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057A -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057A
KR20170081057A KR1020150191781A KR20150191781A KR20170081057A KR 20170081057 A KR20170081057 A KR 20170081057A KR 1020150191781 A KR1020150191781 A KR 1020150191781A KR 20150191781 A KR20150191781 A KR 20150191781A KR 20170081057 A KR20170081057 A KR 20170081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d portion
data pad
prob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834B1 (ko
Inventor
진인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20Sequence of activit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orrections, marking or sorting steps
    • H01L22/22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entities or redundant parts of a device in response to a measurement
    • H01L27/326
    • H01L27/3276
    • H01L2227/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데이터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브 배선들을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프로브 배선들의 일부가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배선들의 단선이나 단락 여부를 검사하는 프로브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어레이 기판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상측 패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 패드의 일부분이 뜯김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드간 미세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신뢰성 구동 테스트 시 라이트 딤(Light Dim)이나 다른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DATA PAD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AND FABRA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의 급격한 진보에 힘입어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이와 같은 새로운 전자 기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표시 장치의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표시 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칼라필터가 상부 유리기판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부 유리기판과 대향되는 하부 유리기판에는 편광판과 전극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적층된 상부 및 하부 유리기판 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액정이 봉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각 칼라 필터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가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칼라 필터 위에는 공통전극(Common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각 칼라필터에 대응되는 화소위치에 화소 전극들이 배열되어 있다. 화소전극의 행 배열 방향으로 게이트 라인(Gate line)이 형성되어 있고, 열 배열 방향으로는 데이터 라인(Data line)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전극의 일 측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되어 상기 각 화소전극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Source electrode)은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은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의 끝단에는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 패드부 및 데이터 패드부가 형성된다.
데이터 패드부에는 후속 프로브(Probe) 검사에서 니들(Needle)들이 접촉되어 테스트 신호가 인가된다. 즉, 표시 패널의 제작이 완료되면, 게이트 패드부와 데이터 패드부를 통해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여 화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통해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단선이나 단락 여부를 검사하는 프로브 검사가 실시된다.
그런데, 종래의 데이터 패드부는 실제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패드와 후속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프로브 패드가 구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표시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부는 데이터 구동 칩이 컨택(Contact)되기도 하고 또한 후속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테스트 패드로 사용된다.
후속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데이터 패드부는 블록(Block) 단위로 검사를 실시하므로, 데이터 패드부의 일부분이 뜯김으로 인해 패드 간에 미세한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제작 후, 신뢰성 구동 테스트 시 라이트 딤(Light Dim)이나 다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브 배선들을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프로브 배선들의 일부가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로브 배선들의 일부가 뜯기는 것을 방지하여 프로브 패드들 간의 미세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뢰성 구동 테스트 시 라이트 딤(Light Dim)이나 다른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구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브 배선들을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표시 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배선들의 단선이나 단락 여부를 검사하는 프로브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어레이 기판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측 패드부를 형성한다. 상측 패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면,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 패드의 일부분이 뜯김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드간 미세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제작 후, 신뢰성 구동 테스트 시 라이트 딤(Light Dim)이나 다른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레이 기판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를 교대로 형성함으로써 프로브 검사시 프로브 배선들의 일부가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프로브 배선들의 일부가 뜯기는 것을 방지하여 프로브 패드들 간의 미세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신뢰성 구동 테스트 시 라이트 딤(Light Dim)이나 다른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프로브 패드와 제2 프로브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구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5의 상측 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로브 패드의 일부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II-II'선을 따라 프로브 패드를 형성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III-III'선을 따라 프로브 패드를 형성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하측 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데이터 패드의 일부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IV-IV'선을 따라 데이터 패드를 형성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게이트 라인들(GL1 ~ GLg)과 데이터 라인들(DL1 ~ DLd)의 교차영역마다 픽셀(P)(110)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라인들(GL1 ~ GLg)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200), 표시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라인들(DL1 ~ DLd)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픽셀(P)(110)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픽셀(110)은 광을 출력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상부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하부기판으로 방출되는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는 제 1 전원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제2전원에 접속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되어 소정 휘도의 광을 출력한다.
또한, 구동부는 게이트 라인(GL)에 스캔펄스가 공급될 때,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 1 전원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라인(GL) 사이에 접속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을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샘플링한 후에 이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전송하고,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클럭과, 수평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신호(클럭과 신호들은 간단히 타이밍 신호라 함)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해서,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중 입력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패널에 맞게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처리부,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영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 신호들을 데이터 구동부(300) 또는 게이트 구동부(200)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게이트 라인에 상기 스캔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데이터라 인들로 출력시킨다.
여기서,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Source Shift Clock; 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소스 쉬프트 클럭(SSC)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래치하여, 데이터 전압으로 변경한 후, 소스 출력 인에이블(Source Output Enable; SOE) 신호에 응답하여 수평 라인 단위로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쉬프트 레지스터부, 래치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출력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쉬프트 레지스터부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여 샘플링 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 래치부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래치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로 동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는 래치부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 데이터들을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들을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로 출력한다.
출력버퍼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 전압을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송되어온 소스출력 인에이블신호(SOE)에 따라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DL)들로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00)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g)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캔펄스가 입력되는 해당 수평라인의 각각의 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되어, 각 픽셀(110)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표시 패널(100)과 독립되게 형성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표시 패널(100) 내에 실장되어 있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GIP)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로는 스타트 신호(VST) 및 게이트 클럭(GCLK)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3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타이밍 컨트롤러(400)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데이터 드라이버(300)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2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타이밍 컨트롤러(40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어레이 기판(50)과 컬러필터가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표시 패널(100)에 데이터 드라이버(300)이 부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회로는 각 화소를 구동하도록 표시 패널(100)에 종횡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입력해주는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이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컴퓨터와 같이 외부로부터 화상 정보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400) 등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150)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판의 주변부에는 인출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통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각각의 배선에는 다수의 패드(Pad)가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패드에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연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최근에는 주로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기술을 사용한다. COF는 게이트 드라이버(200) 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탑재하여 접속하는 방식이며, 고밀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게이트 COF(130) 및 데이터 COF(140)가 어레이 기판(50)에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COF(14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 접어서 올려져 있고, 데이터 COF(140)와 부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5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올려져 있다. 여기서, 게이트 COF(130)의 후면에는 게이트 드라이버(200)가 부착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50)의 후면은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상측 패드부(122)와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하측 패드부(124)를 포함한다. 상측 패드부(122)에는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프로브 패드들이 형성되고, 하측 패드부(124)에는 실제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c을 참조하여 상측 패드부(124)와 하측 패드부(124)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상측 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프로브 패드의 일부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및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기판(50)은 각각의 화소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극에 연결되어 수직 교차되는 게이트 배선(112) 및 데이터 배선(114)과, 게이트 드라이버(200) (132)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부터 출력된 신호를 각 게이트 배선(112) 및 데이터 배선(114)에 인가하도록 연결하는 각각의 게이트 패드부(112_1) 및 상측 패드부(122)를 포함한다.
상측 패드부(122)는 각각의 데이터 배선(114)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레이 기판(50)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일정하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측 패드부(122)는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122_1, 122_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122_1, 122_2)는 제1 및 제2 데이터 배선(114_1, 114_2)의 끝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의 폭은 프로브 검사 장비의 니들(Needle)들의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프로브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 패드의 일부분이 뜯김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드간 미세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제작 후, 신뢰성 구동 테스트 시 라이트 딤(Light Dim)이나 다른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브 패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단위 화소의 개수에 따라 프로브 패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화소의 개수가 RWBG인 경우에는 4개의 프로브 패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II-II'선을 따라 프로브 패드를 형성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50) 상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절연막(30) 및 액티브층(36)을 형성한다. 그 다음, 액티브층(36) 상에 상측 패드부(122)와 보호막(48)을 형성한다. 이때, 상측 패드부(122)는 데이터 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대형화 및 고해상도화 됨에 따라 데이터 배선의 선폭이 미세해져 저항이 증가되고, 데이터 배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비저항이 작은 Mo 재질의 도전 물질을 데이터 배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막(30), 액티브층(36) 및 상측 패드부(12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막(48)은 BCB 등의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30)이 노출되도록 보호막(48), 상측 패드부(122) 및 액티브층(36)을 차례로 식각하여 제1 패드 콘택홀(PC11', PC12')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식각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2)과 화소 전극(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 콘택홀(16) 형성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막(48)의 재질에 따라 건식 식각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결과물 상에 투명도전 패턴(24)을 패터닝하여 상측 패드부(122)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패드 콘택(PC11, PC12)들을 형성한다. 이때, 투명도전 패턴(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4) 패터닝 공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측 패드부(122)에는 후속 프로브(Probe) 검사에서 니들(Needle)들이 접촉되어 테스트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제작이 완료되면, 게이트 패드부와 상측 패드부(122)를 통해 게이트 배선들과 데이터 배선들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여 화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통해 게이트 배선들과 데이터 배선들의 단선이나 단락 여부를 검사하는 프로브 검사가 실시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III-III'선을 따라 프로브 패드를 형성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50) 상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절연막(30) 및 액티브층(36)을 형성한다. 그 다음, 액티브층(36) 상에 상측 패드부(122)와 보호막(48)을 형성한다. 이때, 상측 패드부(122)는 데이터 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저항이 작은 Mo 재질의 도전 물질을 데이터 배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막(30), 액티브층(36) 및 상측 패드부(12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막(48)은 BCB 등의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패드부(122)의 제1 프로브 패드(122_1)의 상부가 보호막(48)의 의해 가려지게 되어 제1 프로브 패드(122_1)와 제2 프로브 패드(122_2)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30)이 노출되도록 보호막(48), 상측 패드부(122) 및 액티브층(36)을 차례로 식각하여 제2 패드 콘택홀(PC')을 형성한다. 여기서, 식각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2)과 화소 전극(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 콘택홀(16) 형성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막(48)의 재질에 따라 건식 식각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결과물 상에 투명도전 패턴(24)을 패터닝하여 상측 패드부(122)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패드 콘택(PC)을 형성한다. 이때, 투명도전 패턴(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4) 패터닝 공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는 도 3의 하측 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데이터 패드의 일부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50)은 각각의 화소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극에 연결되어 수직 교차되는 게이트 배선(112) 및 데이터 배선(114)과,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부터 출력된 신호를 각 게이트 배선(112) 및 데이터 배선(114)에 인가하도록 연결하는 각각의 게이트 패드부(112_1) 및 하측 패드부(124)를 포함한다.
하측 패드부(124)는 각각의 데이터 배선(114)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레이 기판(50)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일정하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측 패드부(124)는 실제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데이터 패드(124_1, 124_2, 124_3, 124_4, 124_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 데이터 패드(124_1, 124_2, 124_3, 124_4, 124_5)는 제1 내지 제5 데이터 배선(114_1, 114_2, 114_3, 114_4, 114_5)의 끝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 데이터 패드(124_1, 124_2, 124_3, 124_4, 124_5)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측 패드부(122)와 하측 패드부(124)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IV-IV'선을 따라 데이터 패드를 형성하는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을 참조하면, 어레이 기판(50) 상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절연막(30) 및 액티브층(36)을 형성한다. 그 다음, 액티브층(36) 상에 하측 패드부(124)와 보호막(48)을 형성한다. 이때, 하측 패드부(124)는 상측 패드부(122) 및 데이터 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저항이 작은 Mo 재질의 도전 물질을 데이터 배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막(30), 액티브층(36) 및 하측 패드부(124)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막(48)은 BCB 등의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30)이 노출되도록 보호막(48), 하측 패드부(124) 및 액티브층(36)을 차례로 식각하여 제3 패드 콘택홀(PC21', PC22', PC23', PC24', PC25')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식각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2)과 화소 전극(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드레인 콘택홀(16) 형성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막(48)의 재질에 따라 건식 식각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결과물 상에 투명도전 패턴(24)을 패터닝하여 하측 패드부(124)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3 패드 콘택(PC21, PC22, PC23, PC24, PC25)들을 형성한다. 이때, 투명도전 패턴(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4) 패터닝 공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작이 완료되면, 게이트 패드부와 하측 패드부(124)를 통해 게이트 배선들과 데이터 배선들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여 화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통해 게이트 배선들과 데이터 배선들의 단선이나 단락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어레이 기판과 이에 대향하여 합착되는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액정이 충진된 액정층으로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3)

  1. 어레이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 상에 형성되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끝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테스트 신호가 각각 인가되는 제1 데이터 패드부;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의 타측 끝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 신호가 각각 인가되는 제2 데이터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는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단위 화소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의 폭은 프로브 검사 장비의 니들(Needle)들의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드부에는 동일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10.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배선 및 상기 각 게이트 배선과 상기 각 데이터 배선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끝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테스트 신호가 각각 인가되는 제1 데이터 패드부,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의 타측 끝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 신호가 각각 인가되는 제2 데이터 패드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는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단위 화소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의 폭은 프로브 검사 장비의 니들(Needle)들의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표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드부에는 동일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표시 장치.
  19. 어레이 기판 상의 데이터 패드부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 액비티브층,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부 및 보호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 데이터 패드부, 액티브층을 차례로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패드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포함한 결과물 상에 투명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도전 패턴을 패터닝하여 패드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데이터 패드부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2 데이터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상기 기판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는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 패드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KR1020150191781A 2015-12-31 2015-12-31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KR10245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81A KR102452834B1 (ko) 2015-12-31 2015-12-31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81A KR102452834B1 (ko) 2015-12-31 2015-12-31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057A true KR20170081057A (ko) 2017-07-11
KR102452834B1 KR102452834B1 (ko) 2022-10-11

Family

ID=5935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781A KR102452834B1 (ko) 2015-12-31 2015-12-31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5675B2 (en) 2018-01-19 2020-09-1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092639B2 (en) 2019-05-16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US11908358B2 (en) 2020-05-04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Gate test pa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296A (ja) * 1994-08-05 1996-02-20 Casio Comput Co Ltd 配線パターン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20080049216A (ko) * 2006-11-30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296A (ja) * 1994-08-05 1996-02-20 Casio Comput Co Ltd 配線パターン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20080049216A (ko) * 2006-11-30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5675B2 (en) 2018-01-19 2020-09-1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092639B2 (en) 2019-05-16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US11908358B2 (en) 2020-05-04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Gate test pa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834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42201B (zh) 一种内嵌式触控显示装置的测试方法
US20190064256A1 (en) Test circuit,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2750397B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20170188427A1 (en) Two-terminal store-and-control circuit
KR100360157B1 (ko) 어레이기판 및 어레이기판의 검사방법
US20220231055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87868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0976848B2 (en)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sensor
CN111584587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拼接屏
CN103279217A (zh)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12684945B (zh) 显示面板、触控测试方法及电子设备
US20210125552A1 (en) Method for driving display with pxel units in one group arranged in a slanted formation
US20200090567A1 (en) Test method of in-cell touch display device
KR100384214B1 (ko) 평면표시장치, 표시제어장치 및 표시제어방법
KR20050045570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80088387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455584B1 (ko) Oled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oled 표시 장치
KR102452834B1 (ko) 표시 패널의 데이터 패드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패널의 데이터 패드부 제조방법
JP2005182047A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
KR20060117146A (ko) 액정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12732107B (zh) 触摸显示装置
JP4058695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0950193B2 (en)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sensor
CN108594552B (zh) 显示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8002235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