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485A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485A
KR20170084485A KR1020160003578A KR20160003578A KR20170084485A KR 20170084485 A KR20170084485 A KR 20170084485A KR 1020160003578 A KR1020160003578 A KR 1020160003578A KR 20160003578 A KR20160003578 A KR 20160003578A KR 20170084485 A KR20170084485 A KR 2017008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short frame
frame
data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용
정광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485A/ko
Priority to US15/399,354 priority patent/US20170201994A1/en
Publication of KR2017008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n개(n<12, n은 자연수)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SUBFRAME STRUCTURE AND HARQ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에는 증강현실, 가상현실, 실시간 온라인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실시간(real-time)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저지연 5G 무선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미디어를 통해 시청각 정보를 받아들일 때 느끼는 청각 정보는 약 100 ms 이내에 전달되어야 하며, 시각 정보는 약 10 ms의 허용 지연시간 이내에 전달되어야 한다. 만약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그 이상의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면 사람들은 해당 서비스에 대해 부자연스러움 느끼게 된다.
나아가, 교통, 스포츠, 교육, 의료, 제조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 응용 영역에서 최대 수 ms 이내의 종단 간 지연(end-to-end latency)을 요구하는 새로운 무선통신 서비스들이 창출될 것으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차량 간 통신(V2V communication) 및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V2I communication)은 교통안전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극단적으로 짧은 무선 통신 지연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긴급한 상황에서 부상자가 이동 중인 경우에 로봇 등을 통한 원격 수술의 높은 신뢰성 및 안정성 보장을 위해서는 교통안전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매우 짧은 지연을 보장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저 지연(low latency) 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n개(n<12, n은 자연수)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은 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과 1개의 레거시 쇼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2개의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은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달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가용 채널 대역폭 내의 일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1 ms의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은 2개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on Time Interval)이 결정되는 서브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 중 제 1 쇼트 프레임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ACK/NACK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3 쇼트 프레임에 상기 PDSCH를 통해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쇼트 프레임이 레거시 쇼트 프레임인 경우 상기 레거시 쇼트 프레임의 다음 쇼트 프레임을 상기 제 3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과 1개의 레거시 쇼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2개의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은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on Time Interval)이 결정되는 서브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 중 제 1 쇼트 프레임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 1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PD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를 통해 상기 제 1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메시지 또는 ACK/N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쇼트 프레임이 레거시 쇼트 프레임인 경우 상기 레거시 쇼트 프레임의 다음 쇼트 프레임을 상기 제 2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달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저 지연(low latency) 특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의 대역 할당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HARQ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HARQ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HARQ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HARQ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 단말 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용 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에 기반하여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먼저 LTE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3GPP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심볼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OFDM 심볼은 다중접속방식에 따라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1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및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이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한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 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B)은 12×7 개의 자원요소(RE)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는 n개(n<12, n은 자연수)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TI는 하나의 쇼트 프레임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n이 2인 경우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이 2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1 ms(msec)의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n이 2인 경우 7개의 쇼트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7개의 쇼트 프레임은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과 1개의 레거시 쇼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쇼트 프레임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쇼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고, 레거시 쇼트 프레임은 하향링크 제어를 위한 쇼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은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은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은 상기 첫 번째 OFDM 심볼이 포함된 데이터 쇼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동일하게 예시적으로 n이 2인 경우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이 2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1 ms(msec)의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n이 2인 경우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쇼트 프레임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쇼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은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OFDM 심볼은 상향링크 제어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송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은 상기 2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된 데이터 쇼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대역 할당을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할당된 채널 대역폭(또는 가용 채널 대역폭)의 일부 영역에 서브 밴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하향링크의 경우 제어영역(CONTRO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이 더 정의될 수 있으며, 상향링크의 경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영역이 더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HARQ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HARQ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110) 및 기지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10)과 기지국(120) 간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및 그에 따른 HARQ 전송 방법이 설명되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HARQ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HARQ 전송에 대해 설명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수신단은 데이터 수신의 성공 여부를 송신단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데이터 수신이 성공했을 경우에는 ACK(ACKnowledgement)을 전송하여 송신단이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며,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을 전송하여 송신단이 그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ARQ(Automatic Repeat and reQuest)라고 한다. ARQ 동작이 채널 코딩(channel coding) 기법과 결합하여 HARQ(hybrid ARQ)가 제안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은 복수의 쇼트 프레임 중 제 1 쇼트 프레임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 제 1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ACK/NACK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120), 및 제 2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3 쇼트 프레임에 PDSCH를 통해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쇼트 프레임이 레거시 쇼프 트레임인 경우 레거시 쇼트 프레임의 다음 쇼트 프레임을 제 3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S110 단계에서, 단말(110)은 LL_PDSCH(Low Latency PDSCH)를 통해 제 1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6 번 쇼트 프레임)에 기지국(120)으로부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LL_PDSC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저지연 특성이 반영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단말(110)은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LL_PUCCH(Low Latency PUCCH)를 통해 제 1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6번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3번 쇼트 프레임)에 기지국(1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LL_PUCC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저지연 특성이 반영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단말(110)은 제 2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3번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3 쇼트 프레임에 LL_PDSCH를 통해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쇼트 프레임은 1번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2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3번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3 쇼트 프레임은 0번 쇼트 프레임이지만, 0번 쇼트 프레임은 레거시 쇼트 프레임으로서 시스템의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쇼트 프레임이므로 이를 사용하지 않고, 그 다음 쇼트 프레임인 1번 쇼트 프레임이 HARQ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HARQ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HARQ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HARQ 동작 방법은 복수의 쇼트 프레임 중 제 1 쇼트 프레임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제 1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10), 및 제 1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를 통해 제 1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메시지 또는 ACK/N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쇼트 프레임이 레거시 쇼트 프레임인 경우 레거시 쇼트 프레임의 다음 쇼트 프레임을 제 2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S210 및 S220 단계가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S210 단계에서, 단말(110)은 LL_PUSCH(Low Latency PUSCH)를 통해 제 1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3 번 쇼트 프레임)에 기지국(120)으로 제 1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LL_"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 프레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저지연 특성이 반영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단말(110)은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DCI 메시지 또는 ACK/NACK 메시지를 LL_PDCCH(Low Latency PDCCH) 또는 LLPHICH(Low Latency PHICH)를 통해 제 1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3번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LL_PHICH를 사용하는 경우가 예시된다. 여기서, "LL_"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 프레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저지연 특성이 반영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쇼트 프레임은 1번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2 쇼트 프레임(예를 들어, 3번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3 쇼트 프레임은 0번 쇼트 프레임이지만, 0번 쇼트 프레임은 레거시 쇼트 프레임으로서 시스템의 제어 영역에 해당하는 쇼트 프레임이므로 이를 사용하지 않고, 그 다음 쇼트 프레임인 1번 쇼트 프레임이 HARQ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4번 쇼트 프레임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또는 contention-based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시스템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통신 시스템
110: 단말
120: 기지국
1000: 컴퓨팅 시스템
1100: 프로세서
1200: 시스템 버스
1300: 메모리
1310: ROM
1320: RAM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장치
15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장치
1600: 스토리지
17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17)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n개(n<12, n은 자연수)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 결정되는 서브 프레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과 1개의 레거시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2개의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은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달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가용 채널 대역폭 내의 일부 영역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1 ms의 시간 구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구조.
  10. 2개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on Time Interval)이 결정되는 서브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 중 제 1 쇼트 프레임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ACK/NACK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3 쇼트 프레임에 상기 PDSCH를 통해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쇼트 프레임이 레거시 쇼트 프레임인 경우 상기 레거시 쇼트 프레임의 다음 쇼트 프레임을 상기 제 3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과 1개의 레거시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2개의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은 대응되는 데이터 쇼트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4. 2개의 OFDM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복수의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on Time Interval)이 결정되는 서브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쇼트 프레임 중 제 1 쇼트 프레임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 1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쇼트 프레임으로부터 4 쇼트 프레임 간격만큼 경과한 제 2 쇼트 프레임에 PD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를 통해 상기 제 1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메시지 또는 ACK/N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쇼트 프레임이 레거시 쇼트 프레임인 경우 상기 레거시 쇼트 프레임의 다음 쇼트 프레임을 상기 제 2 쇼트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7개의 데이터 쇼트 프레임 각각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달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HARQ 동작 방법.
KR1020160003578A 2016-01-12 2016-01-12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KR20170084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78A KR20170084485A (ko) 2016-01-12 2016-01-12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US15/399,354 US20170201994A1 (en) 2016-01-12 2017-01-05 Subframe structure and harq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78A KR20170084485A (ko) 2016-01-12 2016-01-12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85A true KR20170084485A (ko) 2017-07-20

Family

ID=5927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78A KR20170084485A (ko) 2016-01-12 2016-01-12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01994A1 (ko)
KR (1) KR201700844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2288B1 (en) * 2017-05-12 2021-02-2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244521B2 (ja) * 2018-07-30 2023-03-2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1994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80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6386594B2 (ja) Pusch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928835B1 (ko)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00119255A (ko) 대역폭 부분의 활성화
CN110169000A (zh) 用于上行链路超高可靠低延迟通信的信令、过程、用户设备和基站
WO2015139429A1 (zh) 控制信息的传输、接收方法、装置及系统
US11711706B2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selection
CN109417450B (zh) 上行链路参考信号传输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CN114208320B (zh) 用于混合自动重传请求过程的方法和装置
US2017032522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4995980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WO2016177076A1 (zh) 数据传输方法、客户端设备及服务端设备
EP3258637A1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n basis of carrier aggregation
US20160128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991702B2 (en) Resource reservation
JP6756901B2 (ja) ダウンリンクデータをフィードバックする方法及び装置
EP4188026A1 (en) Random access method,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5075374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KR201700844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서브 프레임 구조 및 harq 동작 방법
US11177913B2 (en) Mapping data to OFDM symbols
US202303544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ber of coded modulation symbols,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06571900B (zh) 一种低延时的无线通信方法和装置
EP3527023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receiving scheduling commands
EP3383084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N116508366A (zh) 用于由一个dci格式调度的多个传输的方法及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