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488A -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 Google Patents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488A
KR20170082488A KR1020177002855A KR20177002855A KR20170082488A KR 20170082488 A KR20170082488 A KR 20170082488A KR 1020177002855 A KR1020177002855 A KR 1020177002855A KR 20177002855 A KR20177002855 A KR 20177002855A KR 20170082488 A KR20170082488 A KR 2017008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nnection
air
hole
valve body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259B1 (ko
Inventor
쇼헤이 하시도코
야스아키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29668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22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296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05197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2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one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와, 테스트 커넥션부(200)가 압입해서 부착되는 통형상부(110)를 갖는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구비하고, 테스트 커넥션부(200)는 금속제의 캡재(210)와, 에어 배출 구멍(221)과, 밸브체(220)와, 밸브 스프링(230)과, 패킹재(240)를 구비하고, 압력 시험용 기기의 테스트 커넥션부(200)로의 접속 상태에서 이음매부(100)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하도록 했다.

Description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CONNECTOR WITH TEST CONNECTION}
본 발명은 트럭, 버스 등의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에 사용되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테스트 커넥션은 에어브레이크 배관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시험용 기기의 접속에 사용되는 접속용 어댑터이다.
종래의 테스트 커넥션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와 일체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금속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와 금속제의 테스트 커넥션을 R나사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있었다(특허문헌 1).
그러나, 테스트 커넥션과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는 모두 금속제의 별도의 부재이므로 중량이 무겁고, 주행에 의한 진동으로 나사의 조임이 느슨해져서 부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제공개 제2007/136274호
본 실시형태의 과제는, 테스트 커넥션부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주행에 의한 진동에 강한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는,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는 테스트 커넥션부와, 이 테스트 커넥션부가 부착되는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를 구비한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는 내부의 에어 유로로부터 분기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갖고 있고, 이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부에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가 압입해서 부착된다.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는 압입시에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파고 드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의 캡재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관통 구멍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고 동축 방향으로 뚫어서 설치되어 바깥 방향으로 개구된 에어 배출 구멍과, 이 에어 배출 구멍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을 갖는 밸브체와,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캡재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바이어싱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밸브체가 캡재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밸브체의 상기 연통 구멍보다 하방에서 상기 통형상부 내주면과 밸브체 외주면의 사이에 협착된,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내의 에어 유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시험용 기기의 테스트 커넥션부로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가 밸브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를 밀려내려가서 밸브체에 형성한 연통 구멍이 상기 패킹재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을 통과하여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는,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는 테스트 커넥션부와, 이 테스트 커넥션부가 부착되는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를 구비한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는 내부의 에어 유로로부터 분기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갖고 있고, 이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부에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가 압입해서 부착된다.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는 압입시에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파고 드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와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금속제의 하우징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관통 구멍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동축 방향으로 뚫어서 설치되어 바깥 방향으로 개구된 에어 배출 구멍과, 이 에어 배출 구멍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을 갖는 밸브체와, 상기 하우징의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를 하우징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바이어싱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밸브체가 하우징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밸브체의 연통 구멍보다 하방에서 상기 관통 구멍 내주면과 밸브체 외주면의 사이에 협착된,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내의 에어 유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시험용 기기의 테스트 커넥션부로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가 밸브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를 밀려내려가서 밸브체에 형성한 연통 구멍이 상기 패킹재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을 통과하여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한다.
(발명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경량이고,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주행에 의한 진동에 강하며, 파손되기 어렵고, 또한 테스트 커넥션부가 진동으로 느슨해져서 빠지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를 나타내는 일부 노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스트 커넥션부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스트 커넥션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스트 커넥션부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스트 커넥션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일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는,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브레이크 관련 부품의 연결에 사용되는 것이며,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와,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와, 브레이크 관련 부품이 접속되는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와, 튜브(500)가 접속되는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를 구비한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에는 내부의 에어 유로로부터 분기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갖고 있고, 이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테스트 커넥션부(200)가 부착되기 위한 통형상부(11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를 부착하기 위한 통형상부(120), 및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를 형성하기 위한 통형상부(130)를 갖고, 테스트 커넥션부(200) 및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는 각각 통형상부(110, 130) 내에 형성되고,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는 통형상부(120)에 압입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자형 형상이며, 중앙의 연통부(114)를 통해서 서로 연통한 통형상부(110, 120, 130)를 갖는다.
통형상부(110)에는 상부의 통형상부(110)로부터 순차적으로 대경 구멍부(111), 중경 구멍부(112), 및 소경 구멍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130)에는 내통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철, 놋쇠 등의 금속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를 구비하는 이음매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부(200))
테스트 커넥션부(200)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 시험용 기기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로의 접속시에 개방 상태로 되고, 압력 시험용 기기의 분리시에 폐쇄 상태로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커넥션부(2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 구멍(211)이 형성된 금속제의 캡재(210)와, 관통 구멍(211) 내에 관통 구멍(211)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된 밸브체(220)와, 통형상부(110)의 소경 구멍부(113) 내에 배치되고, 밸브체(220)를 캡재(210)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바이어싱하기 위한 금속제의 밸브 스프링(230)과, 중경 구멍부(112) 내에 배치되고, 밸브체(220)가 캡재(210)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밸브체(220)의 연통 구멍(222)보다 하방에서 통형상부(110) 내주면(중경 구멍부(112)의 내주면)과 밸브체(220) 외주면의 사이에 협착된, 에어 유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재(240)(O링)를 구비한다. 패킹재(240)는 통형상부(110)와 밸브체(220)와 캡재(210)에 의하여 형성된 둘레홈 내에 수용되어 있다.
관통 구멍(21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를 안내하기 위한 소경 구멍부(212)와, 이 소경 구멍부(212)보다 구멍 지름이 큰 대경 구멍부(213)로 이루어진다. 관통 구멍(211)의 내벽에는 밸브체(2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 되는 단차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캡재(210)의 압력 시험용 기기를 접속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압력 시험용 기기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캡재(210)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에 압입하는 압입부(217)의 외주면에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재(210)의 통형상부(110) 내로의 압입시에 돌기부(250)를 대경 구멍부(111)의 내벽에 파고들게 해서 테스트 커넥션부(200)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밸브체(220)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측의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바깥 방향으로 개구되고, 타단측에 저부를 갖는 에어 배출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 배출 구멍(221)의 타단측에는 에어 배출 구멍(221)의 내주면으로부터 밸브체(220)의 외주면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222)의 형성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압입되고 있을 때, 패킹재(240)보다 타단측에 위치하는 소경 구멍부(113) 내에 연통 구멍(222)의 적어도 일부가 면하는 위치이며, 이것에 의해, 에어 배출 구멍(221)과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내부의 에어 유로가 소경 구멍부(113)를 통해서 연통하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내의 에어를 압력 시험용 기기에 보낼 수 있다.
밸브체(220)의 타단측의 외주면에는 밸브 스프링(230)의 일단이 부착됨과 아울러 밸브 스프링(230)에 의한 바이어싱에 의해 단차부(214)와 접촉시키기 위해서 외경이 다른 부위보다 큰 접촉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는 밸브 스프링(230)에 의해 일단측으로 바이어싱되고, 연통 구멍(222)은 패킹재(240)보다 일단측에 위치하는 소경 구멍부(212) 내에 있기 때문에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연통 구멍(222)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221)으로 안내하는 일은 없다(폐쇄 상태).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 (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밸브체(220)의 일단면이 압력 시험용 기기와 접촉하고, 밸브체(220)는 밸브 스프링(230)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관통 구멍(211) 내를 밀려내려가서, 밸브체(220)에 형성한 연통 구멍(222)이 패킹재(240)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연통 구멍(222)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221)을 통과하여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한다(개방 상태).
밸브체(220)를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수지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밸브 스프링(230)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을 들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부(200)의 조립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통형상부(110) 내에 밸브 스프링(230)을 소경 구멍부(113) 내에, 패킹재(240)를 중경 구멍부(112) 내에 각각 삽입하고, 이어서 밸브체(220)를 통형상부(110) 내에 삽입하고, 최후에 캡재(210)를 대경 구멍부(111) 내에 압입하여 에지 형상 돌기부(250)를 대경 구멍부(111)의 내벽에 파고들게 해서 고정한다.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을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에 접속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하우징(310)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무제의 개스킷재(32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 내에서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내로 에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로(3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0)의 브레이크 관련 부품이 접속되는 측 부위의 외주에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과 나사 부착하기 위한 나사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120)에 압입하는 하우징(310)의 압입부(313)의 외주에는, 개스킷재(320)를 배치하기 위한 개스킷 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압입부(313)의 외주에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의 통형상부(120) 내로의 압입시에, 돌기부(330)를 통형상부(120)의 내벽에 파고들게 해서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는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에 튜브(500)를 접속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수지제의 백링(410)과, 이 백링(410)을 빠짐 방지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금속제의 캡(420)과, 이 캡(420)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금속제의 콜릿(430)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무제의 밀봉재(440)를 구비한다.
백링(4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릿(430)을 확경하기 위한 테이퍼면(411)이 형성되어 있다. 콜릿(430)의 내주에는 통형상부(130) 내에 튜브(500)를 유지하는 콜릿 클로부(431), 내주 테이퍼면(433)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외주 테이퍼면(432)이 형성되어 있다. 캡(420)의 외주에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420)의 통형상부(130) 내로의 압입시에 돌기부(450)를 통형상부(130)의 내벽에 파고들게 해서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는, 삽입된 튜브(500)에 내압이 작용해서 콜릿(430)이 캡(420)에 대하여 튜브(500)의 빠짐 방향으로 변위하면, 콜릿(430)이 그 외주 테이퍼면(432)을 따라서 축경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콜릿 클로부(431)가 튜브(500)에 박혀 튜브(500)를 강고하게 파지한다. 한편, 전용 공구 를 이용하여 콜릿(430)을 캡(420)에 대하여 튜브(500)의 빠짐 방향과는 반대 방향(튜브(500)의 삽입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백링(410)의 테이퍼면(411)과 콜릿(430)의 내주 테이퍼면(433)이 접촉해서 콜릿(430)이 확경함으로써, 튜브(500)에 박혀 있던 콜릿 클로부(431)가 분리되어 튜브(500)는 개방된다.
[사용 방법]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에 에어 탱크가,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에 튜브(500)가 각각 접속되고, 에어브레이크 장착차가 운전되는 평상시에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는 접속되지 않고, 에어 탱크 내를 나간 에어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를 통해서 튜브(500)에 의해 에어 탱크, 에어 밸브, 에어 액추에이터 등에 보내진다. 이 때,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는 종래의 이음매보다 경량화되어 있으므로,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주행에 의한 진동에 강해진다. 한편, 압력 시험(점검)을 행하는 시험시에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에어 탱크와 에어 탱크, 에어 밸브, 에어 액추에이터 등의 사이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재(21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 및 캡(420)의 각각 형성된 날카롭고 단단한 에지 형상의 돌기부(250, 330, 450)를, 대경 구멍부(111), 통형상부(120, 130)의 각내벽에 파고들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또한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T자형 형상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F자형 형상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등을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콜릿 클로부(431)가 형성된 콜릿(430)을 사용한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와 일체화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4300459호, 일본 특허 제4468145호에 기재된 락링(lock ring) 방식의 튜브 접속용 어댑터 등을 사용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를 도 4∼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는,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브레이크 관련 부품의 연결에 사용되는 것이며,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와,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와, 브레이크 관련 부품이 접속되는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와, 튜브(500)가 접속되는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를 구비한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는 내부의 에어 유로로부터 분기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갖고 있고, 이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테스트 커넥션부(200')를 부착하기 위한 통형상부(11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를 부착하기 위한 통형상부(120'), 및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를 형성하기 위한 통형상부(130)를 갖고, 테스트 커넥션부(200') 및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는 각각 통형상부(110', 120') 내에 압입되고,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는 통형상부(130) 내에 형성되어서 일체화하고 있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자형 형상이며, 중앙의 연통부(115)를 통해서 서로 연통한 통형상부(110', 120', 130)를 갖는다. 통형상부(130)에는 내통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철, 놋쇠 등의 금속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를 구비하는 이음매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부(200'))
테스트 커넥션부(200')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 시험용 기기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로의 접속시에 개방 상태가 되고, 압력 시험용 기기의 분리시에 폐쇄 상태가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커넥션부(2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와 연통하는 관통 구멍(211')을 갖는 금속제의 하우징(219)과, 관통 구멍(211') 내에 관통 구멍(211')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된 밸브체(220')와, 관통 구멍(211') 내에 배치되고 밸브체(220')를 하우징(219)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바이어싱하기 위한 금속제 밸브 스프링(230)과, 밸브 스프링(230')을 지지하기 위한 스냅링(251)과, 밸브체(220')가 하우징(219)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밸브체(220')의 연통 구멍(222')보다 하방에서 관통 구멍(211') 내주면과 밸브체(220') 외주면의 사이에 협착된, 에어 유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재(240')(O링)와,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무제의 개스킷재(260)를 구비한다.
관통 구멍(21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를 안내하기 위한 소경 구멍부(212')와, 이 소경 구멍부(212')보다 구멍 지름이 큰 대경 구멍부(213')로 이루어진다. 관통 구멍(211')의 내벽에는 밸브체(2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 되는 단차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재(240')는 이 단차부(214)에 배치되어 있다. 대경 구멍부(213')의 내주면에는 스냅링(251)을 끼워 부착하기 위한 부착 홈(252)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9)의 압력 시험용 기기를 접속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압력 시험용 기기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9)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에 압입하는 압입부(217')의 외주면에는, 개스킷재(260)를 배치하기 위한 개스킷 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입부(217')의 외주면에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테스트 커넥션부(200')의 통형상부(110') 내로의 압입시에, 돌기부(270)를 통형상부(110')의 내벽에 파고들게 해서 테스트 커넥션부(200')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밸브체(220')의 내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측의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바깥 방향으로 개구되고, 타단측에 저부를 갖는 에어 배출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 배출 구멍(221')의 타단측에는 에어 배출 구멍(221')의 내주면으로부터 밸브체(220')의 외주면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222')의 형성 위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압입되어 있을 때, 패킹재(240')보다 타단측에 위치하는 대경 구멍부(213') 내에 연통 구멍(222')의 적어도 일부가 면하는 위치이며, 이것에 의해, 에어 배출 구멍(221')과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내부의 에어 유로가 대경 구멍부(213')를 통해서 연통하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내의 에어를 압력 시험용 기기에 보낼 수 있다.
밸브체(220')의 타단측의 외주면에는 밸브 스프링(230')의 일단측이 부착됨과 아울러 밸브 스프링(230')에 의한 바이어싱에 의해 단차부(214)와 접촉시키기 위한, 외경이 다른 부위보다 큰 디텐트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는 밸브 스프링(230')에 의해 일단측으로 바이어싱되고, 연통 구멍(222')은 패킹재(240')보다 일단측에 위치하는 소경 구멍부(212') 내에 있기 때문에,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연통 구멍(222')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221')으로 안내하는 일은 없다(폐쇄 상태).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밸브체(220')의 일단면이 압력 시험용 기기와 접촉하고, 밸브체(220')는 밸브 스프링(230')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관통 구멍(211') 내를 밀려내려가서, 밸브체(220')에 형성한 연통 구멍(222')이 패킹재(240')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연통 구멍(222')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221')을 통과해서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한다(개방 상태).
밸브체(220')를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수지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밸브 스프링(230')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을 들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부(200')의 조립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패킹재(240'), 밸브체(220') 및 밸브 스프링(230')을 이 순서로 대경 구멍부(213')측으로부터 관통 구멍(211') 내에 삽입하고, 최후에, 축경시킨 스냅링(251)을 관통 구멍(211') 내에 삽입하고, 부착 홈(252) 내에서 확경시키면 된다.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을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에 접속하는 것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하우징(219)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무제의 개스킷재(320)와,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무제의 개스킷재(33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19)의 내부에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 내에서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 내로 에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로(3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9)의 브레이크 관련 부품이 접속되는 측 부위의 외주에는, 개스킷재(320)를 배치하기 위한 개스킷 홈(3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부위에는 브레이크 관련 부품과 나사 부착하기 위한 나사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120')에 압입하는 하우징(219)의 압입부(316)의 외주에는, 개스킷재(330)를 배치하기 위한 개스킷 홈(3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압입부(314)의 외주에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의 통형상부(120') 내로의 압입시에, 돌기부(340)를 통형상부(120')의 내벽에 파고들게 해서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 방법]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에 에어 탱크가,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에 튜브(500)가 각각 접속되고, 에어브레이크 장착차가 운전되는 평상시에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는 접속되지 않고, 에어 탱크 내를 나간 에어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를 통해서 튜브(500)에 의해 에어 탱크, 에어 밸브, 에어 액추에이터 등에 보내진다. 이 때,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는 종래의 이음매보다 경량화되어 있으므로, 에어브레이크 장착차의 주행에 의한 진동에 강해진다. 한편, 압력 시험(점검)을 행하는 시험시에는 테스트 커넥션부(200')에 압력 시험용 기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에어 탱크와 에어 탱크, 에어 밸브, 에어 액추에이터 등의 사이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스트 커넥션부(20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 및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의 각각에 형성된 날카롭고 단단한 에지 형상의 돌기부(270, 340, 450)를, 통형상부(110', 120', 130)의 각 내벽에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간단하게, 또한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에서는 T자형 형상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100')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F자형 형상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등을 사용해도 된다.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에서는 밸브 스프링(230')이 스냅링(251)에 지지되어 있는 테스트 커넥션부(200')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냅링 대신에 하우징(219)의 타단을 대경 구멍부의 중심점측으로 소성 변형하여 코킹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이 코킹부에 밸브 스프링이 지지되어 있는 테스트 커넥션부를 사용해도 된다.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1')에서는 콜릿 클로부(431)가 형성된 콜릿(430)을 사용한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와 일체화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4300459호, 일본 특허 제4468145호에 기재된 락링 방식의 튜브 접속용 어댑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1 :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100 :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110 : 통형상부 200 : 테스트 커넥션부
210 : 캡재 211 : 관통 구멍
219 : 하우징 220 : 밸브체
221 : 에어 배출 구멍 222 : 연통 구멍
230 : 밸브 스프링 240 : 패킹재
240 : 돌기부 300 : 기기 접속용 어댑터
400 :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 500 : 튜브

Claims (5)

  1.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는 테스트 커넥션부와, 이 테스트 커넥션부가 부착되는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를 구비하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는 내부의 에어 유로로부터 분기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갖고 있고, 이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부에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가 압입해서 부착되며,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는,
    압입시에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파고 드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의 캡재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관통 구멍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고, 동축 방향으로 뚫어서 설치되어 바깥 방향으로 개구된 에어 배출 구멍과, 이 에어 배출 구멍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을 갖는 밸브체와,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통형상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를 캡재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바이어싱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밸브체가 캡재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밸브체의 상기 연통 구멍보다 하방에서 상기 통형상부 내주면과 밸브체 외주면의 사이에 협착된,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내의 에어 유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시험용 기기의 테스트 커넥션부로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가 밸브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를 밀려내려가서, 밸브체에 형성한 연통 구멍이 상기 패킹재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을 통과하여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2. 압력 시험용 기기가 접속되는 테스트 커넥션부와, 이 테스트 커넥션부가 부착되는 수지제의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를 구비하고,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는 내부의 에어 유로로부터 분기된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갖고 있고, 이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부에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가 압입해서 부착되며,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는,
    압입시에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파고 드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와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금속제의 하우징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관통 구멍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동축 방향으로 뚫어서 설치되어 바깥 방향으로 개구된 에어 배출 구멍과, 이 에어 배출 구멍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을 갖는 밸브체와,
    상기 하우징의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를 하우징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바이어싱하는 밸브 스프링과,
    상기 밸브체가 하우징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밸브체의 연통 구멍보다 하방에서 상기 관통 구멍 내주면과 밸브체 외주면의 사이에 협착된,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 내의 에어 유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시험용 기기의 테스트 커넥션부로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가 밸브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를 밀려내려가서, 밸브체에 형성한 연통 구멍이 상기 패킹재보다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에어 유로 내의 에어를 상기 연통 구멍으로부터 에어 배출 구멍을 통과하여 압력 시험용 기기에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의 하우징은,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파고 드는 에지 형상의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 시험용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나사부가 상기 통형상부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커넥션부와,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와, 기기 접속용 어댑터와,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를 구비하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 배관용 이음매부는, 테스트 커넥션부를 부착하기 위한 통형상부(110), 기기 접속용 어댑터(300)를 부착하기 위한 통형상부(120'), 및 튜브 접속용 어댑터부(400)를 형성하기 위한 통형상부(130)를 갖고, 이들 통형상부가 서로 연통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테스트 커넥션용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KR1020177002855A 2014-11-12 2015-10-30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KR102327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9668A JP6442239B2 (ja) 2014-11-12 2014-11-12 テストコネクション付継手
JPJP-P-2014-229667 2014-11-12
JP2014229667A JP6405197B2 (ja) 2014-11-12 2014-11-12 テストコネクション付継手
JPJP-P-2014-229668 2014-11-12
PCT/JP2015/080748 WO2016076146A1 (ja) 2014-11-12 2015-10-30 テストコネクション付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488A true KR20170082488A (ko) 2017-07-14
KR102327259B1 KR102327259B1 (ko) 2021-11-17

Family

ID=5595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55A KR102327259B1 (ko) 2014-11-12 2015-10-30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27259B1 (ko)
CN (1) CN107076341B (ko)
WO (1) WO2016076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5621A1 (en) * 2017-09-13 2019-03-21 Colder Products Company FLUID HANDLING COMPONENTS
CN116358730A (zh) * 2023-05-31 2023-06-30 吉林大学 一种体温监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973A (ja) * 1999-11-03 2003-04-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スリップ制御されるハイドロリック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に用いられる弁装置
JP2004510933A (ja) * 2000-10-03 2004-04-08 イートン エアロクイッ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ップリングアダプター及び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JP2007024376A (ja) * 2005-07-14 2007-02-01 Osaka Gas Co Ltd 継手
WO2007136274A1 (en) 2006-05-19 2007-11-29 Kongsberg Automotive As Valv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80284Y (zh) * 2002-11-08 2003-10-15 慕容东林 一种快速充气装置
JP2009074620A (ja) * 2007-09-21 2009-04-09 Smc Corp 継手部材の接続構造
JP4465392B2 (ja) * 2008-01-30 2010-05-1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カプラ及びガス又は液体の供給装置
CN201242008Y (zh) * 2008-07-28 2009-05-20 简明锐 一种改进的连接接头
CN201836574U (zh) * 2010-07-27 2011-05-18 重庆液动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平头快换接头
CN203322589U (zh) * 2013-07-10 2013-12-04 玉环汽车配件实业有限公司 快插式三通接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973A (ja) * 1999-11-03 2003-04-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特にスリップ制御されるハイドロリック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に用いられる弁装置
JP2004510933A (ja) * 2000-10-03 2004-04-08 イートン エアロクイッ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ップリングアダプター及び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JP2007024376A (ja) * 2005-07-14 2007-02-01 Osaka Gas Co Ltd 継手
WO2007136274A1 (en) 2006-05-19 2007-11-29 Kongsberg Automotive As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259B1 (ko) 2021-11-17
CN107076341A (zh) 2017-08-18
WO2016076146A1 (ja) 2016-05-19
CN107076341B (zh)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283B1 (ko) 스로틀 밸브
JP6230844B2 (ja) 弁装置
CN105508874B (zh) 阀装置
KR100686961B1 (ko) 튜브 조인트
US5433410A (en) Drain valve
US7971910B2 (en) Conduit to component fitting having a leak detection mechanism
US20040011983A1 (en) Fluid sampling valve
US6892999B2 (en) Probe activated valve system
WO1989006766A1 (en) Quick connect coupling device
KR20170082488A (ko)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KR101695561B1 (ko)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KR20170072864A (ko) 에어 배관에 있어서의 밸브와 이음매의 접속 기구
JP6718569B2 (ja) 管継手
JP6480375B2 (ja) 圧力センサ
US20230349495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tubular element
US7192062B2 (en) Quick connect cartridge assembly with plug
KR20220116148A (ko) 유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유체 시스템용 밸브 커플링 및/또는 측정 커플링, 그리고 유체 시스템 채움, 비움 및 배출을 하기 위한 연결 피팅
JP6442239B2 (ja) テストコネクション付継手
JP6405197B2 (ja) テストコネクション付継手
US10647288B2 (en) Belt tightener
CN115298470A (zh) 具有连接控制的连接装置
CN109421018B (zh) 一种油封装配工装
CN111336298A (zh) 一种阀装置、管路连接结构
JP2007515599A (ja) 迅速管継手
US1943326A (en) Fluid condui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