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153A -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153A
KR20170078153A KR1020150188380A KR20150188380A KR20170078153A KR 20170078153 A KR20170078153 A KR 20170078153A KR 1020150188380 A KR1020150188380 A KR 1020150188380A KR 20150188380 A KR20150188380 A KR 20150188380A KR 20170078153 A KR20170078153 A KR 2017007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ilicone rubber
electric field
rubber sleeve
lubric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310B1 (ko
Inventor
남석현
최진욱
김원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3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3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3/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3/06Perfluoro polymers
    • C10M2213/0606Perfluoro polymer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4Metal deactiv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8Anti-foaming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2Wires, ropes or cables lubricants
    • C10N2240/5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중간접속함 및/또는 종단접속함 내부에 배치되는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 내벽면 및/또는 접속되는 케이블의 절연층 위에 도포되어 상기 전계완화콘과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절연층 위에서의 상기 전계완화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계완화콘에 대한 흡수가 억제되어 케이블의 접속시공시 및 케이블의 운용시 장기간 동안 윤활 작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윤활 조성물, 상기 윤활 조성물이 적용된 케이블 접속함 및 상기 윤활 조성물을 이용한 케이블의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Lubricant composition for cable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중간접속함 및/또는 종단접속함 내부에 배치되는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 내벽면 및/또는 접속되는 케이블의 절연층 위에 도포되어 상기 전계완화콘과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절연층 위에서의 상기 전계완화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계완화콘에 대한 흡수가 억제되어 케이블의 접속시공시 및 케이블의 운용시 장기간 동안 윤활 작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윤활 조성물, 상기 윤활 조성물이 내벽면에 도포된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완화콘 및 상기 전계완화콘을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m 또는 수십km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가공선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은 케이블 종단접속함에 관한 하나의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케이블 종단접속함(4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종단접속함(400)은 애관(410)을 구비한다. 상기 애관(4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접속되는 전력케이블(100)이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상기 애관(410)은 이의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 절연유 등에 의해 상기 전력케이블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경질자기 또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되어 절연층(14)이 노출된 상태로 애관(410) 내부로 삽입되고, 애관(410)의 단부에서 도체만이 노출 및 돌출되어 가공선(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렇게 제거되지 않은 외부반도전층(16)이 소정길이만큼 애관(4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전력케이블(100)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되어 상기 외부반도전층(16) 및 상기 절연층(14)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46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중간접속함도 역시 서로 접속되기 위해 상기 중간접속함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들의 외부반도전층이 일부 제거되어 상기 외부반도전층 단부에 집중되는 전계를 완화하기 위한 전계완화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일 수 있고, 이러한 전계완화콘은 접속되는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전에 하나의 케이블의 절연층 위로 삽입된 후 케이블을 연결하고 케이블의 연결부 위로 다시 이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절연층 위에서의 상기 전계완화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상기 절연층 위 및/또는 상기 전계완화콘 내벽면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윤활제는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에 흡수되어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이동을 곤란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프리몰드형 중간접속함(premolded joint; PMJ) 같이 케이블의 연결작업 시간이 긴 경우 더욱 심각하다. 한편, 종래 윤활제의 흡수를 고려하여 다량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경우 윤활제 뭉침 현상으로 오히려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전계 완화 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운용시 발열 또는 냉각에 의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상기 절연층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의 팽창 또는 수축이 방해되어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상기 절연층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는 등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전계 완화 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윤활제는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층 표면 조도에 전기적으로 민감하여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계완화콘에 대한 흡수가 억제되어 케이블의 접속시공시 및 케이블의 운용시 장기간 동안 윤활 작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윤활 조성물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에 구비된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에 대한 흡수가 억제되어 케이블의 접속시공시 및 케이블의 운용시 장기간 동안 윤활 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윤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에 구비된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계 완화 작용을 저하시키지 않는 윤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윤활 조성물이 내벽면에 도포된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완화콘 및 상기 전계완화콘을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로서, 불소계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에서 외경이 116 mm인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층 표면, 내경이 90 mm인 실리콘 고무 슬리브 내벽면 또는 이들 모두에 상기 윤활 조성물이 도포된 상태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일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요구되는 삽입력(a)을 기준으로, 삽입되고 2시간 경과 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타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요구되는 삽입력(b)이 1.3*삽입력(a) 이하인,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불소계 수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FPE),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PFAE), 퍼플루오로폴리알킬에테르(PFPAE),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는 비중이 1.5 내지 2.5, 융점(Tm)이 300 내지 400 ℃, 유리전이온도(Tg)가 -70 내지 -20 ℃, 40 ℃에서의 동점도는 200 내지 700 ㎟/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극압 첨가제, 내마모 첨가제, 마찰감소 첨가제, 소포제, 친발포제, 금속불활성제, 제산제, 안정화제 및 수분제거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고무 소재의 슬리브 형상을 갖고, 상기 슬리브 내벽면에 상기 윤활 조성물이 도포된,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완화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윤활 조성물은 상기 슬리브 내벽면의 표면적에 대해 0.5×10-4 내지 3.0 g/㎟의 함량으로 상기 슬리브 내벽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완화콘을 제공한다.
한편, 케이블 접속부에 제5항의 전계완화콘이 배치된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특정한 구성성분 및 물성의 조절을 통해 케이블 접속함에 구비된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에 대한 흡수가 억제되어 케이블의 접속시공시 및 케이블의 운용시 장기간 동안 윤활 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케이블 접속함에 구비된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계 완화 작용을 저하시키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케이블 종단접속함에 관한 하나의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불소계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FPE),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PFAE), 퍼플루오로폴리알킬에테르(PFPAE),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FP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탄소, 산소 및 불소 원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산소 원자와 불소 원자가 매우 강하게 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고, 특히 비반응성 불소 원자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층에 의해 우수한 윤활 특성을 갖고, 이러한 윤활 특성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실리콘 고무 등에 흡수되는 것이 억제되며 미량 흡수되어도 실리콘 고무와의 반응에 의해 상기 실리콘 고무의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는 비중이 1.5 내지 2.5, 융점(Tm)이 300 내지 400 ℃, 유리전이온도(Tg)가 -70 내지 -20 ℃, 40 ℃에서의 동점도는 200 내지 700 ㎟/s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극압 첨가제, 내마모 첨가제, 마찰감소 첨가제, 소포제, 친발포제, 금속불활성제, 제산제, 안정화제, 수분제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2,6-디-t-부틸-4-메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등과 같은 페놀계 산화방지제, p,p-디옥틸페닐아민, 모노옥틸디페닐아민, 페노티아진, 3,7-디옥틸페노티아진, 페닐-1-나프틸아민, 페닐-2-나프틸아민, 알킬페닐-1-나프틸아민, 알킬페닐-2-나프틸아민 등과 같은 아민계 산화방지제, 알킬디설파이드, 티오디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벤조티아졸 등과 같은 황함유 산화방지제, 아연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 아연 디아릴 디티오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인산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압 첨가제, 내마모 첨가제 및 마찰감소 첨가제는 예를 들어 아연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 아연 디아릴 디티오포스페이트 등의 아연 화합물; 티오디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디알킬 설파이드, 디벤질 설파이드, 디알킬 폴리설파이드, 알킬메르캅탄, 디벤조티오펜,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 등의 황 화합물; 디알킬디메르캅토티아디아졸, 메틸렌비스(N,N-디알킬디티오카르바메이트) 등의 황/질소 애쉬리스(ashless) 내마모 첨가제;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등의 인 화합물; 디알킬 또는 디아릴 포스페이트; 트리알킬 또는 트리아릴 포스파이트; 디메틸포스포릭산 에스테르의 도데실아민염 등의 알킬 및 디알킬포스포릭산 에스테르의 아민염; 디알킬 또는 디아릴 포스파이트, 모노알킬 또는 모노아릴 포스파이트; 퍼플루오로알킬 폴리에테르,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중합체, 그라파이트 플루오라이드 등의 불소 화합물; 지방산-개질된 실리콘 등의 규소 화합물; 몰리브데늄 디설파이드,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마찰 개질제의 예는 장쇄 지방 아민, 글리세롤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 및 친발포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디에틸 실리케이트 등의 유기실리케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불활성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 톨릴트리아졸, 알리자린, 퀴니자린, 메르캅토벤조티아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산제 및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알킬글리시딜 에스테르, 에폭시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에폭시화된 식물유 등의 에폭시 화합물, 유기주석 화합물, 붕소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오르토포메이트, 트리에틸오르토포메이트 등의 트리알킬오르토포메이트, 1,3-디옥사시클로펜탄 등의 케탈, 2,2-디알킬옥사졸리딘 등의 아미노 케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상기 케이블에서 외경이 116 mm인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층 표면 및/또는 내경이 90 mm인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내벽면에 상기 윤활 조성물이 도포된 상태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일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요구되는 삽입력(a)을 기준으로, 삽입되고 2시간 경과 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타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요구되는 삽입력(b)이 1.3*삽입력(a) 이하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케이블 접속함에 구비된 실리콘 고무 슬리브 등의 전계완화콘에 대한 흡수가 억제되어 케이블의 접속시공시, 특히 중간접속함(PMJ)에서와 같이 접속시공이 장시간 소요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윤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케이블의 운용시 발열 또는 냉각에 의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시에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케이블의 절연층과의 마찰을 충분히 저감시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용이하게 수축/팽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상기 절연층 사이의 계면에서의 밀착력이 보장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상기 전계완화콘에 미량으로 흡수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계 완화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내벽면에 상기 윤활 조성물이 도포된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안화콘 및 상기 전계완화콘이 케이블 접속부에 구비된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계완화콘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슬리브일 수 있고, 접속되는 케이블의 규격에 따라 상이한 내경, 외경 및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으로서 고무 슬리브는 예를 들어 접속되는 케이블이 345kV급 2500SQ 케이블인 경우 내경이 80 내지 100 mm, 외경이 110 내지 130 mm, 길이가 500 내지 700 mm일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으로서 고무 슬리브의 내벽면에 도포된 상기 윤활 조성물은 상기 슬리브 내벽면의 표면적에 대해 0.5×10-4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1.0×10-4 내지 3.0 g/㎟의 함량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포된 윤활 조성물의 함량이 0.5×10-4 g/㎟ 미만인 경우 윤활 특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3.0 g/㎟ 초과인 경우 상기 윤활 조성물의 뭉침 현상에 의해 오히려 상기 전계완화콘의 전계 완화 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
1. 삽입력 평가
345kV급 2500SQ 가교 폴리에틸렌(XLPE) 케이블에서 절연층이 노출되도록 외부반도전층까지 탈피하여 케이블 시편을 준비하고, 상기 시편의 절연층 위에 윤활제를 충분히 도포한 후, 내경이 90 mm인 실리콘 고무 슬리브를 상기 시편의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시편 일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고 2시간 경과 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를 상기 케이블 시편 타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할 때 필요한 삽입력을 측정했다. 상기 삽입력의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1 비교예 1
윤활제 윤활제 1 윤활제 2
2시간 후 삽입력(kgf) 1078 1477
- 윤활제 1 : PFPE(perfluoropolyether)계 윤활제
- 윤활제 2 : 실리콘계 윤활제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 불소계 윤활제가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에 흡수되는 것이 억제되어 상기 윤활제 도포 후 2시간이 경과해도 충분한 윤활 특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2시간 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삽입력이 충분히 낮은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종래 실리콘계 윤활제가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에 다량 흡수되어 2시간 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삽입력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연면파괴 평가
연면방전은 케이블의 절연층과 실리콘 고무 슬리브 사이의 계면을 따라 발생하는 방전을 의미하고, 이러한 연면방전이 발생하는 시점의 전압을 연면파괴전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두께가 4 mm이고 외경이 34 mm인 가교 폴리에틸렌(XLPE) 고리형 시편의 표면에 윤활제를 충분히 도포하고 상기 시편을 대응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상기 전극들과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조립 시료를 제작한 후, 내경이 28 mm 또는 30 mm인 실리콘 고무 슬리브를 상기 시편이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중앙에 오도록 상기 시료 위에 삽입하였다.
이렇게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삽입된 조립 시료를 10개 제작하고, 한 쌍의 전극에 각각 고전압 인가선과 접지선을 연결한 후 상기 시료를 오일에 함침시켰다. 전극 내부의 기포가 빠져나올 때까지 충분히 기다린 후 전압을 500V/s의 속도로 파괴시까지 인가하고, 파괴시 전계를 측정하여 10개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상기 파괴전계의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윤활제 윤활제 1 윤활제 1 윤활제 2 윤활제 2
실리콘 고무 슬리브 내경(mm) 28 30 28 30
파괴전계 평균(kV/mm) 14.6 15.5 13.7 11.8
- 윤활제 1 : PFPE(perfluoropolyether)계 윤활제
- 윤활제 2 : 실리콘계 윤활제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3의 경우 불소계 윤활제가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에 흡수되는 것이 억제되고 최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불소계 윤활제는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XLPE) 시편 사이에 충분히 잔존하여 충분한 윤활 특성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시료의 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른 발열에 의해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XLPE) 시편 사이의 충분한 밀착을 확보할 수 있어 이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파괴전계 및 파괴전압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종래 실리콘계 윤활제가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에 다량 흡수되기 때문에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XLPE) 시편 사이에 충분한 양으로 잔존하지 않아 윤활 특성이 불충분함으로써 상기 시료의 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른 발열에 의해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팽창하는 경우에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와 가교 폴리에틸렌(XLPE) 시편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이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등에 의해 파괴전계 및 파괴전압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전력케이블 400 : 케이블 종단접속함

Claims (7)

  1.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로서,
    불소계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에서 외경이 116 mm인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층 표면, 내경이 90 mm인 실리콘 고무 슬리브 내벽면 또는 이들 모두에 상기 윤활 조성물이 도포된 상태로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일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요구되는 삽입력(a)을 기준으로, 삽입되고 2시간 경과 후 상기 실리콘 고무 슬리브가 상기 절연층 위에서 상기 케이블 타단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때 요구되는 삽입력(b)이 1.3*삽입력(a) 이하인,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FPE),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PFAE), 퍼플루오로폴리알킬에테르(PFPAE),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는 비중이 1.5 내지 2.5, 융점(Tm)이 300 내지 400 ℃, 유리전이온도(Tg)가 -70 내지 -20 ℃, 40 ℃에서의 동점도는 200 내지 700 ㎟/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극압 첨가제, 내마모 첨가제, 마찰감소 첨가제, 소포제, 친발포제, 금속불활성제, 제산제, 안정화제 및 수분제거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5. 고무 소재의 슬리브 형상을 갖고,
    상기 슬리브 내벽면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윤활 조성물이 도포된,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완화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조성물은 상기 슬리브 내벽면의 표면적에 대해 0.5×10-4 내지 3.0 g/㎟의 함량으로 상기 슬리브 내벽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용 전계완화콘.
  7. 케이블 접속부에 제5항의 전계완화콘이 배치된 케이블 접속함.
KR1020150188380A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KR10249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80A KR102495310B1 (ko)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80A KR102495310B1 (ko)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53A true KR20170078153A (ko) 2017-07-07
KR102495310B1 KR102495310B1 (ko) 2023-02-01

Family

ID=5935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380A KR102495310B1 (ko) 2015-12-29 2015-12-29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3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5094A (ja) * 2011-06-09 2012-12-27 Cosmo Oil Lubricants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用グリース組成物
KR20130090323A (ko) * 2010-06-07 2013-08-13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종단 접속부
JP5484855B2 (ja) * 2009-10-08 2014-05-07 株式会社ビスキャス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
KR20150106639A (ko) * 2014-03-12 2015-09-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4855B2 (ja) * 2009-10-08 2014-05-07 株式会社ビスキャス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
KR20130090323A (ko) * 2010-06-07 2013-08-13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케이블 종단 접속부
JP2012255094A (ja) * 2011-06-09 2012-12-27 Cosmo Oil Lubricants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用グリース組成物
KR20150106639A (ko) * 2014-03-12 2015-09-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310B1 (ko)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7618B2 (en) Method of using ionic liquids to improve the lubrication of chains, steel belts, wheel bearings, roller bearings, and electric motors
JP5321587B2 (ja) 導電性グリース
JPWO2007052522A1 (ja) グリース組成物
US20120276755A1 (en) Grease for Electrical Contact and Slide Electricity Structure, Power Switch, Vacuum Circuit Breaker, Vacuum-Insulated Switchgear, and Vacuum-Insulated Switchgear Assembling Method
BRPI0913418B1 (pt) Lubricant composition based on natural and renewable raw materials
WO2007010845A1 (ja) 含油軸受用潤滑剤
JP5948414B2 (ja) 遺伝子操作された微生物油誘電性流体
JPWO2017094602A1 (ja) 潤滑剤組成物
KR20220032057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숙신이미드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BR112013005641A2 (pt) fluído dielétrico dispositivo elétrico e processo
KR20170078153A (ko) 케이블 접속함용 윤활 조성물
Das et al. Cable joint installation time optimization
JP6312116B2 (ja) 潤滑剤組成物
KR101948320B1 (ko) 그리스 조성물 및 베어링
JP2006008818A (ja) 潤滑グリース組成物
US6816655B2 (en) Copper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improved filling material
US20220372392A1 (en) Use of a sterically hindered aromatic amine or phenol compound as an anti-corrosion additive in a lubricant composition for a propulsion system of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KR20220032564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의 부식방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트리아졸 화합물의 용도
SE529631C2 (sv) Silikongummi med förbättrad hydrofob stabilitet
US8729392B2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material with enhanced fluid immersion and water absorption capabilities
Zierhut et al. Influence of expansion o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stress cones for high voltage cable accessories
CN106604981B (zh) 用于改善热氧化稳定性和颜色稳定性的润滑剂组合物
KR20220047253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에서의 비부식성 극압 및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인 화합물의 용도
JP2008094955A (ja) ゴムモールド材料及びゴムモールド品
JPWO2009066518A1 (ja) 電気絶縁油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