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655A -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655A
KR20170081655A KR1020177014359A KR20177014359A KR20170081655A KR 20170081655 A KR20170081655 A KR 20170081655A KR 1020177014359 A KR1020177014359 A KR 1020177014359A KR 20177014359 A KR20177014359 A KR 20177014359A KR 20170081655 A KR20170081655 A KR 2017008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ink
bundle
dega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878B1 (ko
Inventor
요우헤이 스가누마
가즈미 오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2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removing air 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중공사막(中空絲膜)이 원통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다발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이 수용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筒體)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사막의 외측에 액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중공사막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상기 액체를 탈기하는 중공사 탈기 모듈로서,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겉보기 단면적에 대한 상기 중공사막의 겉보기 단면적의 총합의 비율인 중공사막 충전율은, 43% 이하의 범위이다.

Description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HOLLOW-FIBER DEGASSING MODULE AND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액체를 탈기하는 중공사(中空絲) 탈기 모듈 및 당해 중공사 탈기 모듈을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미적화(微滴化)한 잉크를 피인자(被印字) 매체에 대해서 직접 뿜어내는 방식을 사용한 인쇄기이다.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인자 중에, 잉크 저류부(貯留部) 내부의 압력 변동에 의해 잉크 내의 용존 기체가 가스화하여, 노즐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현저하게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는 리스크가 있다. 이것은, 장기 사용 시 및 고속 운전 시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로부터 용존 기체 및 기포를 제거하는 탈기를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잉크를 효과적으로 탈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잉크 저류부로부터 잉크젯 헤드에 이르는 잉크 유로에 중공사막을 사용한 중공사 탈기 모듈을 부착하고, 연속적으로 잉크를 탈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중공사 탈기 모듈은, 외부 관류형(灌流型)의 중공사 탈기 모듈이며, 복수 개의 중공사막을 묶은 중공사막 다발이 통체(筒體)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사막의 외측에 잉크를 공급함과 함께 중공사막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잉크를 탈기하고, 통체의 측벽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탈기된 잉크를 배출한다.
국제공개 제2007/063720호
최근,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하는 잉크로서, 유기 용매에 세라믹 분말을 분산시킨 세라믹 잉크가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사용해서 세라믹 잉크를 탈기하면, 수일만에 잉크가 송액(送液) 불량으로 되는 케이스가 발생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원인을 검토한 결과, 잉크의 탈기에 수반하여 중공사 탈기 모듈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이것에 의해 잉크의 송액 불량이 발생하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압력 손실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공사 탈기 모듈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원인을 검토했다. 그 결과, 중공사막이 잉크로 팽윤하여, 이것에 의해 중공사막 간의 극간이 좁아져서 중공사 탈기 모듈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상승한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견에 의거해서 더 검토한 결과, 중공사막 다발에 있어서의 중공사막의 충전율이, 중공사 탈기 모듈의 압력 손실의 급격한 상승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중공사 탈기 모듈은, 복수 개의 중공사막이 원통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다발과, 중공사막 다발이 수용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를 구비하고, 중공사막의 외측에 액체를 공급함과 함께 중공사막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액체를 탈기하는 중공사 탈기 모듈로서, 중공사막 다발의 겉보기 단면적에 대한 중공사막의 겉보기 단면적의 총합의 비율인 중공사막 충전율은, 4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중공사 탈기 모듈은, 중공사막의 외측에 액체를 공급함과 함께 중공사막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액체를 탈기하는 외부 관류형이다. 이 때문에, 중공사 탈기 모듈에서는, 액체의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공사 탈기 모듈에서는, 중공사막 충전율이 43% 이하이기 때문에, 탈기하는 액체에 의해 중공사막이 팽윤해도, 중공사막 간에 당해 액체가 통하는 극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공사막 다발의 겉보기 단면적이란, 중공사막 다발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영역에서, 중공사막 다발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영역을 제한 면적이다. 중공사막의 겉보기 단면적이란, 1개의 중공사막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영역의 면적이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 탈기 모듈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중공사 탈기 모듈에 있어서, 중공사막 충전율은, 20%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한 중공사 탈기 모듈에 있어서, 중공사막은, 액체에 의해 팽윤하는 소재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한 중공사 탈기 모듈에 있어서, 중공사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 저류부에 저류된 잉크가 잉크 유로를 통해서 잉크젯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중공사 탈기 모듈이 잉크 유로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상기 중공사 탈기 모듈이 잉크 유로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유로에 있어서의 잉크의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잉크를 탈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압력 손실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 탈기 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중공사막 다발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중공사막 다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사막 다발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시험 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8은 실험 1에 있어서 잉크를 순환시킨 직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험 1에 있어서 22시간 잉크를 순환시킨 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험 2에 있어서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의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중공사 탈기 모듈은, 본 발명의 일측면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잉크를 탈기하는 중공사 탈기 모듈에 적용한 것이다. 또, 전체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11)는, 주로,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탱크 등의 잉크 저류부(12)와, 미적화한 잉크를 피인자 매체에 대해서 직접 뿜어내는 잉크젯 헤드(13)와, 잉크 저류부(12)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는 제1 잉크 공급관(14)과, 잉크젯 헤드(13)에 잉크를 공급하는 제2 잉크 공급관(15)과, 제1 잉크 공급관(14) 및 제2 잉크 공급관(15)에 부착되어 잉크를 탈기하는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 탈기 모듈(1)과, 진공 흡인하는 흡인 펌프(16)와, 흡인 펌프(16) 및 중공사 탈기 모듈(1)을 접속하는 흡기관(17)을 구비한다. 또, 제1 잉크 공급관(14) 및 제2 잉크 공급관(15)은, 잉크 저류부(12)로부터 잉크젯 헤드(13)에 이르는 잉크 유로이다. 잉크젯 프린터(11)에서 사용되는 잉크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수성 잉크, UV 잉크, 용매 잉크 및 세라믹 잉크를 들 수 있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 탈기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중공사막 다발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사 탈기 모듈(1)은, 복수 개의 중공사막(2)이 원통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다발(3)과, 중공사막 다발(3)을 수용하는 하우징(4)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사 탈기 모듈(1)은, 중공사막(2)의 외측에 잉크를 공급함과 함께 중공사막(2)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잉크를 탈기한다. 또, 도 4에 있어서, 각 중공사막(2)은, 개략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실제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
중공사막(2)은, 기체는 투과하지만 액체는 투과하지 않는 중공사상의 막이다. 중공사막(2)은, 잉크에 의해 팽윤하는 성질을 갖는다. 중공사막(2)의 소재, 막 형상, 막 형태 등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중공사막(2)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그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수지, PTFE, 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중공사막(2)의 막 형상(측벽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공질막, 미다공막(微多孔膜), 다공질을 갖지 않는 균질막(비다공막)을 들 수 있다. 중공사막(2)의 막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막 전체의 화학적 혹은 물리적 구조가 균질한 대칭막(균질막), 막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구조가 막의 부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비대칭막(불균질막)을 들 수 있다. 비대칭막(불균질막)은, 비다공질의 치밀층과 다공질을 갖는 막이다. 이 경우, 치밀층은, 막의 표층 부분 또는 다공질막 내부 등, 막 중 어디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불균질막에는, 화학 구조가 서로 다른 복합막, 3층 구조와 같은 다층 구조막도 포함한다. 특히 폴리(4-메틸펜텐-1) 수지를 사용한 불균질막은, 액체를 차단하는 치밀층을 갖기 때문에, 물 이외의 액체, 예를 들면 잉크의 탈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관류형에 사용하는 중공사의 경우는, 치밀층이 중공사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다발(3)은, 예를 들면, 복수의 중공사막(2)이 발 형상으로 짜인 중공사막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중공사막 시트를 통상의 가심(假芯)에 휘감아 원통상으로 묶고, 원통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시트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양단부가 고정된 중공사막 시트로부터 가심을 빼낸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막 다발(3)의 반경 방향 중심측에 위치하는 막다발 중공부(3c)에, 중심 파이프가 없는 중공사 탈기 모듈(1)을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1인치당 30개∼90개의 중공사막(2)으로 구성되는 중공사막 시트에 의해 중공사막 다발(3)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막 다발(3)의 반경 방향 중심측에 위치하는 막다발 중공부(3c)에 중심 파이프가 없어도, 잉크를 편류시키지 않고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4)은, 통체(5)와, 제1 덮개부(6)와, 제2 덮개부(7)를 구비하고 있다.
통체(5)는, 중공사막 다발(3)이 수용되는 부위이다. 통체(5)는, 축선 방향 L로 연장되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체(5)의 양단부는, 개구하고 있다. 통체(5)의 한쪽측의 개구 단부인 한쪽측 개구 단부(5a)에, 제1 덮개부(6)가 부착되어 있고, 통체(5)의 다른쪽측의 개구 단부인 다른쪽측 개구 단부(5b)에, 제2 덮개부(7)가 부착되어 있다. 통체(5)에 대한 제1 덮개부(6) 및 제2 덮개부(7)의 부착은, 예를 들면, 나합(螺合), 감합(嵌合), 접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1 덮개부(6)는, 통체(5)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소경화(小徑化)하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6)의 선단부에는, 잉크를 제1 덮개부(6) 내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6a)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구(6a)는, 원형의 개구로서, 통체(5)의 중심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공급구(6a)로부터는, 제1 잉크 공급관(14)을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6b)가, 축선 방향 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6b)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6b)의 내주면에는, 제1 잉크 공급관(14)이 스크류인되는 암나사(6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부(6b)와 제1 잉크 공급관(14)과의 접속은, 나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감합에 의해 행해도 된다.
제2 덮개부(7)는, 통체(5)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소경화하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7)의 선단부에는, 하우징(4) 내로부터 기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기구(7a)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7a)는, 원형의 개구로서, 통체(5)의 중심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7a)로부터는, 흡기관(17)을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7b)가, 축선 방향 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7b)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7b)의 내주면에는, 흡기관(17)이 스크류인되는 암나사(7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부(7b)와 흡기관(17)과의 접속은, 나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감합에 의해 행해도 된다.
통체(5)의 측벽(5c)에는, 하우징(4) 내로부터 잉크를 배출하는 배출구(5d)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5d)는, 원형의 개구이다. 배출구(5d)는, 통체(5)의 축선 방향 L에 있어서의 중앙보다도 다른쪽측 개구 단부(5b)측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5d)로부터는, 제2 잉크 공급관(15)을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5e)가, 축선 방향 L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5e)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5e)의 내주면에는, 제2 잉크 공급관(15)이 스크류인되는 암나사(5f)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출구(5d)와 제2 잉크 공급관(15)과의 연결은, 나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감합에 의해 행해도 된다.
통체(5), 제1 덮개부(6) 및 제2 덮개부(7)는,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체(5), 제1 덮개부(6) 및 제2 덮개부(7)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체(5), 제1 덮개부(6) 및 제2 덮개부(7)는, 잉크로서 UV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해서,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색, 예를 들면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공사막 다발(3)의 한쪽측 막 다발 단부(3a)가, 봉지부(封止部)(8)에 의해 통체(5)의 한쪽측 개구 단부(5a)에 고정되어 있고, 중공사막 다발(3)의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3b)가, 봉지부(9)에 의해 통체(5)의 다른쪽측 개구 단부(5b)에 고정되어 있다.
봉지부(8)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8)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봉지부(8)는, 통체(5)의 축선 방향 L과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막다발 중공부(3c) 이외의 전역에 충전되어 있다. 즉, 봉지부(8)는, 중공사막(2) 사이와, 중공사막(2)의 내측과, 중공사막 다발(3)과 통체(5)의 내벽과의 사이에만 봉지부(8)가 충전되어 있다(도 3의 (a) 참조). 그리고, 봉지부(8)에는, 막다발 중공부(3c)와 통체(5)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급구(6a)로부터 제1 덮개부(6) 내에 공급된 잉크는, 연통구(8a)로부터만 통체(5) 내에 공급되고, 통체(5) 내에 있어서, 중공사막(2)의 외측에 공급된다.
봉지부(9)는, 봉지부(8)와 마찬가지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봉지부(9)는, 통체(5)의 축선 방향 L과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중공사막(2)의 내측 이외의 전역에 충전되어 있다. 즉, 봉지부(9)는, 중공사막(2)의 내측에는 충전되어 있지 않고, 중공사막(2) 간, 중공사막 다발(3)과 통체(5)의 내벽과의 사이, 막다발 중공부(3c)에만 충전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이 때문에, 통체(5)에 공급된 잉크는, 봉지부(9)를 넘어서 제2 덮개부(7)측에 흘러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중공사막(2)의 내측과제2 덮개부(7)의 내측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 펌프(16)에 의해 흡기구(7a)로부터 흡기함으로써, 중공사막(2)의 내측이 감압된다.
봉지부(8)는, 예를 들면, 중공사막 다발(3)의 한쪽측 막 다발 단부(3a)의 중심축선과 통체(5)의 중심축선이 같은 위치로 되도록, 중공사막 다발(3)의 한쪽측 막 다발 단부(3a)를 통체(5)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봉지부(9)는, 예를 들면, 중공사막 다발(3)의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3b)의 중심축선과 통체(5)의 중심축선이 같은 위치로 되도록, 중공사막 다발(3)의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3b)를 통체(5)에 고정하고 있다. 또, 봉지부(9)는, 예를 들면, 중공사막 다발(3)의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3b)의 중심축선이 통체(5)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배출구(5d)의 반대측에 편심한 위치로 되도록, 중공사막 다발(3)의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3b)를 통체(5)에 고정해도 된다.
또, 통체(5)의 내경 D는, 중공사막 다발(3)의 축선 방향 L에 있어서의 길이와의 비는, 1:1∼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공사막 다발(3)의 겉보기 단면적(A1)에 대한 중공사막(2)의 겉보기 단면적(A2)의 총합(A3)의 비율을, 중공사막 충전율(R)로 한다. 이하, 중공사막 충전율(R)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중공사막 다발의 단면도이며, 도 4와 같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사막 다발의 일부 확대도이다. 또, 도 5에 있어서, 각 중공사막(2)은, 개략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실제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사막 다발(3)의 외주면을 외주면(C1)으로 하고, 외주면(C1)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영역을 단면 영역(a1)으로 한다. 단면 영역(a1)은, 도 5의 (a)에 있어서 사선에 의해 그물친 영역이다. 또, 외주면(C1)은, 중공사막 다발(3)의 외형을 이루는 원주면이지만, 중공사막 다발(3)은, 복수의 중공사막(2)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외주면(C1)은, 중공사막 다발(3)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최외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공사막(2)의 외측에 맞닿는 가상 원주면으로 된다. 이 경우, 원통상의 중공사막 다발(3)로부터 풀린 1 또는 복수 개의 중공사막(2)은, 이 최외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공사막(2)으로부터 제외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사막 다발(3)의 내주면을 내주면(C2)으로 하고, 내주면(C2)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영역을 단면 영역(a2)으로 한다. 단면 영역(a2)은, 도 5의 (b)에 있어서 사선에 의해 그물친 영역이다. 또, 내주면(C2)은, 막다발 중공부(3c)를 형성하는 원주면이지만, 중공사막 다발(3)은, 복수의 중공사막(2)의 집합체이다. 이 때문에, 내주면(C2)은, 중공사막 다발(3)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최내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공사막(2)의 외측에 맞닿는 가상 원주면으로 된다. 이 경우, 원통상의 중공사막 다발(3)로부터 풀린 1 또는 복수 개의 중공사막(2)은, 이 최내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공사막(2)으로부터 제외된다.
도 5의 (a),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영역(a1)으로부터 단면 영역(a2)을 제한 영역을 단면 영역(a3)으로 한다. 단면 영역(a3)은, 도 5의 (c)에 있어서 사선에 의해 그물친 영역이다. 그리고, 이 단면 영역(a3)의 면적이, 중공사막 다발(3)의 겉보기 단면적(A1)으로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중공사막(2)의 외주면을 외주면(C3)로 하고, 외주면(C3)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영역을 단면 영역(a4)으로 한다. 단면 영역(a4)은, 도 6에 있어서 사선에 의해 그물친 영역이다. 즉, 단면 영역(a4)은, 원통상으로 형성된 중공사막(2)의 막 자체(2a)의 단면 영역과, 중공사막(2)의 중공부(2b)의 단면 영역을 더한 영역이다. 그리고, 단면 영역(a4)의 면적이, 겉보기 단면적(A2)으로 된다. 그리고, 중공사막 다발(3)을 구성하는 중공사막(2)의 개수를 N으로 하면, 겉보기 단면적(A2)에 N을 곱한 값이, 중공사막(2)의 겉보기 단면적(A2)의 총합(A3)으로 된다. 즉, 중공사막(2)의 겉보기 단면적(A2)의 총합(A3)은, A2×N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중공사막 다발(3)에 있어서의 중공사막(2) 간의 극간(G)은, 중공사막(2)의 겉보기 단면적(A2)의 총합(A3)으로부터 제외된다.
이 때문에, 중공사막 충전율(R)은, (A2×N)/A1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그리고, 중공사 탈기 모듈(1)에서는, 이와 같이 산출되는 중공사막 충전율(R)이, 43% 이하의 범위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중공사막 충전율(R)은, 4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8%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충전율(R)을 43%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탈기하는 잉크에 의해 중공사막(2)이 팽윤해도, 중공사막(2) 간에 당해 잉크가 통하는 극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 탈기 모듈(1)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 충전율(R)은, 20% 이상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충전율(R)을 20% 이상의 범위로 함으로써, 잉크를 탈기하기 위하여 필요한 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 탈기 모듈(1)의 탈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공사 탈기 모듈(1)에 의한 잉크의 탈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잉크 저류부(12)로부터 제1 잉크 공급관(14)에 공급된 잉크는, 공급구(6a)로부터 제1 덮개부(6) 내에 공급된다. 제1 덮개부(6) 내에 공급된 잉크는, 연통구(8a)를 통해서 막다발 중공부(3c)에 공급된다. 막다발 중공부(3c)에 공급된 잉크는, 중공사막 다발(3)을 구성하는 각 중공사막(2)의 사이를 통해서 통체(5)의 반경 방향 외측에 흘러간다. 즉, 막다발 중공부(3c)에 공급된 잉크는, 통체(5) 내에 있어서, 중공사막(2)의 외측에 공급된다. 이때, 흡인 펌프(16)를 작동시켜서 흡기구(7a)로부터 하우징(4) 내를 흡기함으로써, 중공사막(2)의 내측이 감압된다. 그러면, 잉크가 중공사막(2) 사이를 통과할 때에, 잉크로부터 용존 기체 및 기포가 중공사막(2)의 내측에 들어가진다. 이것에 의해, 잉크의 탈기가 행해진다. 그리고, 탈기된 잉크는, 배출구(5d)로부터 제2 잉크 공급관(15)에 흘러들어가, 제2 잉크 공급관(15)으로부터 잉크젯 헤드(13)에 공급된다.
이때, 중공사막(2)은, 경시적으로 잉크에 의해 팽윤해 간다. 또한, 중공사막(2)이 팽윤해 감에 따라, 중공사막(2) 간의 간격이 좁아져 감과 함께, 잉크의 흐름에 수반해서 중공사막(2)이 휘어서 중공사막(2) 간에 잉크가 통하는 극간이 막혀간다. 그러면, 잉크는, 사이에 끼운 중공사막(2) 간의 극간을 통하기 때문에, 중공사 탈기 모듈(1)에 있어서의 잉크의 압력 손실이 상승해 간다. 한편, 중공사막(2)의 팽윤에는 한계가 있어, 2일간 정도 중공사 탈기 모듈(1)에 잉크를 흘려보내면, 중공사막(2)의 팽윤이 포화 상태로 된다. 또, 중공사막(2)이 팽윤하는 속도 및 정도는, 중공사막(2)의 소재, 막 형상, 막 형태 등에 따라서 변하고, 또한, 잉크의 종류에 따라서도 변한다. 예를 들면, 중공사막(2)의 소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여, 잉크로서, 세라믹 분말이, 용매에 분산된 세라믹 잉크를 사용한 경우는, 특히 중공사막(2)의 팽윤 속도 및 팽윤 정도가 커진다.
여기에서, 세라믹 잉크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이어도 되지만,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3-메톡시-3-메틸부탄올, 3-메톡시부탄올 등의 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모노아세테이트류, 글리콜디아세테이트류,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2-메틸-1-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n-아밀케톤, 메틸이소아밀케톤, 디에틸케톤, 에틸-n-프로필케톤, 에틸이소프로필케톤, 에틸-n-부틸케톤, 에틸이소부틸케톤, 디-n-프로필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메틸시클로헥산온,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헥실, 아세트산옥틸, 아세트산-2-메틸프로필, 아세트산-3-메틸부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젖산메틸, 젖산에틸, 젖산부틸 등의 젖산에스테르류, n-헥산, 이소헥산, n-노난, 이소노난, 도데칸, 이소도데칸 등의 포화 탄화수소류,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시클로데칸, 데칼린 등의 환상 포화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1,1,3,5,7-시클로옥타테트라엔, 시클로도데센 등의 환상 불포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테르펜류, 환상 이미드, 3-메틸-2-옥사졸리디논, 3-에틸-2-옥사졸리디논 등의 3-알킬-2-옥사졸리디논, N-메틸-2-피롤리돈, N-에틸-2-피롤리돈 등의 N-알킬피롤리돈, γ-부티로락톤, ε-카프로락톤 등의 락톤, β-알콕시프로피온아미드 등의 함질소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로부터, 잉크의 압력 손실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중공사막(2)의 팽윤이 포화 상태로 되었을 때에, 중공사막(2) 간의 간격을 적절한 범위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의 예의 연구의 결과, 중공사막 충전율(R)을 43% 이하로 함으로써, 중공사막(2)의 팽윤이 포화 상태로 되었을 때에, 중공사막(2) 간의 간격이 적절한 범위로 되어, 잉크의 압력 손실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 탈기 모듈(1)은, 중공사막(2)의 외측에 잉크를 공급함과 함께 중공사막(2)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잉크를 탈기하는 외부 관류형이다. 이 때문에, 잉크의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잉크의 자중에 의해 잉크 저류부(12)로부터 잉크젯 헤드(13)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젯 프린터(11)에 중공사 탈기 모듈(1)을 탑재해도, 적절하게 잉크젯 헤드(13)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공사 탈기 모듈(1)에서는, 중공사 탈기 모듈(1)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충전율(R)이 43% 이하이기 때문에, 탈기하는 잉크에 의해 중공사막(2)이 팽윤해도, 중공사막(2) 간에 당해 잉크가 통하는 극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 탈기 모듈(1)의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중공사막(2)이 잉크에 의해 팽윤하는 소재를 함유해도, 중공사 탈기 모듈(1)의 탈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 충전율(R)이 20% 이상인 경우는, 잉크를 탈기하기 위하여 필요한 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 탈기 모듈(1)의 탈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2)이 잉크에 의해 팽윤하는 소재를 함유해도, 중공사 탈기 모듈(1)의 탈기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2)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기 위하여, 잉크를 효과적으로 탈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11)에서는, 제1 잉크 공급관(14) 및 제2 잉크 공급관(15)을 구비하는 잉크 유로에 중공사 탈기 모듈(1)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유로에 있어서의 잉크의 압력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잉크를 탈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잉크의 자중에 의해 잉크 저류부(12)로부터 잉크젯 헤드(13)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젯 프린터(11)여도, 적절하게 잉크젯 헤드(13)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막다발 중공부(3c)에 중심 파이프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막다발 중공부(3c)에 중심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탈기하는 액체로서 잉크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탈기하는 액체는 잉크 이외의 액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급구(6a)로부터 하우징(4) 내에 잉크를 공급하고, 배출구(5d)로부터 하우징(4) 내의 잉크를 배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잉크의 입구와 출구를 반전시켜도 된다. 즉, 배출구(5d)로부터 하우징(4) 내에 잉크를 공급하고, 공급구(6a)로부터 하우징(4) 내의 잉크를 배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의 중공사 탈기 모듈과, 참고예 1 및 2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하고, 도 7에 나타내는 시험 회로에 있어서, 잉크를 순환시킴에 의한 압력 손실의 상승에 대하여 계측했다.
(시험 회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 회로는, 잉크가 저류되어 있는 잉크 탱크(21)에 삽입된 제1 잉크 공급관(22)을, 중공사 탈기 모듈의 공급구에 접속하고, 제1 잉크 공급관(22)에, 제1 잉크 공급관(22) 내의 잉크를 중공사 탈기 모듈측에 송액하는 펌프(23)와, 제1 잉크 공급관(22) 내의 잉크의 압력을 계측하는 입구 압력계(24)를 부착했다. 또한, 시험 회로는, 잉크 탱크(21)에 삽입된 제2 잉크 공급관(25)을, 중공사 탈기 모듈의 배출구에 접속하고, 제2 잉크 공급관(25)에, 제2 잉크 공급관(25) 내의 잉크의 압력을 계측하는 출구 압력계(26)를 부착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은, 다음과 같이 제작했다.
폴리-4메틸펜텐-1을 소재로 한 불균질 구조의 측벽(막)을 갖는 내경 100㎛, 외경 180㎛의 중공사막을 제작했다. 다음으로, 1인치당 중공사막이 61개로 되도록, 동렬로 나열한 다수의 중공사막을 경사(經絲)에 의해 발 형상으로 짜서, 소정 길이의 중공사막 시트를 제작했다. 다음으로, 원통상의 가심(수지 파이프)에 중공사막 시트를 휘감아, 원통상의 중공사막 다발을 제작하고, 이 제작한 중공사막 다발을 원통상의 염속(簾束) 직경 조정용 파이프에 삽입해서, 중공사막 다발의 중공사막 충전율을 조정했다. 즉, 중공사막 다발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에 중공사막 다발을 삽입하면, 원통상으로 감긴 중공사막 시트가 느슨해져, 중공사막 간의 극간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가심의 외경,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 및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조정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9.0㎜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30.0%로 했다.
다음으로, 중공사막 다발을 하우징의 통체에 삽입하고, 중공사막 다발의 한쪽측 막 다발 단부를, 봉지부에 의해 통체의 한쪽측 개구 단부에 고정함과 함께, 중공사막 다발의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를, 봉지부에 의해 통체의 다른쪽측 개구 단부에 고정했다. 또한, 중공사막 다발로부터 가심을 발거(拔去)했다. 그리고, 통체의 한쪽측 개구 단부에 제1 덮개부를 부착함과 함께, 통체의 다른쪽측 개구 단부에 제2 덮개부를 부착함으로써,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얻었다.
(실시예 2)
중공사막 충전율을 33.8%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7.0㎜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33.8%로 했다.
(실시예 3)
중공사막 충전율을 36.0%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3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3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6.0㎜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36.0%로 했다.
(참고예 1)
중공사막 충전율을 44.3%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참고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참고예 1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3.0㎜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44.3%로 했다.
(참고예 2)
중공사막 충전율을 51.6%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참고예 2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참고예 2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1.5㎜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51.6%로 했다.
(실험 1)
실험 1에서는, 탄화수소 용매(엑손모빌주식회사제 「Exxsol(등록상표) D130」(Hydrocarbones, C14-C18, n-alkanes, iso-alkanes, cyclics, aromatics 등))를 함유하는 세라믹 잉크를 사용하고, 잉크의 설정 온도를 45℃로 했다.
그리고, (1) 잉크의 설정 유량을 200g/min으로 해서 잉크를 순환시키고, 입구 압력계(24)로 계측한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계(26)로 계측한 출구 압력과의 차를 압력 손실로서 산출함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유량계에 의해 잉크의 유량을 계측했다. 다음으로, (2) 잉크의 설정 유량을 1000g/min으로 해서 잉크를 순환시키고, 입구 압력계(24)로 계측한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계(26)로 계측한 출구 압력과의 차를 압력 손실로서 산출함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유량계에 의해 잉크의 유량을 계측했다. 또, (1) 및 (2)에서 산출한 압력 손실을 초기값으로 했다.
다음으로, (3) 잉크의 설정 유량을 1000g/min으로 해서 22시간 방치했다. 그 후, (4) 잉크의 설정 유량을 200g/min으로 해서 잉크를 순환시키고, 입구 압력계(24)로 계측한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계(26)로 계측한 출구 압력과의 차를 압력 손실로서 산출함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유량계에 의해 잉크의 유량을 계측했다. 다음으로, (5) 잉크의 설정 유량을 1000g/min으로 해서 잉크를 순환시키고, 입구 압력계(24)로 계측한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계(26)로 계측한 출구 압력과의 차를 압력 손실로서 산출함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유량계에 의해 잉크의 유량을 계측했다.
그리고, (4) 및 (5)에서 산출한 압력 손실에 대한 (1) 및 (2)에서 산출한 압력 손실의 비율을, 압력 손실의 상승률로서 산출했다. 실시예 1∼3 및 참고예 1 및 2의 실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잉크를 순환시킨 직후의 실험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 8에 나타내고, 22시간 잉크를 순환시킨 후의 실험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 9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사막 충전율이 43% 이하의 실시예 1∼3에서는, 중공사막 충전율이 43%를 초과하는 참고예 1 및 2에 비해서, 잉크를 22시간 순환시킨 후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압력 손실의 상승이 작게 억제되어 있었다. 또한, 중공막 충전율이 30% 부근인 중공사 탈기 모듈에서는, 압력 손실의 상승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중공사막 충전율이 43% 이하인 것에 의해, 압력 손실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중공사막 충전율을 30.9%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4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4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8.5㎜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30.9%로 했다.
(실시예 5)
중공사막 충전율을 35.3%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5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5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6.2㎜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35.3%로 했다.
(실시예 6)
중공사막 충전율을 36.3%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중공사 탈기 모듈의 중공사막 충전율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6의 중공사 탈기 모듈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6의 중공사막 다발에서는, 가심의 외경을 15.0㎜로 하고, 가심에 감긴 중공사막 시트의 길이를 5200㎜로 하고, 염속 직경 조정용 파이프의 내경을 35.8㎜로 함으로써, 중공사막 충전율을 36.3%로 했다.
(실험 2)
실험 2에서는, 잉크의 설정 온도를 45℃, 잉크의 설정 유량을 1000g/min, 잉크의 순환 시간을 22시간으로, 실험 1과 같은 세라믹 잉크를 사용했다. 실험 조건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그리고, 실시예 1∼6 및 참고예 1 및 2의 중공사 탈기 모듈에 대하여, 잉크를 순환시킨 직후에, 입구 압력계(24)로 계측한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계(26)로 계측한 출구 압력과의 차를 압력 손실로서 산출했다. 또한, 22시간 잉크를 순환시킨 후에, 입구 압력계(24)로 계측한 입구 압력과 출구 압력계(26)로 계측한 출구 압력과의 차를 압력 손실로서 산출했다. 그리고, 잉크를 순환시킨 직후의 압력 손실에 대한 22시간 잉크를 순환시킨 후의 압력 손실의 비율을, 압력 손실 상승률로서 산출했다. 실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표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막 충전율이 증가함으로써 압력 손실의 상승률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공사막 충전율이 38%를 초과한 언저리부터, 압력 손실의 상승률이 급격하게 커지고, 또한, 43%를 초과하는 언저리부터 압력 손실이 5배를 초과할 정도로 크게 되어 있다. 이 결과로부터, 중공사막 충전율을 조정함으로써, 압력 손실의 상승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즉, 중공사막 충전율을 낮게 함으로써, 중공사막 간에 충분한 극간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막이 팽윤해서, 잉크의 흐름에 의해 중공사막 다발이 휘어도, 잉크 유로의 폐색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중공막 충전율을 높게 하면, 중공사막 간의 극간이 작게 된다. 이것에 의해, 중공사막의 미소한 팽윤이나 잉크의 흐름에 의해, 잉크 유로의 폐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1 : 중공사 탈기 모듈 2 : 중공사막
2a : 막자체 2b : 중공부
3 : 중공사막 다발 3a : 한쪽측 막 다발 단부
3b : 다른쪽측 막 다발 단부 3c : 막다발 중공부
4 : 하우징 5 : 통체
5a : 한쪽측 개구 단부 5b : 다른쪽측 개구 단부
5c : 측벽 5d : 배출구
5e : 접속부 5f : 암나사
6 : 제1 덮개부 6a : 공급구
6b : 접속부 6c : 암나사
7 : 제2 덮개부 7a : 흡기구
7b : 접속부 7c : 암나사
8 : 봉지부 8a : 연통구
9 : 봉지부 11 : 잉크젯 프린터
12 : 잉크 저류부 13 : 잉크젯 헤드
14 : 제1 잉크 공급관 15 : 제2 잉크 공급관
16 : 흡인 펌프 17 : 흡기관
21 : 잉크 탱크 22 : 제1 잉크 공급관
23 : 펌프 24 : 입구 압력계
25 : 제2 잉크 공급관 26 : 출구 압력계
A1 : 중공사막 다발의 겉보기 단면적
A2 : 중공사막의 겉보기 단면적
A3 : 중공사막의 겉보기 단면적의 총합
G : 극간 L : 축선 방향
R : 중공사막 충전율

Claims (5)

  1. 복수 개의 중공사막(中空絲膜)이 원통상으로 묶인 중공사막 다발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이 수용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筒體)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사막의 외측에 액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중공사막의 내측을 감압함으로써, 상기 액체를 탈기하는 중공사 탈기 모듈로서,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겉보기 단면적에 대한 상기 중공사막의 겉보기 단면적의 총합의 비율인 중공사막 충전율은, 43% 이하의 범위인,
    중공사 탈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충전율은, 20% 이상의 범위인,
    중공사 탈기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액체에 의해 팽윤하는 소재를 함유하는,
    중공사 탈기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중공사 탈기 모듈.
  5. 잉크 저류부(貯留部)에 저류된 잉크가 잉크 유로를 통해서 잉크젯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젯 프린터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공사 탈기 모듈이 상기 잉크 유로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
KR1020177014359A 2014-12-24 2015-12-22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KR102029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0804 2014-12-24
JPJP-P-2014-260804 2014-12-24
PCT/JP2015/085846 WO2016104509A1 (ja) 2014-12-24 2015-12-22 中空糸脱気モジュール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847A Division KR20190115110A (ko) 2014-12-24 2015-12-22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655A true KR20170081655A (ko) 2017-07-12
KR102029878B1 KR102029878B1 (ko) 2019-10-08

Family

ID=561505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359A KR102029878B1 (ko) 2014-12-24 2015-12-22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KR1020197028847A KR20190115110A (ko) 2014-12-24 2015-12-22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847A KR20190115110A (ko) 2014-12-24 2015-12-22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28390B2 (ko)
EP (2) EP3695891B1 (ko)
JP (2) JP6547761B2 (ko)
KR (2) KR102029878B1 (ko)
CN (1) CN106999799B (ko)
CA (1) CA2969309C (ko)
ES (2) ES2788458T3 (ko)
IL (1) IL252464A0 (ko)
TW (1) TWI663073B (ko)
WO (1) WO2016104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56665A1 (en) * 2014-12-24 2018-03-01 Dic Corporation Hollow-fiber degassing module and inkjet printer
EP3695891B1 (en) 2014-12-24 2023-08-09 DIC Corporation Degassing process in a hollow-fiber degassing module
DE102018129165A1 (de) * 2018-11-20 2020-05-20 UMS Gmbh & Co KG Gasdruckmessvorrichtung mit Hohlfasermembranbündel
DE102018131355A1 (de) * 2018-12-07 2020-06-10 UMS Gmbh & Co KG Gesamtgas-Messvorrichtung mit Formkörper
CN113226507B (zh) * 2018-12-28 2023-01-13 Dic株式会社 脱气系统及其制造方法、液体的脱气方法、脱气单元、脱气模块、及天然资源的生产方法
US11446610B2 (en) * 2019-04-03 2022-09-20 Generon Igs, Inc. Gas separation membrane module with enhanced performance
CN114025868A (zh) * 2019-06-28 2022-02-08 Dic株式会社 中空纤维脱气组件、喷墨打印机和液体的脱气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39A (ko) * 1999-02-24 1999-06-25 장문석 개선된중공사막모듈및이를사용한폐수처리방법
JP3553052B2 (ja) * 2001-06-21 2004-08-11 セルガー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中空繊維膜の接触器
WO2007063720A1 (ja) 2005-11-30 2007-06-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の脱気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622B2 (ja) * 1985-07-16 1995-08-16 テルモ株式会社 人工肺用中空糸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中空糸膜を用いた人工肺
DE3855721T2 (de) * 1987-01-20 1997-05-15 Terumo Corp Poröse polypropylenmembra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1249106A (ja) * 1988-03-31 1989-10-04 Asahi Chem Ind Co Ltd 多孔性再生セルロース中空糸モジュール
JP2725312B2 (ja) * 1988-10-14 1998-03-1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多孔質中空糸膜型気液接触装置
US4960520A (en) * 1989-07-14 1990-10-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of removing organic volatile and semi-volatile contaminants from an aqueous solution
JP3070997B2 (ja) * 1991-09-03 2000-07-31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膜分離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76604A (en) * 1996-10-24 1999-03-02 Compact Membrane Systems, Inc Method of gasifying or degasifying a liquid
JP2000084368A (ja) 1998-09-08 2000-03-28 Mitsubishi Rayon Co Ltd 薬液脱気用複合中空糸膜
US6558450B2 (en) * 2001-03-22 2003-05-06 Celgard Inc. Method for debubbling an ink
US20050230856A1 (en) 2002-03-19 2005-10-20 Parekh Bipin S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 apparatus and process
CA2726155C (en) * 2008-05-30 2018-09-04 Dic Corporation Deaerating hollow fiber module formed from sheet and temporary core
JP5885123B2 (ja) * 2012-03-29 2016-03-1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脱気用複合中空糸膜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SG10201903038PA (en) * 2014-10-10 2019-05-30 Entegris Inc Point of use or point of dispense filter with multiple pleat packs
EP3695891B1 (en) 2014-12-24 2023-08-09 DIC Corporation Degassing process in a hollow-fiber degassing module
US20180056665A1 (en) * 2014-12-24 2018-03-01 Dic Corporation Hollow-fiber degassing module and inkjet pri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39A (ko) * 1999-02-24 1999-06-25 장문석 개선된중공사막모듈및이를사용한폐수처리방법
JP3553052B2 (ja) * 2001-06-21 2004-08-11 セルガー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中空繊維膜の接触器
WO2007063720A1 (ja) 2005-11-30 2007-06-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の脱気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878B1 (ko) 2019-10-08
US20170348640A1 (en) 2017-12-07
ES2961836T3 (es) 2024-03-14
TW201632366A (zh) 2016-09-16
EP3695891B1 (en) 2023-08-09
TWI663073B (zh) 2019-06-21
CA2969309C (en) 2021-08-10
EP3238802A4 (en) 2018-05-16
JPWO2016104509A1 (ja) 2017-09-28
CA2969309A1 (en) 2016-06-30
EP3238802A1 (en) 2017-11-01
WO2016104509A1 (ja) 2016-06-30
JP2019130526A (ja) 2019-08-08
CN106999799A (zh) 2017-08-01
EP3238802B1 (en) 2020-03-11
US10328390B2 (en) 2019-06-25
CN106999799B (zh) 2020-07-03
IL252464A0 (en) 2017-07-31
JP6547761B2 (ja) 2019-07-24
ES2788458T3 (es) 2020-10-21
EP3695891A1 (en) 2020-08-19
KR20190115110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655A (ko) 중공사 탈기 모듈 및 잉크젯 프린터
TWI700194B (zh) 脫氣之中空絲模組及噴墨印表機以及液體之脫氣方法
EP1052011B1 (en) Ink deaerating apparatus, ink deaerating method, and ink cartridge manufacturing method
JP3195924U (ja) 中空糸脱気モジュール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5080781B2 (ja) 脱気用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脱気装置
JP5765556B2 (ja) 脱気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110011686A (ko) 탈기용 중공사 모듈의 제조 방법
US20220250393A1 (en) Hollow fiber degassing module, inkjet printer, and method for degassing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