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552A -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552A
KR20170084552A KR1020160003713A KR20160003713A KR20170084552A KR 20170084552 A KR20170084552 A KR 20170084552A KR 1020160003713 A KR1020160003713 A KR 1020160003713A KR 20160003713 A KR20160003713 A KR 20160003713A KR 20170084552 A KR20170084552 A KR 2017008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otrusion
holder
camera module
waterproof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665B1 (ko
Inventor
김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0239 priority patent/WO2017122970A1/ko
Priority to US16/069,418 priority patent/US10732488B2/en
Priority to CN201780006587.9A priority patent/CN108474999B/zh
Publication of KR2017008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12Hoes; Hand cultivators with blades provided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4Spades; Shovels with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04N5/225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는 렌즈 몸체 및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렌즈; 상기 렌즈 몸체 및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 및 방수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에 수납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HOLDER ASSEMBLY F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및 홀더를 개선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 카메라 모듈용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전방뿐 아니라 차량의 좌우측 후방과 직후방 및 실내 등을 포함하여 필요한 방향이나 장소를 차량 내 운전석 위치에서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들이 요소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거울들은 대체로 시야 범위가 좁고, 운전자와의 사이에 장애물이 놓이면 거울을 볼 수 없으므로 설치 위치에 제약이 따랐다.
최근에는 전방, 측방 및 후방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하기 위한 차량용 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메라는 등록특허 제10-1470093호, 차량용 카메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 회로기판,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량용 카메라는 주로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데, 차량용 카메라가 차량의 외부에 장착됨에 따라 외기 온도 및 차량용 카메라의 내부 온도의 편차에 의하여 차량용 카메라에는 쉽게 수분이 유입되어 방수 특성이 크게 저하되며, 회로 기판 또는 이미지 센서와 같은 전자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카메라에는 오링(O ring)과 같은 방수 부재가 배치된다.
오링을 이용하여 차량용 카메라의 방수를 수행할 경우, 오링에 따른 조립 공정수가 증가 되고, 오링을 사용하더라도 오링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쉽게 유입된다.
등록특허 제10-1470093, 차량용 카메라, (2014년 12월 01일 등록)
본 발명은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용 카메라로 이물질 유입 방지 또는 방수를 수행함으로써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수분을 완전히 차단하여 방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는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몸체;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렌즈 몸체 및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 또는 방수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에 수납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연장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방수 부재가 수납되며, 상기 방수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몸체 사이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 상기 돌출부의 측면 및 상기 렌즈 몸체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렌즈 몸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용 접착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방수 부재는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열 경화성 접착제,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광 경화성 접착제 및 광 및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몸체는 일체로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몸체는 상호 조립된다.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몸체;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렌즈 및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렌즈, 상기 렌즈 몸체와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렌즈 홀더를 접합 및 방수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에 수납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 어셈블리; 상기 렌즈의 광축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납하며 상기 홀더 어셈블리에 결합 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절곡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방수 부재와 접촉된다.
카메라 모듈의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은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용 카메라로 이물질 유입 방지 또는 방수를 수행함으로서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수분을 완전히 차단하여 방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950)는 렌즈(110)를 수용하는 렌즈 몸체(100), 렌즈 홀더(200) 및 방수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몸체(100)는 상기 렌즈(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렌즈(110) 및 돌출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렌즈(110) 및 돌출부(120)는 각각 제조된 후 상호 조립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상호 접착될 수 있다.
피사체의 이미지가 포함된 광은 렌즈(110)로 입사되며, 렌즈(110)는 입사된 광을 모으거나 확산 또는 발산시켜 이미지 센서 등에 광학적 상이 맺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렌즈(110)는 볼록 렌즈 및 오목 렌즈를 조합하여 형성하거나, 렌즈(110)는 볼록 렌즈 역할을 하는 볼록면 및 오목렌즈 역할을 하는 오목면을 갖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렌즈(110)로부터 광축에 수직한 방향인 렌즈(11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렌즈(110)의 측면(115)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2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렌즈(110)의 측면(115)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20)는 원판 형상인 것이 설명되고 있지만, 돌출부(120)는 렌즈(110)의 측면(115)으로부터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부(120)의 형상 및 개수는 설계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렌즈(110) 중 돌출부(120)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나사부(130)가 형성되며, 제1 나사부(130)는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렌즈(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렌즈 몸체(100)를 수납 및 렌즈 몸체(100)를 고정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렌즈(110)가 삽입되는 중공(210) 및 돌출부(120)가 안착되는 단턱(22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 중 렌즈(110)가 삽입되는 중공(210)의 내벽에는 제2 나사부(230)가 형성되며, 렌즈 홀더(200)의 중공(210)의 내벽에 형성된 제2 나사부(230)는 렌즈(110)의 측면(115)에 형성된 제1 나사부(130)와 나사 결합 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렌즈 홀더(200)에 결합 된 렌즈(110)는 렌즈 홀더(20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후술 될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와 이루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렌즈(110)를 렌즈 홀더(2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렌즈(110)에 형성된 제1 나사부(130) 및 렌즈 홀더(200)에 형성된 제2 나사부(230) 사이에는 고정용 접착제가 형성 또는 채워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나사부(130,230)들 사이로 제공되는 고정용 접착제로서는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광 경화성 접착제,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열 경화성 접착제 및 광과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의 단턱(220)은 돌출부(120)의 하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단턱(220) 및 돌출부(120)의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 부재(300)는 단턱(220) 및 돌출부(120) 사이에 형성된 갭에 제공되어 렌즈 홀더(200) 및 렌즈(110)를 접합할 수 있다.
방수 부재(300)는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이물질이 갭을 통해 렌즈 홀더(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 부재(300)는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열 경화성 접착제,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광 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과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300)는 열 또는 광, 열 및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220) 및 돌출부(120) 사이에 형성된 갭에 제공된 방수 부재(300)의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200) 및 렌즈(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렌즈(110)를 고정 및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홀더 어셈블리는 방수 부재의 제공 위치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홀더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950)는 렌즈 몸체(100), 렌즈 홀더(200) 및 방수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350)는 렌즈 몸체(100)에 형성된 돌출부(120)의 상면 및 돌출부(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렌즈 몸체(100)를 렌즈 홀더(2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방수 부재(350)는 돌출부(120)의 상면, 돌출부(120)의 측면 및 돌출부(120)의 하면 및 단턱(22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렌즈 몸체(100) 및 렌즈 홀더(200)를 견고하게 고정 및 외부로부터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수 부재(350)는 렌즈 몸체(100)의 측벽(115) 및 렌즈 홀더(200) 사이의 중공(2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홀더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이물질의 렌즈 홀더(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의 길이를 도 1 및 도 2 대비 보다 길게 형성하여 방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홀더 어셈블리는 돌출부 및 홀더 어셈블리의 수납홈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홀더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950)는 렌즈 몸체(100), 렌즈 홀더(200) 및 방수 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몸체(100)는 렌즈(110) 및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140)는 렌즈(110)의 측면(115)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제1 돌출부(142) 및 제2 돌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42)는 렌즈(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142)는 렌즈(110)의 측면으로부터 원판 형상으로 돌출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돌출부(142)는 렌즈(110)의 측면으로부터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돌출 또는 연장될 수 있으며, 개별적인 설계에 따라 그 밖의 형상과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제2 돌출부(144)는 제1 돌출부(142)로부터 제1 돌출부(142)가 돌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144)는 제1 돌출부(142)가 렌즈(11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제1 돌출부(1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렌즈(110)와 결합 되는 중공(210) 및 돌출부(140)의 제2 돌출부(144) 및 방수 부재(370)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240)은 제2 돌출부(144) 및 방수 부재(370)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홈(240)은 제2 돌출부(144) 및 방수 부재(370)를 수납하기 위해 환형 트랜치(tren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용홈(240)이 환형 트랜치 형상인 것이 설명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수용홈(240)은 다양한 제2 돌출부(144)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 개수 또는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 부재(370)는 수용홈(240)의 내부에 제공되며, 방수 부재(370)는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열 경화성 접착제,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광 경화성 접착제 및 열 및 광에 의하여 접착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370)는 적어도 수용홈(240) 내부에 배치된 제2 돌출부(144)의 단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방수 부재(370)에 의하여 제2 돌출부(144)는 렌즈 홀더(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370)가 제2 돌출부(144)에 결합 됨에 따라 방수 부재(370)는 단면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외부에서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 경로가 도 1 내지 도 4 대비 한층 길어지게 되어 방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홀더 어셈블리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홀더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카메라 모듈은 홀더 어셈블리(950), 하우징(400), 회로 기판(500), 이미지 센서(600) 및 배선(7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홀더 어셈블리(950)의 렌즈 홀더(200)에 결합 되며, 하우징(400)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500), 이미지 센서(600) 및 배선(700)을 수납 및 고정될 수 있다.
회로 기판(500)은 하우징(400)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되며, 회로 기판(500)은 렌즈(11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0)는 회로 기판(500) 상에 배치되며, 렌즈(110)를 통해 제공된 피사체의 이미지가 포함된 광을 입력받아 피사체의 디지털 이미지 또는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배선(7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회로 기판(500)으로 제공 또는 제어 신호를 회로 기판(500)으로 제공하거나 이미지 센서(600)로부터 발생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은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용 카메라로 이물질 유입 방지 또는 방수를 수행함으로써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수분을 완전히 차단하여 방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10...렌즈 몸체 200...렌즈 홀더
300...방수 부재 400...하우징
500...회로 기판 600...이미지 센서
700...배선

Claims (14)

  1.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몸체;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렌즈 몸체 및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 또는 방수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에 수납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방수 부재가 수납되며, 상기 방수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접합되는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 몸체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 상기 돌출부의 측면 및 상기 렌즈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 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용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열 경화성 접착제,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광 경화성 접착제 및 광 및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는 일체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렌즈는 상호 조립된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12.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몸체;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렌즈 및 상기 렌즈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렌즈, 상기 렌즈 몸체와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렌즈 홀더를 접합 및 방수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더에 수납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 어셈블리;
    상기 렌즈의 광축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납하며 상기 홀더 어셈블리에 결합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절곡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방수 부재와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003713A 2016-01-12 2016-01-12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48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713A KR102489665B1 (ko) 2016-01-12 2016-01-12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PCT/KR2017/000239 WO2017122970A1 (ko) 2016-01-12 2017-01-09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방수 커넥터
US16/069,418 US10732488B2 (en) 2016-01-12 2017-01-09 Holder assembly for camera module, camera module having same, and waterproof connector
CN201780006587.9A CN108474999B (zh) 2016-01-12 2017-01-09 用于相机模块的保持器组件、有保持器组件的相机模块及防水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713A KR102489665B1 (ko) 2016-01-12 2016-01-12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552A true KR20170084552A (ko) 2017-07-20
KR102489665B1 KR102489665B1 (ko) 2023-01-18

Family

ID=5944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13A KR102489665B1 (ko) 2016-01-12 2016-01-12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97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의 밀봉 구조
CN110609431A (zh) * 2019-09-24 2019-12-24 深圳市凯木金科技有限公司 门铃及其防水镜头组件
WO2023014000A1 (ko) * 2021-08-03 2023-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30068642A (ko) * 2021-11-11 2023-05-18 (주)파트론 카메라 모듈
WO2023113564A1 (ko) * 2021-12-16 2023-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091A (ko) * 2005-06-08 2006-12-14 동양반도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페일소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페일소팅방법
KR20080037783A (ko) * 2006-10-27 2008-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95998A (ko) * 2012-02-21 2013-08-29 이동석 밀폐구조를 갖는 광학계 렌즈
KR101470093B1 (ko) 2012-12-07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091A (ko) * 2005-06-08 2006-12-14 동양반도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페일소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페일소팅방법
KR20080037783A (ko) * 2006-10-27 2008-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95998A (ko) * 2012-02-21 2013-08-29 이동석 밀폐구조를 갖는 광학계 렌즈
KR101470093B1 (ko) 2012-12-07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97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의 밀봉 구조
CN110609431A (zh) * 2019-09-24 2019-12-24 深圳市凯木金科技有限公司 门铃及其防水镜头组件
WO2023014000A1 (ko) * 2021-08-03 2023-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30068642A (ko) * 2021-11-11 2023-05-18 (주)파트론 카메라 모듈
WO2023113564A1 (ko) * 2021-12-16 2023-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65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4552A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US20060222300A1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system
KR101626132B1 (ko) 일체형 카메라 모듈
US7746578B2 (en) Lens assembly and imaging device
US20050243443A1 (en) Method for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JP2009044342A (ja) 車載カメラ装置
KR20160104316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KR2017009473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090097A (ja) 光素子モジュール
KR20100048101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JP2009244787A (ja) レンズ組立体、接着方法、および撮像装置
KR102560086B1 (ko)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US7380997B2 (en) Monitor camera
US7670064B2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system
JP2008070790A (ja) 撮像装置
JP2005094731A (ja) カメラ装置および該カメラ装置の製造方法
CN106896463B (zh) 用于车载光学成像系统的光学镜头
KR102561939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200472866Y1 (ko) 방수브라켓이 구비된 차량용 후방카메라
KR102400658B1 (ko) 카메라 모듈
US7570439B2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system
JP6904285B2 (ja) 限定反射型センサ
KR102380310B1 (ko) 카메라 모듈
KR100894304B1 (ko)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TWM581066U (zh) Wireless camera lens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