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303A -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 Google Patents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303A
KR20170082303A KR1020160001538A KR20160001538A KR20170082303A KR 20170082303 A KR20170082303 A KR 20170082303A KR 1020160001538 A KR1020160001538 A KR 1020160001538A KR 20160001538 A KR20160001538 A KR 20160001538A KR 20170082303 A KR20170082303 A KR 2017008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miconductor chips
bond fingers
connection members
sid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준
김종훈
유영근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303A/ko
Publication of KR2017008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을 갖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의 일면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며 각각 상기 기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에 대응하는 측면전극들이 형성된 복수의 반도체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과 상기 반도체칩들의 측면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Semicondcutor package on which semiconductor chips are mounted vertically}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고용량의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이 더 작고 및 고기능화됨에 따라, 요구된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용량을 갖는 반도체칩이 필요로 하게 되었고, 작은 크기의 전자 제품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칩들을 실장 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그런데 고용량을 갖는 반도체칩을 제조하거나 한정된 공간 내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칩들을 실장하는 기술들은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기 때문에 최근의 기술 개발은 하나의 패키지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칩을 내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반도체칩들을 내장하여 고용량 및 다기능을 가지면서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반도체 패키지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일 크기의 기판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칩을 실장하여 구현한 고용량의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반도체칩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경우에서의 와이어 본딩 과정에서 유발되는 칩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적 연결 문제(electrical interconnection issue) 없이 기판상에 다수의 반도체칩들을 실장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을 갖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의 일면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며 각각 상기 기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에 대응하는 측면전극들이 형성된 복수의 반도체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과 상기 반도체칩들의 측면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적용된 전자 시스템은, 버스에 의해 결합된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입출력장치 및 메모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및 메모리장치는, 일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며, 각각 상기 기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에 대응하는 측면전극들이 형성된 복수의 반도체칩들; 및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과 상기 반도체칩들의 측면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는,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며, 각각 상기 기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에 대응하는 측면전극들이 형성된 복수의 반도체칩들; 및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과 상기 반도체칩들의 측면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반도체칩들이 기판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기 때문에 반도체칩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인 크랙(crack)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칩들이 기판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기 때문에 반도체칩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종래 기술 대비 동일 크기의 기판상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칩들을 실장할 수 있으며, 그래서, 고용량의 반도체 패키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구 형상의 측면전극들과 반원 모양의 범프들을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반도체칩들과 기판 사이의 오정렬 불량 및 솔더 눌림에 의한 쇼트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래서, 기판과 반도체칩들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에서 공통신호가 인가되는 본드핑거들을 반원 바 형태의 범프로 상호 연결해줌으로써 전력손실(power loss) 없이 여러 개의 반도체칩들에 한 번에 공통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에서 개별 구동신호들이 인가되는 본드핑거들에 대해서는 반도체칩에 필요한 범프만을 선택적으로 본딩할 수 있도록 도트 형태로 개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칩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반도체칩의 측면전극들을 스크라이브라인에 형성하므로 웨이퍼의 네트 다이(Net Die)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쏘잉을 통해 원형의 전극을 두 개의 반구형 측면전극들로 분리시키고, 여러 개의 반도체칩을 한 번의 리플로우를 통해 동시에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패키지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봉지부재를 제외한 사시도.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정면도.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측면도.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에서의 측면 반원 전극들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대응하여 웨이퍼 쏘잉 공정 전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봉지부재를 제외한 측면도.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적용한 전자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에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 및 강조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동일한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기판(10), 연결부재들(22, 24) 및 반도체칩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봉지부재(40) 및 외부접속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기판(10)은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은 상면에 해당하는 일면(10a) 및 일면(10a)에 대향하고 하면에 해당하는 타면(10b)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은 일면(10a)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1본드핑거들(12) 및 제2본드핑거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타면(10b)에 배열된 복수의 볼랜드들(1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본드핑거들(12)은 각 반도체칩들(30)에서의 칩 선택 신호를 포함하여 구동 신호들이 개별 인가되는 전극들이며, 제2본드핑거들(14)은 반도체칩들(30)에 공통 신호가 인가될 전극들일 수 있다. 도면들에서, 제1본드핑거들(12)은 좌측 두 열을 제외하고 나머지에 배열될 수 있으며, 제2본드핑거들(14)은 좌측 두 열에 배열될 수 있다.
반면, 실시 예에서는 제2본드핑거들(14)이 기판(10)의 좌측 두 열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그 배열 위치는 변경 가능하며, 제1본드핑거들(12)의 배열 위치 또한 제2본드핑거들(14)의 배열 위치에 맞추어 변경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10)은 내부에 형성된 비아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일면(10a)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12, 14)과 기판(10)의 타면(10b)에 배열된 복수의 볼랜드들(16)은 비아배선들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은 그의 일면(10a) 및 타면(10b) 상에 각각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12, 14)과 볼랜드들(16)을 노출하도록 형성된 솔더레지스트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들(22, 24)은 기판(10)과 반도체칩들(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며, 제1연결부재들(22) 및 제2연결부재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들(22)은 기판(10)의 제1본드핑거들(12) 상에 각각 도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들(22)은 단면상으로 반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들(22)은 리플로우에 의해 경화되는 솔더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들(24)은 기판(10)의 좌측 두 열에 배열된 제2본드핑거들(14)을 상호 연결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들(24)은 제2본드핑거들(14) 및 그들 사이의 일면 부분 상부에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제2연결부재들(24)은 기판(10)의 좌측 두 열에 배열된 제2본드핑거들(14)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바 형태의 제2연결부재들(24)은 단면상으로 반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들(24)은 리플로우에 의해 경화되는 구리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칩들(30)은 메모리칩일 수 있다. 반도체칩들(30)은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칩들(30)은 제1연결부재들(22) 및 제2연결부재들(24)을 매개로 하여 기판(10)의 일면(10a)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도체칩들(30)은 기판(10)의 일면(10a)과 마주하는 일 측면의 제1연결부재들(22) 및 제2연결부재들(24)에 대응하는 부분들 각각에 형성된 홈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각 홈들의 표면상에 각각 형성된 측면전극들(3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전극들(32)은 스크라이브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반도체칩들(30)을 포함한 웨이퍼에서 스크라이브라인의 일부분들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들은 반구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홈들의 표면 상에 형성된 측면전극들(32) 또한 반구(half circle)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반구 모양의 측면전극들(32)은 리플로우에 의해 경화되는 솔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더로 이루어진 반구 모양 측면전극들(22)은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지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따라 복수의 반도체칩들(30)이 제조된 웨이퍼(200)가 마련된다. 실시 예에서, 웨이퍼(200)는 제1방향(X)으로 연장하는 두 개 라인의 반도체칩들(30)이 그 사이에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셀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이렇게 서로 대칭되게 셀들이 형성된 두 개 라인의 반도체칩들(30)이 제1방향(X)과 수직하는 제2방향(Y)으로 제2스크라이브라인(SL2)을 사이에 두고 반복 배열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후속에서 홈들(H)이 형성될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은 일반적인 웨이퍼에서의 스크라이브라인 대비 약간 큰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스크라이브라인(SL2)은 일반적인 웨이퍼에서의 스크라이브라인과 동일 폭을 갖거나, 또는, 웨이퍼에서의 네트 다이가 감소되지 않도록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의 증가된 폭만큼 약간 감소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스크라이브라인(SL3)은 일반적인 웨이퍼에서의 스크라이브라인 및 제2스크라이브라인(SL2)과 동일 폭을 가질 수 있다.
웨이퍼(200)의 상면으로부터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에 레이저 드릴링 공정을 통해 제1방향(X)을 따라 배열되게 소정 깊이로 복수의 홈들(H)이 형성된다. 홈들(H)은 평면상으로 원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쏘잉 공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반도체칩들(30)이 평면상으로 반구 모양의 측면전극들(32)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홈(H)은 후속하는 웨이퍼 백그라인딩 공정에 의해 그 저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홈(H)은 측면전극들(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배선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은 반도체칩(30)에 형성되는 다층 금속배선 구조에서 설계 변경을 통해 반도체칩(30)의 측면으로 연장 배치되는 어느 한 층의 금속배선이거나, 또는, 패드 재배열을 통해 반도체칩(30)의 액티브면 상에 추가로 형성되는 재배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H)을 포함하여 웨이퍼(200) 상에 진공 장비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씨드금속막(202)이 형성된다. 씨드금속막(202)은 구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씨드금속막(202) 상에 전기도금 공정을 통해 솔더막(204)이 도금된다. 솔더막(204)은 홈(H)을 완전 매립하지 않는 범위의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씨드금속막(202) 및 솔더막(204)이 적층된 웨이퍼(200)에 대해 웨이퍼(20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전면 그라인딩 공정이 실시되고, 그 결과, 웨이퍼(200)의 상면에 적층된 씨드막(202) 부분 및 솔더막(204) 부분이 제거된다.
소망하는 두께의 웨이퍼(200)가 얻어지도록 웨이퍼(200)의 후면으로부터 백그라인딩이 실시되며, 그 결과, 웨이퍼(200)의 후면 일부 두께와 함께 홈(H)의 저면에 적층된 씨드막(202) 부분 및 솔더막(204) 부분이 제거된다.
백그라인딩이 실시된 웨이퍼에 대해 쏘잉 공정을 진행해서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에 포함되는 개별 반도체칩들(30)로 분리시킨다. 실시 예에서, 쏘잉 공정은 스크라이브라인들(SL1, SL2, SL3)에 대해 진행하되 제2방향(Y)의 제3스크라이브라인(SL3) 및 제1방향(X)에서의 제2스크라이브라인(SL2)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웨이퍼 쏘잉 공정과 동일하게 진행하고, 제1방향(X)에서의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에 대해서는 원형의 홈들(H)이 두 개의 반원형들이 되도록 진행한다. 이 결과, 쏘잉되어 얻어진 각 반도체칩들(30)은 일 측면에 반구 모양이면서 씨드막(202)을 포함한 솔더막(204)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측면전극들(22)을 갖게 된다.
실시 예에서, 기판(1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반도체칩(30)의 측면전극들(32)이 제1스크라이브라인(SL1)에 형성되므로 웨이퍼의 네트 다이(Net Die)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원형의 전극이 쏘잉되는 것에 의해 두 개의 반구형 측면전극들(32)로 분리되기 때문에 측면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칩들(30)은 연결부재들(20)을 매개로 하여 기판(10)의 일면(10a)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될 수 있다. 이때, 반구 모양을 갖는 측면전극들(32)은 반원 모양을 갖는 연결부재들(22, 24)을 매개로 하여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12, 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반도체칩들(30)의 실장 시, 단면상으로 볼 때, 측면전극들(32)이 반구 모양을 갖고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22, 24)이 반원 모양을 갖는 것으로 인해 상호 간 오정렬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솔더 눌림에 의해 이웃하는 측면전극들(32) 사이의 쇼트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칩들(30)이 수직으로 세워져 기판(10)의 일면(10a) 상에 직접 실장되기 때문에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기판(10)과 반도체칩들(3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문제없이 상호 간에 용이하고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기판(10)의 일면(10a) 상에 여러 개의 반도체칩들(30)을 수직으로 세워 배치시킨 상태로 한 번의 리플로우 공정을 실시하여 동시에 기판(10)과 반도체칩들(30)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장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부가해서, 기판(10)에서의 공통 신호가 인가되는 제2본드핑거들(14)이 바 형태의 제2연결부재(24)에 의해 상호 연결된 채로 반도체칩들(30)의 대응하는 측면전극들(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력손실(power loss)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와이어 본딩을 이용한 칩 스택 패키지는 가느다란 와이어를 하부에서 상부 칩까지 층층이 연결한 구조를 가지므로, 모든 반도체칩들에 공통신호를 인가하기까지 전력손실이 크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제2본드핑거들(14)을 바 형태의 제2연결부재(24)로 상호 연결하여 전력 입력부(power input)를 하나로 만듦으로써 전력손실 없이 여러 개의 반도체칩에 공통신호를 한 번에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기판(10)에서 개별 구동신호들이 인가되는 본드핑거들은 반도체칩에 필요한 범프만을 선택적으로 본딩할 수 있도록 도트 형태로 개별 형성되므로 반도체칩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칩 본딩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기판의 본드핑거들 모두에 범프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본드핑거들에 대응하는 반도체칩 부분들에 각각 본딩패드를 형성해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는 본드핑거들에 칩 본딩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범프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낮은 수율 웨이퍼의 칩을 같이 적층할 경우에 필요 없는 본드핑거들에 범프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그리고, 이종의 칩들을 적층할 때 필요 없는 본드핑거들에 범프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반도체칩에 불필요한 본딩패드들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그래서 반도체칩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반도체칩들(30)이 기판(10)의 일면(10a) 상에 여섯 개가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도체칩들(30)은 기판(10)의 설계 변경을 통해, 즉, 더 많은 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12, 14)을 배열하는 것을 통해 그 이상의 수로도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봉지부재(40)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반도체칩들(30)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봉지부재(40)는 기판(10)의 일면(10a) 상부에 반도체칩들(3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재(40)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poxy Molding Compou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접속부재(50)는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를 외부 회로에 실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외부접속부재(50)는 기판(10)의 타면(10b)에 배열된 볼랜드들(16)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외부접속부재(50)는 솔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외부접속부재(50)는 도전 핀 또는 도전 페이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A)는 기판(10), 연결부재들, 반도체칩들(30) 및 외부접속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봉지부재(도시안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은 서로 대향하는 일면(10a) 및 타면(10b)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은 그의 일면(10a)에 형성되고 반도체칩들(30)의 일 측면들이 삽입될 복수의 그루브들(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루브들(G)은 적어도 반도체칩(30)의 측면전극(32)이 삽입되도록 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기판(10)은 일면(10a)에 배열된 복수의 제1본드핑거들(12) 및 제2본드핑거들(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드핑거들(12) 및 제2본드핑거들은 기판(10)의 일면(10a)에 형성된 그루부들(G)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본드핑거들(12)은 구동 신호들이 개별 인가되는 전극들이며, 제2본드핑거들은 공통 신호가 인가될 전극들일 수 있다. 기판(10)은 그의 타면(10b)에 배열된 복수의 볼랜드들(16)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내부에 형성된 비아배선들(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10)의 일면(10a)에 배열된 제1본드핑거들(12) 및 제2본드핑거들과 기판(10)의 타면(10b)에 배열된 복수의 볼랜드들(16)은 비아배선들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은 그의 일면(10a) 및 타면(10b) 상에 각각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12, 14)과 볼랜드들(16)을 노출하도록 형성된 솔더레지스트들(1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기판(10)은 이전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본 실시 예의 기판(10)은 그루브(G)의 깊이를 감안하여 이전 실시 예의 그것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들은 제1연결부재들(22) 및 제2연결부재들(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들(22)은 기판(10)의 제1본드핑거들(12) 상에 각각 도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들(22)은 단면상으로 반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들(22a)은 리플로우에 의해 경화되는 솔더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들은 제2본드핑거들을 연결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들은 그루브들(G)을 포함하여 제2본드핑거들(14) 및 기판(10)의 일면(10a) 상부에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들은 리플로우에 의해 경화되는 구리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칩들(30)은 메모리칩일 수 있다. 반도체칩들(30)은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칩들(30)은 제1연결부재들(22) 및 제2연결부재들을 매개로 하여 기판(10)의 일면(10a)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될 수 있다. 반도체칩들(30)은 기판(10)의 일면(10a)과 마주하는 일 측면에 배열된 복수의 측면전극들(3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측면전극들(32)은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게 반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반구 모양의 측면전극들(32)은 리플로우에 의해 경화되는 솔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전극들(32)을 갖는 반도체칩들(30)은 상기 측면전극들(32)이 형성된 일 측면 부분들이 기판(10)의 일면(10a)에 형성된 그루브들(G) 내에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된다. 즉, 반도체칩들(30)은 그의 측면전극들(32)이 대응하는 제1연결부재들(22) 및 제2연결부재들과 접하도록 기판(10)의 그루브들(G)에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그 다음, 리플로우를 통해 측면전극들(32)과 제1본드핑거들(12) 및 제2본드핑거들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에 의해 실장된다.
본 실시 예의 반도체 패키지(100A)는 반도체칩들(30)이 기판(10)의 그루브들(G) 내에 삽입 배치되기 때문에 반도체칩들(30) 사이의 쇼트 불량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접속(50)는 기판(10)의 타면(10b)에 배열된 볼랜드들(16)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외부접속부재(50)는 솔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외부접속부재(50)는 도전 핀 또는 도전 페이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재는 기판(10)의 일면(10a) 상부에 반도체칩들(3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재(40)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시스템 및 메모리 카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700)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700)은 컨트롤러(710), 입출력장치(720) 및 메모리장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710), 입출력장치(720) 및 메모리장치(730)는 데이터들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버스(75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신호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710) 및 메모리장치(73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720)는 키패드, 키보드 및 표시 장치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장치(730)는 데이터 및/또는 컨트롤러(7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장치(730)는 디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기기나 데스크 톱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반도체 디스크 장치(SSD)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시스템(700)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시스템(700)은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740)는 유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7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시스템(700)은 응용 칩셋 및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700)은 모바일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산업용 컴퓨터 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시스템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폰(wireless phone), 랩탑(laptop) 컴퓨터, 메모리 카(memory card)드, 디지털 뮤직 시스템(digital music system) 및 정보 전송/수신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자 시스템(70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인 경우에 전자 시스템(70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ADC(North American Digital Cellular), E-TDMA(Enhance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8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같은 메모리(810) 및 메모리 컨트롤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 및 메모리 컨트롤러(820)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적용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820)는 호스트(830)의 판독/쓰기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8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기판 12: 제1본드핑거
14: 제2본드핑거 16: 볼랜드
18: 솔더레지스트 22: 제1연결부재
24: 제2연결부재 30: 반도체칩
32: 측면전극 40: 봉지부재
50: 외부접속부재 100,100A: 반도체 패키지
200: 웨이퍼 202: 씨드금속막
204: 솔더막

Claims (16)

  1. 일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실장되며, 각각 상기 기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에 대응하는 측면전극들이 형성된 복수의 반도체칩들; 및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과 상기 반도체칩들의 측면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
    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배열된 복수의 볼랜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반도체칩들의 일 측면 일부 두께가 삽입되도록 상기 일면에 형성된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본드핑거들은 상기 기판의 일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들은 상기 제1본드핑거들 상에 각각 도트 형태(dot type)이고 단면상으로 반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들은 상기 제2본드핑거들 및 그들 사이의 일면 부분 상부에 상기 제2본드핑거들을 상호 연결하는 바 형태(bar type)이고 단면상으로 반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들은 구리 범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들은 솔더 범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들은 메모리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들의 측면전극들은 스크라이브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반도체칩들을 포함한 웨이퍼에서 상기 스크라이브라인의 일 부분들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은 상기 일 측면에 표면상에 측면전극들이 형성되는 홈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상에 측면전극이 형성되는 홈들은 반구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전극들은 반구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전극들은 씨드금속막 및 솔더막의 적층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복수의 반도체칩들을 덮도록 형성된 봉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볼랜드들 상에 각각 형성된 외부접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부재들은 솔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160001538A 2016-01-06 2016-01-06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KR20170082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538A KR20170082303A (ko) 2016-01-06 2016-01-06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538A KR20170082303A (ko) 2016-01-06 2016-01-06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03A true KR20170082303A (ko) 2017-07-14

Family

ID=5935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538A KR20170082303A (ko) 2016-01-06 2016-01-06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23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728A1 (en) * 2018-02-09 2019-08-15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chip interposer and method of making a chip assembly containing the vertical chip interposer
KR20190111192A (ko) * 2018-03-22 2019-10-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칩, 인쇄 회로 기판, 이들을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및 멀티 칩 패키지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728A1 (en) * 2018-02-09 2019-08-15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chip interposer and method of making a chip assembly containing the vertical chip interposer
US20190252361A1 (en) * 2018-02-09 2019-08-15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chip interposer and method of making a chip assembly containing the vertical chip interposer
US10700028B2 (en) 2018-02-09 2020-06-30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chip interposer and method of making a chip assembly containing the vertical chip interposer
KR20190111192A (ko) * 2018-03-22 2019-10-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칩, 인쇄 회로 기판, 이들을 포함하는 멀티 칩 패키지 및 멀티 칩 패키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3110B (zh) 包括层叠的芯片的半导体封装
US11257801B2 (en)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mold via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90252B2 (en) Package-on-package typ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an-out memory package
US9153557B2 (en) Chip stack embedded packages
US10115708B2 (en)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a redistribution line structure
US8053881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15052B1 (en)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a step type substrate
US10903131B2 (en)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bridge die spaced apart from semiconductor die
CN112397486B (zh) 包括层叠的半导体芯片的半导体封装
US9780071B2 (en)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reconfigurable package units
CN106298731B (zh) 电路板和包括该电路板的半导体封装件
US11201140B2 (en)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stacked sub-packages with interposing bridges
US10903196B2 (en)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bridge die
CN112786565A (zh) 具有中介层桥的层叠封装
CN113921513A (zh) 包括层叠的半导体芯片的半导体封装
KR20160072420A (ko) 복수 개의 칩을 적층한 반도체 패키지
US9620492B2 (en) Package-on-package type stack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668180B (zh) 包括混合布线接合结构的层叠封装件
US10971452B2 (en)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ayer
KR20170082303A (ko) 반도체칩들이 수직으로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
US20160013161A1 (en) Semiconductor package
CN113707645A (zh) 包括电容器的半导体封装件
KR20170034597A (ko) 복수의 칩들이 내장된 반도체 패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