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298A -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298A
KR20170077298A KR1020150169105A KR20150169105A KR20170077298A KR 20170077298 A KR20170077298 A KR 20170077298A KR 1020150169105 A KR1020150169105 A KR 1020150169105A KR 20150169105 A KR20150169105 A KR 20150169105A KR 20170077298 A KR20170077298 A KR 2017007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ontract
electronic
terminal
annou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윌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윌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윌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6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298A/ko
Publication of KR2017007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인구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구인공고 항목의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전자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고, 구직자의 이력서 항목 및 채용 결정과 동시에 전자근로계약서의 작성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용주 내지 구직자가 전자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데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Method for providing a job service and a server for performing the job service}
실시 예들은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상점 또는 사업체에서 임시 직원 또는 아르바이트생을 모집하는 경우, 구인광고 전단지를 만들어 상점 등의 정문 앞이나 가까운 길가에 붙여 게재한다. 이런 경우 오프라인 상점 등은 그 상점 등에서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구인광고를 낸다. 구하고자 하는 임시 직원들은 특별한 학력이나 경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지역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들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직자들 입장에서도 이와 같이 단순한 임시직을 구하고자 할 때, 자신이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곳에서 가까운 상점 등에서 일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인광고들은 신문지상이나 구인구직 전용신문, 잡지 등을 이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벼룩시장과 같은 지역 광고지나 신문 등에 끼워넣는 전단지 등에도 잘 넣지 않는다. 대부분 자신의 상점 밖이나 가까운 곳에서 광고전단지를 붙여 광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술한 오프라인 방식을 온라인에서 구현한 구인 및 구직 서비스는 구인자에게 일자리를 원하는 구직자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직자에게는 직원 고용을 원하는 구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통신망의 발달과 통신망 이용이 대중화됨에 따라 온라인 방식의 다양한 구인/구직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온라인 방식 구인/구직 서비스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상에 구인/구직 사이트를 개설하고 회원 가입한 구직자나 구인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해 게시되도록 함으로써, 구인자나 구직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한 후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이다.
하지만, 오프라인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구인구직 과정에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고용주들로 인하여, 구직자 또는 아르바이트생들의 근로자의 권리를 인정받지 못하고 불합리한 대우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용주들의 입장에서도 근로계약서 미작성으로 과태료를 부과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1-0083120 호(2011년 7월 20일 공개)
본 실시 예들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구인구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구인공고 항목의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전자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고, 구직자의 이력서 항목 및 채용 결정과 동시에 전자근로계약서의 작성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용주 내지 구직자가 전자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데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구인단말 및 구직단말을 연계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작성된 구인 공고에 기재된 기재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 공고를 상기 중개 서비스 서버가 운영하는 구인 사이트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중개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구직 단말로부터 이력서를 포함한 입사 지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인 단말에 입사지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직 단말의 채용 결정을 포함한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고용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 정보는, 상기 구인 공보에 기재되는, 근무기간, 근무일, 근무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조건이고,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는, 상기 근무조건 중 상기 표준근로계약서에 기재되는 임금과 관련된 항목에 자동 반영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된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기업 회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구인 단말에 상기 구인 공고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성 페이지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의 생성 여부에 관한 선택 항목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구인 공고상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가 포함된 기업임을 나타내는 인증마크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에, 상기 구직 단말의 이력서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근로자 정보, 상기 구인 공고 또는 상기 구인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사업주 정보 및 사업주의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제2 전자근로계약서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의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반영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인 단말 및 상기 구직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저장용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인단말 및 구직단말을 연계하여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작성된 구인 공고에 기재된 기재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 공고를 상기 중개 서비스 서버가 운영하는 구인 사이트에 표시하고, 상기 중개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구직 단말로부터 이력서를 포함한 입사 지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인 단말에 입사지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직 단말의 채용 결정을 포함한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고용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 정보는, 상기 구인 공보에 기재되는, 근무기간, 근무일, 근무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조건이고,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는, 상기 근무조건 중 상기 표준근로계약서에 기재되는 임금과 관련된 항목에 자동 반영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인 단말로부터 기업 회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된 구인 단말에 상기 구인 공고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작성 페이지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의 생성 여부에 관한 선택 항목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인 공고상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가 포함된 기업임을 나타내는 인증마크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에, 상기 구직 단말의 이력서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근로자 정보, 상기 구인 공고 또는 상기 구인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사업주 정보 및 사업주의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제2 전자근로계약서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의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반영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인 단말 및 상기 구직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저장용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다른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직접 출력 및 작성을 통해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근로계약서 작성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잘못된 근로계약서가 작성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전자문서로 작성된 근로계약서를 통해 이동, 보관 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분실, 손상의 우려도 없앨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공고상의 기재내용의 예시 도이고, 도 4b는 전자근로계약서의 일부가 자동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5 및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화면의 예시 도들이다.
도 7 내지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화면의 예시 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100)은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을 포함한다.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구인단말(120) 및 구직단말(130)을 연계하여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인구직은 일반 기업의 장기 채용,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포함한 단기 채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구인 단말(120)로부터 작성된 구인 공고에 기재된 기재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구인 단말(120)이 구인 공고 작성 시에, 근로계약서 생성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근로계약서 생성에 동의한 경우, 구인 공고에 기재된 기재 정보, 예를 들면 근무 조건 등을 반영하여 전자근로계약서에 추가하여 자동 완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근로계약서는 표준근로계약서, 연소자 표준근로계약서, 단시간근로자 표준계약서의 양식을 모두 포함하여, 그 형태나 양식에 제한되지 않음을 물론이다. 실시 예는 표준근로계약서 양식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상에 근로계약서를 직접 출력 및 작성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또한, 고용주 또는 근로자 간에 근로계약서 작성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잘못된 근로계약서가 작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이 계약서를 작성함으로써 발생되는 이동, 보관 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계약서 분실, 손상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 공고를 중개 서비스 서버가 운영하는 구인 사이트에 표시한다. 여기서, 구인 공고는 기업 관계자 또는 고용주가 직접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운용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여, 구인을 위해 작성하는 구인 공고를 의미하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본 양식에 필요한 기재 사항, 예를 들면, 모집 직종, 고용형태, 모집인원, 경력 또는 신입인지를 포함하는 모집내용, 근무기간, 근무요일, 근무시간, 급여 등을 포함하는 근무조건을 선택하여 작성될 수 있다.
또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접속한 구직 단말(130)에 자신이 원하는 형태, 예를 들면 근무시간, 근무 요일, 급여 등의 조건 선택을 통해 일자리 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직 단말(130)에서, 상기와 같은 조건 선택에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일자리를 선택하는 경우, 구인공고 작성 시에 전자근로계약서가 자동 생성된 일자리만을 분류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일자리 검색 시에, 전자근로계약서 작성 인증 마크를 할당하여 검색 조건에 추가할 수도 있다.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구직 단말(130)로부터 이력서를 포함한 입사 지원 요청을 수신한다. 구직 단말(130)이 해당 일자리를 선택하고, 이력서를 작성하여 입사 지원한 경우, 해당 일자리에 대한 공고를 낸 구인 단말(120)에 입사지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구인 단말(120)에서 이력서를 낸 구직자를 채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구직 단말(13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전자근로계약서상에 사업주 정보란을 구인 단말(120)의 사용자 정보 또는 기업 회원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기재하거나, 전자서명을 날인할 수 있는 서명 인터페이스를 구인 단말(120)에 제공한 뒤, 구인 단말(120)의 전자서명을 날인 받은 후 전자서명이 날인된 전자근로계약서를 구직 단말(1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구직 단말(130)의 확인 응답에 따라 고용 계약을 체결한다. 이 경우, 구직 단말(130)의 확인에 따라 전자근로계약서에 전자서명을 날인할 수 있는 서명 인터페이스를 구직 단말(130)에 제공하고, 전사서명을 날인받은 후 전자서명이 날인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완성함으로써 고용 계약을 체결할 수도 있다.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스마트 TV,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은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며,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은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구인구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은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통신하기 위해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단말에 탑재하여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전자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서비스가 단말(120 및 130)에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어부(200), 구인 단말 처리부(210), 전자근로계약서 생성부(220), 구직 단말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구인 DB(240) 및 구직 DB(250)를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할 수 있다. 구인 DB(240)에는 고용주 또는 기업회원의 사용자 정보, 구인 공고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구직 DB(250)에는 근로자 또는 개인의 사용자 정보, 이력서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실시 예에서, 구인 DB(240)와 구직 DB(25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합하여 사용자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자동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 또는 근로계약이 체결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로서 함께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00)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실시 예에 따른 구인 공보의 기재내용을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자동 발송, 전자 서명, 계약 체결 등과 같은 동작을 제어한다.
구인 단말 처리부(210)는 도 1에 도시된 구인 단말(120)과의 통신, 예를 들면 구인 단말(120)의 기업회원 인증, 구인 공고, 이력서 전송, 채용 결정 수신 등을 담당한다.
구직 단말 처리부(230)는 도 1에 도시된 구직 단말(130)과의 통신, 예를 들면, 이력서 접수, 채용 결정 통보 및 확인 등을 담당한다.
본 실시 예에서,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과의 통신을 구인 단말 처리부(210) 및 구직 단말 처리부(230)가 각각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근로계약서 생성부(220)는 구인구직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전자근로계약서를 자동 생성하여 구인 단말(120) 및 구직 단말(130)에 각각 제공한다. 여기서,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는 해당 사용자의 DB에 저장 가능한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자동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출력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근로계약서 생성부(220)는 구인 단말(120)의 구인 공고 작성 시에 기재된 기재내용을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의 일부 내용을 자동 작성하여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구인 공고를 게시하기 위해 구인 단말(120)은 모집내용 및 근무조건을 선택하여 작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모집직종, 고용형태, 모집인원, 경력 사항 등을 선택 또는 작성한다. 근무조건에, 근무기간, 근무요일, 근무시간, 급여 등과 관련된 사항을 선택 또는 작성한다(400).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근로계약서 생성부(220)는 표준근로계약서상에, 임금과 관련된 항목(410)에, 도 4a에 도시된 구인 공고의 기재내용 중 근무조건(400)에 포함된 항목들을 참조하여, 월 급여, 상여금, 기타 급여, 임금 지급일 등을 자동 기재한다. 또한, 표준근로계약서상에 기재할 수 있는 추가 정보, 근로계약기간, 근무장소, 업무 내용, 근로시간, 근무일 등도 구인 공고상에 기재되어 있다면, 동일하게 반영하여 자동 작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작성된 전자근로계약서는 구인 공고와 함께 구인 사이트에 게시된다.
일자리를 구하기 위한 구직자들은 구인 사이트에 올라온 구인 공고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일자리인 경우, 이력서를 작성하여 첨부한다. 이 경우, 구직 단말(130)은 구인 사이트에서 구인 공고 리스트들 중 전자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일자리만을 정렬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구인 공고를 선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인증마크, "이 공고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업체의 공고입니다" 를 할당하여, 구직자에게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업체임을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일자리 검색 조건에, 근무기간, 근무요일, 근무시간과 같은 기존 검색 조건에 추가하여, 근로계약서 작성 공고 항목을 선택하면, 근로계약서가 포함된 구인 공고만을 정렬하여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근로계약서 관리 항목을 통해, 근로계약서 내용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직 단말(130)을 통해 업로드 된 이력서는 해당 구인 단말(120)에 입사 지원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전송되고, 해당 고용주 또는 기업 담당자의 이력서 열람 확인 후 해당 지원자에 대한 채용 결정을 통보하는 경우, 작성되어 있는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해당 구직 단말(13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전자근로계약서 생성부(220)는 작성된 전자근로계약서에 추가 내용,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사업주 정보로서, 사업체 명, 전화번호, 주소, 대표자 등을 자동 기재하거나, 사업자의 전자 서명을 받은 후의 전자근로계약서를 해당 구직 단말(130)에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채용 결정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해당 고용주의 채용 결정에 수용하는 경우, 첨부된 전자근로계약서에 추가 내용,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근로자 정보로서, 주소, 연락처, 성명 등이 해당 구직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자동 기재하거나, 근로자의 전자 서명을 받은 후,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a 및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구인단말이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단계 302에서, 기업회원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구인단말의 기업회원 인증을 통해 적법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업체만이 구인공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304에서, 구인단말이 구인공고를 작성하면, 단계 306에서, 작성된 구인공고상의 기재 정보를 기초로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구인공고상에 기재된, 근무조건 중, 근무기간, 근무요일, 근무시간, 급여와 관련된 기재항목들을 참조하여, 표준근로계약서상에 기재되어야만 하는 임금과 관련된 기재로서 변환하여 표준근로계약서를 자동 생성한다.
단계 308에서, 구인공고상에 전자근로계약서 인증 마크를 할당하여,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업체의 구인공고임을 구직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직자들에게도 구인공고를 검색할 때, 근로계약서 작성 업체만을 선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검색 조건의 상세 검색 조건으로서 근로계약서 작성 조건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계 310 및 312에서, 구직 단말이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구인 사이트에 올라온 구인 공고를 열람한다. 이 경우, 전술한 것처럼, 일반적인 검색 조건에 추가하여 상세 검색 조건으로서 근로계약서 작성 조건을 추가하면, 근로계약서 작성 업체만을 선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계 314에서, 구직자가 원하는 구인 공고를 검색한 경우, 해당 구인 공고상에 기재된 입사지원서 또는 이력서 등을 작성하여 입사지원 신청을 접수한다.
단계 316에서, 해당 구인 공고를 작성한 구인 단말에 입사지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318에서, 해당 이력서를 열람하고, 채용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구인 단말에서 채용을 결정한 경우, 이전 작성되어 있던 전자근로계약서에 사업주 정보 또는 사업주의 전자 서명 등을 추가 기재하여 갱신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구인 단말의 채용 결정 통보와 함께,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구직 단말에 전송한다.
단계 322에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구직 단말에서, 계약에 응하고자 하는 경우, 구직 단말의 사용자 본인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24에서, 구직 단말을 확인한 후 전자서명을 통해 단계 320을 통해 수신된 전자근로계약서에 근로자 항목 등을 추가 기재하여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계약서 작성일, 다른 모든 항목 등에 기재가 완성될 수 있다.
단계 326에서, 사업자와 근로자 간의 근로계약이 체결된다. 단계 324에서, 완성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는 구인 단말 및 구직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 있으며, 구인 DB 및 구직 DB에 각각 저장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다른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직접 출력 및 작성을 통해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근로계약서 작성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잘못된 근로계약서가 작성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전자문서로 작성된 근로계약서를 통해 이동, 보관 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분실, 손상의 우려도 없앨 수 있다.
또한,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만 주체인, 사업자와 근로자는 기존 구인구직 프로세스만을 수행하면, 원하는 기재내용이 반영된 전자근로계약서가 자동 생성되어 전자서명까지 함께 추가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7 내지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화면의 예시 도들이다.
도 7 내지 11을 참조하면, 도 4 내지 6에 도시된 웹상에서 제공되는 예시들과 달리, 모바일 상에서 제공되는 전자근로계약서를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구인 단말의 모바일 화면에 구인 공고의 기재사항으로서 근무조건(710)이 선택 및 기재되면,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표준근로계약서의 임금 항목(720)에 자동으로 채워지면서 전자근로계약서가 자동 생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업체의 구인 공고에는 인증 마크(800)가 할당되고,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근로계약서 작성공고(900)만을 검색 조건에 추가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것처럼, 근로계약서 관리 페이지를 통해 근로계약서 보내기, 보기가 가능하며, 추가/수정 등을 메뉴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의 내용을 보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상태 변화 정보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상태 변화 정보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실시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구인단말 및 구직단말을 연계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작성된 구인 공고에 기재된 기재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 공고를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운영하는 구인 사이트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된 구직 단말로부터 이력서를 포함한 입사 지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인 단말에 입사지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직 단말의 채용 결정을 포함한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고용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정보는,
    상기 구인 공보에 기재되는, 근무기간, 근무일, 근무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조건이고,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는,
    상기 근무조건 중 상기 표준근로계약서에 기재되는 임금과 관련된 항목에 자동 반영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된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기업 회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구인 단말에 상기 구인 공고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성 페이지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의 생성 여부에 관한 선택 항목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구인 공고상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가 포함된 기업임을 나타내는 인증마크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에, 상기 구직 단말의 이력서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근로자 정보, 상기 구인 공고 또는 상기 구인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사업주 정보 및 사업주의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제2 전자근로계약서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의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반영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인 단말 및 상기 구직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저장용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인단말 및 구직단말을 연계하여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작성된 구인 공고에 기재된 기재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구인 공고를 상기 중개 서비스 서버가 운영하는 구인 사이트에 표시하고,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된 구직 단말로부터 이력서를 포함한 입사 지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인 단말에 입사지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직 단말의 채용 결정을 포함한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포함한 계약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고용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정보는,
    상기 구인 공보에 기재되는, 근무기간, 근무일, 근무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무조건이고,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는,
    상기 근무조건 중 상기 표준근로계약서에 기재되는 임금과 관련된 항목에 자동 반영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인 단말로부터 기업 회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된 구인 단말에 상기 구인 공고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작성 페이지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의 생성 여부에 관한 선택 항목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구인 단말로부터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인 공고상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가 포함된 기업임을 나타내는 인증마크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에, 상기 구직 단말의 이력서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근로자 정보, 상기 구인 공고 또는 상기 구인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기재정보를 사업주 정보 및 사업주의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직 단말의 확인 응답에 따라 상기 제2 전자근로계약서에 상기 전자근로계약서상의 근로자의 전자서명을 반영한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상기 구인 단말 및 상기 구직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최종 전자근로계약서를 저장용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50169105A 2015-11-30 2015-11-30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70077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05A KR20170077298A (ko) 2015-11-30 2015-11-30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05A KR20170077298A (ko) 2015-11-30 2015-11-30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298A true KR20170077298A (ko) 2017-07-06

Family

ID=5935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105A KR20170077298A (ko) 2015-11-30 2015-11-30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2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0087419A (ja) * 2018-11-20 2020-06-04 ニューゼン ピーアンドピ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人情報端末を用いた電子労働契約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210095840A (ko) * 2019-09-02 2021-08-03 양동욱 일용직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7533A (ko) * 2020-05-29 2021-12-07 최병진 알바생 채용 및 관리 방법
KR20220063692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자버 근로계약서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7419A (ja) * 2018-11-20 2020-06-04 ニューゼン ピーアンドピ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人情報端末を用いた電子労働契約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95840A (ko) * 2019-09-02 2021-08-03 양동욱 일용직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7533A (ko) * 2020-05-29 2021-12-07 최병진 알바생 채용 및 관리 방법
KR20220063692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자버 근로계약서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olie et al. E-recruitment: practi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20170077298A (ko)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20170206545A1 (en) Recipient centric messaging system and protocols to implement it over data networks
US20060195353A1 (en) Lead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KR20130026718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인재 채용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73298A1 (en) Method for Organizing Business Card
KR2014000101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및 방법
WO2019216032A1 (ja) マッチング支援サーバ、マッチング支援システム、マッチング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1857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765459A (zh) 从电子通信生成广告
KR20090056523A (ko) 전시회 관람을 위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21593B1 (ko) 사업자 매칭 시스템
US20240135090A1 (en) Recommendation platform for skill development
KR102294476B1 (ko) 위치 기반 일감 대행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826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식공유 및 광고 제공시스템 및그 방법
WO2019040206A1 (en) MOBILE APPLICATION FOR RECRUITMENT AND NETWORKING
KR20190131397A (ko) 용역 발주자와 용역 수행 업체를 중개하는 장치 및 방법
IDA PROPOSAL
KR101974586B1 (ko) 하이브리드 웹/앱 기기 및 pc를 통한 통합 행정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행정서비스 시스템
JP2021021997A (ja) 情報処理装置、書類作成方法、プログラム
JP2012079305A (ja) コミュニティページを用いた会員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50095B1 (ko) 일용직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04152A1 (en) Recruitment and networking mobile application
KR20230082146A (ko) 스마트 전자계약 시스템
KR20140034389A (ko) 모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