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394A - 양식용 섬유로프 - Google Patents

양식용 섬유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394A
KR20170083394A KR1020160002804A KR20160002804A KR20170083394A KR 20170083394 A KR20170083394 A KR 20170083394A KR 1020160002804 A KR1020160002804 A KR 1020160002804A KR 20160002804 A KR20160002804 A KR 20160002804A KR 20170083394 A KR20170083394 A KR 2017008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uxiliary
main fixing
rope
twi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임경훈
Original Assignee
디에스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394A/ko
Publication of KR2017008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nois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38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9Geometry of the 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은, 복수 개의 원사를 연사(twisting)하여 합사를 만들고, 복수 개의 합사를 연사하여 스트랜드를 만들고, 상기 스트랜드를 다시 복수 개를 모아 연사하여 형성된 양식용 섬유로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메인고정부재와; 상기 메인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사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해조류 홀씨의 부착 및 성장이 용이하도록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연사만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돌출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용 섬유로프 {Aquaculture fiber rope}
본 발명은 양식용 섬유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합 또는 해조류 홀씨의 부착 및 성장이 용이하도록 원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미역, 다시마, 김 등의 해조류와 홍합 양식은 주로 로프 부착 양식을 이용하고 있다. 로프 부착 양식은 강이나 바다의 해당 곳에 와이어로프 또는 섬유로프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그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각각의 로프에 홀씨(포자)를 원하는 크기로 로프에 끼우거나 감아서 수면 아래 일정한 깊이에 설치하여 해조류 또는 홍합을 양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해조류 또는 홍합을 양식한 후 그 양식이 끝나면 강이나 바다 내에 배열된 로프를 수면 위로 끌어올려 수거하여 양식된 해조류를 로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로프 양식에는 유리섬유(glass fiber),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된 섬유로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로 된 섬유로프는 표면이 매끈하고 빈틈없이 단단하게 꼬여있는 상태로 해조류의 포자가 섬유로프의 내부에 쉽게 착생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부착된 번식용 홀씨들이 해류에 의해 유실되면서 양식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성장한 해조류라 하더라도 뿌리의 활착이 어려워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해조류를 양식하는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10-1324571호 해조류 종묘 양식로프 및 그 제조방법'은 착생코어의 중간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틈새를 절개하여 형성한 후, 착생코어의 양측면을 서로 맞닿도록 접어서 로프의 외경에 나선형태로 빙둘러 감아서 이루어지되, 착생코어의 양측면에 보강부를 각각 형성하고, 보강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부를 형성하되, 연결부의 폭 방향으로 틈새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로프를 형성할 때 틈새를 절개하여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에 있어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틈새를 절개하는 데 있어 균일하게 절개되기 힘들기 때문에 로프가 균일한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085419호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로프본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가닥 사이에 소폭그물망을 삽입하여 연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소폭 그물망을 제조한 후 이를 통해 로프를 제조하는 기술이나 소폭 그물망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증가하여 이를 로프에 삽입하기에는 부담스럽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10-1324571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08541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합 또는 해조류 홀씨의 부착 및 성장이 용이하도록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연사만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돌출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양식용 섬유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복수 개의 원사를 연사(twisting)하여 합사를 만들고, 복수 개의 합사를 연사하여 스트랜드를 만들고, 상기 스트랜드를 다시 복수 개를 모아 연사하여 형성된 양식용 섬유로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메인고정부재와; 상기 메인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사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서로 연사되며, 상기 메인고정부재가 연사될 때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함께 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가 형성된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일측에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재와 연사되어 상기 메인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부재는 제1보조고정원사 및 제2보조고정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배치되며, 상기 제2보조고정원사는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와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상기 돌출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와 상이한 영역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배치되며,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 및 상기 제2보조고정원사는 서로 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고리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홍합 또는 해조류 홀씨의 부착 및 성장이 용이하도록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연사만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돌출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섬유로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해조류 양식용 섬유로프 중 합사의 정면도이고,
도 3a 내지 3c는 돌출부재의 형상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섬유로프의 중 합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섬유로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로프(400)는, 먼저 복수 개의 원사(10)를 준비하고, 준비된 복수 개의 원사(10)를 연사(twisting)하여 합사(200)를 만들고, 복수 개의 합사(200)를 다시 연사하여 스트랜드(300)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트랜드(300)를 복수 개로 모은 후 스트랜드(300)의 제작시 연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사하여 섬유로프(400)를 제작하게 된다. 이때 섬유로프(400)는 3개의 스트랜드(300)를 통해 제조되는 3연 로프(3-strand twisted rope), 8개의 스트랜드(300)를 꼬아 제조되는 8연 로프(8-strand twisted rope), 12개의 스트랜드(300)를 꼬아 형성되는 12연 로프(12-strand twisted rope), 로프의 외부에 커버가 형성된 브레이드 로프(braid rope) 등 다양한 로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로프(400)를 이루는 구성 중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합사(20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다음과 같은 메인고정부재(110) 및 돌출부재(130)를 포함하는 도 2에 도시된 합사(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같이 원사(10)를 통해 메인고정부재(110) 및 돌출부재(130)를 포함하는 합사(100)는 섬유로프(400)를 이루는 복수의 스트랜드(300) 중 하나에만 연사되거나 또는 복수의 스트랜드(300) 모두에 연사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제작자가 원하는 대로 본 발명의 합사(100)를 포함하는 스트랜드(300)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3연 로프의 경우 3개의 스트랜드(300)를 꼬아 제조되는 데 3개 중 하나의 스트랜드(300)에만 본 발명의 합사(100)가 연사될 수 있으며, 3개의 스트랜드(300) 중 3개 모두에 합사(100)가 연사될 수도 있다. 이는 8연 로프, 12연 로프, 브레이드 로프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복수의 합사(200)를 연사하여 스트랜드를 만들 때 본 발명의 합사(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함께 연사되는데, 이때 합사(100)가 연사되는 위치는 코어(core) 또는 외주면으로 선택 가능하다. 복수의 합사(200) 중 본 발명의 합사(100)가 스트랜드(300)의 코어에 배치되어 연사될 경우 돌출부재(130)는 일부 노출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긴 하지만 합사(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합사(100)가 스트랜드(300)의 외주면에 배치될 경우 돌출부재(130)가 대부분 다 노출되어 홍합 또는 해조류가 지지되는 영역이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합사(100)의 배치는 섬유로프(400)가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서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합사(100)를 포함하는 스트랜드(300)를 연사할 때 스트랜드(300)의 연사 각도는 20 내지 6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길이방향의 각도를 0°로 하여 20 내지 60°의 각도로 합사(100)가 배치되도록 스트랜드(300)를 연사한다. 연사에 의해 합사(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합사(100)가 20°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60°로 배치되는 경우가 합사(100)들 간의 이격 간격이 좁고, 20°에 가까워질수록 합사(100)들 간에 배치 간격이 넓어진다. 즉 일정한 스트랜드(300)의 길이를 기준으로 동일한 구간일 때 연사 각도가 20°인 경우보다 60°인 경우 합사(100)가 연사되는 횟수가 많다. 연사 각도가 20°미만일 경우 돌출부재(130)가 충분하지 못하여 홍합 또는 해조류를 양식하기 적합하지 않으며, 60°를 초과할 경우 돌출부재(130)끼리 너무 가깝게 배치되어 서로 엉킴이 있을 수 있다.
복수 개의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되는 본 발명의 합사(100)는 복수 개의 메인고정부재(110)와, 메인고정부재(110)와 결합되는 돌출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고정부재(110)는 합사(100)의 본체가 되어 다른 합사(200)들과 함께 꼬여 스트랜드(300)를 형성하는 구성을 말하며, 돌출부재(130)는 다른 합사(200)들과 함께 스트랜드(300)를 형성하는 것과는 별개로 최종적으로 섬유로프(400)가 형성될 때 섬유로프(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홍합 또는 해조류의 홀씨가 착생 및 성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기존 섬유로프의 경우 스트랜드 및 합사들끼리 틈이 형성되지 않고 서로 견고하게 연사되어 있어 여기에 홍합 또는 해조류의 홀씨가 착생 및 성장하기는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별도의 돌출부재(130)를 형성하여 홍합 또는 홀씨의 착생 및 성장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홀씨가 해수에 유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고정부재(110)는 제1메인고정원사(111)와 제2메인고정원사(113)로 이루어지며, 제1메인고정원사(111)와 제2메인고정원사(113)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사하여 땋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메인고정원사의 개수를 추가하여 연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인고정부재(110)가 연사될 때 제1메인고정원사(111) 및 제2메인고정원사(113)와 함께 돌출부재(130)를 연사하여 돌출부재(130)를 메인고정부재(110)에 고정시킨다.
돌출부재(130)는 복수 개의 지지부(131)와, 복수 개의 돌출부(133)를 포함한다. 돌출부재(130)는 메인고정부재(11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진 긴 원사이며, 돌출부재(130)가 메인고정부재(110)에 연사됨에 따라 그 위치가 지지부(131)와 돌출부(133)로 구분된다. 복수의 지지부(131)는 메인고정부재(11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사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돌출부(133)는 지지부(131)로부터 돌출되며 메인고정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홀씨가 부착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즉 제1메인고정원사(111)와 제2메인고정원사(113)가 서로 연사될 때 제1메인고정원사(111) 및 제2메인고정원사(113) 사이에 돌출부재(13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함께 연사되며, 연사된 위치는 지지부(131)가 된다. 또한 돌출부재(130) 중 연사된 지지부(13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위치는 돌출부(133)가 된다.
이때 돌출부(133)를 고리형상으로 형성하여 돌출된 영역의 돌출부재(130)가 고리형상을 만든 후 다시 메인고정부재(110)로 되돌아가 연사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원사로 이루어진 돌출부재(130)로 복수 개의 지지부(131)와 복수 개의 돌출부(133)를 형성하도록 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인고정부재(110)의 길이에 대해 돌출부재(130)는 4 내지 40배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인고정부재(110)가 1000m일 경우 돌출부재(130)는 4000 내지 40000m로 이루어지게 된다. 돌출부재(130)의 길이가 메인고정부재(110)의 4배 미만일 경우 고리 형상의 돌출부재(130)가 원하는 직경만큼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으며, 40배를 초과할 경우 돌출부재(130)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해수에 밀려가거나 바다 내의 다른 생물과 접촉할 확률이 높아 해조류 양식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돌출부(133)의 길이는 1 내지 10c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33)의 길이가 1cm 미만일 경우 홍합 또는 해조류의 홀씨가 성장하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며, 10cm를 초과할 경우 해수의 흐름에 의해 홍합 또는 해조류의 홀씨가 돌출부로부터 떨어져 나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33)는 하나의 돌출부재(130)를 이용하여 원사되도록 고리형상으로 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돌출부재(130)가 메인고정부재(110)와 연사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고정부재(110)를 기준으로 일측에만 고리 형상의 돌출부(133)가 형성될 수 있지만, 도 3b와 같이 일측이 아닌 양측에 고리 형상을 돌출부(1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돌출부재(130)를 이용하여 일측을 향해 고리 형상의 돌출부(133)를 형성한 후 메인고정부재(110)와 돌출부재(130)가 연사되어 지지부(131)를 형성하고, 그 후 타측을 향해 고리형상의 돌출부(133)를 형성한 후 다시 메인고정부재(110)에 돌출부재(130)를 연사하여 지지부(131)를 형성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렇게 될 경우 일측 및 타측에 교차로 돌출부(133)가 형성된다. 도 3c의 경우 고리 형상이 아닌 일자 형상으로 돌출부(133)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돌출부(133)가 고리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돌출부재(130)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만들기는 힘들며, 따라서 복수의 돌출부재(130)를 이용하여 돌출부재(130) 중 가운데 영역은 메인고정부재(110)와 연사하여 지지부(131)를 형성하고, 가운데를 제외한 양측은 돌출되어 돌출부(133)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메인고정부재(110)와 돌출부재(130)는 서로 별도의 결합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오직 연사만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해수와 같이 외부의 힘에 의해 연사된 영역이 풀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고정부재(110)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고정부재(150)가 배치된다. 보조고정부재(150)는 돌출부재(130)가 형성된 메인고정부재(110)의 일측에 메인고정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돌출부재(130)와 연사되어 메인고정부재(110)와 지지부(131)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보조고정부재(150)는 제1보조고정원사(151) 및 제2보조고정원사(153)가 하나의 세트가 되어 돌출부재(130)에 연사된다. 제1보조고정원사(151)는 복수의 돌출부(133) 사이를 통과하여 돌출부(133)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배치된다. 또한 제2보조고정원사(153)는 제1보조고정원사(151)와 대응하도록 복수의 돌출부(133)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보조고정원사(151)와 상이한 영역의 돌출부(133)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배치된다. 즉 첫 번째 돌출부(133)에는 상부에 배치되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돌출부(133) 사이를 지나가 두 번째 돌출부(133)에서는 하부에 배치되며, 두 번째 및 세 번째 돌출부(133) 사이를 지나가 세 번째 돌출부(133)에서는 다시 상부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메인고정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1보조고정원사(151)가 배치된다. 제2보조고정원사(153)의 경우 제1보조고정원사(151)와는 반대로 첫 번째 및 세 번째 돌출부(133)에서는 하부에 배치되고 반대로 두 번째 및 네 번째 돌출부(133)에서는 상부에 배치되어 제1보조고정원사(151)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보조고정원사(151)와 제2보조고정원사(153)는 다시 서로 연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제1보조고정원사(151) 및 제2보조고정원사(153)가 돌출부에 견고하게 연사되며 보조고정부재(150)가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메인고정부재(110)와 돌출부재(13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 보조고정부재(150)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재(13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고정부재(150)는 메인고정부재(110)와 돌출부재(1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재(130)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고 제 위치에 제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위치를 지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메인고정부재(110), 보조고정부재(150) 및 돌출부재(13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며,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소재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의 양식용 섬유로프의 경우 섬유로프를 연사할 때 틈새를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별도의 소폭 그물망을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틈새를 절개하게 되면 균일한 형상을 얻기 힘들며, 소폭 그물망을 설치할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양식용 섬유로프의 경우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연사만을 이용하여 원사(100)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간단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재(1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홍합 또는 해조류 홀씨의 부착 및 성장이 용이하여 이를 이용할 경우 해조류 생산량이 증가하게 된다.
100: 합사
110: 메인고정부재
111: 제1메인고정원사
113: 제2메인고정원사
130: 돌출부재
131: 지지부
133: 돌출부
150: 보조고정부재
151: 제1보조고정원사
153: 제2보조고정원사

Claims (5)

  1. 복수 개의 원사를 연사(twisting)하여 합사를 만들고, 복수 개의 합사를 연사하여 스트랜드를 만들고, 상기 스트랜드를 다시 복수 개를 모아 연사하여 형성된 양식용 섬유로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합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메인고정부재와;
    상기 메인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사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고정부재는 복수 개가 서로 연사되며, 상기 메인고정부재가 연사될 때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함께 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가 형성된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일측에 상기 메인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재와 연사되어 상기 메인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재는 제1보조고정원사 및 제2보조고정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배치되며,
    상기 제2보조고정원사는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와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상기 돌출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와 상이한 영역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배치되며,
    상기 제1보조고정원사 및 상기 제2보조고정원사는 서로 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고리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섬유로프.
KR1020160002804A 2016-01-08 2016-01-08 양식용 섬유로프 KR20170083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804A KR20170083394A (ko) 2016-01-08 2016-01-08 양식용 섬유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804A KR20170083394A (ko) 2016-01-08 2016-01-08 양식용 섬유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94A true KR20170083394A (ko) 2017-07-18

Family

ID=5943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804A KR20170083394A (ko) 2016-01-08 2016-01-08 양식용 섬유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3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77B1 (ko) * 2019-03-12 2020-04-24 오채은 해조류 뿌리 활착용 링을 갖는 종묘 줄로 이루어진 양식로프
CN111406639A (zh) * 2020-03-31 2020-07-14 大连海宝渔业有限公司 一种防海带脱落的养殖苗绳及夹苗方法
CN112626896A (zh) * 2020-11-27 2021-04-09 山东海工科技有限公司 单丝断线起毛纤维编织绳及其制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77B1 (ko) * 2019-03-12 2020-04-24 오채은 해조류 뿌리 활착용 링을 갖는 종묘 줄로 이루어진 양식로프
CN111406639A (zh) * 2020-03-31 2020-07-14 大连海宝渔业有限公司 一种防海带脱落的养殖苗绳及夹苗方法
CN111406639B (zh) * 2020-03-31 2022-02-01 大连海宝渔业有限公司 一种防海带脱落的养殖苗绳及夹苗方法
CN112626896A (zh) * 2020-11-27 2021-04-09 山东海工科技有限公司 单丝断线起毛纤维编织绳及其制作方法
CN112626896B (zh) * 2020-11-27 2023-10-20 山东海工科技有限公司 单丝断线起毛纤维编织绳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21B1 (ko) 해조류 양식로프
KR101586451B1 (ko)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20170083394A (ko) 양식용 섬유로프
KR101617300B1 (ko)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KR101903325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의 제조방법
JP2016007173A (ja) 海藻類の養殖用ロー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2996466B1 (en) Loopwork rope for mussel culture and corresponding mussel rearing method
KR20100036837A (ko) 친환경 굴패각 해중림초
KR20150085419A (ko)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900913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 제조방법
KR200399812Y1 (ko) 부착 양식 로프
KR101022055B1 (ko) 친환경 굴패각 해중림초
KR102115591B1 (ko) 해조류 종묘 양식로프
KR101233269B1 (ko) 착생효율이 향상된 종묘 로프
KR101746840B1 (ko) 해조류 종묘 양식로프
CN205865608U (zh) 贻贝的附苗器
JP5302789B2 (ja) 海藻類の養殖方法
KR102095777B1 (ko) 해조류 뿌리 활착용 링을 갖는 종묘 줄로 이루어진 양식로프
KR20180070756A (ko)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20160005970A (ko) 수산 양식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46731A1 (en) Wig base and wig
JP6571223B2 (ja) 貝類の養殖籠
JP4599103B2 (ja) 水産用資材
JP4624960B2 (ja) ブレードロ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延縄式の養殖施設
NZ581049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ided ro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