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090A -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090A
KR20170078090A KR1020150188248A KR20150188248A KR20170078090A KR 20170078090 A KR20170078090 A KR 20170078090A KR 1020150188248 A KR1020150188248 A KR 1020150188248A KR 20150188248 A KR20150188248 A KR 20150188248A KR 20170078090 A KR20170078090 A KR 20170078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logram
pattern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정명관
조진호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090A/ko
Publication of KR2017007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2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F21S48/23
    • F21S48/232
    • F21S48/23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65Particular recording light; Beam shape or geometry
    • F21W2101/12
    • F21W2101/1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조사된 광을 투과시켜 기록된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 및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에서 투과된 광을 입사 받아 일정 형태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 패턴 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Automotive hologram image producing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후미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하게 된다.
최근에는 램프 모듈이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한편,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온 기술인 만큼, 이를 통해서는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갖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의 보다 뚜렷한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14916호 (2010.10.2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조사된 광을 투과시켜 기록된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 및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에서 투과된 광을 입사 받아 일정 형태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 패턴 형성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17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재생 매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는 도 25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재생 매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도 28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재생 매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1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1)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벌브타입 광원 등 홀로그램 재생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임의의 광원 중 하나일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는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12)는 참조광(reference beam)과 물체광(object beam)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된 간섭 무늬를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할 수 있다. 홀로그램은 광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홀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참조광 및 물체광으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간섭 무늬를 기록하여야 한다.
참조광은 어떠한 광원에 의한 광 중 홀로그램 저장매체(12)로 직접 비추어진 광을 의미하고, 물체광은 해당 광원에 의한 광 중 물체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의미한다.
참조광 및 물체광 모두가 홀로그램 저장매체(12)로 비추어짐으로써 간섭 무늬가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기록되는 것으로서, 참조광 및 물체광의 간섭에 의하여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는 무늬가 형성되고, 이것이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홀로그램 정보를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기록하는데 이용된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파장 및 위상을 갖는 광을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비추게 되면 홀로그램이 재생된다. 이에, 본 발명의 광원(11)에 의한 광의 파장 및 위상은 각각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대한 참조광의 방향 및 각도가 동일하게 구현되도록 광원(11)의 위치 및 후술하는 반사판의 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향하는 참조광의 방향 및 각도는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향하는 광원(11)의 광(이하, 재생광이라 한다)이 조사되는 방향 및 각도와 동일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물체와 홀로그램의 위치에 대한 동기화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즉, 참조광 및 재생광 각각에 의한 방향 및 각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기준으로 물체가 있었던 위치에 홀로그램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저장매체(12)는 필름과 같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투과형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도시하고 있다. 광원(11)의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투과함에 따라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2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2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2)의 기능은 전술한 광원(1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12)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2는 반사형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22)를 도시하고 있다. 광원(21)의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에 의하여 반사됨에 따라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는 투과형 홀로그램(H) 또는 반사형 홀로그램(H)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에 의한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투과함으로써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에 의한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에 반사됨으로써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는 것이다.
투과형 홀로그램(H)의 형성을 위하여 투과형 홀로그램(H)을 위한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의 영역은 일정 크기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반사형 홀로그램(H)의 형성을 위하여 반사형 홀로그램(H)을 위한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된 홀로그램 저장매체(22)의 영역은 일정 크기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11, 21)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올바른 홀로그램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원(11, 21)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간의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광원(11, 21)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간의 직접적인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이 광원(11, 21)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데, 이에 광원(11, 21)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간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과 같은 고유한 광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를 구비한 차량은 예를 들어, 후미등의 광 패턴과 함께 홀로그램을 형성하거나 방향 지시등의 광 패턴과 함께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후미등의 광 패턴, 방향 지시등의 광 패턴 및 홀로그램은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에, 관찰자는 후미등의 광 패턴과 홀로그램을 동시에 관찰하거나 방향 지시등의 광 패턴과 홀로그램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기존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의 하우징 내부에는 고유한 광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는 광원, 리플렉터 및 렌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광 패턴의 형성을 위한 각종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하우징 내에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를 포함시키는 경우 기존 부품들과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기존 부품들과의 간섭을 완화하면서 기존 램프의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고유한 광 패턴을 형성하면서 홀로그램 이미지까지 구현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110), 홀로그램 형성부(120) 및 광 패턴 형성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10)은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원(110)의 기능은 전술한 광원(11)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110)은 홀로그램의 형성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일정 형태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광원(110), 홀로그램 형성부(120) 및 광 패턴 형성부(130)가 예를 들어,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광원(110)의 광은 미등, 브레이크등, 방향 지시등, 후진등 및 사용자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변형부(140)가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에 포함된 경우 광 변형부(140)도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선택 정보는 후미등 및 방향 지시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별도의 광 패턴으로서, 예를 들어 후미등과 방향 지시등의 연동 동작에 의한 광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미등, 브레이크등, 방향 지시등, 후진등 또는 사용자 선택 정보 의 광 패턴과 같이 특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광 패턴을 정보제공용 광 패턴이라 한다.
이와 같이, 광원(110)의 광은 홀로그램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즉, 광원(110)의 광 중 일부는 홀로그램의 형성에 이용되고, 다른 일부는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하,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 중 홀로그램의 형성에 이용되는 광을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이라 하고,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 중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는 광을 광 패턴용 부분광(Lp)이라 한다.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입사 받아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투과형 홀로그램을 형성하거나, 반사형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홀로그램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는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된 간섭 무늬를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의 파장 및 위상은 각각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한편,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이 참조광에 대응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광은 평행광임에 반하여, 광원(110)에서 조사된 광은 평행광이 아닐 수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변형시키는 광 변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변형부(140)는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홀로그램 형성부(120)로 조사할 수 있다.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이 직접 홀로그램 형성부(120)로 조사된 경우 홀로그램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으나, 광 변형부(140)에 의하여 변환된 광이 홀로그램 형성부(120)로 조사됨에 따라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광 변형부(140)는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변환하여 참조광과 유사한 속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변형부(140)는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의 파장 및 위상이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하게 되도록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변환할 수 있다.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가이드하는 반사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의 위치에 따라 광원(110)의 직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전달되는 경우 반사판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광원(110)의 직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 광원(110)의 광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가이드하는 반사판이 홀로그램 형성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광 패턴 형성부(130)는 광 패턴용 부분광(Lp)을 투과시켜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광 패턴 형성부(130)는 미등, 브레이크등, 방향 지시등, 후진등 및 사용자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 패턴 형성부(130)는 광 가이드(light guide)를 포함한다. 즉, 광 패턴 형성부(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광체일 수 있다. 도광체인 광 패턴 형성부(130)를 통하여 광 패턴용 부분광(Lp)이 투과함에 따라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광 패턴 형성부(130)의 형태로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광 패턴 형성부(130)는 색상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광 패턴용 부분광(Lp)이 투과함에 따라 특정 색상의 광이 관찰자에게 인식될 수도 있다.
또한, 광 패턴 형성부(130)는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렌즈의 형태에 따라 광이 집중되거나 분산되어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0)이 광(Lh, Lp)을 조사함에 따라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이 홀로그램 형성부(120)를 투과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광 패턴용 부분광(Lp)이 광 패턴 형성부(130)를 투과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110)의 직광이 홀로그램 형성부(120) 및 광 패턴 형성부(130)에 각각 전달되기 때문에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홀로그램 저장매체만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반사판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0)이 광(Lh, Lp)을 조사함에 따라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이 홀로그램 형성부(120)를 투과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광 패턴용 부분광(Lp)이 광 패턴 형성부(130)를 투과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이 직접 홀로그램 저장매체(121)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반사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1)의 사이에 장애물(미도시)이 존재하거나 광원(110)의 광 조사 범위에 홀로그램 저장매체(121)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반사판(1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용 부분광(Lh)이 홀로그램 형성부(120)에서 반사됨에 따라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광 패턴용 부분광(Lp)이 광 패턴 형성부(130)를 투과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홀로그램(H)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형성부(120)는 반사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110)에서 조사된 직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121) 및 광 패턴 형성부(130)에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반사판(122)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하나의 광원(110)만을 이용하여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110)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하우징에 홀로그램 형성부(120)를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210), 홀로그램 저장매체(220) 및 광 패턴 형성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210)은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원(210)의 기능은 전술한 광원(11)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210)은 홀로그램의 형성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광원(210), 홀로그램 저장매체(220) 및 광 패턴 형성부(230)가 예를 들어,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광원(210)의 광은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변형부(240)가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에 포함된 경우 광 변형부(240)도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210)의 광은 홀로그램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즉, 광원(210)의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하면서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한 광이 광 패턴 형성부(230)로 전달되어 정보제공용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는 광원(210)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켜 기록된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는 전술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광원(210)에서 조사된 광이 참조광에 대응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광은 평행광임에 반하여, 광원(210)에서 조사된 광은 평행광이 아닐 수 있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210)의 광을 변형시키는 광 변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변형부(240)의 기능은 전술한 광 변형부(140)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210)의 광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로 가이드하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10)의 위치에 따라 광원(210)의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광원(210)의 광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로 가이드하는 반사판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에 구비될 수 있다.
광 패턴 형성부(230)는 홀로그램 저장매체(220)에서 투과된 광을 입사 받아 일정 형태의 광 패턴 즉,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광 패턴 형성부(230)는 미등, 브레이크등, 방향 지시등, 후진등 및 사용자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본 발명에서 광 패턴 형성부(230)는 반사판 및 광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광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광 패턴 형성부(2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광체일 수 있다. 도광체인 광 패턴 형성부(230)를 통하여 광 패턴용 부분광이 투과함에 따라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광 패턴 형성부(230)의 형태로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광 패턴 형성부(230)는 색상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광 패턴용 부분광이 투과함에 따라 특정 색상의 광이 관찰자에게 인식될 수도 있다.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광 패턴 형성부(230)는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한 광을 반사시켜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은 금속 산화물로 증착된 베젤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231)에 금속 산화물(232)이 증착되어 반사판 형태의 광 패턴 형성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베젤이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별도의 광을 반사시키는 별도의 반사 수단이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 패턴 형성부(230)는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렌즈의 형태에 따라 광이 집중되거나 분산되어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투과된 광이 광 패턴 형성부(230)에서 반사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패턴 형성부(230)는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패턴 형성부(230)는 금속 산화물로 증착된 베젤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투과된 광이 광 패턴 형성부(230)를 투과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패턴 형성부(230)는 광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패턴 형성부(2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광체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250)에 반사된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함에 따라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투과한 광이 광 패턴 형성부(230)에서 반사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20)에 의하여 형성된 홀로그램(H)은 반사형 홀로그램일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로 조사된 광 중 일부가 홀로그램 저장매체(220)에 의하여 반사되면서 반사형 홀로그램(H)을 형성하고, 나머지 광이 투과하여 광 패턴 형성부(230)로 전달되는 것이다.
광 패턴 형성부(230)는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패턴 형성부(230)는 금속 산화물(232)로 증착된 베젤(23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하나의 광원(210)만을 이용하여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210)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하우징에 홀로그램 저장매체(220)를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310) 및 광 패턴 형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310)은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원(310)의 기능은 전술한 광원(11)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310)은 홀로그램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으며, 홀로그램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형성에 이용될 수도 있다. 광원(310) 및 광 패턴 형성부(320)가 예를 들어,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광 패턴 형성부(320)는 광원(310)의 광을 이용하여 홀로그램만을 형성하거나 홀로그램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제공용 광 패턴은 미등, 브레이크등, 방향 지시등, 후진등 및 사용자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패턴 형성부(320)는 광원(310)에 의하여 조사된 광 중 제 1 부분광을 이용하여 제 1 광 패턴을 형성하고, 광원(310)에 의하여 조사된 광 중 제 2 부분광을 이용하여 제 2 광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홀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하나가 홀로그램이거나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모두가 홀로그램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광 패턴 및 상기 제 2 광 패턴은 동일 평면상의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반사형 홀로그램은 투과형 홀로그램에 비하여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제공용 광 패턴은 투과형 홀로그램에 비하여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반사형 홀로그램은 정보제공용 광 패턴에 비하여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은 모두 투과형 홀로그램일 수 있다. 또는,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은 모두 반사형 홀로그램일 수 있다. 또는,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은 투과형 홀로그램 및 반사형 홀로그램일 수 있다. 또는,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은 투과형 홀로그램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일 수 있다. 또는,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은 정보제공용 광 패턴 및 반사형 홀로그램일 수 있다.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모두 투과형 홀로그램이거나 반사형 홀로그램인 경우 제 1 광 패턴 및 상기 제 2 광 패턴은 동일 평면상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서로 다른 방식의 홀로그램이거나, 홀로그램과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조합인 경우 상대적으로 돌출된 이미지와 상대적으로 돌출되지 않은 이미지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함에 따라 관찰자는 보다 깊은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하, 돌출된 이미지와 돌출되지 않은 이미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의 다양한 조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투과형 홀로그램과 반사형 홀로그램의 조합으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광 패턴은 반사형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돌출된 이미지가 아닌 다른 이미지를 제공하는 광 패턴은 투과형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제 2 광 패턴이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 1 광 패턴이 돌출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각각 투과형 홀로그램(H1) 및 반사형 홀로그램(H2)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광 패턴 형성부(320)는 홀로그램 저장매체(321) 및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는 투과형 홀로그램(H1) 및 반사형 홀로그램(H2)에 대한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에,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하거나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의하여 반사됨으로써 투과형 홀로그램(H1) 및 반사형 홀로그램(H2)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반사판은 제 1 부분광 또는 제 2 부분광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이에 따른 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1) 및 반사형 홀로그램(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분광(L1)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1)이 형성되고, 제 2 부분광(L2)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의하여 반사됨에 따라 반사형 홀로그램(H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과형 홀로그램(H1)과 반사형 홀로그램(H2)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광 패턴 형성부(320)는 반사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310)에서 조사된 직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의 양측면에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반사판(322)이 구비되는 것이다.
도 18은 제 1 부분광(L1)이 직광이고, 제 2 부분광(L2)이 반사광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광(L1)이 반사광이고, 제 2 부분광(L2)이 직광일 수도 있다. 즉, 반사판(322)에 의하여 반사된 제 1 부분광(L1)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하여 투과형 홀로그램(H1)을 형성하고, 직광인 제 2 부분광(L2)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의하여 반사되어 반사형 홀로그램(H2)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광원(310)만으로 올바르게 투과형 홀로그램(H1) 및 반사형 홀로그램(H2)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10)의 광이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면서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으며, 투과형 홀로그램(H1)과 반사형 홀로그램(H2)의 참조광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별도의 보조 광원(3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조 광원(330)은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성에 이용되는 또 다른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광원(310)의 광과 보조 광원(330)의 광이 함께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조사되어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광원(330)의 광만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조사되어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17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재생 매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는 서로 중첩된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형 홀로그램(H1)을 형성하는 제 1 홀로그램 정보(S1), 반사형 홀로그램(H2)을 형성하는 제 2 홀로그램 정보(S2), 제 1 부분광(L1)의 투과를 차단하는 광 차단막(B), 및 제 1 홀로그램 정보(S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 1 부분광(L1)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막(A)은 선택적으로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 차단막(B)은 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막을 나타내고, 광 투과막(A)은 광을 투과시키는 막을 나타낸다. 광 투과막(A)은 입사된 광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막과 같은 유형의 물질이 광 투과막(A)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빈 공간이 광 투과막(A)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2는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 및 광 투과막(A)이 포함되고, 제 2 패턴 패널(321b)에 제 1 홀로그램 정보(S1) 및 제 2 홀로그램 정보(S2)가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로 조사된 제 1 부분광(L1)은 광 차단막(B)에 의하여 차단되고, 광 투과막(A)을 투과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s)에서 광 투과막(A)은 제 2 패턴 패널(321b)에 포함된 제 1 홀로그램 정보(S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광 차단막(B)은 광 투과막(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홀로그램(S1)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제 1 부분광(L1)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광 투과막(A)을 투과한 제 1 부분광(L1)이 제 2 패턴 패널(321b)의 제 1 홀로그램 정보(S1)를 투과하면서 투과형 홀로그램(H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부분광(L1)은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없다. 그러나, 제 1 부분광(L1)과는 다른 방향에서 조사되는 제 2 부분광(L2)은 직접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제 2 부분광(L2)이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의하여 반사되어 반사형 홀로그램(H2)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홀로그램 정보(S2)를 향하는 광 차단막(B)의 일면에는 반사 필름과 같은 반사 수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제 2 홀로그램 정보(S2)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인 경우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표면에서의 제 2 부분광(L2)의 반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3은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 및 광 투과막(A)이 포함되고, 제 2 패턴 패널(321b)에 제 1 홀로그램 정보(S1) 및 제 2 홀로그램 정보(S2)가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로 조사된 제 1 부분광(L1)은 광 차단막(B)에 의하여 차단되고, 광 투과막(A)을 투과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에서 광 차단막(B)은 제 2 패턴 패널(321b)에 포함된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광 투과막(A)은 광 차단막(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홀로그램(S1)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제 1 부분광(L1)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광 투과막(A)을 투과한 제 1 부분광(L1)이 제 2 패턴 패널(321b)의 제 1 홀로그램 정보(S1)를 투과하면서 투과형 홀로그램(H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부분광(L1)은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없다. 그러나, 제 1 부분광(L1)과는 다른 방향에서 조사되는 제 2 부분광(L2)은 직접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제 2 부분광(L2)이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의하여 반사되어 반사형 홀로그램(H2)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홀로그램 정보(S2)를 향하는 광 차단막(B)의 일면에는 반사 필름과 같은 반사 수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제 2 홀로그램 정보(S2)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인 경우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표면에서의 제 2 부분광(L2)의 반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4는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 제 1 광 투과막(A1) 및 제 1 홀로그램 정보(S1)가 포함되고, 제 2 패턴 패널(321b)에 제 2 홀로그램 정보(S2) 및 제 2 광 투과막(A2)가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홀로그램 정보(S1)는 제 1 광 투과막(A1)상에 형성되거나, 제 1 패턴 패널(321a)의 일부가 제 1 홀로그램 정보(S1)의 형상으로 천공되고, 천공된 홀에 제 1 홀로그램 정보(S1)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로 조사된 제 1 부분광(L1)은 광 차단막(B)에 의하여 차단되고, 제 1 홀로그램 정보(S1)를 투과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에서 광 차단막(B)은 제 2 패턴 패널(321b)에 포함된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광 투과막(A1)은 광 차단막(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거나 광 차단막(B) 및 제 1 홀로그램 정보(S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홀로그램(S1)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제 1 부분광(L1)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제 1 부분광(L1)이 제 1 패턴 패널(321a)의 제 1 홀로그램 정보(S1)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의 광 투과막(A2)을 투과하면서 투과형 홀로그램(H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제 2 홀로그램 정보(S2)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부분광(L1)은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없다. 그러나, 제 1 부분광(L1)과는 다른 방향에서 조사되는 제 2 부분광(L2)은 직접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제 2 부분광(L2)이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의하여 반사되어 반사형 홀로그램(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투과형 홀로그램(H1) 및 반사형 홀로그램(H2)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홀로그램의 구현상 차이로 인하여 관찰자는 투과형 홀로그램(H1)에 비하여 돌출된 형태의 반사형 홀로그램(H2)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정보제공용 광 패턴과 투과형 홀로그램의 조합으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광 패턴은 일정 형상의 광 투과막을 투과한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포함하고, 돌출된 이미지가 아닌 다른 이미지를 제공하는 광 패턴은 투과형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제 2 광 패턴이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 1 광 패턴이 돌출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각각 투과형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은 일정 형상의 광 투과막을 투과한 광 패턴일 수 있다.
전술한 광 패턴 형성부(320)는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는 투과형 홀로그램(H)에 대한 홀로그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함으로써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분광(L1) 및 제 2 부분광(L2)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함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은 도 25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재생 매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는 서로 중첩된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은 광 차단막(B), 홀로그램 광 투과막(AH) 및 패턴 광 투과막(AP)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막(B)은 제 1 부분광(L1) 및 제 2 부분광(L2)의 투과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홀로그램 광 투과막(AH)은 제 1 부분광(L1)을 투과시키고, 패턴 광 투과막(AP)은 제 2 부분광(L2)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2 패턴 패널(321b)은 홀로그램 정보(S)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s)에서 홀로그램 광 투과막(AH)은 제 2 패턴 패널(321b)에 포함된 홀로그램 정보(S)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에서 패턴 광 투과막(AP)은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에서 광 차단막(B)은 홀로그램 광 투과막(AH) 및 패턴 광 투과막(AP)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제 1 부분광(L1)이 제 1 패턴 패널(321a)의 홀로그램 광 투과막(AP)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의 홀로그램 정보(S)를 투과하면서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부분광(L2)이 제 1 패턴 패널(321a)의 패턴 광 투과막(AP)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의 광 투과막(A)을 투과하면서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은 광 차단막(B), 홀로그램 광 투과막(AH), 패턴 광 투과막(AP) 및 홀로그램 정보(S)가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에 선택적으로 포함된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패턴 패널(미도시)만으로 홀로그램 저장매체(321)가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패턴 패널에 광 차단막(B), 패턴 광 투과막(AP) 및 홀로그램 정보(S)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 1 부분광(L1)이 홀로그램 정보(S)를 투과하면서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고, 제 2 부분광(L2)이 패턴 광 투과막(AP)을 투과하면서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투과형 홀로그램(H) 및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홀로그램과 광 패턴간의 구현상 차이로 인하여 관찰자는 투과형 홀로그램(H)에 비하여 돌출된 형태의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반사형 홀로그램과 정보제공용 광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 중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광 패턴은 반사형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돌출된 이미지가 아닌 다른 이미지를 제공하는 광 패턴은 일정 형상의 광 투과막을 투과한 정보제공용 광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제 2 광 패턴이 돌출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 1 광 패턴이 돌출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로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 패턴 및 제 2 광 패턴이 각각 정보제공용 광 패턴(P) 및 반사형 홀로그램(H)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은 일정 형상의 광 투과막을 투과한 광 패턴일 수 있다.
전술한 광 패턴 형성부(320)는 홀로그램 저장매체(321) 및 반사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는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의 형상에 대응하는 광 투과막 및 반사형 홀로그램(H)에 대한 홀로그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하거나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의하여 반사됨으로써 정보제공용 광 패턴(P) 및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반사판(322)은 제 1 부분광(L1) 또는 제 2 부분광(L2)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9 및 도 30은 이에 따른 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0)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 및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분광(L1)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함에 따라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이 형성되고, 제 2 부분광(L2)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의하여 반사됨에 따라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될 수 있다.
정보제공용 광 패턴(P)과 반사형 홀로그램(H)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광 패턴 형성부(320)는 반사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310)에서 조사된 직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의 양측면에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반사판(322)이 구비되는 것이다.
도 29는 제 1 부분광(L1)이 직광이고, 제 2 부분광(L2)이 반사광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광(L1)이 반사광이고, 제 2 부분광(L2)이 직광일 수도 있다. 즉, 반사판(322)에 의하여 반사된 제 1 부분광(L1)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투과하여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을 형성하고, 직광인 제 2 부분광(L2)이 홀로그램 저장매체(321)에 의하여 반사되어 반사형 홀로그램(H)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광원(310)만으로 올바르게 정보제공용 광 패턴(P) 및 반사형 홀로그램(H)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보조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광원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1은 도 28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재생 매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는 서로 중첩된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은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 및 제 1 광 투과막(A1)이 포함되고, 제 2 패턴 패널(321b)에 홀로그램 정보(S) 및 제 2 광 투과막(A2)가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로 조사된 제 1 부분광(L1)은 광 차단막(B)에 의하여 차단되고, 제 1 광 투과막(A1)을 투과할 수 있다.
제 1 패턴 패널(321a)에서 제 1 광 투과막(A1)은 정보제공용 광 패턴(P)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광(L1)이 제 1 패턴 패널(321a)의 제 1 광 투과막(A1)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의 제 2 광 투과막(A2)을 투과하면서 정보제공용 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정보(S)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패턴 패널(321a)에 광 차단막(B)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부분광(L1)은 제 2 홀로그램 정보(S2)에 도달할 수 없다. 그러나, 제 1 부분광(L1)과는 다른 방향에서 조사되는 제 2 부분광(L2)은 직접 홀로그램 정보(S)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제 2 부분광(L2)이 홀로그램 정보(S)에 의하여 반사되어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홀로그램 정보(S)를 향하는 광 차단막(B)의 일면에는 반사 필름과 같은 반사 수단에 구비될 수 있는데, 홀로그램 정보(S)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인 경우 홀로그램 정보(S)의 표면에서의 제 2 부분광(L2)의 반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정보제공용 광 패턴(P) 및 반사형 홀로그램(H)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홀로그램과 광 패턴간의 구현상 차이로 인하여 관찰자는 정보제공용 광 패턴(P)에 비하여 돌출된 형태의 반사형 홀로그램(H)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22 내지 도 24, 도 27 및 도 31을 통하여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을 포함한 홀로그램 저장매체(321)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다 다양한 홀로그램 저장매체의 구현도 가능하다. 즉, 광 차단막, 광 투과막, 홀로그램 정보의 다양한 조합으로 제 1 패턴 패널(321a) 및 제 2 패턴 패널(321b)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하나의 패턴 패널 또는 3개 이상의 패턴 패널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의 구현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11, 21, 110, 210, 310: 광원
120: 홀로그램 형성부
12, 22, 121, 220, 321: 홀로그램 저장매체
122, 322: 반사판
130, 230, 320: 광 패턴 형성부
140, 240: 광 변형부

Claims (8)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조사된 광을 투과시켜 기록된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 및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에서 투과된 광을 입사 받아 일정 형태의 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가이드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는 참조광(reference beam)과 물체광(object beam)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된 간섭 무늬를 상기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된 광의 파장 및 위상은 각각 상기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패턴 형성부는 반사판 및 광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금속 산화물로 증착된 베젤을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조사하는 광 변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 및 상기 광 패턴 형성부는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0150188248A 2015-12-29 2015-12-29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70078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48A KR20170078090A (ko) 2015-12-29 2015-12-29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48A KR20170078090A (ko) 2015-12-29 2015-12-29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90A true KR20170078090A (ko) 2017-07-07

Family

ID=5935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248A KR20170078090A (ko) 2015-12-29 2015-12-29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0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37A1 (ko) * 2018-05-29 2019-12-05 (주)한교홀로그램 홀로그램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램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37A1 (ko) * 2018-05-29 2019-12-05 (주)한교홀로그램 홀로그램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램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086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US8702258B2 (e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llumination optical system
US8749371B2 (en) Diffractive signaling device for rear-view mirror with 2D/3D display
KR101628561B1 (ko) 입체 점등이미지 재생용 광학계 장치
KR101684003B1 (ko) 차량용 리어램프
KR20150134979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90041096A (ko) 차량의 리어 램프 장치
KR20180070256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50134980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1951460B1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60018917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8090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JPH0939653A (ja) 車両用表示灯
KR20180074978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224738B1 (ko) 차량용 램프조립체
KR20170078092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78883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60049767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1951459B1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76000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69598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78855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439106B1 (ko) 차량의 리어 램프 장치
JPH10112203A (ja) 車両用表示燈
KR20180072383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