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204A -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 Google Patents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204A
KR20170083204A KR1020160002349A KR20160002349A KR20170083204A KR 20170083204 A KR20170083204 A KR 20170083204A KR 1020160002349 A KR1020160002349 A KR 1020160002349A KR 20160002349 A KR20160002349 A KR 20160002349A KR 20170083204 A KR20170083204 A KR 2017008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hour meter
breaker
bus b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주)금강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파워텍 filed Critical (주)금강파워텍
Priority to KR102016000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204A/ko
Publication of KR2017008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1Mechanical coupling for side-by-side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2Mounting of devi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커넥터를 사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킴으로써,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근접위치시킬 수 있어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분전반 적용시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은 전력량계와 결선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바;와 차단기의 단자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며 차단기와 결선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고정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Busbar connectors for wiring the Watt hour meter and breaker and distribution 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커넥터를 사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킴으로써,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근접위치시킬 수 있어 결선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분전반 적용시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축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음은 물론 전기적으로도 안정된 결선이 되도록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산업현장이나 빌딩 및 가정에서는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기를 분배하는 동시에 과전류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분전반을 설치한다.
상기 분전반은 차단기 및 전력량계 등과 같은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기기를 접속 및 결선시키는 부스바 및 케이블 등과 같은 도체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분전반은 차단기와 전력량계를 결선시킬 때에 케이블 등으로 결선시킨 뒤 납땜고정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결선하였기 때문에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18319호(2001년01월15일)에는 꽂음식 전력량계 접속단자에 있어서, 전력량계의 단자함에 구비되어 전선을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전력량계 접속단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단자의 상측으로 후단부에 설치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저면에 접촉부를 형성한 선단부가 오므라들어서 전선을 파지하도록 작동단자를 설치구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꽂음식 전력량계 접속단자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꽂음식 전력량계 접속단자는 간단하게 전선을 삽입하면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오랜 사용으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약해지면 전선과 단자의 접촉이 불량해져서 접속단자가 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도중 전선을 건드릴 경우 전선이 탈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선방식으로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연결했을 때 전선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선을 사용하게 되면 한쪽 끝부분을 납땜처리하고 다른 한쪽은 압착터미널을 시공하게 되지만 전선의 곡률반경(어느 한계이상 구부리면 물체의 특성이 변형되는데 그 한계점의 최소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전선을 짧게 구부리지 못하게 되므로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어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근접 위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분전반에 적용시 분전반의 판넬면적이 넓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제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2957호(2003년01월20일)에는 넓은 상단부와 이 상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저단부가 측단부로 연결되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외부 전원이 연결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주 입력 터미널, 상기 주 입력 터미널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상단부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다른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로 제공되는 메인 부스 바, 상기 메인 부스 바의 상단부 측이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 상기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에 연결되는 제1 종 방향 부스 바, 상기 제1 종 방향 부스 바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 방향 부스 바, 상기 횡 방향 부스 바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 양측에 제공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에 지지된 횡 방향 부스 바에 제2 종 방향 부스 바를 개재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현장의 각 전기 부하에 직접 연결되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분전반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분전반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부스바의 길이단축을 통한 분전반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였으나, 상기 분전반은 절곡형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채용함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진 관계로 분전반의 크기(부피나 면적)를 크게 줄이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스바커넥터를 이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킴으로써,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근접위치시킬 수 있어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와 차단기의 결선작업공정이 단순해져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원자재, 부자재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은 전력량계와 결선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바;와 차단기의 단자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며 차단기와 결선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고정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고정바 및 고정플레이트는 측면상에서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대각위치에 형성하되 상호 평행하다.
상기 삽입고정바는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이 용이하도록 평면상에서 반원형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는 상호 상이한 폭으로 형성된 삽입고정바 및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정면상에서 양측면 또는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결대의 양측면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여 연결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거나 넓어진다.
상기 연결대의 양측면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되 상호 동일한 기울기 값을 갖거나 상호 상이한 기울기 값을 갖는다.
상기 부스바커넥터는 전력량계 및 차단기가 안정적으로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동 재질로 형성하되 표면은 은도금하여 형성한다.
분전반은 상기 부스바커넥터를 사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에 의하면, 부스바커넥터를 이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킴으로써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근접위치시킬 수 있어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축소시킬 수 있으며 원자재 및 부자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은 부스바커넥터를 사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간단하게 결선시킴으로써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공정이 단순해져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에 있어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에 있어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커넥터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커넥터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전력량계와 결선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바;와 차단기의 단자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며 차단기와 결선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고정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바 및 고정플레이트는 측면상에서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대각위치에 형성하되 상호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바는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이 용이하도록 평면상에서 반원형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상호 상이한 폭으로 형성된 삽입고정바 및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정면상에서 양측면 또는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의 양측면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여 연결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의 양측면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되 상호 동일한 기울기 값을 갖거나 상호 상이한 기울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바커넥터는 전력량계 및 차단기가 안정적으로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동 재질로 형성하되 표면은 은도금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전반은 상기 부스바커넥터를 사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의 일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고정바(10), 고정플레이트(20) 및 연결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스바커넥터(50)는 전력량계(1)와 차단기(2)를 연결하여 전기결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전력량계(1) 및 차단기(2)의 규격에 따라 복수개의 부스바커넥터(50)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한다.
상기 삽입고정바(10)는 전력량계(1)와 차단기(2)를 연결하여 전기결선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1)의 삽입홈(1a)에 삽입고정된다. 삽입고정바(10)는 삽입홈(1a)에 삽입고정이 용이하도록 평면상에서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바(10)는 삽입홈(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직립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고정바(10)는 전력량계(1)의 삽입홈(1a)에 삽입한 뒤 볼트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얇은 판의 형상으로 차단기(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심에는 관통된 형상의 고정홈(22)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0)는 차단기(2)의 단자(2a)에 밀착시킨뒤 볼트 등을 이용하여 차단기(2)에 위치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전력량계(1) 및 차단기(2)를 근접위치시켰을 때 차단기(2)의 단자(2a)에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고정바(10)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고정플레이트(20)는 측면상에서 삽입고정바(10)와 대각위치에 위치하되 직립된 삽입고정바(10)와 평행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결대(30)는 삽입고정바(10)와 고정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하여 삽입고정바(10)와 고정플레이트(20) 연결하여 전력량계(1)와 차단기(2)가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대(30)는 상호 대각위치에 형성된 삽입고정바(10)와 고정플레이트(20)를 연결하귀 위하여 측면상에서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30)는 상호 상이한 폭으로 형성되는 삽입고정바(10)와 고정플레이트(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 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상에서 양측면 또는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30)는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하여 전기결선하는 전력량계(1) 및 차단기(2)의 규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정면상에서 양측면이 기울기를 갖되 연결대(3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30)는 양측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되 상호 동일한 기울기를 갖거나 상호 상이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50)는 전력량계(1) 및 차단기(2)가 안정적으로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동 재질로 형성하되 표면은 은도금하여 형성한다.
상기 부스바커넥터(50)의 재질인 동(구리)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Cu이고, 붉은 빛을 띠는 금속으로써 전기의 전도성이 뛰어나 전력량계(1)와 차단기(2)가 안정적으로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스바커넥터(50)의 표면에 도금하는 재질인 은은 금속으로 원소기호 Ag이고, 전기의 전도성이 매우 뛰어나 전력량계(1)와 차단기(2)가 안정적으로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스바커넥터(50)는 전력량계(1) 및 차단기(2)의 규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상4선식(3P4W) 60A를 갖는 전력량계(1) 및 그에 대응하는 차단기(2)가 구비되면 전력량계(1)와 차단기(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4개의 부스바커넥터(50)가 사용된다.
상기 전력량계(1) 및 차단기(2)를 결선하는 4개의 부스바커넥터(50) 중 안쪽에 위치한 2개의 부스바커넥터(50)는 정면상에서 고정플레이트(20)에서 삽입고정바(10)로 위치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한다. 또한, 바깥쪽에 위치한 2개의 부스바커넥터(50)는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는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하여 전력량계(1) 및 차단기(2)를 연결한다. 바깥쪽에 위치한 2개의 부스바커넥터(50)는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5의 (b)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상4선식(3P4W) 120A를 갖는 전력량계(1) 및 그에 대응하는 차단기(2)가 구비되면, 전력량계(1)와 차단기(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4개의 부스바커넥터(50)가 사용된다.
상기 3상4선식(3P4W) 120A를 갖는 전력량계(1) 및 그에 대응하는 차단기(2)를 연결하는 부스바커넥터(50)는 전력량계(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부스바커넥터(50)는 연결대(30)의 양측면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갖는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하고, 우측에 위치한 부스바커넥터(50)는 연결대(30)의 양측면이 왼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갖는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커넥터(50)를 60A 및 120A를 갖는 전력량계(1) 및 그에 대응하는 차단기(2)를 연결하여 결선시킨 뒤 일정 시간을 가동하여 온도 상승량을 측정하는 온도 상승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상승량은 일정 시간동안 규정된 한도 내에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커넥터(50)는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축소시킴은 물론 전기적으로도 안정된 연결을 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의 일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하여 전력량계(WHM; 1)와 차단기(MCCB; 2)를 연결하여 전기결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전반(100)은 전기를 인입받아 각각 전기를 분배해 주는 설비로써,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메인차단기(5)와, 분산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기(2) 및 전력량을 검출하는 복수개의 전력량계(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10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커넥터(50)를 사용하여 전력량계(1)와 차단기(2)를 연결함으로써, 전력량계(1)와 차단기(2)를 근접위치 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여 분전반(100)의 하우징(60)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하여 하우징(60)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자재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전반(100)은 부스바커넥터(50)를 전력량계(1) 및 차단기(2)와 볼트결합 등으로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여 상호 연결고정이 간단하므로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력량계 1a : 삽입홈 2 : 차단기
2a : 단자 5 : 메인차단기 10 : 삽입고정바
20 : 고정플레이트 22 : 고정홈 30 : 연결대
50 : 부스바커넥터 60 : 하우징 100 : 분전반

Claims (8)

  1. 전력량계와 결선할 수 있도록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바;와
    차단기의 단자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며 차단기와 결선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고정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바 및 고정플레이트는 측면상에서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대각위치에 형성하되 상호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바는 전력량계의 삽입홈에 삽입고정이 용이하도록 평면상에서 반원형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호 상이한 폭으로 형성된 삽입고정바 및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정면상에서 양측면 또는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양측면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여 연결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양측면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되 상호 동일한 기울기 값을 갖거나 상호 상이한 기울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커넥터는 전력량계 및 차단기가 안정적으로 전기결선될 수 있도록 동 재질로 형성하되 표면은 은도금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에 따른 부스바커넥터를 사용하여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
KR1020160002349A 2016-01-08 2016-01-08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KR20170083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49A KR20170083204A (ko) 2016-01-08 2016-01-08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49A KR20170083204A (ko) 2016-01-08 2016-01-08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04A true KR20170083204A (ko) 2017-07-18

Family

ID=5943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49A KR20170083204A (ko) 2016-01-08 2016-01-08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2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6937A (zh) * 2018-12-20 2019-04-12 上海平高天灵开关有限公司 一种充气柜用三工位一体式导电排安装定位装置
KR102030368B1 (ko) 2018-04-13 2019-10-10 임장호 후면 덮개 포함 부스 바용 절연 캡
KR102100057B1 (ko) * 2018-10-18 2020-04-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착탈형 컨택터
KR20200001709U (ko) 2019-01-23 2020-07-31 임장호 후면 덮개 포함 부스 바용 절연 캡
KR102580337B1 (ko) * 2023-03-24 2023-09-19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368B1 (ko) 2018-04-13 2019-10-10 임장호 후면 덮개 포함 부스 바용 절연 캡
KR102100057B1 (ko) * 2018-10-18 2020-04-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착탈형 컨택터
CN109616937A (zh) * 2018-12-20 2019-04-12 上海平高天灵开关有限公司 一种充气柜用三工位一体式导电排安装定位装置
CN109616937B (zh) * 2018-12-20 2020-04-21 上海平高天灵开关有限公司 一种充气柜用三工位一体式导电排安装定位装置
KR20200001709U (ko) 2019-01-23 2020-07-31 임장호 후면 덮개 포함 부스 바용 절연 캡
KR102580337B1 (ko) * 2023-03-24 2023-09-19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3204A (ko) 전력량계와 차단기를 결선시키는 부스바커넥터 및 그를 이용하는 분전반
US7850483B2 (en) Power meter socket to circuit breaker connection
JP5730445B2 (ja) 電気的シリーズ用端子およびシリーズ端子ブロック
WO2020018775A1 (en) Improved outlet connection schema for a pdu
RU2218639C2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блок питания низковольт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щита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CN219371749U (zh) 汇流排组件及具有其的配电柜
CN205830156U (zh) 柔性线路板、连接器及电池信号采样装置
KR20160114939A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분전반
US20190229503A1 (en) Stacked bus assembly with stepped profile
CN100578870C (zh) 具有插座固定机构的电子装置
CN216565969U (zh) 大载流量防雷器
KR101313197B1 (ko) 배전반 용 부스바 커넥터
PL205243B1 (pl) Urządzenie rozdzielcze energii elektrycznej dla aparatury elektrycznej umieszczonej w rzędach równoległych tablicy albo szafy elektrycznej oraz tablica albo szafa rozdzielcza elektryczna
CN103779747B (zh) 配电连接装置
CN217062858U (zh) 母排结构和配电系统
JPH0883654A (ja) 大電流接続用ターミナルおよび該ターミナルを用いた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JP5725952B2 (ja) 回路遮断器及び回路遮断器用アダプタ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CN201797060U (zh) 过渡接线排
KR100543741B1 (ko) 분전반용 모선부스바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JPH10327508A (ja) 分電盤の母線支持台
PL179204B1 (pl) Urzadzenie do przylaczania elektrycznych urzadzen instalacyjnych P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