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113A -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113A
KR20170077113A KR1020177007509A KR20177007509A KR20170077113A KR 20170077113 A KR20170077113 A KR 20170077113A KR 1020177007509 A KR1020177007509 A KR 1020177007509A KR 20177007509 A KR20177007509 A KR 20177007509A KR 20170077113 A KR20170077113 A KR 2017007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device
camera
user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804B1 (ko
Inventor
이윤경
최시은
홍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오브젝트의 어느 한 면에 장착되는 디바이스 본체와, 상기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오브젝트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와,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 대기 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촬영 활성화 모드로 전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나날이 증가하는 범죄 및 사고 등으로 인해, 감시 카메라와 같은 모니터링 디바이스들은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이는 절도 등과 같은 범법 행위 또는 교통 사고등의 사고 발생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들이 수집한 정보들 중 상기 범법 행위나 사고등과 관련된 중요한 증거 자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제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강력한 범범 행위 제재 효과 또는 교통 사고와 같은 사고의 발생율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디바이스들의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모니터링 디바이스들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에 따라 크게 그 성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감시 카메라와 같은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고정된 영역에 저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달리, 고성능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특정 구역이나 접근하는 물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그 접근하는 물체에 초점을 맞춘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그 상황의 발생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제공하는 성능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다르다. 그리고 고성능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일수록 매우 높은 구매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고성능의 모니터링 성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중인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구매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에게 고성능의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오브젝트의 어느 한 면에 장착되는 디바이스 본체와, 상기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오브젝트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와,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 대기 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촬영 활성화 모드로 전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의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다른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다른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및 후면 모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한 대상체들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두에서 감지되는 영상들을 상기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니터링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의 발생 시에, 상기 다른 모니터링 기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더 수집하여 상기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다른 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은,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기능,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감지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 설정된 연락처에 따라 전송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단말기의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외출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그 상태가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전원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소음, 진동 또는 충격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소음,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과 함께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말기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상기 감지된 소음,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음,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장착된 상기 오브젝트 면의 반대쪽 면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기 대상체가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들 중 상기 대상체가 위치한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를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정보 녹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오브젝트 및 오브젝트의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을 감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한 상황,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감지되는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한 상황 또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상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하게 고성능의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특정 오브젝트(object)에 장착된 예를 보이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작 과정들 중, 현재 발생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과정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자신 및 주변의 다른 모니터링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지 않는 여분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등 다양한 기기를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존의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이하의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에 따라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 기존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얼마든지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다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Wi-Fi 등과 같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다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사이 등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와 같은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향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다양한 모니터링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되는 오브젝트의 서로 다른 면(예를 들어 전면과 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잇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21)는 각각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통하여,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각각 스테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오브젝트(object) 및/또는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오브젝트의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물건 또는 사람(이하 ‘대상체’ 라고 칭하기로 한다)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체가 접근하는 경우 발생하는 조도의 변화에 따라 이를 감지하거나, 초음파,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21)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수신되는 영상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해 발생하는 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소음(예를 들어 초인종 소리 또는 노크(knock)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를 두드리는 소리)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본체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 및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연결가능한 다양한 주변기기에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기 오브젝트의 특정 면(예를 들어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전자 렌지나 TV와 같은 실내의 각종 전자 기기의 작동 상태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주변에 다른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음향 출력부(152)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5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생활 소음이나 미리 녹음된 사람들의 목소리와 같이 제공되는 모니터링 서비스에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7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이미지 촬영 기능, 녹음 기능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a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는 그 구조를 도 1b 및 1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바디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출력부(152a), 제1 카메라(121a) 등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c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주변의 조도에 근거하여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한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후면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 중 적어도 하나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특정 오브젝트(object)에 장착된 예를 보이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오브젝트가 문(door)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 것이며, 이하의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되는 오브젝트가 도 2a 및 도 2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문’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해 가정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되는 오브젝트는 ‘문’ 뿐만이 아니라, 벽 등의 구조체는 물론, 다양한 물체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방이나 상자, 어항, 케이지(cage) 등 내부와 외부가 단절될 수 있는 공간의 경계에서, 내부 및 외부의 상황을 모두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오브젝트(200)의 후면을 보이고 있는 것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오브젝트(200)의 전면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은 실내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오브젝트의 후면은 실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도 2a의 (a) 및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 그리고 플래시(124)가 상기 홈(210)을 통해 오브젝트(200) 후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오브젝트(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후면에 구비된 제2 카메라(121b)는 상기 오브젝트(200) 후면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플래시(124)를 발광하여 오브젝트(200) 후면에 빛이 비추어 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도 2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오브젝트(2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노출되는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수신되는 오브젝트(200) 후면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200)의 전면, 즉 실내에 위치한 사람이 오브젝트 후면, 즉 실외의 상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전면에 구비된 제1 카메라(121a)를 통해 수신되는 오브젝트(200) 전면 방향의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카메라(121a) 또는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들을 메모리(170)에 저장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다른 기기에 푸쉬(push) 알림, 또는 호 발신을 통한 영상 통화의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다른 기기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푸쉬 알림 또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로부터 착신된 호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에서 수신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외에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이나 진동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 및/또는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정보 및,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에서 수신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푸쉬(push) 알림, 또는 호 발신을 통한 영상 통화의 형태 또는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오브젝트 및/또는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이러한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오브젝트(200) 주변에 접근한 사람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이러한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에 접근한 사람이, 초인종(302)을 누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초인종(302)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으로부터 이러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310a)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상기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수신된 오브젝트(200) 후면의 영상 및, 상기 초인종(302)이 눌려진 상황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관련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2 카메라(121b)에서 수신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초인종(302)이 눌려진 상황에 대한 정보가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3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음성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300)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은 무선 통신망(310b)을 경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10)의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도 3의 설명에서는, 오브젝트(200)에 사람이 접근하고, 접근한 사람이 초인종을 누르는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얼마든지 다른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오브젝트(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대상체가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에서 머물러 있는 시간을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초인종(302)을 누르는 소리 뿐만 아니라 오브젝트(200)에 가해지는 노크 또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에서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는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진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오브젝트의 주변 상황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이러한 감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70)에는 상기 감지된 상황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즉, 예를 들어 청소기와 같은 가전기기를 구동하는 소음이나, 아이들이나 어른들의 목소리와 같은 소음 등과 같은 생활 소음에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현재 저장된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경비실 또는 경찰서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다. 이러한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센싱부(140)의 센서들은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주변, 즉,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오브젝트(200)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상기 센서들중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 열 센서, 광 센서 등의 센서는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근하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부(140)의 센서들 중 가속도 센서나 진동 센서, 또는 관성 센서 등의 센서는 상기 오브젝트(200)를 통해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2)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주변, 즉 상기 오브젝트(200)나 상기 오브젝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4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02). 그리고 상기 S402 단계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S402 단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카메라들(121a, 121b)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404).
상기 S404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가 감지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서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된 제1 카메라(121a)를, 상기 오브젝트(200)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에서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구비된 제2 카메라(121b)의 동작 모드를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대기 모드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즉 오브젝트(2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차한 대상체가 감지되고, 또 그에 따라 어느 하나의 카메라(121a 또는 121b)로부터 상기 대상체가 감지된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에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6).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은 상기 대상체가 일정 수준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상황일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체가 초인종을 누르거나, 사람을 부르는 소음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소음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은 상기 오브젝트(200)를 통해 센싱되는 각종 센싱 결과에 따라 감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체가 오브젝트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예를 들어 노크 등) 이를 감지하거나, 상기오브젝트(200)로부터 일정 수준 이상의 세기 또는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특정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감지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이를 통해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S410).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200)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S410 단계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S406 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410 단계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된 상황이라면, 제어부(180)는 다시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02 단계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S404 단계에서 S406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6 단계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들(121a, 121b)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되는 영상 또는 상기 센싱부(140)의 감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또는 상기 센싱부(140)의 감지 결과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푸쉬 알림의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호를 발신하는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300)에 착신된 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는 경우 영상 통화의 형태로 상기 모니터링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및/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에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S4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1 음향 출력부(152a)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된 각종 생활 소음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들이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사이렌 소리나 비상 알람벨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기 설정된 연락처, 즉 경찰서나, 경비실에 현재의 상황을 신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기능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생활 소음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순차 또는 램덤으로, 또는 복수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자동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아이들 소리, 어른들 소리, 청소 소음인 경우라면,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적어도 두 개가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상기 카메라들(121a, 121b) 모두에서 수신된 영상들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모두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들(121a, 121b) 모두에서 수신된 영상들이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카메라들(121a, 121b) 모두에서 수신된 영상을 각각 구분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41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가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만약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200) 근처에 있는 경우, 모니터링 정보를 통하지 않고서도 상기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 주변의 상황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만약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가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S410 단계에서,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오브젝트(200) 주변에 위치한 상태임을 감지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된 제1 카메라(121a)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사용자를 인식(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면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외출을 하려 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연결 가능한 주변의 다양한 가전기기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TV나 청소기, 또는 형광등, 및 전자 렌지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된 가전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외출 전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집안의 각종 가전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현재 ‘온(on)’ 되어 있는 상태의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S410 단계에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다시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 주변의 상황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02 단계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S404 단계에서 S4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의 동작 과정들 중, 상기 S410 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 과정 중,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S406 단계에서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즉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소음이나 진동 또는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호 발신 또는 푸쉬 알림 등의 형태로 현재 감지된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S500).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는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상기 감지된 상황에 대한 감지 정보, 예를 들어 충격,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충격,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영상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상황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소음의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발생된 소음을 녹음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녹음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진동 또는 충격의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햅틱 모듈 또는 바이브레이션(vibration)을 구동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되는 햅틱 반응 또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500 단계에서, 모니터링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502),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전송된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502 단계의 확인 결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504).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메모리(170)에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외부의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음향 출력부(152a)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메모리(170)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외부의 서버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 신호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어부(180)는 동시에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제1 음향 출력부(152a) 및,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이용하여 스테레오(stereo)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들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음향 신호가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S502 단계의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라면, 현재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 주변을 감지한 결과로부터 판단된 상황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 주변을 감지한 결과, 초인종 소리 또는 오브젝트(200)를 두드리는 노크 등이 감지된 경우라면, 사용자로부터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누구세요?” 또는 “용건을 말씀하세요” 등의 멘트를 녹음할 수 있고,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마이크(122)를 통해 오브젝트(200) 주변의 소리를 녹음할 수도 있다.
한편, 만약 상기 오브젝트(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 대상체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를 무작위로 선출할 수 있으며, 상기 선출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음향 출력부(152a) 및,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이용하여 스테레오(stereo)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 주변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찰서 또는 경비실에 현재 상황을 알리는 기능, 즉 신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진동이나 소음, 또는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충격이 상기 오브젝트(200)에 가해지는 경우, 누군가가 강제로 침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경찰서 및 경비실 등에 현재 누군가가 강제로 침입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현재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아파트 호실 번호) 및,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또는 제2 카메라(121b)에서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경찰서 및 경비실 등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와 더불어 사이렌 소리나 알람 등의 경고음을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볼륨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동작 흐름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의 주변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가 동작하는 예를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오브젝트(200)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대상체(600)가 오브젝트(200) 주변에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카메라(121b)의 동작 상태를 촬영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카메라(121b)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영상을 메모리(170) 또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체(600)가 오브젝트 주변에서 감지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카메라(121b)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이처럼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대상체(600)에 대한 영상(610)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는, 도 6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표시하는 메뉴 화면(620)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들은 메뉴 화면(620)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경비실(Security) 또는 경찰서(Police)에 신고를 하는 기능(622)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능들은, 아이들 소리(children), 어른들 소리(people), 또는 청소기 소음(vacuum), TV 소음등과 같은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624)일 수 있다.
이러한 메뉴 화면(620)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6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청소기 소음(vacuum)”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오디오 데이터, 즉 “청소기 소음(650)”을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청소기 소음”은 제1 음향 출력부(152a) 및 제2 음향 출력부(152b)를 통해 번갈아 출력되며 스테레오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대상체(600)에게 집안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d)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 모두에서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서 감지되는 감지 결과를 모니터링 정보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각각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기능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이러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오브젝트(200)의 전면 및 후면 주변의 상황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오브젝트(200)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들(700, 702)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를 모두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오브젝트(200)에 기 설정된 상황(예를 들어 진동이나 소음, 충격이 감지되는 상황 또는 상기 대상체들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에 머무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200)에서 감지되는 상황 및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제1 카메라(121a)는 제1 대상체(700)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200)의 후면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제2 카메라(121b)는 제2 대상체(702)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에서 촬영된 영상들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되는 음향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300)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 방향에 위치한 아이(제1 대상체 : 700)의 부모인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아이가 외출을 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아이, 즉 아이(제1 대상체 : 70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자신의 외출에 대해 부모님, 즉 사용자에게 허락을 구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의 허락을 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가 외출한 시각 및, 오브젝트(200)의 후면 방향 영상을 수신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2 카메라(121b)를 통해, 자신의 아이(제1 대상체 : 700)와 같이 외출한 다른 사람(제2 대상체 : 702)에 관한 정보를 확인 및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연결 가능한 주변의 다른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8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과 관련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자신 및 주변의 다른 모니터링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니터링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200) 및 오브젝트(200)의 주변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니터링 기기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주변에 CCTV(810), 초인종(82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의 다른 모니터링 기기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러한 다른 모니터링 기기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오브젝트(200) 주변에서 대상체(800)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상황, 예를 들어 진동이나 소음, 충격이 감지되는 상황 또는 상기 대상체(8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오브젝트(200) 주변에 머무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체(900)가 감지된 방향, 즉 오브젝트의 후면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800)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주변의 다른 모니터링 기기들, 즉 CCTV(810), 초인종(820)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을 같이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모니터링 기기들(810, 920)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모니터링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는, 도 8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대상체(800)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카메라(121b)에서 촬영된 영상(852) 및 상기 다른 모니터링 기기들(810, 920)로부터 촬영된 영상들(854, 856)이 각각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카메라(121b) 및, 다른 모니터링 기기들(810, 820)로부터 촬영된 영상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찰서 또는 경비실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00)에 제공되는 모니터링 정보가 단지 오브젝트(200) 후면에 위치한 다른 모니터링 기기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포함되는 예를 보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오브젝트(200) 전면에 위치한 다른 모니터링 기기들이 있는 경우, 이러한 기기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300)는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즉 실내의 상황을 감지하는 모니터링 기기들 및 상기 오브젝트의 후면, 즉 실외의 상황을 감지하는 촬영하는 모니터링 기기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을 각각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오브젝트(20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상기 도 2a 및 2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는 달리, 오브젝트(200)의 후면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식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이, 상기 오브젝트(200)의 전면이 아니라 후면일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오브젝트의 어느 한 면에 장착되는 디바이스 본체;
    상기 디바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오브젝트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 대기 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촬영 활성화 모드로 전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의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다른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다른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및 후면 모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한 대상체들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두에서 감지되는 영상들을 상기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니터링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의 발생 시에, 상기 다른 모니터링 기기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더 수집하여 상기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다른 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은,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기능,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감지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 설정된 연락처에 따라 전송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단말기의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외출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그 상태가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전원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소음, 진동 또는 충격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소음,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과 함께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말기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상기 감지된 소음,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음,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장착된 상기 오브젝트 면의 반대쪽 면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기 대상체가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들 중 상기 대상체가 위치한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를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촬영 대기 모드로 전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20.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오브젝트 및 오브젝트의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대상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의 상황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 주변을 감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된 상황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상황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한 상황,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감지되는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한 상황 또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상황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7007509A 2014-10-27 2014-10-27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69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0135 WO2016068350A1 (ko) 2014-10-27 2014-10-27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113A true KR20170077113A (ko) 2017-07-05
KR101969804B1 KR101969804B1 (ko) 2019-04-17

Family

ID=5585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509A KR101969804B1 (ko) 2014-10-27 2014-10-27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82161B2 (ko)
KR (1) KR101969804B1 (ko)
WO (1) WO20160683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863B1 (ko) * 2018-06-29 2019-09-10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241027B1 (ko) * 2019-12-30 2021-04-15 박용덕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8667A1 (en) * 2015-04-16 2016-10-20 Offender Smartphone Monitoring, LLC Monitoring process
US10943419B2 (en) * 2019-02-15 2021-03-09 Nec Corporation Physical structure, state machine, and concepts of a RFID walk-through g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354A (ko) * 2006-06-02 2007-12-06 김기석 경보장치가 구비된 벽걸이 수족관 및 그 경보장치를 이용한 외부 침입자 감지방법
KR20120114489A (ko) * 2011-04-07 2012-10-17 채상우 온라인 블랙박스 인터폰 및 이용방법
KR101425598B1 (ko) * 2013-07-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581B2 (en) * 2002-10-15 2012-04-10 Revolutionary Concepts, Inc.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EP1989693B1 (en) * 2006-02-23 2010-08-11 Robert Bosch GmbH Audio module for a video surveillance system,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a plurality of locations under surveillance
KR20110077874A (ko) 2009-12-30 2011-07-07 (주)골드레이크에스엘 현관문 외부 감시장치
US20110292213A1 (en) * 2010-05-26 2011-12-01 Lacey James H Door mountable camera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US20130057695A1 (en) 2011-09-07 2013-03-07 Timothy J. Huis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locking a door and enabling two-way communications with a door security system via a smart phone
US10332059B2 (en) * 2013-03-14 2019-06-25 Google Llc Security scoring in a smart-sensored home
US9065987B2 (en) * 2013-07-26 2015-06-23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354A (ko) * 2006-06-02 2007-12-06 김기석 경보장치가 구비된 벽걸이 수족관 및 그 경보장치를 이용한 외부 침입자 감지방법
KR20120114489A (ko) * 2011-04-07 2012-10-17 채상우 온라인 블랙박스 인터폰 및 이용방법
KR101425598B1 (ko) * 2013-07-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863B1 (ko) * 2018-06-29 2019-09-10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241027B1 (ko) * 2019-12-30 2021-04-15 박용덕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18265A1 (en) 2017-11-02
WO2016068350A1 (ko) 2016-05-06
KR101969804B1 (ko) 2019-04-17
US10582161B2 (en)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298B1 (ko)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비디오 장면의 공유
US11132877B2 (en) Doorbell communities
US9230424B1 (en) Doorbell communities
CA2909892C (en) Security and/or monitoring devices and systems
US10540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emote presence security
US20170330439A1 (en) Alarm method and device, control device and sensing device
KR20100091758A (ko) 감시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감시방법
KR101969804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5328541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N111002945B (zh) 处理与车辆的周围环境相关联的参数的方法和车辆系统
US10043377B2 (en) Monitoring system
US11004312B2 (en) Doorbell communities
KR101482620B1 (ko)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20230245536A1 (en) Doorbell communities
US11030879B2 (en) Environment-aware monitor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mersive environments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6876122B2 (ja) 無線音声/ビデオ記録及び通信デバイスについての無線スピーカデバイス
KR20060124232A (ko) 이동통신단말기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 내외장형탐지센서를 이용한 침입탐지 및 방범 시스템
KR20200049189A (ko) 가전 기기
KR201601029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안 시스템
KR20200092829A (ko) 유무선 겸용 비상 알람 시스템
KR101372862B1 (ko)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CN113450521B (zh) 入侵者的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TWI586166B (zh) Mobile indoor monitoring device
US20240177579A1 (en) Doorbell comm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