기기에 대한 터치입력이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설명한 예시사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도전성층에 도전성 잉크로 패턴화되게 인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적층구조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도전성층에 도전성 잉크로 패턴화된 모양으로 메탈인쇄가 된 모습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픽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픽셀위에 코팅층이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코팅층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1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1 에 대해 뒤집어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의 설명을 돕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도시된 변형된 픽셀이 설치된 보호필름에 실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와 B 파트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와 B 파트의 변형된 제 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와 B 파트의 변형된 제 3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1 은 도 17 에 도시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B 파트가 모두 필름 상단에 설치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22 는 도 17 에 도시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는 필름 상단에 설치되고 B 파트는 필름 하단에 설치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23 은 도 17 에 도시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 및/또는 B 파트에 구멍이 형성된 구성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적층된 각각의 층들의 두께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두껍게 또는 얇게 표현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부착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이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상에 터치입력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대하여 터치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는 정전방식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스마트폰 등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표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 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열고 닫는 커버로 사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와 달리 휴대폰 케이스의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커버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을 열지 않더라도, 즉 휴대폰 케이스의 커버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볼펜 등으로 보호필름 (100) 을 터치하여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적층구조도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도 1 의 A 부분인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위에 구성되는 패턴화된 제 2 도전성층 (2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과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의 마주보는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테두리 접착층 (3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의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착되는 제 1 보강층 (18),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의 위에서 제 2 도전성층 (20) 과 접착되는 제 2 보강층 (28), 상기 제 1 보강층 (18) 의 하부면에 접착되는 전면접착층 (60) 의 타면과 접착되는 보호필름 고정용 시트층 (106), 상기 제 2 보강층 (28) 의 상부 전면에 전면접착층 (40) 이 도포되고, 상기 전면접착층 (40) 의 타면과 접착되는 제 3 도전성층 (50) 및 상기 제 3 도전성층 (50) 의 상부 전면에 도포되는 제 3 보강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제 2 도전성층 (20) 및 제 3 도전성층 (50) 은 투명 도전성 박막층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ITO (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공지의 제품으로 PET 소재 또는 PP 등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필름 또는 박막의 유리층으로 구성된 보강층 (18, 28, 58) 과 함께 합지되어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은 양면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의 안쪽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폭이 1.5 ~ 1.8 mm 로 되게 구성된 양면테이프가 테두리 접착층 (30) 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 (30) 에 의해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안쪽 부분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고, 또한 외부의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폐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도전성층 (50) 은 표면이 아무런 패턴화가 되지 않게 구성이 된 ITO 투명도전성 박막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이 격자무늬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턴화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강층으로 패턴화되지 않은 투명전극 필름인 제 3 도전성층 (50) 을 제 2 도전성층 (20) 위의 제 2 보강층 (28) 위에 접착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맨 아래면에 그 길이가 보호필름의 가로 폭의 길이보다 더 연장되게 구성되고, 유연성을 보유한 PET 소재 또는 PP 소재로 구성된 보호필름 고정 시트층 (106) 을 접착되게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고정 시트층 (106)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100) 이 휴대용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상에 밀착되게 덮혀진 상태에서 휴대용통신기기 (110) 의 우측 또는 좌측의 측면과 밑면 부분에 밀착하게 놓여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시중에 판매하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에 휴대용 통신기기 (110) 를 장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100) 이 휴대용통신기기 (110) 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뚜껑)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면접착층 (40, 60) 은 접착력을 보유한 박막층으로, 종래의 제품인 광학용 투명양면 테이프가 사용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과 제 2 도전성층 사이의 세부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1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서 제 2 도전성층의 패턴화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은 제 1 보강층 (18) 위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도전성부의 경계선이 에칭처리되어 패턴화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은 제 2 보강층 (28)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의 격자무늬의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폭 보다 더 좁은 격자무늬 모양으로 도전성부 (21) 가 패턴화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와 제 1 보강층 (18) 은 휴대용 통신기기 (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은 격자무늬 모양으로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경계가 에칭되도록 패턴화되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의 도전성부 (11) 와 각각의 도전성부 (11) 사이는 에칭에 의해 ITO 투명전극필름 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각각의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이 되도록 하는 에칭부 (13) 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에칭부 (13) 의 폭은 최대한 좁게 구성될수록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오작동 없이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들 (11) 이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이 되고 격자무늬 패턴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도전성부 (11) 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부 (118) 가 신호를 입력받는데 정확성이 높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에 격자무늬 모양으로 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도전성부 (11) 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패턴을 형성하게 되고, 제 1 도전성부 (10) 및 제 1 보강층 (18) 이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용 통신기기 (110) 는 외부의 도전성 필름이 닿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정전용량 터치 판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118) 와 일체화되어 있다고, 휴대용 통신기기 (110) 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인식을 한다.
따라서 격자무늬 모양으로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들중 일정 지역의 도전성부 (11) 가 눌려지는 경우에 터치되어 입력되는 정보의 인식이 잘못되는 오작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1) 처럼 서로 단락된 도전성부 (11) 로 패턴화되지 않은 도전성 박막 필름으로 구성되었던 종래의 도전성층에서는 손가락 등으로 눌려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118) 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부분까지 정보가 인식되는 오류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 1 도전성층 (10) 을 도 4 와 같이 패턴화하여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은 격자 무늬를 가지고 바둑판의 선과 같은 서로 교차하는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와 서로 교차하는 선 모양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외의 부분에 대해 에칭처리하여 도전성 ITO 투명전극 물질이 제거된 에칭부 (23)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의 서로 교차되는 선 모양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는 ITO 투명전극필름으로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선 모양의 각각의 도전성부 (21) 의 간격의 길이는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에 형성된 각각의 도전성부 (11) 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구성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의 아래면이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볼펜 등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되는 선 모양으로 구성되고, ITO 필름으로 구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부 (21) 가 형성된 제 2 도전성층 (20) 를 눌러서, 에칭되지 않아 돌출된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제 1 도전성층 (10) 의 일정 지점의 도전성부 (11) 를 터치하게 되면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전기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안쪽 외곽을 따라서 테두리 접착층 (30) 이 끊어짐이 없이 연결되어 공기층 (25) 의 외부와 밀폐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2 도전성층 (20) 사이에는 외부와 차단된 공기층 (25) 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볼펜으로 제 2 보강층 (28) 을 눌러서 제 2 도전성층 (20) 의 전기적으로 서로 교차되게 연결된 돌출된 선 모양의 도전성부 (21) 를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시킨다. 만일,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볼펜으로 더 이상 제 2 보강층 (28) 을 누르지 않는다면, 공기층 (25) 에 의해 발생한 복원력에 의해 제 2 보강층 (28) 과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는 제 1 도전선층 (10) 의 도전성부 (11) 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에서 제 1 도전성부 (10) 와 접촉하는 서로 교차하는 선모양의 도전성부 (21) 에서 각각의 도전성부 (21) 의 선 (line) 의 두께를 1mm 이하로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제 2 보강층 (28) 을 누르지 않는다면 선의 두께가 극히 짧은 제 2 도전성층 (20) 의 도전성부 (21) 가 제 1 도전성층 (10) 의 도전성부 (11) 와 접촉하는 면적이 극히 좁기 때문에 접촉이 신속하게 해제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전성층 (20) 에서 에칭이 되지 않은 ITO 투명필름의 도전성부 (21) 의 선 (line)의 폭의 두께, 즉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제 2 도전성층 (20) 을 누르는 경우, 상기 손가락 등으로 눌려져서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에 접촉되는 상기 제 2 도전성층 (20) 도전성부 (21) 의 면적이 넓게 구성된다면, 본 발명의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제 2 보강층 (28) 의 누름을 중지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이 전기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의 접촉을 신속하게 실시간적으로 해제하지 못하고 미세한 시간차이를 두고 전기적으로 접촉이 해제되는 시간 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층 (10, 20, 50) 은 박막의 ITO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된 것으로, ITO, 증착, 메탈 인쇄, UV성형 등으로 패턴모양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전성층 (10, 20, 50) 인 도전성 필름에 대한 패턴화 공정은 도전성 필름 제작 업체에서 구매 또는 내 스크래치성을 가지고 있는 자재 (PET, PC 등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자재) 및 유리패널 등을 구매하여 상기 도전성 필름에 코팅, 인쇄, 도포 (ITO, 증착, 메탈인쇄, 성형) 를 한 후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층 (10, 20, 50) 에 대한 도전성부 (11, 21) 및 에칭부 (13, 23) 로 패턴형성은 레이져, 식각, 인쇄, 성형, 사출 등 현재 공지되어 있는 모든 작업방식으로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물이나 습기 등이 묻은 경우에도 휴대용 통신기기에 대한 터치입력이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설명한 예시사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에서 패턴화된 제 2 도전성층 (20) 및 제 2 보강층 (28) 위에 전면접착층 (40) 에 의해 접착되는 제 3 도전성층 (50) 및 제 3 보강층 (58) 이 더 도포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층 (20) 은 바둑판의 선 (line) 모양처럼 패턴화되고, 바둑판의 선 부분에 해당되는 얇은 선의 폭의 도전성부 (21) 는 에칭되지 않고 나머지 부분의 ITO 필름은 모두 에칭되어 도전성필름이 제거된 에칭부 (23) 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도전성부 (20) 는 바둑판 패턴의 교차하는 선 모양으로 패턴화되기 때문에 ITO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부분은 가로 및 세로로 교차하는 선으로 구성된 도전성부 (21) 에 국한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역은 에칭부 (23) 로서 도전성 물질이 에칭처리되어 도전성 물질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하에서 본 발명의 제 2 보강층 (28) 필름 위에 물이 떨어져 묻어 있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 2 보강층과 제 2 도전성층 (20) 을 눌러서 휴대용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터치입력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118) 에 터치입력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휴대용 통신기기 (110) 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플럭스 (flux) 가 본 발명의 제 2 보강층 (28) 위에 묻은 물로 인하여 패턴화된 제 2 도전성층 (20) 과 제대로 전기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위, 즉 제 2 보강층 (28) 위에 물이 묻은 경우에 터치입력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보강층 (28) 위에 표면에 제 3 도전성층 (50) 과 제 3 보강층 (58) 을 더 접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도전성층 (50) 은 패턴화를 위한 에칭작업을 수행하지 않은 ITO 투명전극 필름으로 구성된다.
종래에 판매되는 휴대폰용 방수케이스에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을 넣은 상태에서 방수케이스 표면을 누르게 되는 경우, 방수케이스 속에 담겨진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 (118) 를 조작하기 위한 터치입력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도전성층 (50) 이 더 코팅되어 있는 보호필름 (100) 을 종래의 휴대폰용 방수케이스에 적용시키면 휴대폰용 방수케이스에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을 넣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호필름 (100) 이 설치된 방수케이스 표면을 누르면 방수케이스 속에 담겨진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대한 터치입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3 도전성층에 도전성 잉크가 패턴화된 모양으로 인쇄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적층구조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은 도 4 에서와 같이 패턴화된 제 1 도전성층 (10) 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위에는 제 3 도전성층 (50) 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과 상기 제 3 도전성층 (50) 의 마주보는 안쪽 가장자리 부분을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테두리 접착층 (30), 상기 제 1 도전성층 (10) 의 아래에서 제 1 도전성층 (10) 의 하면과 접착되는 제 1 보강층 (18), 상기 제 3 도전성층 (50) 의 위에서 제 3 도전성층 (50) 의 상면과 접착되는 제 3 보강층 (58) 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보강층 (50) 의 하면에는 제 2 도전성층 (20) 과 제 2 보강층 (28) 으로 구성된 ITO 필름 대신에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가 바둑판의 선모양으로 패턴화되게 도전성잉크로 메탈인쇄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1 보강층 (18), 제 2 도전성층 (20) 과 제 2 보강층 (28), 제 3 도전성층 (50) 과 제 3 보강층 (58) 으로 구성된 3 장의 제품화된 ITO 필름이 필요하지 않고, 2 장의 ITO 필름을 가지고 동일한 구성의 보호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의 구성과 달리, 제 2 도전성층 (20) 상기 제 2 보강층 (28) 의 상부 전체면에 전면접착층 (40) 이 도포되고, 상기 전면접착층 (40) 의 타면과 접착되는 제 3 도전성층 (50) 및 상기 제 3 도전성층 (50) 의 상부 전면에 도포되는 제 3 보강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전성층 (10) 및 제 3 도전성층 (50) 은 투명 도전성 박막층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ITO (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공지의 제품으로 PET 소재 또는 PP 등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의 필름 또는 박막의 유리층으로 구성된 보강층 (18, 58) 과 함께 합지되어 판매되고 있다.
도 7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에서는 합지된 상태로 판매되는 제 2 도전성층 (20) 및 제 2 보강층 (28) 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 3 도전성층 (50) 에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를 바둑판의 선모양으로 패턴화되게 도전성잉크로 메탈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인쇄된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는 3 내지 20 미크론의 높이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접착층 (30) 은 양면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층 (10) 과 제 3 도전성층 (50) 의 안쪽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폭이 1.5 ~ 1.8 mm 로 되게 구성된 양면테이프가 테두리 접착층 (30) 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 (30) 에 의해 제 1 도전성층 (10) 과 볼록하게 형성된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가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안쪽 부분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고, 또한 외부의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폐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도전성층 (50) 은 ITO 투명 도전성 박막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는 격자무늬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패턴화되게 제 3 도전성층 (50) 상에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도전성층 (50) 상에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을 바둑판 무늬 모양을 가지고, 그리드 형태를 가지는 서로 교차하는 선으로 구성된 메탈인쇄된 도전성 잉크로 구성되기 때문에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가 제 1 도전성층 (10) 과 접촉시에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의 접촉되는 면적이 매우 적기 때문에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가 제 1 도전성층 (10) 으로부터 늦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서 터치입력에 대한 반응이 정확하고 빠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3 도전성층에 도전성 잉크로 패턴화된 모양으로 메탈인쇄를 한 모습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도전성층 (20) 대신에 제 3 도전성층 (50) 상에 도전성잉크를 이용하여 도전성잉크 패턴부 (121) 를 바둑판의 선모양으로 패턴화하여 메탈인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9 는 종래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도 9 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에 필름 (120) (얇은 두께의 글라스, 아크릴 등) (이하 '필름'이라 함)을 사용하여 만든 제품은 손가락으로 필름 (120) 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패널이 설치된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 (118) 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덮개로 사용되는 필름 (120) 을 열고 사용하여야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 필름 (120) 에 전도성 물질 (ITO, 메탈증착 등) 을 도포(코팅) 한다. 도포한 전도성 물질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픽셀 (122) 을 형성한다. 자르는 방법은 레이저커팅, 에칭 등이 있다. 이외에도 전도성 물질을 불연속적으로 필름 (120) 위에 도포하는 방법도 있다.
만일 전도성 물질이 픽셀 (122) 단위로 커팅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전도성 물질이 필름 (120) 전체에 도포된 구성이라면 휴대용 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 (118) 가 작동하지 않아서 터치패널에서 터치인식이 되지 않는다. 즉, 손가락이 아닌 손바닥 전체로 터치패널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패널이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한변의 길이가 1mm ~ 10mm 정도의 정사각형인 전도성 픽셀 (122) 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픽셀의 크기는 특정되지 않고 터치패널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서 혹은 추구하는 기능에 따라서 크기와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120) 위에 전도성 물질을 전부 코팅 후 에칭 (레이저 커팅 등)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도성 물질을 불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픽셀 (122) 의 크기를 잘 조절하면 아주 작은 접촉 면적을 갖는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바늘 등)을 가지고 픽셀 (122) 에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픽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픽셀 (122) 은 터치패널이 설치된 스마트폰에 부착된 터치패널과 더치패널이 장착된 기기의 추구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첩되는 부분이 많은 것이 좋은 경우에는 픽셀 (1221, 1222)의 영역이 도 12 의 (a) 및 (b) 와 같이 중첩되는 형태가 유리한 경우가 있다.
이때의 효과는 터치가 되었을 때 Flux가 모여있는 픽셀 (1221, 1222) 의 단면적을 증가시켜주는 효과로 터치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며 중첩되게 터치하기 힘든 작은 터치펜의 경우에도 사선모양으로 선을 그었을 때 직진성(Linearity)를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픽셀위에 코팅층이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코팅층에 개방된 구멍을 낸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면,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픽셀 (122) 이 바깥에 노출이 되어 있어야 손가락 등을 이용한 터치시에 터치패널 (118) 로 인식이 잘된다. 즉 터치펜 등의 전도성을 가지는 터치용 기구과 픽셀 (122) 이 직접 닿아야 터치인식이 잘된다.
그러나 픽셀 (122) 이 외부에 노출되어있으면 산화나 까짐, 내화장품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종으로 코팅층 (128) 을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픽셀 (122) 을 코팅층 (128) 이 덮으므로 손가락 등으로 보호필름을 터치를 하는 터치패널 (118) 이 터치를 잘 인식하지 못하여 터치 반응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코팅층 (128) 을 얇게 하면 갤럭시 같은 민감도가 좋은 터치패널을 가지는 스마트폰 기기는 동작하지만 아이폰 같이 터치패널의 터치 민감도가 떨어지는 스마트폰은 터치에 대한 인식률이 떨어진다. 코팅층 (128)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재로서는 동작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있다.
터치패널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118) 의 터치에 따른 반응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코팅층 (128) 에 적당한 크기의 구멍 (133) 을 내어 손가락이나 기타 터치를 위한 물질과 픽셀 (122) 과의 접촉을 도움으로써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4 에서는 하나의 픽셀 (122) 에 대응되는 코팅층 (128) 에 형성된 구멍 (133) 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a) 및 (a) 의 큰 네모박스가 하나의 픽셀이며 파란 것은 코팅층(128)에 생성된 구멍 (133) 이다. 또한 얇은 코팅필름을 붙이는 방안도 있을 수 있다. 코팅필름을 붙이는 경우에도 구멍을 뚫으면 터치에 대한 터치반응이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픽셀 (122) 을 스마트폰의 자판의 버튼과 유사한 크기로 유사한 위치에 배열하면 터치를 했을 때 오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
도 15 는 도 11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1 에 대해 뒤집어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은 도 11 에 도시된 것을 뒤집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픽셀 (122) 이 스마트폰 등의 터치패널부가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118) 에 직접 맞닿게 되면 부착하여 사용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에 손가락 터치에 대해 스마트폰이 터치를 감지하는 감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의 설명을 돕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도시된 변형된 픽셀이 설치된 보호필름에 실제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상단부의 좌우측을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단부를 좌우측 부분을 터치하지 않고 하단부의 B 파트 (140) 를 터치하는 경우에도 A 파트 (144) 로 터치 신호를 전송하여 A 파트 (144) 부분이 터치된 것과 동일한 작동효과를 가지기 위한 구성이다.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반응하는 자판부는 대부분 하단부에 위치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118) 의 상단부 좌우측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자주 터치하는 입력파트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를 작송한 후 전송하는 손가락 터치에 의해 전송입력을 수신하는 부분 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을 터치패널부가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부착시킨 후 스마트폰의 자판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할 때 A 파트 (144) 를 터치하지 않아도 B 파트 (140) 를 터치하여 A 파트 (144) 부분이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에 도 16 과 같은 모양으로 도전성 패턴을 형성시켜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B 파트 (140) 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위쪽에 위치하는 A 파트 (144) 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서로 연결된 도전성층은 어느 일부분을 터치하여도 도전성층 전체가 터치된 것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도 16 과 같은 형상은 도 21 및 도 22 처럼 필름 (120) (또는 글라스 포함)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필요한 곳에 선택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A 파트 (144) 와 B 파트 (140) 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배선 (142) 의 두께는 50 마이크로미터에서 500 마이크로미터가 적당하나 적용기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도 16 및 도 17 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단부에 도전성 패턴 (A 파트 (144)) 을 형성시킬 경우 A 파트 (144) 와 B 파트 (140) 를 연결하는 연결배선 (142) 에 손가락이나 기타 전도성물질이 터치가 될 경우 B 파트 (140) 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여 A 파트 (144) 를 동작시키는 것과 같은 동일한 예기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웹서핑 등을 하는 경우에 손가락으로 연결배선 (142) 부분을 의도치 않게 터치하여 A 파트 (144) 에 손가락 등을 이용한 터치입력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아래와 같은 구성이 도입된다.
도 17 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에는 도전층의 대부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이고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픽셀 (122) 로 구성되어 있고, A 파트 (144), B 파트 (140) 가 다른 픽셀 (122) 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구성되고, A 파트 (144) 와 B 파트 (140) 는 폭이 매우 얇은 패턴화된 연결배선 (142) 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작방법은 앞에서 언급된 도전층을 패턴화 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일 실시예로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의 필름 (120) 위에 도전층을 도포한 후에 식각 등의 방법으로 도 17 과 같이 패턴화 하는 방법이다.
도 17 에서 하늘색 부분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픽셀 (122) 이고 하얀색 선은 식각의 방법에 의해 픽셀 (122), 큰 픽셀인 A 파트 (144), B 파트 (140), 연결배선 (142) 의 모양으로 패턴화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와 B 파트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8 을 참조하면, 변형된 제 1 실시예의 A 파트 (1441) 및 B 파트 (1401) 를 3 개로 분리시켜 사용자가 3 개로 분리된 A 파트 (1441) 와 B 파트 (1401) 를 연결하는 3 개의 연결배선 (1421) 을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더라도 3 개의 연결배선 (1421) 을 동시에 터치하지 않는 한 A 파트 (1441) 를 손가락으로 터치한 것과 같은 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3 개의 연결배선 (1421) 중 하나의 연결배선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를 하게 되면 3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A 파트 (1441) 에서 한 개의 영역에만 손가락 터치입력이 된 것으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되므로, 3 개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 1 실시예의 A 파트 (1441) 에서 전기적으로 반응하는 영역의 면적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대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대응하는 부분이 터치가 되었다고 인식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A 파트 (1441) 와 맞닿는 부분에 대해 터치로 인한 전기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스마트폰이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서 A 파트 (1441) 와 맞닿는 부분이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문자메시지의 "전송" 부분인 경우, 사용자가 3 개의 연결배선 (1421) 중 어느 하나를 의도하지 않게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더라도 문자메시지의 전송이 되지 않게 된다.
스마트폰에서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118) 상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자 자판 또는 숫자 자판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해 디스플레이부 (118) 상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면적이 적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터치입력이 되지 않는다.
아이폰, 삼성 갤럭시폰 등의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서 손가락의 터치에 반응하는 민감도가 설정이 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손가락이 너무도 적은 면적으로 터치가 되면 스마트폰은 손가락 터치가 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A 파트 (1441), B 파트 (1401), 연결배선 (1421) 이 3 개의 영역으로 분리가 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손가락을 스치면서 해당 영역의 일부분만을 의도하지 않게 터치를 하는 경우에 A 파트 (1441) 와 맞닿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의 특정부분에 손가락 터치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게 구성을 한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와 B 파트의 변형된 제 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에 구성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와 B 파트의 변형된 제 3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9 및 도 20 을 참조하면, A 파트 (1442, 1443) ,B 파트 (1402, 1403) 를 분리시켜 형성시키는 것은 2 개 또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분리되는 영역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연결배선 (1422, 1423) 에서 각각의 연결배선간의 간격은 손가락으로 2개이상의 배선이 터치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 간격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연결배선간의 폭의 길이를 1cm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30 의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파트 A (1443) 와 파트 B (1403) 영역을 세분하게 나누어서 세분화된 각각의 영역의 넓이가 좁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영역이 손가락으로 의도하지 않게 터치가 되더라도,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인한 터치입력으로 스마트폰이 인식을 하지 않게 되어 터치로 인한 인한 동작이 스마트폰에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배선 (1423) 사이의 폭은 1cm 보다 더 작게 이격시켜도 무방하다.
도 21 은 도 17 에 도시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B 파트가 모두 필름 상단에 설치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22 는 도 17 에 도시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는 필름 상단에 설치되고 B 파트는 필름 하단에 설치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여 의도하지 않게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 파트 (144), B 파트 (140) 를 필름 (120) 의 상단과 하단에 분리시켜 구성할 수 있다.
도 21 에서는 A 파트 (144) 및 B 파트 (140) 는 필름 (120) 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연결배선 (142) 만을 필름 (120) 의 하단에 위치시키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도 22 에서는 A 파트 (144) 와 연결배선 (142) 은 하단에 위치시키고 B 파트 (140) 만 필름 (120) 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배선 (142) 은 필름 (120) 이나 글라스의 옆면을 이용하거나 구멍을 뚫어서 상단과 하단을 연결시킬 수 있다. 다만, 연결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배선 (142) 이 필름 (142) 의 아래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을 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손가락 등으로 연결배선 (142) 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터치에 대한 감도가 약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터치된 신호가 A 파트 (144) 로 전달되지 않아서, 스마트폰에서 A 파트 (144) 와 맞닿아 있는 부분이 손가락 터치 신호에 의해 반응을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22 와 같이 A 파트 (144) 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와 맞닿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B 파트 (140) 를 손가락으로 터치한 경우에 손가락 터치신호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더 잘 전달되어 스마트폰이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도 23 은 도 17 에 도시된 픽셀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A 파트 및/또는 B 파트에 구멍이 형성된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23 을 참조하면, 각각의 스마트폰의 특성에 따른 손가락의 터치에 대해서 반응하는 감도 조절이나 직접 A 파트 (144) 를 터치했을 때 손가락의 터치신호를 스마트폰이 더 민감하게 수신하게 위하여 A 파트 (144) 의 도전층을 일부 제거하여 구멍 (133) 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 (100) 은 사용자가 장갑을 낀 손이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는 비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휴대용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등의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디스플레이부 (118) 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용 보호필름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 (110) 의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열고 닫는 커버로 사용이 될 수 있다.
10: 제 1 도전성층 11, 21: 도전성부
13, 23: 에칭부 18: 제 1 보강층
20: 제 2 도전성층 28: 제 2 보강층
30: 테두리 접착층
40, 60: 전면 접착층 50: 제 3 도전성층
58: 제 3 보강층
100: 보호필름 106: 보호필름 고정시트층
110: 휴대용 통신기기 118: 디스플레이부
121: 도전성잉크 패턴부 140: B 파트
142: 연결배선 144: A 파트

Claims (4)

  1.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는 픽셀들로 구성된 보호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셀들의 각각의 픽셀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다수개의 픽셀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도성 물질로 상기 보호필름을 터치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보호필름에서 터치된 부분과 맞닿는 부분이 터치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픽셀들 중 하나의 픽셀은 이격되어 있는 다른 픽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픽셀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터치가 되면 상기 다른 픽셀로 상기 터치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픽셀은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다른 픽셀은 상기 전기적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과 동일한 숫자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전기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 영역은, 상기 다른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들과 서로 독립적으로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3.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에 도포되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는 픽셀들로 구성된 보호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의 양면의 각각의 픽셀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다수개의 픽셀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을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도성 물질로 상기 보호필름을 터치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보호필름에서 터치된 부분과 맞닿는 부분이 터치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픽셀들 중 하나의 픽셀은 이격되어 있는 동일한 면의 다른 픽셀 또는 다른 면의 다른 픽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픽셀에 상기 전도성 물질이 터치가 되면 상기 다른 픽셀로 상기 터치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픽셀은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동일한 면의 다른 픽셀 또는 다른 면의 다른 픽셀은 상기 전기적으로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과 동일한 숫자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전기적으로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된 하나의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 영역은, 상기 동일한 면의 다른 픽셀 또는 다른 면의 다른 픽셀에서 상기 분리된 각각의 영역들과 서로 독립적으로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1020160023803A 2016-01-14 2016-02-27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170085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477 2016-01-14
KR20160004477 2016-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408A true KR20170085408A (ko) 2017-07-24

Family

ID=5942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803A KR20170085408A (ko) 2016-01-14 2016-02-27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54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062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지티코리아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WO2020246810A1 (ko) * 2019-06-03 2020-12-10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US20220300100A1 (en) * 2021-03-18 2022-09-22 Wen-Chi Hsu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structure with penetrating-transmitting signal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062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지티코리아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WO2020246810A1 (ko) * 2019-06-03 2020-12-10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US20220300100A1 (en) * 2021-03-18 2022-09-22 Wen-Chi Hsu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structure with penetrating-transmitting signal function
US11567594B2 (en) * 2021-03-18 2023-01-31 Wen-Chi Hsu Touch screen protective film structure with penetrating-transmitting signal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0713A1 (zh) 触控基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指纹识别装置和方法
US20070242054A1 (en)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09456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US20170242543A1 (en) Display device
US20120098779A1 (en) Touch panel
US20150199023A1 (en) Touch-sensitive keypad control device
KR20170085408A (ko)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JP3167028U (ja) タッチパネルの装飾枠
JP2015219663A (ja) キーボード装置
JP6216285B2 (ja) 入力装置
KR101254094B1 (ko)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CN105159493B (zh) 指纹识别装置、触摸屏及移动终端
KR101721336B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102070588B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CN101498978A (zh) 触摸屏
KR102032631B1 (ko) 입력 장치
CN105739791A (zh) 触控设备、智能手机及背光触摸感应组件
TWI545483B (zh) 具有指紋識別功能的觸控面板
KR101720140B1 (ko) 터치스크린용 2way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KR200481663Y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101448137B1 (ko) 터치스크린 패널
KR102393433B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US20150169098A1 (en) Touch panel, touch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panel
CN104978067A (zh) 一种触控面板
KR20200138936A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