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598A -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598A
KR20180069598A KR1020160171927A KR20160171927A KR20180069598A KR 20180069598 A KR20180069598 A KR 20180069598A KR 1020160171927 A KR1020160171927 A KR 1020160171927A KR 20160171927 A KR20160171927 A KR 20160171927A KR 20180069598 A KR20180069598 A KR 2018006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light
storage medium
lights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욱
김효경
정명관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598A/ko
Publication of KR2018006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60Q1/0058Stacked, i.e. one lamp located behind the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o Graph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조사된 복수의 광을 입사 받아 상기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복수 개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Automotive hologram image producing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후미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하게 된다.
최근에는 램프 모듈이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한편,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온 기술인 만큼, 이를 통해서는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갖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의 보다 뚜렷한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14916호 (2010.10.2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조사된 복수의 광을 입사 받아 상기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복수 개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광이 홀로그램 영상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간의 간격에 따른 홀로그램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한 홀로그램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는 광원(1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1)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벌브타입 광원 등 홀로그램 재생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임의의 광원 중 하나일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는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12)는 참조광(reference beam)과 물체광(object beam)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된 간섭 무늬를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할 수 있다. 홀로그램은 광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홀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참조광 및 물체광으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간섭 무늬를 기록하여야 한다.
참조광은 어떠한 광원에 의한 광 중 홀로그램 저장매체(12)로 직접 비추어진 광을 의미하고, 물체광은 해당 광원에 의한 광 중 물체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의미한다.
참조광 및 물체광 모두가 홀로그램 저장매체(12)로 비추어짐으로써 간섭 무늬가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기록되는 것으로서, 참조광 및 물체광의 간섭에 의하여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무늬가 형성되고, 이것이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된다.
그리하여, 홀로그램 정보를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기록하는데 이용된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파장 및 위상을 갖는 광을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비추게 되면 홀로그램이 재생된다. 이에, 본 발명의 광원(11)에 의한 광의 파장 및 위상은 각각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에 대한 참조광의 방향 및 각도가 동일하게 구현되도록 광원(11)의 위치 및 후술하는 반사판의 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향하는 참조광의 방향 및 각도는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향하는 광원(11)의 광(이하, 재생광이라 한다)이 조사되는 방향 및 각도와 동일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물체와 홀로그램의 위치에 대한 동기화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즉, 참조광 및 재생광 각각에 의한 방향 및 각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기준으로 물체가 있었던 위치에 홀로그램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저장매체(12)는 필름과 같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투과형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도시하고 있다. 광원(11)의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투과함에 따라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20)는 광원(2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2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2)의 기능은 전술한 광원(1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12)의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2는 반사형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22)를 도시하고 있다. 광원(21)의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에 의하여 반사됨에 따라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는 투과형 홀로그램(H) 또는 반사형 홀로그램(H)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에 의한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12)를 투과함으로써 투과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에 의한 광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2)에 반사됨으로써 반사형 홀로그램(H)이 형성되는 것이다.
투과형 홀로그램(H)의 형성을 위하여 투과형 홀로그램(H)을 위한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된 홀로그램 저장매체(12)의 영역은 일정 크기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반사형 홀로그램(H)의 형성을 위하여 반사형 홀로그램(H)을 위한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된 홀로그램 저장매체(22)의 영역은 일정 크기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 20)는 광원(11, 21)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올바른 홀로그램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원(11, 21)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간의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광원(11, 21)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간의 직접적인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이 광원(11, 21)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데, 이에 광원(11, 21)과 홀로그램 저장매체(12, 22)간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생광의 적절한 조사 방향 및 각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반사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 20)는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과 같은 고유한 광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10, 20)를 구비한 차량은 예를 들어, 후미등의 광 패턴에 인접하여 홀로그램을 형성하거나 방향 지시등의 광 패턴에 인접하여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후미등의 광 패턴, 방향 지시등의 광 패턴 및 홀로그램은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에, 관찰자는 후미등의 광 패턴과 홀로그램을 동시에 관찰하거나 방향 지시등의 광 패턴과 홀로그램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30)는 광 조사부(100)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조사부(100)는 광(L)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100)는 복수의 광(L)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 조사부(100)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에 의하여 조사되는 복수의 광(L) 각각은 재생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L) 각각의 파장, 위상 및 입사 각도는 홀로그램 저장매체(200)의 홀로그램 정보를 기록하는데 이용된 참조광의 파장, 위상 및 입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 조사부(1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에 의하여 조사되는 복수의 광(L)은 모두 동일한 광 속성을 가질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00)에는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그리하여, 홀로그램 저장매체(200)는 광 조사부(100)로부터 조사된 복수의 광(L)을 입사 받아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00)는 입사된 광의 개수만큼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광 조사부(10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은 상호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광원간의 간격만큼 복수의 홀로그램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31)는 광 조사부(101)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조사부(101)는 복수의 광원(111, 121, 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 121, 131)은 동일한 광 속성을 갖는 복수의 광(L11, L21, L31)을 홀로그램 저장매체(201)로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 121, 13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홀로그램 저장매체(201)로 입사되는 광(L11, L21, L31)의 입사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홀로그램 저장매체(201)의 서로 다른 지점에 복수의 광(L11, L21, L31)이 입사될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01)는 투과형 홀로그램(H11, H21, H31)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홀로그램(H11, H21, H31)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홀로그램 저장매체(201)에 입사하는 광(L11, L21, L31)의 입사 각도가 직각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참조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광(L11, L21, L31)의 입사 각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32)는 광 조사부(102)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조사부(102)는 복수의 광원(112, 122, 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2, 122, 132)은 동일한 광 속성을 갖는 복수의 광(L12, L22, L32)을 홀로그램 저장매체(202)로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2, 122, 13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홀로그램 저장매체(202)로 입사되는 광(L12, L22, L32)의 입사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홀로그램 저장매체(202)의 서로 다른 지점에 복수의 광(L12, L22, L32)이 입사될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02)는 반사형 홀로그램(H12, H22, H32)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2, 122, 132)에 의한 복수의 광(L12, L22, L32)은 홀로그램 저장매체(202)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반사되어 복수의 반사형 홀로그램(H12, H22, H32)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홀로그램(H12, H22, H3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33)는 광 조사부(103), 반사판(310, 320)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조사부(103)는 복수의 광원(113, 123,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3, 123, 133)은 동일한 광 속성을 갖는 복수의 광(L13, L23, L33)을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3, 123, 133)에 의하여 조사되는 복수의 광(L13, L23, L33)의 조사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반사판(310, 320)은 복수의 광의 입사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반사시킬 수 있다. 도 8은 2개의 반사판(310, 320)이 2개의 광원(113, 133)의 광(L13, L33)을 반사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광원(113, 123, 133)에 의한 광 조사 방향이 상이함에도 반사판(31, 320)에 의하여 홀로그램 저장매체에 입사되는 모든 광의 입사 각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 저장매체(203)는 투과형 홀로그램(H13, H23, H33)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홀로그램(H13, H23, H33)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홀로그램 저장매체(203)에 입사하는 광(L13, L23, L33)의 입사 각도가 직각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참조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광(L13, L23, L33)의 입사 각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간의 간격에 따른 홀로그램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저장매체(200)의 후면에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은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광원(110, 120, 130)의 광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0은 복수의 광이 홀로그램 재생매체(200)를 투과함에 따라 복수의 홀로그램(H1, H2, H3)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홀로그램(H1, H2, H3)도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로그램(H1, H2, H3)은 상호간에 중첩 없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홀로그램 저장매체(200)의 후면에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은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광원(110, 120, 130)의 광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2는 복수의 광이 홀로그램 재생매체(200)를 투과함에 따라 복수의 홀로그램(H1, H2, H3)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홀로그램(H1, H2, H3)도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로그램(H1, H2, H3)은 상호간에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광원(110, 120, 130)은 홀로그램 저장매체와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광원(110, 120, 130)의 광에 의하여 형성된 홀로그램(H1, H2, H3)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형태의 홀로그램(H1, H2, H3)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에 의한 홀로그램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34)는 광 조사부(104) 및 홀로그램 저장매체(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조사부(104)는 복수의 광원(114, 124)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조사부(104)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4, 124)은 홀로그램 저장매체(204)와의 거리가 상이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114, 124)에 의하여 조사되는 복수의 광(L14, L24)은 홀로그램 저장매체(204)의 동일 지점으로 입사될 수 있다.
광원(114, 124)에 의한 광(L14, L24)은 일정 조사각을 가지고 조사되는데, 이에 따라 홀로그램 저장매체(204)와의 거리에 따라 홀로그램 저장매체(204)에 매핑되는 광 범위가 상이하게 된다. 즉, 광원(114, 124)과 홀로그램 저장매체(204)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광 범위가 작게 형성되고, 광원(114, 124)과 홀로그램 저장매체(204)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광 범위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광 범위가 작다는 것은 광 밀도가 큰 것을 의미하고, 광 범위가 크다는 것은 광 밀도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광원(114)과 홀로그램 저장매체(204)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상대적으로 뚜렷하고 작은 홀로그램(H14)이 형성되고, 광원(124)과 홀로그램 저장매체(204)간의 거리가 먼 경우 상대적으로 흐릿하고 큰 홀로그램(H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04)에 의하여 형성된 2개의 홀로그램(H14, H24)은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즉, 2개의 홀로그램(H14, H24) 중 하나(H14)는 상대적으로 뚜렷하고 작은 반면, 다른 하나(H24)는 상대적으로 흐릿하고 클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홀로그램 저장매체(204)와 광원(114, 124)간의 거리에 따라 색다른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30, 31, 32, 33, 34: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11, 21, 111~114, 121~124, 131~133: 광원
12, 22, 200, 201, 202, 203, 204: 홀로그램 저장매체
100, 101, 102, 103, 104: 광 조사부

Claims (11)

  1.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홀로그램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조사된 복수의 광을 입사 받아 상기 홀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을 복수 개 형성하는 홀로그램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호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와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복수의 홀로그램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호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와의 거리가 상이하게 배치되는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은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의 동일 지점으로 입사되는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는 참조광(reference beam)과 물체광(object beam)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된 간섭 무늬를 상기 홀로그램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의 파장 및 위상은 각각 상기 참조광의 파장 및 위상과 동일한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로 입사된 상기 복수의 광의 입사 각도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의 조사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의 광의 입사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 및 상기 홀로그램 저장매체는 차량의 후미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0160171927A 2016-12-15 2016-12-15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69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27A KR20180069598A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27A KR20180069598A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98A true KR20180069598A (ko) 2018-06-25

Family

ID=6280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927A KR20180069598A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5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064A (ko) * 2019-03-20 2020-10-06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차량용 램프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064A (ko) * 2019-03-20 2020-10-06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차량용 램프조립체
EP3943989A4 (en) * 2019-03-20 2022-12-14 ZKW Group GmbH LAMP ARRANGEMEN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110B1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US10632900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vehicle
KR101628561B1 (ko) 입체 점등이미지 재생용 광학계 장치
KR20150134979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441571B1 (ko) 차량의 리어 램프 장치
KR20180070256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50134980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1951460B1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69598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60018917A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4978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224738B1 (ko) 차량용 램프조립체
KR20180078883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76000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78855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80072383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60049767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70078090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1951459B1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457116B1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2439106B1 (ko) 차량의 리어 램프 장치
KR20180072397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20150134968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CN214619378U (zh) 一种具有三维图像显示功能的全息汽车尾灯装置
KR20220096540A (ko) 차량용 홀로그램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