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8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487A
KR20170081487A KR1020160000579A KR20160000579A KR20170081487A KR 20170081487 A KR20170081487 A KR 20170081487A KR 1020160000579 A KR1020160000579 A KR 1020160000579A KR 20160000579 A KR20160000579 A KR 20160000579A KR 20170081487 A KR20170081487 A KR 2017008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racket
portions
protruding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750B1 (ko
Inventor
임종웅
정봉건
정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750B1/ko
Priority to US15/397,478 priority patent/US10215474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Y02B40/30
    • Y02B4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 후 본고정되는 고내 부품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등의 부자재 없이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 할 수 있으며, 테이프 등의 부자재로 이너 케이스의 구멍을 막는 추가 공정을 생략하고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품 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고내 부품;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외측으로 리세스 되어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적어도 두 갈래로 이루어지는 가고정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고 안착홈의 내주면에 오므려지므로, 가고정 돌기부와 안착홈에 의해 고내 부품의 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내 부품의 가고정을 위한 이너 케이스의 구멍과 고내 부품의 뾰족한 핀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테이프 등의 부자재 없이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 후 본고정되는 고내 부품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다. 냉장고는 내부에 식품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방 영역에는 기계실이 형성되며,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 장치 중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다.
냉장고 본체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식품 저장실의 벽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전된다. 단열재는 발포라고 하는 특수한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단열재의 발포란 단열재 원액을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충전하고, 열을 가해 액상을 고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다. 그런데 이너 케이스에는 고내 부품의 가고정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존재하고, 단열재 원액은 액상이기 때문에 이너 케이스의 구멍을 통해 식품 저장실로 단열재 원액이 유입될 수 있다.
단열재 원액이 식품 저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열재의 발포 전 밀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이너 케이스의 구멍을 막은 후 단열재의 발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냉장고의 조립을 위해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냉장고의 가고정 후 바로 단열재의 발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너 케이스의 구멍을 테이프 등의 부자재로 막은 후 발포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사용하게 되면, 부자재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완성된 냉장고에 부자재가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테이프 등의 부자재 없이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고정을 위한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의해 외력을 받아 가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정을 위한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안착홈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등의 부자재로 이너 케이스의 구멍을 막는 추가 공정을 생략하고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등의 부자재 없이 단열재의 발포 과정에서 단열재 원액이 식품 저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내 부품의 가공정을 위한 가고정 돌기부와 안착홈의 여러 실시예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냉장고는 안착홈과 가고정 돌기부를 포함한다.
안착홈은 이너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식품 저장실의 외측으로 리세스 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너 케이스는 식품 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가고정 돌기부는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고정 돌기부는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적어도 두 갈래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내 부품은 이너 케이스에 설치된다. 고내 부품은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 후 본고정 된다.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면,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오므려진다. 가고정 돌기부는 오므려지기 전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가고정 돌기부는 안착홈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인출되지 않고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고내 부품이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된다.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각각 안착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점을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안착홈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고정 돌기부의 두 접촉점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두 가압점을 구비한다.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 접촉점 사이의 거리(a)는 상기 두 가압점 사이의 거리(b)보다 멀게 형성된다(a>b). 이에 따라 안착홈의 두 가압점은 가고정 돌기부의 두 접촉점을 가압하게 되고, 가고정 돌기부는 안착홈에 가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 접촉점 사이의 거리(a)와 상기 두 가압점 사이의 거리(b)의 차(a-b)는 상기 두 갈래 사이의 거리(c)보다 작게 형성된다(a-b<c). 이에 따라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안착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려질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로 이루어진다.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제1돌기와 제2돌기는 각각 제1부분, 제2부분 및 제3부분을 구비한다. 제1돌기와 제2돌기의 각 부분은 고내 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구분되며, 구분된 각 부분들은 제1부분, 제2부분 및 제3부분으로 명명된다.
제1부분은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부분은 안착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부분의 둘레는 안착홈의 둘레보다 작다. 제2부분은 제1부분보다 확장된 둘레를 갖도록 상기 제1부분과 단차를 형성한다. 제2부분은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된다. 제2부분의 둘레는 안착홈의 둘레보다 크다. 제3부분은 제2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으로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돌기와 제2돌기는 각각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구비한다. 제1돌기와 제2돌기의 각 부분은 고내 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구분되며, 구분된 각 부분들은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로 명명된다.
제1경사부는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경사부는 고내 부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경사부는 제1경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의 경계는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된다.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의 경계는 접촉점에 해당하고, 상기 접촉점을 가압하는 안착홈의 내주면은 가압점에 해당한다.
고내 부품은 베이스부와 관통홀을 구비한다.
베이스부는 가고정 돌기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는 고내 부품의 일 부분에 해당한다. 관통홀을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관통홀은 고내 부품의 사출 성형 시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빠져나오는 경로를 형성한다.
냉장고는 아웃 케이스, 단열재를 포함한다.
아웃 케이스는 냉장고 본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단열재는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다. 안착홈의 둘레는 단열재의 발포 공정 시 단열재 원액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식품 저장실과 단열재의 경계를 형성한다.
냉장고는 안착홈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가고정 돌기부는 안착홈에 삽입됨에 따라 걸림턱에 걸리도록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한다.
냉장고는 드로워, 트레이 또는 서랍형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트레이 또는 서랍형 도어는 모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식품 저장실에 삽입되거나 식품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드로워, 트레이 또는 서랍형 도어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이동체로 명명할 수 있다.
고내 부품은 슬라이드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은 슬라이드 이동체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이너 케이스에 설치된다. 슬라이딩 레일은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 되도록 이너 케이스를 마주 보는 위치에 가고정 돌기부를 구비한다.
냉장고는 수직바와 브라켓을 포함한다. 수직바는 식품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브라켓은 수직바의 배면과 이너 케이스의 후벽 사이에 설치된다. 브라켓은 식품 저장실의 좌우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고내 부품은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 홀더를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홀더는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홀더와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홀더를 포함한다. 브라켓 홀더는 브라켓과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된다. 브라켓 홀더는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되도록 이너 케이스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고정 돌기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고 안착홈의 내주면에 오므려지므로, 가고정 돌기부와 안착홈에 의해 고내 부품의 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내 부품의 가고정을 위한 이너 케이스의 구멍과 고내 부품의 뾰족한 핀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테이프 등의 부자재 없이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 사이의 거리(a)는 두 가압점 사이의 거리(b)보다 멀고(a>b),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 사이의 거리(a)와 두 가압점 사이의 거리(b)의 차(a-b)는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 사이의 거리(c)보다 작으므로(a-b<c),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의해 외력을 받아 고내 부품의 가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안착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부분, 제1부분보다 확장된 둘레를 갖는 제2부분 및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부분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돌기와 제2돌기가 고내 부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단면적을 갖는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는 제2경사부로 이루어지므로,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안착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안착홈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착홈은 식품 저장실의 외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며, 식품 저장실의 내측으로 노출된다. 안착홈은 이너 케이스의 내측과 외측으로 개방된 구멍이 아니며, 안착홈의 둘레는 식품 저장실과 단열재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에 안착홈이 형성되더라도 안착홈은 단열재 원액이 식품 저장실로 유입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테이프 등의 부자재로 이너 케이스의 구멍을 막는 추가 공정을 생략하고 고내 부품을 식품 저장실에 가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안착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가고정 돌기부의 걸림부는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된 고내 부품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은 안착홈의 일측에만 형성되고 걸림부는 가고정 돌기부의 일측에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 가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레일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3a과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다.
도 4a과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다.
도 5a과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가고정 돌기부가 안착홈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다.
도 6은 슬라이딩 레일의 변형례와 본 발명의 가고정 구조가 복수로 형성된 것을 보인 사시도다.
도 7a와 도 7b는 상하부 드로워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는 슬라이딩 모듈과 본 발명의 가고정 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수직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브라켓 홀더를 보인 개념도다.
도 9a와 도 9b는 상부 브라켓 홀더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10a와 도 10b는 하부 브라켓 홀더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다.
냉장고(1000)의 외관은 냉장고 본체(1100)와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100)는 아웃 케이스(1110)와 이너 케이스(1120a, 1120b)를 포함한다.
아웃 케이스(1110)는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1000)의 전면부를 제외한 냉장고(1000)의 나머지 외관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000)의 상면이나 측면은 모두 아웃 케이스(1110)에 해당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는 냉장고 본체(1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는 냉장고(1000) 내부의 식품 저장실(120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식품 저장실(1200)은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실(1210)과 냉동실(12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냉장고 본체(1100)의 상부에 냉장실(1210)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1220)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000)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100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는 식품 저장실(1200)의 내측벽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는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측벽(1120a)과 후벽(1120b)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아웃 케이스(1110)와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충전된다.
후벽(1120b)에는 식품 저장실(120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 구조물(1130)이 결합된다. 식품 저장실(1200)의 뒤는 후벽(1120b)과 덕트 구조물(1130)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진다. 덕트 구조물(1130)도 식품 저장실(1200)의 벽을 형성하고 그 위치가 식품 저장실(1200)의 뒷부분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에 후벽(1120b)이란 넓은 의미에서 이너 케이스(1120a, 1120b)뿐만 아니라 덕트 구조물(1130)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덕트 구조물(1130)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는 영역에는 식품 저장실(120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미도시)이 설치된다. 덕트 구조물(1130)은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식품 저장실(1200)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덕트 구조물(1130)은 식품 저장실(1200)을 향해 개방된 냉기 토출구(1131, 1132)를 구비한다. 팬에 의해 형성된 냉기의 유동은 덕트 구조물(1130)의 냉기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고, 냉기 토출구(1131, 1132)를 통해 식품 저장실(1200)로 공급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냉장고 본체(1100)에 연결되고, 냉장고(1000)의 외관 중 전면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냉장고 본체(1100)의 전면 개구부(1100a, 1100b)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 본체(1100)의 전면 개구부(1100a, 1100b)는 식품을 식품 저장실(1200)에 보관하거나 식품을 식품 저장실(1200)로부터 꺼내기 위한 영역이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형 도어 또는 서랍형 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형 도어는 냉장고 본체(1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랍형 도어는 냉장고 본체(1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냉장실(1210)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장실 도어(1311, 1312)로 구분되고, 냉동실(1220)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동실 도어(1321, 132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설치 위치가 좌측이냐 혹은 우측이냐에 따라 좌측 냉장실 도어(1311), 우측 냉장실 도어(1312), 좌측 냉동실 도어(1321) 또는 우측 냉동실 도어(1322)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내측에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를 구비하며,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의 둘레에는 냉기의 누설을 막기 위한 가스켓(1311b, 1312b, 1321b, 1322b)이 설치된다.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는 후술하는 바스켓(1530)과 함께 식품의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가스켓(1311b, 1312b, 1321b, 1322b)은 전면 개구부(1100a, 1100b)의 테두리와 밀착되어 식품 저장실(1200)을 밀폐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냉장고 본체(1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도어(1311, 1312, 1321, 1322)가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1000)는 회전형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힌지(1412, 1412, 1421, 1422, 1431, 1432)를 구비한다.
힌지(1412, 1412, 1421, 1422, 1431, 1432)는 설치 위치에 따라 상부 힌지(1411, 1412), 중간 힌지(1421, 1422) 또는 하부 힌지(1431, 1432)로 구분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부 힌지(1411, 1412)는 냉장고 본체(1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중간 힌지(1421, 1422)는 냉장실 도어(1311, 1312)와 냉동실 도어(1321, 1322) 사이에 설치된다. 하부 힌지(1431, 1432)는 냉동실 도어(1321, 1322)의 아래에 설치된다.
상부 힌지(1411, 1412)와 중간 힌지(1421, 1422)는 각각 냉장실 도어(1311, 1312)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며, 냉장실 도어(1311, 1312)의 회전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 힌지(1421, 1422)와 하부 힌지(1431, 1432)는 각각 냉동실 도어(1321, 1322)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냉동실 도어(1321, 1322)의 회전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1000)에는 식품 저장실(1200)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유닛(15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수납유닛(1500)은 선반(1510), 트레이(1520), 바스켓(1530)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선반(1510)과 트레이(1520)는 식품 저장실(1200)에 설치될 수 있고, 바스켓(1530)은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반(1510)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반(1510)은 상면에 식품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식품 저장실(1200)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선반(1510)는 후벽(1120b)에 설치된 선반 홀더(1600)에 거치될 수 있다.
트레이(1520)는 식품 저장실(1200)의 다른 공간과 분리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트레이(1520)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바닥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트레이(1520)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바닥면, 슬라이딩 레일(1700), 또는 슬라이딩 모듈(5700, 도 7a 및 도 7b 참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1520)는 드로워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바스켓(1530)은 도어(1311, 1312, 1321, 1322)로부터 식품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림막을 형성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내측에는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가 배치되고, 바스켓(1530)은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에 결합된다. 도어 라니어(1311a, 1312a, 1321a, 1322a)는 식품의 저장을 위한 바닥면과 내측벽을 형성하고, 바스켓(1530)은 외측벽을 형성한다.
선반 홀더(1600)는 식품 저장실(1200)의 후벽(1120b)에 설치된다. 앞서 설명했듯이 식품 저장실(1200)의 후벽(1120b)이란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의해 형성되는 후벽(1120b)뿐만 아니라 덕트 구조물(1130)을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선반 홀더(1600)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후벽(1120b)과 덕트 구조물(11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의해 형성되는 후벽(1120b)에 설치된 선반 홀더(1610)와 덕트 구조물(1130)에 설치된 선반 홀더(1620)가 모두 도시되어 있다.
선반 홀더(1600)는 선반(151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선반(1510)은 선반 홀더(1600)에 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반 홀더(16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선반 홀더(1600)에 여러 선반(1510)들이 상하 방향을 따라 거치될 수 있다. 선반(1510)은 사용자나 작업자에 의해 선반 홀더(1600)에 임의로 거치되거나 선반 홀더(1600)로부터 임의로 탈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수직바(1140)는 식품 저장실(1200)의 전면 개구부(1100a, 1100b)에 설치된다. 수직바(11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식품 저장실(1200)의 좌우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수직바(1140)가 냉동실(1220)의 전면 개구부(1100b)에 설치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수직바(1140)는 좌우 도어(1311, 1312, 1321, 13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도어(1311, 1312, 1321, 1322) 사이의 틈을 막도록 이루어진다. 수직바(1140)는 좌우 도어(1311, 1312, 1321, 1322)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수직바(1140)의 배면과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후벽(1120b) 사이에는 브라켓(1800)이 설치된다. 브라켓(1800)도 식품 저장실(1200)의 좌우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브라켓(1800)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식품 저장실(1200)에는 여러 고내 부품이 설치된다. 고내란 냉장실(1210)이나 냉동실(1220)을 의미하며, 고내 부품이란 종류를 불문하고 냉장실(1210)이나 냉동실(1220)에 설치되는 부품을 의미한다.
고내 부품 중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실(1220)의 측벽(1120a)에 슬라이딩 레일(1700)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트레이(15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냉동실(1220)뿐만 아니라 냉장실(1210)의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냉동실(1220)의 좌우를 구획하는 브라켓(1800)을 상하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브라켓 홀더(1910, 1920)가 각각 냉동실(1220)의 상벽과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선반(1510), 트레이(1520), 바스켓(1530)도 넓은 의미에서 상기 고내 부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고내 부품이란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직접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좁게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고내 부품이란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가고정 후 본고정 되는 것으로 더욱 좁게 해석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직접 설치되는 고내 부품은 가고정이라는 단계를 거쳐 본고정된다.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사이의 단열재는 발포라고 하는 특수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고정이란 고내 부품을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본고정 된 고내 부품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야만 이너 케이스(1120a, 1120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본고정된 고내 부품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분리를 시도하지 않는 한 이너 케이스(1120a, 1120b)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가고정이란 냉장고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본고정 전에 임시로 고내 부품을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가고정된 고내 부품도 이너 케이스(1120a, 1120b)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는 않는 것은 본고정과 동일하다. 그러나 가고정된 고내 부품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으로 외력을 가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정과 차이가 있다.
단순히 고내 부품이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설치되어 있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가고정과 본고정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10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내 부품이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설치되어 있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면, 엄격한 의미에서 본고정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열재의 발포란 단열재 원액을 아웃 케이스(1100)와 이너 케이스(1120a, 1120b)의 사이에 충전하고, 열을 가해 액상을 고상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다. 냉장고(1000)의 조립 과정에서 단열재의 발포를 제외한 기타 과정은 대부분 기계, 전자 부품의 설치와 결합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열재의 발포는 기타 과정과 구분된다. 앞서 설명한 더욱 좁은 의미에서의 고내 부품은 단열재의 발포 전에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가고정되고, 단열재의 발포 과정을 완료한 후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본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에 가고정되는 고내 부품의 가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레일(170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2a는 식품 저장실(120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일측을 바라본 사시도고, 도 2b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타측을 바라본 사시도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트레이(1520), 드로워 또는 서랍형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에 가고정되고, 단열재의 발포 후 다시 본고정 된다. 따라서 고내 부품은 트레이(1520), 드로워 또는 서랍형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1700)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더욱 좁은 의미의 고내 부품에 해당한다.
트레이(1520), 드로워 또는 서랍형 도어 중 어느 것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느냐에 따라 슬라이딩 레일(1700)의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트레이(1520), 드로워 또는 서랍형 도어와 같이 식품 저장실(120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슬라이드 이동체라고 명명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레일부(1710)를 포함한다. 레일부(171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일측에 형성된다. 레일부(1710)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혹은 후방측으로터 전방측을 향해 연장)된다. 슬라이드 이동체의 측면에는 롤러가 설치되며, 레일부(1710)는 상기 롤러의 회전 이동 영역을 정의하도록 이루어진다. 레일부(1710)의 둘레는 돌출되고, 레일부(1710)는 둘레보다 리세스 된다. 레일부(1710)의 둘레는 윗 부분과 아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롤러(1740)의 삽입을 위해 윗 부분은 아래 부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레일부(1710)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전방층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직선을 따라 연장된 수평 레일부(1711)와, 후방측에서는 대각선 아래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레일부(1712)를 갖는다. 이것은 슬라이드 이동체가 임의로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슬라이드 이동체의 롤러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레일부(1712)에 안착되면, 슬라이드 이동체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외력을 가해 슬라이드 이동체를 잡아당기지 않는 한 슬라이드 이동체는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이동체의 롤러는 레일부(1710)에 안착되며, 레일부(1710)를 따라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이동체의 롤러가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드 이동체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700)도 롤러(174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의 롤러(174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레일부(1710)의 입구측에 배치된다. 슬라이드 이동체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롤러(1740)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서피스(sliding surface)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이동체의 롤러가 레일부(1710)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서피스는 슬라이딩 레일(17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회전축 지지부(1741)를 구비한다. 회전축 지지부(1741)는 롤러(17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롤러(1740)의 회전축(미도시)은 회전축 지지부(1741)의 중심으로부터 롤러(1740)를 향해 연장된다. 롤러(1740)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레일(1700)의 타측에는 변형 방지부(1713)가 형성된다. 변형 방지부(1713)는 레일부(1710)의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레일(1700)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변형 방지부(1713)가 레일부의 배면(1710', 1711'은 수평 레일부의 배면, 1712'는 경사 레일부의 배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700)의 상단이란 도 2b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레일(1700)의 윗 부분을 가리키고, 하단이란 도 2b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레일(1700)의 아래 부분을 가리킨다. 변형 방지부(171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사출에 의해 제조되며, 금형으로부터 사출된 슬라이딩 레일(1700)은 수축이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특히 슬라이딩 레일(1700)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변형 방지부(1713)가 슬라이딩 레일(1700)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상단과 하단은 변형 방지부(1713)에 의해 지지되며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후크 삽입부(1720)를 구비한다. 후크 삽입부(172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과 본고정을 위한 것이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후크 삽입부(1720)를 향해 돌출된 후크부(미도시)를 구비하며, 후크 삽입부(1720)는 상기 후크부(미도시)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후크 삽입부(1720)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과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를 향해 양측에 개구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크부(미도시)는 후크 삽입부(1720)를 통과해 슬라이딩 레일(1700)에 후크 결합되며, 후크 삽입부(1720)의 둘레는 후크부(미도시)의 걸림을 위한 걸림턱(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를 구비한다. 체결수단삽입부(1731a, 1732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본고정을 위한 것이다. 체결수단(1731', 1732')이란 슬라이딩 레일(1700)과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볼트 등은 본 발명에서의 체결수단(1731', 1732')에 해당한다.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일측과 타측에 개구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측이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타측이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의 둘레는 체결수단(1731', 1732')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체결수단(1731', 1732')은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를 관통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에 체결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1731', 1732')에 의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에 본고정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보스부(1731b, 1732b)를 구비한다. 보스부(1731b, 1732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스부(1731b, 1732b)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본고정을 위한 것이다. 보스부(1731b, 1732b)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스부(1731b, 1732b)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타측에 개구된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스부(1731b, 1732b)는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체결수단은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를 관통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에 체결되고, 보스부(1731b, 1732b)는 체결수단(1731', 1732')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에 가고정 되기 위한 가고정 구조를 갖는다. 가고정 구조란 가고정 돌기부(17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 구조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 구조에 대응되는 안착홈(1121, 도 3a 및 도 3b 참조; 2121, 도 4a 및 도 4b 참조; 3121, 도 5a 및 도 5b 참조)이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가고정되기 위해 슬라이딩 레일(1700)은 가고정 돌기부(1750)를 구비한다.
가고정 돌기부(1750)는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레일(17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고정 돌기부(175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타측으로부터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를 향해 돌출된다.
가고정 돌기부(1750)는 안착홈(1121, 2121, 3121)의 내주면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적어도 두 갈래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두 갈래란 둘 이상의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갈래는 안착홈(1121, 2121, 3121)의 내주면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진다.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갈래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1750)의 갈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갈래의 명칭은 제1돌기(1751), 제2돌기(1752), 제3돌기, .... 제n돌기로 명명될 수 있다(n은 자연수).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 돌기부(1750)는 본고정 상태에서도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고정과 본고정을 모두 위한 것이기도 하다.
베이스부(1770)는 가고정 돌기부(175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1770)는 가고정 돌기부(1750)를 제외한 슬라이딩 레일(1700)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가고정 돌기부(175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레일(1700)로부터 가장 먼 가고정 돌기부(1750)의 끝 부분을 가고정 돌기부(1750)의 상단이라 한다면, 베이스부(1770)는 가고정 돌기부(1750)의 하단에 형성된다.
베이스부(1770)의 양측에는 각각 관통홀(1761, 176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은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다. 관통홀(1761, 1762)은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상대 금형(상부 금형의 상대 금형은 하부 금형, 하부 금형의 상대 금형은 상부 금형)과 사출 성형 후 빠져나오기 위한 것이다.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빠져나오도록 가고정 돌기부(1750)의 하단과 베이스부(1770)는 같은 폭(w)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1780)는 베이스부(1770)와 관통홀(1761, 176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테두리부(1780)는 관통홀(1761, 1762)에 의해 베이스부(1770)와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테두리부(178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1750)가 베이스부(1770)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가고정 돌기부(1750)와 베이스부(1770)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베이스부(1770)와 테두리부(1780)가 슬라이딩 레일(17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700)에서 롤러(1740)의 반대쪽에는 고정 후크(1790)가 형성된다. 고정 후크(1790)는 슬라이딩 레일(17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 후크(1790)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후크(179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과 본고정을 위한 것이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는 고정 후크(1790)에 대응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며, 고정 후크(1790)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홀(미도시)에 삽입 및 걸림된다. 고정 후크(1790)는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본고정 후에도 홀(미도시)에 삽입 및 걸림된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과 본고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 후크(1790)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홀(미도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고정 돌기부(1750)를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고정 후크(1790)의 걸림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갈래는 안착홈(1121, 2121, 3121)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려진다. 고정 후크(1790)와 가고정 돌기부(1750)에 의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고정된 상태가 슬라이딩 레일(1700)의 가고정 상태에 해당한다.
슬라이딩 레일(1700)이 가고정 된 후 고정 후크(1790)의 삽입 및 걸림을 위한 홀(미도시)을 테이프 등의 부자재로 막고, 단열재의 발포 공정을 진행한다.
단열재의 발포 공정이 완료되면, 체결수단 삽입부(1731a, 1732a)에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슬라이딩 레일(1700)을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본고정한다. 고정 후크(1790), 가고정 돌기부(1750)뿐만 아니라 체결수단(1731', 1732')에 의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고정된 상태가 슬라이딩 레일(1700)의 본고정 상태에 해당한다.
안착홈(1121, 2121, 3121) 대신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 홀{고정 후크(1790)의 삽입을 위한 홀과 구별되는 또 다른 홀}이 형성되고, 한 갈래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레일의 가고정 돌기가 상기 가고정 홀에 삽입되는 구조는 상기 가고정 홀을 막기 위한 부자재를 필요로 했고, 부자재 부착 공정을 거쳐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고정 구조는 가고정 홀 대신 안착홈(1121, 2121, 3121)을 형성하여 부자재의 필요성을 제거하였으며, 부자재 부착 공정도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도 3a과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다.
안착홈(1121)은 이너 케이스(1120)의 적어도 일부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외측으로 리세스 되어 형성된다. 도 3a와 도 3b에서 이너 케이스(1120)의 좌측이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내측에 해당하고, 이너 케이스(1120)의 우측이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외측에 해당한다. 따라서 안착홈(1121)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외측을 향해 리세스 되고,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내측에 노출된다.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외측에는 단열재가 형성된다.
안착홈(1121)의 둘레(1122, 1123, 1124)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과 단열재의 경계를 형성한다. 안착홈(1121)의 둘레(1122, 1123, 1124)란 이너 케이스(1120)에서 안착홈(1121)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이를테면 가고정 돌기부(1750)를 감싸는 부분을 가리킨다. 안착홈(1121)의 둘레(1122, 1123, 1124)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과 단열재의 경계를 형성하므로, 단열재는 안착홈(1121)을 통해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로 노출되지 않는다.
단열재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냉장고의 조립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고내 부품의 가고정 후 본고정 전에 단열재의 발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단열재 원액은 안착홈(1121)을 통해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로 유입되지 않는다. 안착홈(1121)의 둘레(1122, 1123, 1124)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과 단열재의 경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내 부품을 이너 케이스(1120)에 가고정 할 때,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안착홈(1121)을 막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안착홈(1121)을 막기 위한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절약할 수 있으며, 냉장고의 조립 과정에서 부자재로 안착홈(1121)을 막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제1부분(1751a, 1752a), 제2부분(1751b, 1752b) 및 제3부분(1751c, 1752c)을 구비한다.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의 각 부분은 베이스부(177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1부분(1751a, 1752a), 제2부분(1751b, 1752b) 또는 제3부분(1751c, 1752c)으로 명명된다.
제1부분(1751a, 1752a)은 베이스부(1770)로부터 돌출된다. 제1부분(1751a, 1752a)은 안착홈(112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제1부분(1751a, 1752a)은 안착홈(112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부분(1751a, 1752a)이 안착홈(1121)에 삽입되더라도, 안착홈(112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부분(1751b, 1752b)은 제1부분(1751a, 1752a)보다 확장된 둘레를 갖도록 제1부분(1751a, 1752a)과 단차를 형성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제2부분(1751b, 1752b)의 둘레가 제1부분(1751a, 1752a)의 둘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제2부분(1751b, 1752b)이 안착홈(1121)에 삽입되면, 제2부분(1751b, 1752b)은 안착홈(112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고, 안착홈(1121)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려진다.
제3부분(1751c, 1752c)은 제2부분(1751b, 1752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제3부분(1751c, 1752c)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제3부분(1751c, 1752c)이 제2부분(1751b, 1752b)과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제2부분(1751b, 1752b)과 같은 둘레를 갖도록 형성된다면,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의 입구에 막혀 쉽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3부분(1751c, 1752c)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안착홈(1121)의 입구에서 가고정 돌기부(1750)는 미끄러지면서 용이하게 안착홈(11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에 가고정되기 위해서는 안착홈(1121)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갈래는 각각 안착홈(1121)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점(1751b', 1752b')을 구비한다. 제2부분(1751b, 1752b)이 안착홈(1121)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접촉점(1751b', 1752b')은 제2부분(1751b, 1752b)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가 각각 제2부분(1751b, 1752b)을 구비하기 때문에 제2부분(1751b, 1752b)의 외주면이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것이다. 만약, 가고정 돌기부(1750)의 구조가 달라진다면, 접촉점(1751b', 1752b')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접촉점(1751b', 1752b')은 안착홈(112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제1돌기(1751)의 접촉점(1751b')과 제2돌기(1752)의 접촉점(1752b')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두 접촉점(1751b', 1752b') 사이의 거리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로 표시될 수 있다.
안착홈(1121)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두 접촉점(1751b', 1752b')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두 가압점(1123', 1124')을 구비한다. 가압점(1123', 1124')은 안착홈(1121)의 둘레(1122, 1123, 1124) 중 가고정 돌기부(1750)의 제2부분(1751b, 1752b)과 접촉되는 어느 일 부분을 가리킨다. 서로 대향하는 두 가압점(1123', 1124') 사이의 거리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갈래 사이의 거리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로 표시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1750)의 두 갈래 사이의 거리란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1751b', 1752b') 사이의 거리(a)는 두 가압점(1123', 1124') 사이의 거리(b)보다 멀게 형성된다(a>b).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에 삽입되면, 두 접촉점(1751b', 1752b')은 두 가압점(1123', 1124')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되고,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1750)가 안착홈(1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1751b', 1752b') 사이의 거리(a)와 두 가압점(1123', 1124') 사이의 거리(b)의 차(a-b)는 두 갈래 사이의 거리(c)보다 작게 형성된다(a-b<c).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외력을 받는 상태가 지속되고, 고내 부품은 이너 케이스(1120)에 가고정 될 수 있다.
만일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의 제1부분(1751a, 1752a)이 제2부분(1751b, 1752b)과 동일한 크기의 둘레를 갖는다면,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어려워진다. 오히려, 베이스부(1770)와 제1부분(1751a, 1752a)의 경계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1770)와 제1부분(1751a, 1752a)의 경계가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부분(1751a, 1752a)의 둘레는 제2부분(1751b, 1752b)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돌기(1751)와 제2돌기(1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과도한 외력을 받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가고정 돌기부(1750)와 안착홈(1121)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고정은, 안착홈(1121)의 내주면이 가고정 돌기부(1750)를 가압(작용)하고, 가고정 돌기부(1750)의 적어도 두 갈래가 기울어지기 전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성질에 의한 힘(반작용)을 안착홈(1121)의 내주면에 지속적으로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1761, 1762)은 가고정 돌기부(1750)의 양측에 형성된다. 가고정 돌기부(1750)는 베이스부(1770)로부터 돌출되고, 가고정 돌기부(1750)의 제1부분(1751a, 1752a)과 제2부분(1751b, 1752b)은 단차를 가진다.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가 단차 구조를 형성하면, 단차 구조에 의해 금형이 사출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레일(1700, 도 1 내지 도 2b 참조)을 사출 성형할 때, 제1부분(1751a, 1752a)과 제2부분(1751b, 1752b)의 경계에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경계가 위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부 금형은 제1부분(1751a, 1752a)을 성형하도록 이루어지고, 하부 금형은 제2부분(1751b, 1752b)과 제3부분(1751c, 1752c)을 성형하도록 이루어질 것이다. 상부 금형은 하부 금형과 밀착되어 슬라이드 레일(1700, 도 1 내지 도 2b 참조)을 사출 성형하고 난 후, 관통홀(1761, 1762)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770)는 제1부분(1751a, 1752a)과 동일한 폭(w)을 갖거나, 제1부분(1751a, 1752a)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770)가 제1부분(1751a, 1752a)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면 상부 금형(또는 하부 금형)이 관통홀(1761, 1762)을 통해 빠져나올 수 없다. 베이스부(1770)가 제1부분(1751a, 1752a)과 동일한 폭(w)을 갖거나, 제1부분(1751a, 1752a)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면 상부 금형은 관통홀(1761, 1762)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베이스부(1770)의 제1부분(1751a, 1752a)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은 강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베이스부(1770)는 제1부분(1751a, 1752a)과 동일한 폭(w)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과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가고정 돌기부(2750)가 안착홈(2121)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다.
냉장고(2000, 도 1 참조)는 안착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턱(2125)을 구비한다. 걸림턱(2125)은 안착홈(212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25)은 안착홈(2121)의 내주면이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외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가고정 돌기부(2750)는 안착홈(2121)에 삽입됨에 따라 걸림턱(2125)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2751b")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751b")는 가고정 돌기부(2750)의 외주면에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2750)의 제1부분(2751a, 2752a)과 제2부분(2751b, 2752b)의 경계에는 단차가 존재하므로, 제2부분(2751b, 2752b)은 제1부분(2751a, 2752a)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1부분(2751a, 2752a)과 제2부분(2751b, 2752b)의 경계를 형성하는 단차가 상기 걸림부(2751b")에 해당할 수 있다.
안착홈(2121)의 입구의 크기(b1')는 가고정 돌기부(2750)의 두 점촉점 사이의 거리(a')보다 작다. 따라서 가고정 돌기부(2750)가 안착홈(2121)에 진입되면, 가고정 돌기부(2750)는 안착홈(2121)의 입구에 의해 오므려진다. 가고정 돌기부(2750)가 안착홈(2121)의 입구를 지나 계속해서 안착홈(2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걸림부(2751b")가 안착홈(2121)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125)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고내 부품은 더욱 확실하게 이너 케이스(2120)에 가고정될 수 있다.
걸림턱(2125)은 제1돌기(2751)와 제2돌기(2752) 중 어느 하나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안착홈(2121)의 내주면에서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두 걸림턱(2125)이 각각 제1돌기(2751) 및 제2돌기(2752)와 걸림된다면, 가고정 돌기부(1750)를 안착홈(2121)으로부터 인출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내 부품의 가고정은 이루어지더라도, 고내 부품을 이너 케이스(212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없다.
이에 반해 걸림턱(2125)이 안착홈(2121)의 내주면에서 일측에만 형성된다면, 걸림턱(2125)은 제1돌기(2751)와 제2돌기(2752) 중 어느 하나와만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고내 부품을 걸림턱(21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4b에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1차 이동시켜 걸림을 해제한 후, 고내 부품을 안착홈(2121)으로부터 인출시키는 방향(도 4b에서 좌측 방향)으로 2차 이동시키면 고내 부품을 이너 케이스(2120)로부터 분리하여 가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2750)가 안착홈(2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2751b', 2752b') 사이의 거리(a')는 두 가압점(2123', 2124') 사이의 거리(b2')보다 멀게 형성된다(a'>b2').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2750)가 안착홈(2121)에 삽입되면, 두 접촉점(2751b', 2752b')은 두 가압점(2123', 2124')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되고, 제1돌기(2751)와 제2돌기(2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2750)가 안착홈(2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2751b', 2752b') 사이의 거리(a')와 두 가압점(2123', 2124') 사이의 거리(b2')의 차(a'-b2')는 두 갈래 사이의 거리(c')보다 작게 형성된다(a'-b2'<c').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2751)와 제2돌기(2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외력을 받는 상태가 지속되고, 슬라이드 레일은 이너 케이스(2120)에 가고정 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서 설명되지 않은 안착홈(2121)의 둘레(2122, 2123, 2124), 가고정 돌기부(2750)의 제3부분(2751c, 2752c), 관통홀(2761, 2762) 및 베이스부(2770)에 대한 설명은 도 3a와 도 3b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5a과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가고정 돌기부(3750)가 안착홈(3121)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3750)와 안착홈(3121)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고정은, 안착홈(3121)의 내주면이 가고정 돌기부(3750)를 가압(작용)하고, 가고정 돌기부(3750)의 적어도 두 갈래가 기울어지기 전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성질에 의한 힘(반작용)을 안착홈(3121)의 내주면에 지속적으로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고정 돌기부(3750)와 안착홈(3121)의 작용 및 반작용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면, 가고정 돌기부(3750)와 안착홈(3121)의 구체적인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에서는 안착홈(2121)의 형상에 대한 변형례를 설명하였다면, 도 5a와 도 5b에서는 가고정 돌기부(3750)의 형상에 대한 변형례를 설명한다.
제1돌기(3751)와 제2돌기(3752)는 제1경사부(3751a, 3752a)와 제2경사부(3751b, 3752b)를 구비한다. 제1돌기(3751)와 제2돌기(3752)의 각 부분은 베이스부(377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1경사부(3751a, 3752a) 및 제2경사부(3751b, 3752b)로 명명된다.
제1경사부(3751a, 3752a)는 베이스부(3770)로부터 돌출된다. 제1경사부(3751a, 3752a)는 베이스부(3770)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제1경사부(3751a, 3752a)에서 제2경사부(3751b, 3752b)와의 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안착홈(312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부(3751a, 3752a)가 안착홈(3121)에 삽입되더라도, 제2경사부(3751b, 3752b)와의 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안착홈(312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경사부(3751b, 3752b)는 제1경사부(3751a, 3752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부(3751a, 3752a)와 제2경사부(3751b, 3752b)의 경계는 안착홈(3121)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경사부(3751a, 3752a)와 제2경사부(3751b, 3752b)의 경계는 앞서 설명했던 접촉점(3751b', 3752b')에 해당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3750)가 안착홈(3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3751b', 3752b') 사이의 거리(a")는 두 가압점(3123', 3124') 사이의 거리(b")보다 멀게 형성된다(a">b").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3750)가 안착홈(3121)에 삽입되면, 두 접촉점(3751b', 3752b')은 두 가압점(3123', 3124')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되고, 제1돌기(3751)와 제2돌기(3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돌기부(3750)가 안착홈(31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접촉점(3751b', 3752b') 사이의 거리(a")와 두 가압점(3123', 3124') 사이의 거리(b")의 차(a"-b")는 두 갈래 사이의 거리(c")보다 작게 형성된다(a"-b"<c").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3751)와 제2돌기(375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외력을 받는 상태가 지속되고, 슬라이드 레일은 이너 케이스(3120)에 가고정 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서 설명되지 않은 안착홈(3121)의 둘레(3122, 3123, 3124), 관통홀(3761, 3762) 및 베이스부(3770)에 대한 설명은 도 3a와 도 3b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6은 슬라이딩 레일(4700)의 변형례와 본 발명의 가고정 구조가 복수로 형성된 것을 보인 사시도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도 2b에서 설명했던 고정 후크(1790, 도 2b 참조)를 갖지 않는 대신, 복수의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각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2b 내지 도 3b에서 설명된 가고정 돌기부(1750)의 구조와 동일하다.
고정 후크(1790)를 갖지 않는 대신 슬라이딩 레일(4700)에 복수의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가 형성되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도 고정 후크(1790)의 삽입을 위한 홀을 갖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열재의 발포 과정에서 고정 후크(1790)에 대응되는 홀을 막기 위한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추가로 절약할 수 있고, 상기 홀을 막기 위한 부자재 부착 등의 공정을 추가로 생략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롤러(474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레일(4700)의 롤러(4740)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레일부(미도시)의 입구측에 배치된다. 슬라이드 이동체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롤러(4740)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서피스(sliding surface)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이동체의 롤러가 레일부(미도시)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서피스는 슬라이딩 레일(47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회전축 지지부(4741)를 구비한다. 회전축 지지부(4741)는 롤러(47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롤러(4740)의 회전축(미도시)은 회전축 지지부(4741)의 중심으로부터 롤러(4740)를 향해 연장된다. 롤러(4740)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레일(4700)의 타측에는 변형 방지부(4713)가 형성된다. 변형 방지부(4713)는 레일부(미도시)의 연장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레일(4700)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 방지부(4713)가 레일부의 배면(4710', 4711'은 수평 레일부의 배면, 4712'는 경사 레일부의 배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4700)의 상단이란 도 6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레일(4700)의 윗 부분을 가리키고, 하단이란 도 6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레일(4700)의 아래 부분을 가리킨다. 변형 방지부(471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사출에 의해 제조되며, 금형으로부터 사출된 슬라이딩 레일(4700)은 수축이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특히 슬라이딩 레일(4700)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변형 방지부(4713)가 슬라이딩 레일(4700)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상단과 하단은 변형 방지부(4713)에 의해 지지되며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후크 삽입부(4720)를 구비한다. 후크 삽입부(4720)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가고정과 본고정을 위한 것이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후크 삽입부(4720)를 향해 돌출된 후크부(미도시)를 구비하며, 후크 삽입부(4720)는 상기 후크부(미도시)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후크 삽입부(4720)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과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를 향해 양측에 개구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크부(미도시)는 후크 삽입부(4720)를 통과해 슬라이딩 레일(4700)에 후크 결합되며, 후크 삽입부(4720)의 둘레는 후크부(미도시)의 걸림을 위한 걸림턱(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보스부(4731b, 4732b)를 구비한다. 보스부(4731b, 4732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스부(4731b, 1732b)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체결수단 삽입부(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스부(4731b, 4732b)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타측에 개구된 체결수단 삽입부(미도시)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스부(4731b, 4732b)는 체결수단 삽입부(4731a, 4732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4731' ,473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체결수단(4731' ,4732')은 체결수단 삽입부(미도시)를 관통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체결되고, 보스부(4731b, 4732b)는 체결수단(4731' ,4732')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는 안착홈(1121, 도 3a 및 도 3b 참조; 2121, 도 4a 및 도 4b 참조; 3121, 도 5a 및 도 5b 참조)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레일(47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타측으로부터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를 향해 돌출된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는 안착홈(1121, 2121, 3121)의 내주면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적어도 두 갈래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두 갈래란 둘 이상의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두 갈래는 안착홈(4121)의 내주면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진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두 갈래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돌기(4751, 4753)와 제2돌기(4752, 47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돌기(4751, 4753)와 제2돌기(4752, 4754)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갈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갈래의 명칭은 제1돌기(4751, 4753), 제2돌기(4752, 4754), 제3돌기, .... 제n돌기로 명명될 수 있다(n은 자연수).
슬라이딩 레일(4700)의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는 본고정 상태에서도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고정과 본고정을 모두 위한 것이기도 하다.
베이스부(4770, 4771)는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4770, 4771)는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를 제외한 슬라이딩 레일(4700)의 나머지 부분과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레일(4700)에서 가장 먼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끝 부분을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상단이라 한다면, 베이스부(4770, 4771)는 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하단에 형성된다.
베이스부(4770, 4771)의 양측에는 각각 관통홀(4761, 4762, 4763, 4764)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4700)은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4700)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다. 관통홀(4761, 4762, 4763, 4764)은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상대 금형과 사출 성형 후 빠져나오기 위한 것이다.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빠져나오도록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의 하단과 베이스부(4770, 4771)는 같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4780)는 베이스부(4770, 4771)와 관통홀(4761, 4762, 4763, 4764)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4770, 4771)와 테두리부(4780, 4781)는 슬라이딩 레일(47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가 베이스부(4770, 4771)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가고정 돌기부(4750a, 4750b)와 베이스부(4770, 4771)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베이스부(4770, 4771)와 테두리부(4780, 4781)가 슬라이딩 레일(47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상하부 드로워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는 슬라이딩 모듈(5700)과 본 발명의 가고정 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7a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일측을 바라본 사시도고, 도 7b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을 바라본 사시도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레일부(5710)를 포함한다. 레일부(5710)는 슬라이딩 레일(5700)의 일측에 형성된다. 레일부(5710)는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혹은 후방측으로터 전방측을 향해 연장)된다. 하부 드로워(미도시)의 측면에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되며, 레일부(5710)는 상기 롤러(미도시)의 회전 이동 영역을 정의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부 드로워(미도시)의 롤러(미도시)는 레일부(5710)에 안착되며, 레일부(5710)를 따라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부 드로워(미도시)의 롤러(미도시)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 드로워(미도시)가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레일부(5710)의 입구에는 걸림턱(5711)이 형성된다. 걸림턱(5711)은 레일부(5710)의 입구를 일부 막도록 돌출된다. 걸림턱(5711)은 하부 드로워(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부 드로워(미도시)의 롤러(미도시)는 걸림턱(5711)에 걸릴 수 있으며, 하부 드로워(미도시)는 걸림턱(5711)에 의해 냉장고(1000, 도 1 참조)의 외측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레일부(5710)의 상부에는 제1슬라이딩부(5721), 제2슬라이딩부(5722) 및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가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부(5721)는 이너 케이스 결합부(5701)에 고정된다. 이너 케이스 결합부(5701)는 레일부(5710) 및 걸림턱(57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가고정 및 본고정 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이너 케이스 결합부(5701), 레일부(5710) 및 걸림턱(5711)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5722)는 제1슬라이딩부(57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슬라이딩부(5721)와 제2슬라이딩부(5722)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슬라이딩부(5722)는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에 고정된다.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는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는 전방 측의 제1결합부(5723a, 5723b, 5723c), 후방측의 제2결합부(5723e, 5723f, 5723g) 및 제1결합부(5723a, 5723b, 5723c)와 제2결합부(5723e, 5723f, 5723g) 사이의 수용부(5723d)를 갖는다.
제1결합부(5723a, 5723b, 5723c)는 결합 후크(5723a), 복수의 이탈 방지 돌기(5723b, 5723c)로 이루어진다. 결합 후크(5723a)와 복수의 이탈 방지(5723b, 5723c)로 이루어진 공간에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어느 일 부분이 삽입된다. 이탈 방지 돌기들(5723b, 5723c)은 상기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어느 일 부분이 제1결합부(5723a, 5723b, 5723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부(5723d)는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다른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다른 일 부분이 수용부(5723d)에 삽입됨에 따라,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는 정위치에서 상부 드로워(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5723e, 5723f, 5723g)는 결합 홀(또는 결합 홈)(5723e), 복수의 이탈 방지 돌기(5723f, 5723g)로 이루어진다. 결합 홀(5723e)에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또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된다. 복수의 이탈 방지 돌기(5723f, 5723g)는 상기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또 다른 일 부분을 측면 및 후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상부 드로워(미도시)의 또 다른 일 부분이 제2결합부(5723e, 5723f, 5723g)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슬라이딩부(5721)와 제2슬라이딩부(5722)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에 결합된 상부 드로워(미도시)는 식품 저장실(5200, 도 1 참조)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 드로워(미도시)와 하부 드로워(미도시)는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를 구비한다.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본고정을 위한 것이다. 체결수단(미도시)이란 슬라이딩 모듈(5700)과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볼트 등은 본 발명에서의 체결수단에 해당한다.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일측과 타측에 개구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측이란 식품 저장실(5200, 도 1 참조)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타측이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의 둘레는 체결수단(미도시)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체결수단(미도시)은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를 관통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체결된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본고정된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보스부(5714a, 5714b, 5714c, 5731b, 5732b, 5733b, 5734b)를 구비한다. 보스부(5714a, 5714b, 5714c, 5731b, 5732b, 5733b, 5734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스부(5714a, 5714b, 5714c, 5731b, 5732b, 5733b, 5734b)는 결합 대상에 따라 제1보스부(5714a, 5714b, 5714c)와 제2보스부(5731b, 5732b, 5733b, 5734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보스부(5714a, 5714b, 5714c)는 제1슬라이딩부(5721)를 이너 케이스 결합부(57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보스부(5714a, 5714b, 5714c)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보스부(5714a, 5714b, 5714c)는 제1슬라이딩부(5721)의 고정을 위해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제1슬라이딩부(5721)의 고정을 위해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은 상부 드로워 결합부(572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기 때문에 도 7a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제2보스부(5731b, 5732b, 5733b, 5734b)는 슬라이딩 모듈(5700)을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본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보스부(5731b, 5732b, 5733b, 5734b)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에 형성되고,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보스부(5731b, 5732b, 5733b, 5734b)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에 개구된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보스부(5731b, 5732b, 5733b, 5734b)는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체결수단(미도시)은 체결수단 삽입부(5731a, 5732a, 5733a, 5734a)를 관통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체결되고, 제2보스부(5731b, 5732b, 5733b, 5734b)는 체결수단(미도시)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위치 설정 돌기(5715a, 5715b)를 구비한다. 위치 설정 돌기(5715a, 5715b)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는 위치 설정 돌기(5715a, 5715b)에 대응되는 위치 설정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위치 설정 돌기(5715a, 5715b)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가고정 시 위치 설정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모듈(5700)이 정위치에서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에는 변형 방지부(5713)가 형성된다. 변형 방지부(5713)는 레일부(571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딩 모듈(5700)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상단이란 도 7b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모듈(5700)의 윗 부분을 가리키고, 하단이란 도 7b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모듈(5700)의 아래 부분을 가리킨다. 변형 방지부(571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레일(5700)은 사출에 의해 제조되며, 금형으로부터 사출된 슬라이딩 레일(5700)은 수축이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특히 슬라이딩 레일(5700)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변형 방지부(5713)가 슬라이딩 레일(5700)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상단과 하단은 변형 방지부(5713)에 의해 지지되며, 변형의 발생은 억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가고정 되기 위한 가고정 구조를 갖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모듈(5700)의 가고정 구조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가고정 구조에 대응되는 안착홈(1121, 도 3a 및 도 3b 참조; 2121, 도 4a 및 도 4b 참조; 3121, 도 5a 및 도 5b 참조)이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가고정되기 위해 슬라이딩 모듈(5700)은 가고정 돌기부(5750)를 구비한다.
가고정 돌기부(5750)는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모듈(57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고정 돌기부(5750)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타측으로부터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를 향해 돌출된다.
가고정 돌기부(5750)는 안착홈(1121, 2121, 3121)의 내주면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적어도 두 갈래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두 갈래란 둘 이상의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가고정 돌기부(5750)의 두 갈래는 안착홈(1121, 2121, 3121)의 내주면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진다.
가고정 돌기부(5750)의 두 갈래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돌기(5751)와 제2돌기(57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돌기(5751)와 제2돌기(5752)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5750)의 갈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갈래의 명칭은 제1돌기(5751), 제2돌기(5752), 제3돌기, .... 제n돌기로 명명될 수 있다(n은 자연수).
슬라이딩 모듈(5700)의 가고정 돌기부(5750)는 본고정 상태에서도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고정과 본고정을 모두 위한 것이기도 하다.
베이스부(5770)는 가고정 돌기부(575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5770)는 가고정 돌기부(5750)를 제외한 슬라이딩 모듈(5700)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가고정 돌기부(575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모듈(5700)에서 가장 먼 가고정 돌기부(5750)의 끝 부분을 가고정 돌기부(5750)의 상단이라 한다면, 베이스부(5770)는 가고정 돌기부(5750)의 하단에 형성된다.
베이스부(5770)는 슬라이딩 모듈(57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두꺼운 두께를 갖는 사출물은 사출 성형 후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사출물의 두께를 무제한적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는 없다. 슬라이딩 모듈(57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일부(5710)의 둘레는 레일부(5710)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둘레의 배면(5712)은 레일부(5710)의 배면(5710')보다 리세스 되어야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5750)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레의 배면(5712)에 배치되는 경우, 가고정 돌기부(5750)의 위치는 레일부(5710)의 타측보다 리세스된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가고정 돌기부(575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가고정 돌기부(5750)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고정 돌기부(5750)의 베이스부(5770)와 테두리부(5780)가 레일부(5710)의 타측만큼 돌출되고, 가고정 돌기부(5750)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부(5770)의 양측에는 각각 관통홀(5761, 576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모듈(5700)은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딩 모듈(5700)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다. 관통홀(5761, 5762)은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상대 금형과 사출 성형 후 빠져나오기 위한 것이다.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이 빠져나오도록 가고정 돌기부(5750)의 하단과 베이스부(5770)는 같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5780)는 베이스부(5770)와 관통홀(5761, 576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5770)와 테두리부(5780)는 슬라이딩 모듈(57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가고정 돌기부(5750)가 베이스부(5770)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가고정 돌기부(5750)와 베이스부(5770)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베이스부(5770)와 테두리부(5780)가 슬라이딩 모듈(57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에서 가고정을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수직바(1140), 브라켓(1800) 및 상기 브라켓(1800)을 지지하는 브라켓 홀더(1910, 1920)를 보인 개념도다.
수직바(11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수직바(1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실(1210, 도 1 참조)과 냉동실(1220, 도 1 참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 개구부(1100a, 1100b, 도 1 참조)에 설치된다. 냉장실(1210, 도 1 참조)에 수직바(1140)가 설치되면, 수직바(1140)의 일단은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상벽에 연결되고, 수직바(1140)의 타단은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바닥에 연결된다. 냉동실(1220, 도 1 참조)에 수직바(1140)가 설치되면, 수직바(1140)의 일단은 냉동실(1220, 도 1 참조)의 상벽에 연결되고, 수직바(1140)의 타단은 냉동실(1220, 도 1 참조)의 바닥에 연결된다.
브라켓(1800)은 수직바(1140)의 배면에 설치된다.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브라켓(1800)은 수직바(1140)의 배면과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의 후벽(1120b,도 1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800)의 전면부는 수직바(1140)의 배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브라켓(1800)의 후면부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후벽(1120b, 도 1 참조)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브라켓(1800)은 냉동실(1220, 도 1 참조)이나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좌우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냉동실(1220, 도 1 참조)이나 냉장실(1210, 도 1 참조)은 브라켓(1800)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800)은 냉동실(1220, 도 1 참조)이나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좌우를 완전히 막지는 않는다. 냉기는 브라켓(180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냉동실(1220, 도 1 참조)이나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브라켓(18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이 결합된다. 브라켓(180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1700, 도 1 참조; 4700, 도 6 참조)과 짝을 이루어 슬라이드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1700, 4700)과 다르게 브라켓(180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은 가고정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각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브라켓(1800)에 본고정될 뿐이며, 본고정을 위해 각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은 체결수단 삽입부각 슬라이딩 레일(1871a, 1872b, 1873b)를 구비한다. 각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은 슬라이드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레일부(1871a, 1872a, 1873a)와 롤러(1871c, 1872c, 1873c)를 구비한다. 레일부(1871a, 1872a, 1873a)와 롤러(1871c, 1872c, 1873c)의 구조 및 기능은 앞서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레일(1700,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브라켓(1800)은 3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3개의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이 높이차를 형성하며, 브라켓(1800)의 좌우에 설치된다. 브라켓(1800)에 설치된 각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은 트레이(1520, 도 1 참조) 또는 드로워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한다. 도 8의 브라켓(1800)으로부터 3개의 트레이(1520) 또는 드로워가 냉동실(1220, 도 1 참조) 또는 냉장실(1210, 도 1 참조)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다만, 브라켓(1800)의 단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브라켓(1800)은 전면부(1811, 1812, 1813), 후면부(1821, 1822, 1823) 및 전후 연장부(1831, 1832, 1833, 1834)로 이루어진다.
각 단의 전면부(1811, 1812, 1813)들은 수직바(1140)의 배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각 단의 전면부(1811, 1812, 1813)들은 전후 연장부(1831, 1832, 1833, 1834)를 지지하도록 부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단의 후면부(1821, 1822, 1823)들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후벽(1120b, 도 1 참조)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다른 후면부(1822, 1823)들과 다르게 최하단의 후면부(1821)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 뒤의 기계실(미도시)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진다.
최하단의 전후 연장부(1831)는 다른 전후 연장부(1832, 1833, 1834)들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최하단의 후면부(1821)는 바로 위(2단)의 전후 연장부(1832)의 길이 중간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후벽(1120b)은 브라켓(1800)의 후면부(1821, 1822, 182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브라켓(1800)의 최하단과 마주하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과 다르게 식품 저장실(1200, 도 1 참조)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그 뒤에는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후 연장부(1831, 1832, 1833, 1834)는 전면부(1811, 1812, 1813)와 후면부(1821, 1822, 1823)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최상단의 전후 연장부(1834)를 제외한 다른 전후 연장부(1831, 1832, 1833)들의 측면에는 앞서 설명한 슬라이딩 레일(1871, 1872, 1873)들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홀더(1910, 1920)는 브라켓(18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브라켓 홀더(1910, 1920)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에 가고정되고, 단열재의 발포 후 다시 본고정 된다. 따라서 고내 부품은 브라켓(1800)을 지지하도록 브라켓(1800)과 결합되는 브라켓 홀더(1910, 1920)로 이루어진다. 브라켓 홀더(1910, 1920)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좁은 의미의 고내 부품에 해당한다.
브라켓 홀더(1910, 1920)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와 하부 브라켓 홀더(1920)를 포함한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는 브라켓(1800)의 상부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상벽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브라켓(1800)의 상부란 최상단의 전후 연장부(1834)에 해당한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는 브라켓(1800)의 하부와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브라켓(1800)의 하부란 최하단의 전후 연장부(1831)에 해당한다.
도 9a와 도 9b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9a는 브라켓(1800, 도 8 참조)의 상단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일측을 바라본 사시도고, 도 9b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의 상벽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을 바라본 사시도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일측에는 브라켓 수용부(1911)가 형성된다. 브라켓 수용부(1911)는 브라켓(1800)의 상단이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이다.
벽(1912)은 브라켓 수용부(1911)의 둘레에 형성된다. 벽(1912)은 브라켓 수용부(1911)와 단차를 형성한다.
브라켓(1800)은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진입하여, 상부 브라켓 홀더(1910)와 결합된다. 브라켓(1800)이 진입되는 방향은 후술하는 후크 결합부(1913a, 1913b)가 형성되는 방향이다. 벽(1912)은 브라켓(1800)을 결합시키려는 과도한 힘에 의해 브라켓(1800)이 브라켓 수용부(1911)를 지나 이탈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라켓 수용부(1911)의 둘레에 형성된다. 다만, 브라켓(1800)이 진입되는 방향에는 벽(1912)이 형성되지 않는다.
후크 결합부(1913a, 1913b)는 브라켓(1800)이 진입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후크 결합부(1913a, 1913b)의 단부에는 걸림턱(1913a', 1913b')이 형성된다. 걸림턱(1913a', 1913b')이 브라켓(1800)에 걸림에 따라 브라켓(1800)이 상부 브라켓 홀더(19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913a, 1913b)의 양측에는 절개부(1913a", 1913b")가 형성된다. 절개부(1913a", 1913b")가 형성됨에 따라, 후크 결합부(1913a, 1913b)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와 브라켓(180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1800)에 의해 부분적으로 젖혀질 수 있다. 브라켓(1800)이 상부 브라켓 홀더(1910)에 완전히 결합되면, 젖혀졌던 후크 결합부(1913a, 1913b)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후크 결합부(1913a, 1913b)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에도 노출된다.
브라켓 삽입부(1913c)는 브라켓 수용부(1911)에 형성된다. 브라켓 삽입부(1913c)는 브라켓(18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브라켓(1800)이 상부 브라켓 홀더(1910)에 결합됨에 따라 브라켓(18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브라켓 삽입부(1913c)에 삽입된다. 후크 결합부(1913a, 1913b)와 브라켓 삽입부(1913c)에 의해 상부 브라켓 홀더(1910)는 브라켓(180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수용부(1911)에는 체결수단 삽입부(1914a)가 형성된다. 체결수단 삽입부(1914a)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일측과 타측에 개구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수단 삽입부(1914a)와 대응되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에는 보스부(1914b)가 형성된다. 체결수단(미도시)은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본고정을 위한 것으로, 보스부(1914b)는 체결수단 삽입부(1914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에는 변형 방지부(1919)가 형성된다. 변형 방지부(1919)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전후 방향이란 앞서 설명한 브라켓(180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변형 방지부(1919)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는 사출에 의해 제조되며, 금형으로부터 사출된 상부 브라켓 홀더(1910)는 수축이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변형 방지부(1919)가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전방과 후방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방과 후방은 변형 방지부(1919)에 의해 지지되며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에는 가고정 돌기부(1915)가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상벽은 가고정 돌기부(1750)에 대응되는 안착홈(1121, 도 3a 및 도 3b 참조; 2121, 도 4a 및 도 4b 참조; 3121, 도 5a 및 도 5b 참조)을 구비하고, 가고정 돌기부(1915)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된다.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가고정 돌기부(1915)는 네 갈래로 이루어진 구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가고정 돌기부(1915)는 도 3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10a는 브라켓(1800, 도 8 참조)의 하단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일측을 바라본 사시도고, 도 10b는 이너 케이스(1120a, 1120b, 도 1 참조; 1120, 도 3a 및 도 3b 참조; 2120, 도 4a 및 도 4b 참조; 3120, 도 5a 및 도 5b 참조)의 바닥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을 바라본 사시도다.
하부 브라켓(1800)의 일측에는 브라켓 수용부(1921)가 형성된다. 브라켓 수용부(1921)는 브라켓(180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이다.
벽(1922)은 브라켓 수용부(1921)의 둘레에 형성된다. 벽(1922)은 브라켓 수용부(1921)와 단차를 형성한다.
브라켓(1800)은 기울어진 채로 하부 브라켓 홀더(1920)에 거치되고, 이어서 외력에 의해 상부 브라켓 홀더(1910, 도 9a 및 도 9b 참조)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진입하여 상부 브라켓 홀더(1910)와 하부 브라켓 홀더(1920)에 결합된다. 브라켓(1800)이 측면으로부터 진입되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와 달리, 하부 브라켓 홀더(1920)에는 브라켓(1800)이 기울어진 채로 거치되기 때문에 벽(1922)은 브라켓 수용부(1921)의 좌우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수용부(1921)의 후방에도 벽(1922)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설정 돌기(1923a)는 브라켓 수용부(1921)로부터 돌출된다. 브라켓(1800)의 하단에는 위치 설정 돌기(1923a)에 대응되는 위치 설정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위치 설정 돌기(1923a)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 설정 홈을 위치시키면, 브라켓(1800)과 하부 브라켓 홀더(1920)가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단면은 디귿자(ㄷ)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사출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사출 이후 변형의 발생 우려가 있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사출물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변형의 발생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하부 브라켓 홀더(1920)는 브라켓(18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이 양측에 의해 지지되는 디귿자(ㄷ)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이유에서 위치 결정 돌기(1923a)와 대응되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에는 리세스부(1923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 수용부(1921)에는 체결수단 삽입부(1924a)가 형성된다. 체결수단 삽입부(1924a)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일측과 타측에 개구된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수단 삽입부(1924a)와 대응되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에는 보스부(1924b)가 형성된다. 보스부(1924b)는 체결수단 삽입부(1924a)에 삽입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에는 변형 방지부(1929)가 형성된다. 변형 방지부(1929)는 상부 브라켓 홀더(19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며,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양측이란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좌우를 의미하며,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이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바닥을 마주보는 부분을 가리킨다. 변형 방지부(1929)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는 사출에 의해 제조되며, 금형으로부터 사출된 하부 브라켓 홀더(1920)는 수축이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변형 방지부(1929)가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상기 하부 브라켓 홀더(1920)는 변형 방지부(1929)에 의해 지지되며, 변형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에는 가고정 돌기부(1925)가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120a, 1120b, 1120, 2120, 3120)의 바닥은 가고정 돌기부(1925)에 대응되는 안착홈(1121, 도 3a 및 도 3b 참조; 2121, 도 4a 및 도 4b 참조; 3121, 도 5a 및 도 5b 참조)을 구비하고, 가고정 돌기부(1925)는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1121, 2121, 3121)에 삽입된다.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가고정 돌기부(1925)는 네 갈래로 이루어진 구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 홀더(1920)의 가고정 돌기부(1925)는 도 3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냉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0 : 냉장고
1100 : 냉장고 본체
1100a, 1100b : 냉장고 본체의 전면 개구부 (1100a : 냉장실의 전면 개구부, 1100b :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
1110 : 아웃 케이스
1120 : 이너 케이스 (1120a : 측벽, 1120b : 후벽)
1121, 2121, 3121 : 안착홈
1122, 1123, 1124, 2122, 2123, 2124, 3122, 3123, 3124 : 안착홈의 둘레
1123’, 1124’, 2123’, 2124’, 3123’, 3124’ : 가압점
2125 : 걸림턱
1130 : 덕트 구조물
1131, 1132 : 냉기 토출구
1140 : 수직바
1200 : 식품 저장실
1210 : 냉장실
1220 : 냉동실
1311, 1312 : 냉장실 도어 (1311 : 좌측 냉장실 도어, 1312 : 우측 냉장실 도어)
1311a, 1312a : 냉장실 도어의 도어 라이너
1311b, 1312b : 냉장실 도어의 가스켓
1321, 1322 : 냉동실 도어 (1321 : 좌측 냉동실 도어, 1322 : 우측 냉동실 도어)
1321a, 1322a : 냉동실 도어의 도어 라이너
1321b, 1322b : 냉동실 도어의 가스켓
1411, 1412 : 상부 힌지 (1411 : 좌측 상부 힌지, 1412 : 우측 상부 힌지)
1421, 1422 : 중간 힌지 (1421 : 좌측 중간 힌지, 1422 : 우측 중간 힌지)
1431, 1432 : 하부 힌지 (1431 : 좌측 하부 힌지, 1432 : 우측 하부 힌지)
1510 : 선반
1520 : 트레이 조립체
1530 : 바스켓
1600, 1601 1602 : 선반 홀더
1700 : 슬라이딩 레일
1700 : 슬라이드 레일
1710 : 레일부
1710’, 4710’ : 레일부의 배면
1711 : 수평 레일부,
1711’, 4711’ : 수평 레일부의 배면
1712 : 경사 레일부,
1712’, 4712’ : 경사 레일부의 배면
1713, 4713 : 변형 방지부
1720, 4720 : 후크 삽입부
1731a, 1732a, 4731a, 4732a : 체결수단 삽입부
1732b, 1732b, 4731b, 4732b : 보스부
1731’, 1732’, 4731’, 4732’ : 체결수단
1740, 4740 : 롤러
1741, 4741 : 회전축 지지부
1750, 2750, 3750, 4750a, 4750b : 가고정 돌기부
1751, 2751, 3751, 4751, 4753 : 제1돌기
1752, 2752, 3752, 4752, 4754 : 제2돌기
1751a, 1752a, 2751a, 2752a : 가고정 돌기부의 제1부분
1751b, 1752b, 2751b, 2752b : 가고정 돌기부의 제2부분
1751b’, 1752b’, 2751b’, 2752b’, 3751b’, 3752b’ : 접촉점
2751b” : 가고정 돌기부의 걸림부
1751c, 1752c, 2751c, 2752c : 가고정 돌기부의 제3부분
3751a, 3752a : 가고정 돌기부의 제1경사부
3751b, 3752b : 가고정 돌기부의 제2경사부
1761, 1762, 2761, 2762, 3761, 3762, 4761, 4762, 4763, 4764 : 관통홀
1770, 2770, 3770, 4770, 4771 : 베이스부
1780, 4780, 4781 : 테두리부
1790 : 고정 후크
1800 : 브라켓
1811, 1812, 1813 : 브라켓의 전면부
1821, 1822, 1823 : 브라켓의 후면부
1831, 1832, 1833, 1834 : 브라켓의 전후 연장부
1871, 1872, 1873 : 슬라이딩 레일
1871a, 1872a, 1873a : 레일부
1871b, 1872b, 1873b : 체결수단 삽입부
1871c, 1872c, 1873c : 롤러
1910 : 상부 브라켓 홀더
1911 : 브라켓 수용부
1912 : 벽
1913a, 1913b : 후크 결합부
1913a’, 1913b’ : 걸림턱
1913a”, 1913b” : 절개부
1913c : 브라켓 삽입부
1914a : 체결수단 삽입부
1914b : 보스부
1915 : 가고정 돌기부
1919 : 변형 방지부
1920 : 하부 브라켓 홀더
1921 : 브라켓 수용부
1922 : 벽
1923a : 위치 설정 돌기
1923b : 리세스부
1924a : 체결수단 삽입부
1924b : 보스부
1925 : 가고정 돌기부
1929 : 변형 방지부
5700 : 슬라이딩 모듈
5701 : 베이스
5710 : 레일부
5710’ : 레일부의 배면
5711 : 걸림턱
5712 : 레일부 둘레의 배면
5713 : 변형 방지부
5714a, 5714b, 5714c : 보스부
5715a, 5715b : 위치 설정 돌기
5723a, 5723b, 5723c : 제1결합부 (5723a : 결합 후크, 5723b, 5723c : 이탈 방지 돌기)
5723d : 수용부
5723e, 5723f, 5723g : 제2결합부 (5723e : 결합 홀, 5723f, 5723g : 이탈 방지 돌기)
5731a, 5732a, 5733a, 5734a : 체결수단 삽입부
5731b, 5732b, 5733b, 5734b : 보스부
5750 : 가고정 돌기부
5751 : 제1돌기
5752 : 제2돌기
5761, 5762 : 관통홀
5770 : 베이스부
5780 : 테두리부

Claims (10)

  1.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품 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고내 부품;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식품 저장실의 외측으로 리세스 되어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적어도 두 갈래로 이루어지는 가고정 돌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각각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점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접촉점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는 두 가압점을 구비하며,
    상기 가고정 돌기부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 접촉점 사이의 거리(a)는 상기 두 가압점 사이의 거리(b)보다 먼 것(a>b)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각각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점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접촉점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두 가압점을 구비하며,
    상기 가고정 돌기부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두 접촉점 사이의 거리(a)와 상기 두 가압점 사이의 거리(b)의 차(a-b)는 상기 두 갈래 사이의 거리(c)보다 작은 것(a-b<c)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상기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보다 확장된 둘레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돌기부의 두 갈래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고내 부품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고내 부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경계는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 부품은,
    상기 가고정 돌기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및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의 둘레는 상기 식품 저장실과 상기 단열재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가고정 돌기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식품 저장실에 삽입되거나 상기 식품 저장실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고내 부품은 상기 드로워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드로워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가고정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의 배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벽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식품 저장실의 좌우를 구획하도록 이루어지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내 부품은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 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 홀더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에 가고정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가고정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00579A 2016-01-04 2016-01-04 냉장고 KR10241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79A KR102415750B1 (ko) 2016-01-04 2016-01-04 냉장고
US15/397,478 US10215474B2 (en) 2016-01-04 2017-01-0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79A KR102415750B1 (ko) 2016-01-04 2016-01-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87A true KR20170081487A (ko) 2017-07-12
KR102415750B1 KR102415750B1 (ko) 2022-07-01

Family

ID=5922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79A KR102415750B1 (ko) 2016-01-04 2016-01-04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5474B2 (ko)
KR (1) KR102415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385A (ko) * 2022-01-18 2023-07-25 동원산업 주식회사 파킹레버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8857B2 (en) * 2016-11-30 2019-12-17 Bsh Hausgerae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IT201800005953A1 (it) * 2018-06-01 2019-12-01 Distributore automatico di prodotti
US10655903B2 (en) * 2018-09-20 2020-05-19 Ernest Walls, JR. Front opening freezer chest
US10914510B2 (en) 2018-10-22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mounting system
KR20210099904A (ko) * 2020-02-05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690450B2 (en) * 2020-08-27 2023-07-04 Cambro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shelving rack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6255769A (zh) * 2021-12-09 2023-06-1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20230375254A1 (en) * 2022-05-18 2023-11-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subcomponent mount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599A (en) * 1993-06-28 1994-11-0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f ladder fastener
KR0125945Y1 (ko) * 1996-03-25 1998-11-02 구자홍 냉장고의 전면커버 체결장치
KR20050080897A (ko) * 2004-02-11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본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32177A1 (en) * 2003-07-16 2006-10-19 Mutibras S.A. Electrodomesticos Mounting arrangement for the internal dividing means in refrigerators and freezers
KR20140009647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8219A (en) * 1967-01-13 1968-04-16 Illinois Tool Works Plastic fastener
US5893620A (en) * 1993-07-26 1999-04-13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shelf support system in common refrigerator liner
KR19980056962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다수개의 야채상자가 구비된 냉장고
US6971730B2 (en) * 2002-03-15 2005-12-06 Maytag Corporation Freezer drawer support assembly
DE10216769A1 (de) * 2002-04-15 2003-11-06 Schott Glas Konsole für Tragböden in Haushaltsgeräten
DE102004014464A1 (de) * 2004-03-24 2005-10-1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Befestig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Elementen an der Innenverkleidung von Kühl- und/oder Gefriergerä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Befestigungsanordnung
DE202004017125U1 (de) * 2004-11-05 2006-03-16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oder Gefriergerät
DE202005016883U1 (de) * 2005-07-19 2006-11-2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112007002764B4 (de) * 2007-01-22 2015-01-15 Lg Electronics Inc. Führungsschiene für einen Kühlschrank
MX2008005013A (es) * 2008-04-17 2009-10-19 Mabe Sa De Cv Viga soporte para cajones en gabinetes.
US9784494B2 (en) * 2014-10-27 2017-10-10 Whirlpool Corporation Universal fixing system for a range of modular refrigerator compon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599A (en) * 1993-06-28 1994-11-0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f ladder fastener
KR0125945Y1 (ko) * 1996-03-25 1998-11-02 구자홍 냉장고의 전면커버 체결장치
US20060232177A1 (en) * 2003-07-16 2006-10-19 Mutibras S.A. Electrodomesticos Mounting arrangement for the internal dividing means in refrigerators and freezers
KR20050080897A (ko) * 2004-02-11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본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9647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385A (ko) * 2022-01-18 2023-07-25 동원산업 주식회사 파킹레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15474B2 (en) 2019-02-26
KR102415750B1 (ko) 2022-07-01
US20170191742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487A (ko) 냉장고
KR101313552B1 (ko) 냉장고
EP3679834B1 (en) Refrigerator
EP2913609B1 (en) Refrigerator
EP273087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US9677807B2 (en) Refrigerator
US11692766B2 (en) Refrigerator
EP3190367B1 (en) Refrigerator
EP2650628A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537073A1 (en) Refrigerator
KR20080079106A (ko) 냉장고
US9506685B2 (en) Refrigerator
US20070228911A1 (en) Refrigerator
JP2018505378A (ja) 冷蔵庫
KR20170065775A (ko) 냉장고
KR20130045441A (ko) 냉장고
US20170292778A1 (en) Refrigerator and drawer assembly thereof
KR101659909B1 (ko)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KR20090133018A (ko)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US950515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refrigerator appliance
JP7117582B2 (ja) 宅配ボックス、ショーケース
JP6403475B2 (ja) 冷却貯蔵庫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RU277964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EP4317874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