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096A - 접철식 기기 - Google Patents
접철식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7096A KR20170077096A KR1020170080341A KR20170080341A KR20170077096A KR 20170077096 A KR20170077096 A KR 20170077096A KR 1020170080341 A KR1020170080341 A KR 1020170080341A KR 20170080341 A KR20170080341 A KR 20170080341A KR 20170077096 A KR20170077096 A KR 201700770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ies
- hinge
- support
- folded
- flexible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접철식 기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며 펼쳐진 위치와 그 내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물방울 형태로 수납하는 접힌 위치로 전환되는 제1, 제2몸체를 구비한다. 제1, 제2몸체에는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 제3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위치에 유지되고,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면 제3부분으로부터 멀어져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위치로 이동되는 제1, 제2지지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채용한 접철식 기기가 개시된다.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접철식 기기(이하, 모바일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두 개의 몸체가 접철 구조에 의하여 연결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철 구조를 가로질러 두 개의 몸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라 하더라도 완전히 꺽어지면(즉, 각지게 구부러지면) 소자 자체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만곡부가 형성된다.
작은 크기로 휴대가 가능한 접철식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평탄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접철식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둔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화면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접철식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접철식 기기는, 제1,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축;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고정되는 제1, 제2고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힌 위치와 펼쳐진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상기 제3부분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만곡부 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제3부분을 수용하는 수납공간을 상기 제1, 제2몸체 내에 형성하는 수납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 제2지지부;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상기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 상기 지지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면 상기 수납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규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서로 마주보고 근접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제2몸체의 내부로 구부러지면서 물방울 모양으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동기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제1, 제2기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상기 제1, 제2몸체를 상기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경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납 개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상기 경사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규제 유닛은,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각각 지지하고, 각각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 제2지지아암; 상기 제1, 제2지지아암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제2 가이드 핀; 상기 제1, 제2몸체와 함께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제2가이드 핀을 안내하여, 상기 제1, 제2지지아암이 상기 지지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지지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지지구간과 상기 제1, 제2지지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제2지지아암이 상기 제1, 제2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허용하는 수납구간을 구비하는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지지아암 각각은, 상기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링크아암; 일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 핀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아암과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부와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링크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제 유닛은,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위치에 대응되는 제1캠궤적과 상기 수납위치에 대응되는 제2캠궤적을 구비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과 연결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풀리;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랙기어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굽힘 탄성을 갖는 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접철과정에서 상기 제1, 제2몸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접철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힌지축에 대한 이동량을 규제하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로차 보상유닛은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펼쳐진 위치에서 전환위치까지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환위치에서 상기 접힌 위치까지는 상기 힌지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환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상기 수납 개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상기 제1힌지축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된 제1힌지유닛; 상기 제2힌지축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된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몸체는 각각 상기 제1, 제2힌지유닛에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힌지유닛은,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회전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제1, 제2힌지 프레임; 상기 제1, 제2힌지 프레임에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몸체는 상기 제1, 제2이동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로차 보상 유닛은,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는 규제 핀; 상기 제1, 제2규제 핀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제2몸체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제2몸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제2몸체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접철식 기기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각각 고정되며, 펼쳐진 위치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서로 마주보고 근접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제2몸체의 내부로 구부러지면서 물방울 모양으로 구부러져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접힌 위치를 갖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3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 상기 제3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면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위치로 이동되는 제1,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몸체는 각각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펼쳐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기기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동기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제1, 제2기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상기 제1, 제2몸체를 상기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경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납 개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상기 경사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몸체는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접철과정에서 상기 제1, 제2몸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접철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한 이동량을 규제하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접철식 기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두 몸체 내에 안정적으로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두 몸체가 펼쳐진 위치, 및 접힌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의 경사 위치에서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화면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접철식 기기가 예를 들어 90도로 접힌 상태의 모식도들이다.
도 6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힌지유닛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로킹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로서, 도 10a는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 도 10b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 도 10c는 제1, 제2몸체가 접힌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0d는 도 10a에 도시된 구조에 따른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로서, 도 11a는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 도 11b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 도 11c는 제1, 제2몸체가 접힌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d는 도 11a에 도시된 구조에 따른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a는 제1규제 핀과 제1규제 슬롯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E-E' 단면도이다.
도 13은 규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1, 제2지지아암이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두 개의 링크아암을 채용한 규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6a, 도 16b, 도 16c는 규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17은 이동 지지부재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a와 도 18b는 도 17의 F-F' 단면도들로서, 이동 지지부재가 제2위치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접철식 기기가 예를 들어 90도로 접힌 상태의 모식도들이다.
도 6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힌지유닛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로킹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로서, 도 10a는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 도 10b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 도 10c는 제1, 제2몸체가 접힌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0d는 도 10a에 도시된 구조에 따른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로서, 도 11a는 제1, 제2몸체가 펼쳐진 상태, 도 11b는 제1, 제2몸체가 제1, 제2힌지축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 도 11c는 제1, 제2몸체가 접힌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d는 도 11a에 도시된 구조에 따른 제1, 제2몸체의 접힘 각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a는 제1규제 핀과 제1규제 슬롯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E-E' 단면도이다.
도 13은 규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1, 제2지지아암이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두 개의 링크아암을 채용한 규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6a, 도 16b, 도 16c는 규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17은 이동 지지부재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a와 도 18b는 도 17의 F-F' 단면도들로서, 이동 지지부재가 제2위치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접철식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접철식 기기는 제1, 제2몸체(1)(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를 구비한다. 제1, 제2몸체(1)(2)는 도 2에 도시된 펼쳐진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접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도 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의 외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은 예를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구조일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유기 발광층이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광이 출사되는 측인 상부기판 상에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터치 패널(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패널(42)은 투명 보호 패널(43)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1), 터치 패널(42), 및 투명 보호 패널(43)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층(OCA: optically clear adhessive layer)(미도시)에 의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다양한 광학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부분적으로 제1몸체(1)와 제2몸체(2)에 고정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제1몸체(1)에 고정된 제1부분(4a)과 제2몸체(2)에 고정된 제2부분(4b) 및 제1몸체(1)와 제2몸체(2) 사이의 제3부분(4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몸체(1)는 제1부분(4a)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1a)를 구비하며, 제2몸체(2)는 제2부분(4b)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2a)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1부분(4a)과 제2부분(4b)은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의 부착수단에 의하여 제1고정부(1a)와 제2고정부(2a)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제1몸체(1) 또는 제2몸체(2)에 고정되지 않는다. 즉, 제3부분(4c)은 제1, 제2몸체(1)(2)에 접착되지 않는다. 제1, 제2몸체(1)(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3부분(4c)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진 만곡부(4d)를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완전히 꺽어지지 않으며, 제3부분(4c)이 만곡부(4d)를 형성하여 구부러지거나 또는 펴짐으로써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와 펼쳐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에서 플렉스블 디스플레이 소자(4)를 제1, 제2몸체(1)(2) 내부의 수납공간(3)에 수납할 수 있어 컴팩트한 크기의 휴대가 용이한 접철식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접철식 기기는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1부분(4a)과 제2부분(4b)이 서로 마주보고 근접되게 위치되고, 제3부분(4c)은 제1, 제2부분(4a)(4b)으로부터 제1, 제2몸체(1)(2) 내부로 구부러지면서 물방울 모양으로 수납공간(3) 내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접힌 상태에서 매우 컴팩트한 접철식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는 힌지유닛(5)에 의하여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로 전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유닛(5)은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힌지축은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힌지축(5a-1)(5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는 각각 제1, 제2힌지축(5a-1)(5a-2)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접철식 기기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접철식 기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3)의 일부(4a)가 고정되는 제1몸체(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일부(4b)가 고정되고 제1몸체(1)에 대하여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2몸체(2)를 구비하는 어떠한 기기라도 무방하다.
제1, 제2몸체(1)(2)에는 접철식 기기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유닛(미도시) 및 입출력 수단(미도시)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접철식 기기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영상정보처리부(미도시) 및 음향정보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철식 기기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수단은 영상 입출력부(미도시)와 음향 입출력부(미도시)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통합된 터치 패널(4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와 도 5b는 접철식 기기가 예를 들어 90도로 접힌 상태의 모식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제2몸체(1)(2)가 접철되는 과정에서 제1, 제2몸체(1)(2)의 접철 경로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접철경로에 차이(접철경로차)가 생긴다. 예를 들어, 제1, 제2몸체(1)(2)가 예를 들어 90도로 접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전체적으로 제1, 제2몸체(1)(2)에 고정되어 있다면, 도 5에 점선(4e)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분(4c)이 직각으로 꺽이게 된다. 이 경우, 접철 경로차는 "0"이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완전히 꺽어지면 영구 변형되거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따라서, 접철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제1, 제2몸체(1)(2)에 고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그 탄성에 의하여 도 5a에 실선(4f)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R)을 가지는 원호형태가 된다. 점선(4e)으로 표시된 부분과 실선(4f)으로 표시된 부분의 길이 차이(4g)가 접철경로차이며, 2R-2πR/4가 된다. 이하에서는 접철경로차를 참조부호 4g로 표시한다. 만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2부분(4b)이 제2몸체(2)에 고정되어 있고 제1부분(4a)은 제1몸체(1)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접철경로차(4g)만큼 제1몸체(1)의 단부쪽으로 밀린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참조부로 4f로 표시된 바와 같은 자연스러운 인벤딩(in-bending) 상태가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1, 제2부분(4a)(4b)이 각각 제1, 제2몸체(1)(2)에 고정되어 있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벤딩과 아웃벤딩(out-bending)이 모두 존재하는 울룩불룩하게 구부러진 굴곡부(4h)가 생기게 된다. 굴곡부(4h)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영구적인 변형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몸체(1)(2)가 예를 들어 90도와 180도 사이의 소정의 열림 각도에서 사용될 때에 굴곡부(4h)에서 화면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인벤딩과 아웃벤딩이 반복되면 굴곡부(4h)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영구변형이나 손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제1몸체(1)의 길이를 접철경로차(4g)만큼 연장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1부분(4a)이 제1몸체(1)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에 따르면,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몸체(1)의 단부로부터 접철경로차(4g)만큼의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외관 품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철과정에서 제1, 제2몸체(1)(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을 접철경로차(4g)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몸체(1)(2)가 접힐 때에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만곡부(4d)를 이루면서 제1, 제2몸체(1)(2) 내의 수납공간(3)에 수납되기 시작하면 다시 제1, 제2힌지축(5a-1)(5a-2)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질 때에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의 만곡부(4d)가 펴지면서 제1, 제2몸체(1)(2) 내에 수납공간(3)으로부터 나오기 시작하면 다시 제1, 제2힌지축(5a-1)(5a-2)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철식 기기는 접철과정에서 접철경로차(4g)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1, 제2몸체(1)(2)의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이동량을 규제하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경로차 보상유닛은 제1, 제2몸체(1)(2) 중 적어도 하나를 펼쳐진 위치에서 전환위치까지는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환위치에서 접힌 위치까지는 제1, 제2힌지축(5a-1)(5a-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환위치는 후술하는 제1, 제2지지부(1b)(2b)수납 개시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환위치에서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수납 개시 위치에서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열림 각도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경로차 보상유닛의 실시예에 대하여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2몸체(1)(2)에는 펼쳐진 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제1, 제2지지부(1b)(2b)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지지부(1b)(2b)는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위치되면, 제1, 제2몸체(1)(2)의 내부에 만곡부(4d)를 수용하는 수납공간(3)을 형성하는 위치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펼쳐진 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평탄하게 지지되며, 접힌 위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컴팩트하게 제1, 제2몸체(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제2지지부(1b)(2b)는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각도가 180도에서 수납 개시 각도(수납 개시 위치) 사이일 때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위치(도 2)에 유지되고,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각도가 수납 개시 각도보다 작아지면 수납공간(3)을 형성하는 수납위치(도 3)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접철식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수납 개시 각도는 예를 들어 90도 정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90도보다 약간 크거나 또는 작을 수도 있다. 후술하는 경사 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수납 개시 각도는 경사 위치에서의 열림 각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은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철식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와 커버부재(8)는 생략된다. 도 8은 힌지유닛(5)의 분해 사시도이다. 힌지유닛(5)은 접철식 기기의 폭방항(W)으로 좌우 대칭이므로 도 8에서는 폭방향(W)의 일측만이 도시된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힌지유닛(5)은 제1, 제2힌지축(5a-1)(5a-2)을 구비하는 고정힌지(5-3)를 구비한다. 고정힌지(5-3)는 회전 및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제1, 제2몸체(1)(2)의 이동과 회전의 기준이 된다. 힌지유닛(5)은 제1힌지축(5a-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힌지유닛(5-1)과, 제2힌지축(5a-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유닛(5-2)을 더 구비한다. 고정힌지(5-3)는 제1, 제2힌지축(5a-1)(5a-2)을 구비한다. 고정힌지(5-3)는 차단판(5a-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2힌지축(5a-1)(5a-2)은 차단판(5a-3)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제2힌지축(5a-1)(5a-2)은 차단판(5a-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5a-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폭방향(W)의 측부에 위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폭방향(W)의 단부와 제1, 제2몸체(1)(2)와의 틈새를 가린다. 이에 의하여 틈새를 통하여 접철식 기기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틈새를 통하여 접철식 기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제1몸체(1)는 제1힌지유닛(5-1)과 연결되고, 제2몸체(2)는 제2힌지유닛(5-2)과 연결된다. 제1몸체(1)는 제1하부 케이스(1-1)와 제1상부 케이스(1-2)를 구비한다. 제1상부 케이스(1-2)는 제1고정부(1a)와 제1지지부(1b)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1b)는 제1상부 케이스(1-1)에 지지위치와 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제2몸체(2)는 제2하부 케이스(2-1)와 제2상부 케이스(2-2)를 구비한다. 제2상부 케이스(2-2)는 제2고정부(2a)와 제2지지부(2b)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2b)는 제2상부 케이스(2-2)에 지지위치와 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힌지유닛(5-1)은 제1힌지 프레임(51-1)을 구비한다. 제1힌지축(5a-1)은 제1힌지 프레임(51-1)에 마련된 제1관통공(51-1a)에 삽입된다. 제1관통공(51-1a)의 직경은 제1힌지 프레임(51-1)이 제1힌지축(5a-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1힌지 프레임(51-1)은 제1힌지축(5a-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힌지 프레임(51-1)에는 제1이동 프레임(52-1)이 제1힌지축(5a-1)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제1힌지 프레임(51-1)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 샤프트(53-1)가 설치되며, 제1이동 프레임(52-1)은 제1가이드 샤프트(53-1)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하부 케이스(1-1)과 제1상부 케이스(1-2)가 각각 제1이동 프레임(52-1)의 아래와 위에서 제1이동 프레임(52-1)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하부 케이스(1-1)과 제1상부 케이스(1-2) 중 어느 하나가 제1이동 프레임(52-1) 및 다른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제1몸체(1)가 제1힌지유닛(5-1)에 제1힌지축(5a-1)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제2힌지유닛(5-2)은 제2힌지 프레임(51-2)을 구비한다. 제2힌지축(5a-2)은 제2힌지 프레임(51-2)에 마련된 제2관통공(51-2a)에 삽입된다. 관통공(51-2a)의 직경은 제2힌지 프레임(51-2)이 제2힌지축(5a-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2힌지 프레임(51-2)은 제2힌지축(5a-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2힌지 프레임(51-2)에는 제2이동 프레임(52-2)이 제2힌지축(5a-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제2힌지 프레임(51-2)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 샤프트(53-2)가 설치되며, 제2이동 프레임(52-2)은 제2가이드 샤프트(53-2)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2하부 케이스(2-1)과 제2상부 케이스(2-2)가 각각 제2이동 프레임(52-2)의 아래와 위에서 제2이동 프레임(52-2)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2하부 케이스(2-1)과 제2상부 케이스(2-2) 중 어느 하나가 제2이동 프레임(52-2) 및 다른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제2몸체(2)가 제2힌지유닛(5-2)에 제2힌지축(5a-2)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제1, 제2힌지프레임(51-1)(51-2)에는 제1, 제2관통공(51-1a)(51-2a)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제2기어부(51-1b)(51-2b)가 각각 마련된다. 제1, 제2기어부(51-1b)(51-2b)는 서로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제2몸체(1)(2)가 서로 동기되어 제1, 제2힌지축(5a-1)(5a-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접철식 기기는 제1, 제2몸체(1)(2)를 다수의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유닛은 제1, 제2몸체(1)(2)를 완전히 펼쳐진 위치(도 2)와, 완전히 접힌 위치(도 3)에 로킹시킬 수 있다. 로킹유닛은 또한 제1, 제2몸체(1)(2)를 완전히 펼쳐진 위치(도 2)와 완전히 접힌 위치(도 3) 사이의 소정의 열림 각도를 가진 위치(경사 위치)에 더 로킹시킬 수도 있다. 경사 위치의 열림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로킹 유닛은 180도와 90도 사이의 다수의 경사 위치에 제1, 제2몸체(1)(2)를 로킹시킬 수 있다. 경사 위치의 열림 각도는 예를 들어 120도일 수 있다.
도 8에는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로킹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로킹 유닛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는 로킹부재(5c)와, 제1, 제2몸체(1)(2)와 함께 회전되면서 로킹부재(5c)에 걸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부재(5c)는 예를 들어, 제1, 제2몸체(1)(2)를 펼쳐진 위치, 경사위치, 및 접힌 위치에 각각 로킹시키는 로킹부(5c-1)(5c-2)(5c-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걸림부재는 제1, 제2몸체(1)(2)의 열림 각도에 따라 로킹부(5c-1)(5c-2)(5c-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제2걸림부재(54-1)(54-2)를 구비할 수 있다.
로킹부재(5c)는 고정된 위치에 위치된다. 로킹부재(5c)는 고정힌지(5-3)에 마련된다. 로킹부재(5c)는 제1, 제2힌지축(5a-1)(5a-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힌지축(5a-1)(5a-2)이 로킹 부재(5c)에 마련된 관통공(5c-4)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하여 로킹부재(5c)는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
제1, 제2걸림부재(54-1)(54-2)는 제1, 제2몸체(1)(2)와 함께 제1, 제2힌지축(5a-1)(5a-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제2걸림부재(54-1)(54-2)는 로킹부재(5c)에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제1, 제2힌지 프레임(51-1)(51-2)에 지지된다. 제1, 제2탄성부재(55-1)(55-2)는 제1, 제2걸림부재(54-1)(54-2)가 로킹부(5c-1)(5c-2)(5c-3)에 걸리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제2걸림부재(54-1)(54-2)에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걸림부재(54-1)(54-2)는 제1, 제2 가이드 샤프트(53-1)(53-2)에 고정된다. 제1, 제2가이드 샤프트(53-1)(53-2)는 로킹부재(5c)에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제1, 제2힌지 프레임(51-1)(51-2)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기어(51-2a)(51-2b)에 의하여 동기되어 회전되므로, 제1, 제2몸체(1)(2) 중 어느 하나만을 로킹시키면 된다. 따라서, 제1, 제2걸림부재(54-1)(54-2) 중 어느 하나만이 로킹부(5c-1)(5c-2)(5c-3)에 걸리면 제1, 제2몸체(1)(2)를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되면, 제2걸림부재(54-2)가 로킹부(5c-1)에 걸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기어(51-2a)(51-2b)에 의하여 동기되어 회전되므로, 제2몸체(2)가 펼쳐진 위치에 로킹되면 제1몸체(1)도 함께 펼쳐진 위치에 로킹된다.
제1, 제2몸체(1)(2)가 접히기 시작하면, 제2걸림부재(54-2)가 제2탄성부재(55-2)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로킹부(5c-1)로부터 이탈된다. 제1, 제2몸체(1)(2)가 경사 위치, 예를 들어 열림 각도 120도 위치에 도달되면, 제1걸림부재(54-1)가 로킹부(5c-2)에 걸린다. 따라서, 제1, 제2몸체(1)(2)는 경사 위치에 로킹된다.
제1, 제2몸체(1)(2)가 계속하여 접히면, 제1걸림부재(54-1)가 제1탄성부재(55-1)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로킹부(5c-2)로부터 이탈된다.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도달되면, 제1, 제2걸림부재(54-1)(54-2)가 한 쌍의 로킹부(5c-3)에 걸린다. 따라서, 제1, 제2몸체(1)(2)는 접힌 위치에 로킹된다.
이와 같이, 접철식 기기를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에 로킹시킴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철식 기기를 소정의 경사 각도에서 로킹시킴으로써 접철식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 각도에 대응되는 하나의 로킹부(5c-2)를 구비하는 로킹부재(5c)가 채용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둘 이상의 로킹부(5c-2)를 마련함으로써 접철식 기기를 둘 이상의 경사각도를 갖는 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는 접철과정에서 접철경로차(4g)를 보상하기 위하여 힌지축, 예를 들어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한 이동량이 규제된다. 이를 위하여 접철식 기기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구비한다. 경로차 보상유닛은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펼쳐진 위치에서 전환위치까지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환위치에서 상기 접힌 위치까지는 상기 힌지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경로차 보상 유닛은,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시 말하면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는) 규제 핀과, 제1, 제2몸체(1)(2)와 함께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회전되고 이동되는 규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규제 슬롯은 제1, 제2몸체(1)(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제2몸체(1)(2)의 이동량을 규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10a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상태, 도 10b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 도 10c는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접철식 기기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이동된다. 도 10a, 10b, 10c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생략된다. 도 10d는 제1, 제2몸체(1)(2)의 접힘 각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a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는 제1, 제2가이드 샤프트(53-1)(5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의 이동량은 경로차 보상 유닛에 의하여 규제된다. 경로차 보상유닛은 고정된 위치를 갖는 제1, 제2규제핀(5b-1)(5b-2)과, 제1, 제2몸체(1)(2)와 함께 회전 및 이동되는 제1, 제2규제 슬롯(1c)(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규제 슬롯(1c)(2c)은 제1, 제2몸체(1)(2) 또는 제1, 제2이동 프레임(도 8: 52-1, 52-2)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각각 제1, 제2규제 슬롯(1c)(2c)에 삽입된다. 제1, 제2규제 슬롯(1c)(2c)은 제1단부(1c-1)(2c-1)와 제2단부(1c-2)(2c-2)를 각각 구비한다. 펼쳐진 위치에서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각각 제1단부(1c-1)(2c-1)에 위치되며, 접힌 위치에서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각각 제2단부(1c-2)(2c-2)에 위치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규제 슬롯(1c)(2c)은 제1, 제2몸체(1)(2)의 길이방향(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제1, 제2힌지축(5a-1)(5a-2)을 연결하는 선(X1)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제2몸체(1)(2)가 접철될 때의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한 이동 거리는 도 10d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각도 90도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인 형태가 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접철 경로차(4g)는 "0"이며,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제1단부(1c-2)(2c-1)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히기 시작하면, 제1. 제2규제 핀(5b-1)(5b-2)과 제1, 제2규제 슬롯(1c)(2c)에 의하여 안내되어 제1, 제2몸체(1)(2)는 점차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멀어진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예를 들어 90도를 이루는 상태가 되면,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가운데에 위치되고, 제1, 제2몸체(1)(2)는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도달된다. 제1, 제2몸체(1)(2)가 계속하여 접히면, 제1, 제2몸체(1)(2)가 점차 제1, 제2힌지축(5a-1)(5a-2) 쪽으로 가까워진다. 제1, 제2몸체(1)(2)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히면,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제2단부(1c-2)(2c-2)에 도달된다.
이와 같이, 접철과정에서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멀어지다가 다시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접철경로차(4g)를 보상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자연스러운 곡면 형태로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몸체(1)(2)가 소정의 펼침 각도를 이루는 상태에서 접철식 기기가 사용될 때에 제3부분(4c)이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루므로, 화면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제1, 제2규제슬롯(1c)(2c)의 형태는 도 10a에 도시된 직선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제2몸체(1)(2)의 접철 구조에 따른 접철경로차(4g)를 보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11a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상태, 도 11b는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 도 11c는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a, 11b, 11c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생략된다. 도 11d는 제1, 제2몸체(1)(2)의 접힘 각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제2규제 슬롯(1c)(2c)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 사이의 각도 예를 들어 90도까지의 접철과정에 대응되는 제1구간(1c-a)(2c-a)과, 제1, 제2몸체(1)(2) 사이의 각도 90도에서 접힌 상태까지의 접철과정에 대응되는 제2구간(1c-b)(2c-b)을 구비한다. 제1, 제2힌지축(5a-1)(5a-2)을 중심으로 제1, 제2몸체(1)(2)가 회전되어 접철되는 구조의 경우, 제1, 제2몸체(1)(2)가 접힐 때에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인 구간, 즉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 개시 각도, 예를 들어 90도까지의 구간에서는 제1, 제2지지부(1b)(2b)가 지지위치에 유지되므로 접철경로차(4g)가 급격히 증가한다. 제1, 제2몸체(1)(2)의 각도가 수납 개시 각도보다 작아지면, 제1, 제2지지부(1b)(2b)가 수납공간(3)을 형성하는 수납위치로 회동되어 접철경로차(4g)가 수납공간(3)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구간(1c-a)(2c-a)은 접철과정에서의 접철경로차(4g)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제1, 제2몸체(1)(2)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아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수납공간(3) 내에 수납되므로 접철 경로차(4g)가 수납공간(3)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화되므로, 제2구간(1c-b)(2c-b)은 제1구간(1c-a)(2c-a)에 비하여 접철 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한 엄격한 프로파일을 가질 필요는 없다. 제2구간(1c-b)(2c-b)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자연스럽게 만곡부(4d)를 이루면서 수납공간(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제2몸체(1)(2)를 이동시킬 수 있는 프로파일을 가지면 된다.
도 11a에 도시된 형태의 제1, 제2규제슬롯(1c)(2c)에 따르면, 제1, 제2몸체(1)(2)가 접철될 때의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한 이동 거리는 도 11d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90도 각도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형태가 된다. 즉, 제1, 제2몸체(1)(2)가 제1구간(1c-a)(2c-a)에 의하여 안내될 때에 이동 거리의 변화량, 즉 도 11d에서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곡선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커지며, 제1, 제2몸체(1)(2)가 제2구간(1c-b)(2c-b)에 의하여 안내될 때에는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변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접철 경로차(4g)는 "0"이며,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제1단부(1c-2)(2c-1)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가 제1, 제2힌지축(5a-1)(5a-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히기 시작하면, 제1. 제2규제 핀(5b-1)(5b-2)과 제1구간(1c-a)(2c-a)의 작용에 의하여 제1, 제2몸체(1)(2)는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급격하게 멀어진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90도를 이루는 상태가 되면,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가운데, 즉 제1구간(1c-a)(2c-a)과 제2구간(1c-b)(2c-b)의 경계에 위치되고, 제1, 제2몸체(1)(2)는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도달된다. 제1, 제2몸체(1)(2)가 계속하여 접히면,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2구간(1c-b)(2c-b)에 의하여 안내되며, 제1, 제2몸체(1)(2)가 점차 제1, 제2힌지축(5a-1)(5a-2)쪽으로 가까워진다. 제1, 제2몸체(1)(2)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히면, 제1, 제2규제 핀(5b-1)(5b-2)은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제2단부(1c-2)(2c-2)에 도달된다.
이외에도 제1, 제2규제 슬롯(1c)(2c)의 형상은 접철 각도에 따른 제1, 제2몸체(1)(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접철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2a는 제1규제 핀(5b-1)과 제1규제 슬롯(1c)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E-E' 단면도이다. 전술한 경로차 보상 유닛의 일 구현예를 도 8, 도 12a, 및 도 12b를 보면서 설명한다.
도 8, 도 12a,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제2핀부재(5d-1)(5d-2)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제2핀부재(5d-1)(5d-2)에는 제1, 제2규제 핀(5b-1)(5b-2)이 각각 마련된다. 제1, 제2핀부재(5d-1)(5d-2)는 고정힌지(5-3)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제2핀부재(5d-1)(5d-2)는 로킹부재(5c)의 관통공(5c-3)에 삽입되고, 체결부재(5e)에 의하여 제1, 제2힌지축(5a-1)(5a-2)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제2 규제핀(5b-1)(5b-2)은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제1이동 프레임(54-1)의 제1 힌지축(5a-1) 쪽의 단부에 도 11a에 도시된 형태의 제1구간(1c-a)과 제2구간(1c-b)을 구비하는 제1 규제 슬롯(1c)이 마련된다. 제1 규제 핀(5b-1)은 제1 규제 슬롯(1c)에 삽입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괄호 안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이동 프레임(52-2)에도 도 11a에 도시된 형태의 제1구간(2c-a)과 제2구간(2c-b)을 구비하는 제2 규제 슬롯(2c)이 마련된다. 제2 규제 핀(5b-2)은 제2 규제 슬롯(2c)에 삽입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경로차 보상 유닛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규제 슬롯(1c)(2c)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제2몸체(1)(2)의 접철과정에서의 접철경로차(4g)를 감안하여 접철경로차(4g)를 보상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지지부(1b)(2b)는 지지위치와 수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2지지부(1b)(2b)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대에 지지위치에 위치되며,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위치된 때에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경사 위치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제1, 제2지지부재(1b)(2b)는 펼쳐진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의 구간에서는 지지 위치에 유지되고, 경사 위치를 넘어서 접히면 수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개시 각도는 경사 위치에 대응되는 각도 이상일 수 있다. 접철식 기기가 90도보다 작은 열림 각도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제1, 제2지지부(1b)(2b)는 예를 들어 열림 각도 180도 ~ 90도 범위에서는 지지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접철식 기기는,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각도에 대응되는 수납 개시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제1, 제2지지부(1b)(2b)를 지지위치에 유지시키고,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 접힐 때에 제1, 제2지지부(1b)(2b)가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규제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규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에서는 제1지지부(1b)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만이 도시되나, 제2지지부(2b)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도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3에서는 괄호가 없이 표시된 참조부호는 제1지지부(1b)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며, 괄호 안에 표시된 참조부호는 제2지지부(2b)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의 구성요소를 표시한다.
도 13을 보면, 제1, 제2지지부(1b)(2b)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은 각각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은 고정힌지(5-3)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4는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이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의 일단부에는 제1, 제2피벗 핀(56-1a)(56-2a)이 각각 마련되고, 제1, 제2피벗 핀(56-1a)(56-2a)은 로킹 부재(5c)에 마련된 제1, 제2피벗 홀(5c-4a)(5c-4b)에 각각 회동될 수 있게 삽입된다.
제1, 제2지지아암(56-1)(56-2)에는 제1, 제2가이드 핀(56-1b)(56-2b)이 각각 마련된다. 제1, 제2가이드 핀(56-1b)(56-2b)은 제1, 제2가이드 슬롯(57-1)(57-2)에 각각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가이드 핀(56-1b)(56-2b)가 제1, 제2가이드 슬롯(57-1)(57-2)을 관통하여 제1, 제2지지부(1b)(2b)의 아래로 연장되어 제1, 제2지지부(1b)(2b)를 지지하나,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제2지지아암(56-1)(56-2)에 각각 제1, 제2지지부(1b)(2b)를 지지하는 지지돌기(56-1c)(56-2c)가 마련된 형태가 도시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57-1)(57-2)은 제1, 제2힌지 프레임(51-1)(51-2)에 각각 마련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57-1)(57-2)은 지지구간(57-1a)(57-2a)과 수납구간(57-1b)(57-2b)을 구비한다. 지지구간(57-1a)(57-2a)은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의 구간에 대응되며, 수납구간(57-1b)(57-2b)은 수납 개시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까지의 구간에 대응된다. 지지구간(57-1a)(57-2a)은 제1, 제2몸체(1)(2)가 수납 개시 위치까지 회동되는 동안에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이 제1, 제2지지부(1b)(2b)를 지지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수납구간(57-1b)(57-2b)은 제1, 제2몸체(1)(2)가 수납 개시 위치로부터 접힌위치로 회동되는 동안에 제1, 제2지지부(1b)(2b)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이 회동되어 제1, 제2지지부(1b)(2b)가 수납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지지부(1b)(2b)가 자중에 의하여 지지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회동되나, 제1, 제2지지부(1b)(2b)에 수납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채용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지지부(1b)(2b)가 지지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회동될 수도 있다.
도 13의 (a)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제1, 제2가이드 핀(56-1b)(56-2b)은 지지구간(57-1a)(57-2a)에 위치되고, 제1, 제2지지부(1b)(2b)는 제1, 제2지지아암(56-1)(56-2)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제1, 제2고정부(1a)(2a), 제1, 제2지지부(1b)(2b), 및 후술하는 이동 가이드부재(7)에 의하여 지지되어 평탄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의 (a)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가 접히기 시작하면, 제1, 제2몸체(1)(2)는 경로차 보상 유닛에 의하여 제1, 제2힌지축(5a-1)(5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제2몸체(1)(2)가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개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제1, 제2가이드 핀(56-1b)(56-2b)는 지지구간(57-1a)(57-2a)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은 제1, 제2지지부(1b)(2b)를 지지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제1, 제2몸체(1)(2)가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 접히면, 제1, 제2가이드 핀(56-1b)(56-2b)이 지지구간(57-1a)(57-2a)에 의하여 안내된다. 제1, 제2지지아암(56-1)(56-2)은 제1, 제2피벗 핀(56-1a)(56-2a)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제2지지부(1b)(2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제2지지부(1b)(2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 제2몸체(1)(2) 내에는 수납공간(도 3: 3)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제1, 제2몸체(1)(2)는 경로차 보상유닛에 의하여 제1, 제2힌지축(5a-1)(5a-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수납공간(3)으로 수납된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도달되면, 제1, 제2지지부(1b)(2b)가 수납위치에 도달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 내에는 수납공간(3)이 형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에는 만곡부(4d)가 형성되고, 수납공간(3)에 수납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57-1)(57-2)의 형태는 도 1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가이드 슬롯(57-1)(57-2)의 형태는 제1, 제2힌지축(5a-1)(5a-2)에 대한 제1, 제2피벗 홀(5c-4a)(5c-4b)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규제 유닛의 구조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에는 규제 유닛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규제 유닛은 두 개의 링크아암를 채용한다. 도 15에서는 제1지지부(1b)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만이 도시되나, 제2지지부(2b)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도 동일하다.
도 15를 보면, 제1, 제2링크아암(61)(62)이 도시되어 있다. 제1링크아암(61)은 제1힌지축(5a-1)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링크아암은(61)은 고정힌지(5-3)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링크아암(61)의 일단부에 마련된 피벗 핀(61a)이 도 14에 도시된 제1피벗 홀(5c-4a)에 회동될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다. 제2링크아암(62)의 일단부와 제1링크아암(61)의 타단부는 가이드 핀(63)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제2링크아암(62)의 타단부는 제1지지부(1b)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가이드 핀(63)은 가이드 슬롯(64)에 의하여 안내된다. 가이드 슬롯(64)은 예를 들어 제1힌지 프레임(51-1)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64)은 지지구간(64a)과 수납구간(64b)을 구비한다. 지지구간(64a)은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의 구간에 대응되며, 수납구간(64b)은 수납 개시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까지의 구간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제2링크아암(61)(62) 및 제1지지부(1b)는 3절 링크구조가 된다. 다시 말하면,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제2지지아암(56-1)(56-2) 각각이 제1, 제2링크아암(61)(62)를 구비하고, 제1, 제2가이드 핀(56-1b)(56-1b)이 제1, 제2링크아암(61)(62)을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하는 구조이다. 가이드 슬롯(64)는 삼절 링크 구조에 맞추어 도 13에 도시된 제1, 제2 가이드 슬롯(57-1)(57-2)을 변형한 형태이다.
도 15의 (a)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가이드 핀(63)은 지지구간(64a)에 위치되고, 제1지지부(1b)는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도 15의 (a)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가 접히기 시작하면, 제1몸체(1)는 경로차 보상 유닛에 의하여 제1힌지축(5a-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몸체(1)가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개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가이드 핀(63)는 지지구간(64a)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제1지지부(1b)는 지지 위치에 유지된다.
제1몸체(1)(2)가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 접히면, 가이드 핀(63)이 지지구간(64b)에 의하여 안내된다. 제1, 제2링크아암(61)(62)은 제1지지부(1b)를 수납위치쪽으로 당기며, 이에 의하여 제1지지부(1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 제2몸체(1)(2) 내에는 수납공간(도 3: 3)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제1몸체(1)는 경로차 보상유닛에 의하여 제1힌지축(5a-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수납공간(3)으로 수납된다.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도달되면, 제1지지부(1b)(2b)가 수납위치에 도달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 내에는 수납공간(3)이 형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에는 만곡부(4d)가 형성되고, 수납공간(3)에 수납된다.
도 16a, 16b, 16c는 규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6a, 16b, 16c에서는 제1지지부(1b)를 지지위치와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 구조는 제2지지부(2b)를 지지위치와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a, 16b, 16c를 참조하면, 연결부재(5j)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5j)는 예를 들어 와이어일 수 있다. 연결부재(5j)의 일단부(5j-1)는 제1힌지축(5a-1)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5j)의 타단부(5j-2)는 랙기어(5g)에 연결된다. 랙기어(5g)는 예를 들어 제1힌지 프레임(51-1)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5j)의 일단부(5j-1)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힌지(5-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힌지축(5a-1)에는 풀리(5f-1)가 마련된다. 연결부재(5j)는 풀리(5f-1)에 접촉되며, 제1, 제2몸체(1)(2)의 접철과정에서 풀리(5f-1)에 감긴다. 연결부재(5j)가 풀리(5f-1)에 감기면 연결부재(5j)와 풀리(5f-1)와의 접촉점으로부터 연결부재(5j)의 타단부(5j-2)와의 거리가 변하며, 랙기어(5g)가 슬라이딩된다.
연결부재(5j)의 일단부(5j-1)를 제2힌지프레임(51-2)에 연결하고 제2힌지축(5a-2)에도 풀리(5f-1)가 설치하면, 접철과정에서 연결부재(5j)가 풀리(5f-1)(5f-2)에 감기도록 함으로써 랙기어(5g)의 슬라이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귀스프링(5k)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질 때에 랙기어(5g)가 제1힌지축(5a-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랙기어(5g)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지지부(1b)는 회전캠(5h)에 의하여 지지된다. 회전캠(5h)에는 랙기어(5g)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5h-1)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랙기어(5g)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전캠(5h)이 회전된다. 회전캠(5h)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한 제1캠궤적(5h-2)과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감소하는 제2캠궤적(5h-3)이 마련된다. 제1지지부(1b)가 제1캠궤적(5h-2)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안 제1지지부(1b)는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제1지지부(1b)와 제1캠궤적(5h-2)과의 접촉이 종료되면, 제1지지부(1b)는 제2캠궤적(5h-3)에 의하여 지지되며 수납위치로 회동된다.
도 16a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제1지지부(1b)는 제1캠궤적(5h-2)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도 16a의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가 접히기 시작하면, 연결부재(5j)가 제1, 제2풀리(5f-1)(5f-2)에 감기기 시작한다. 그러면, 랙기어(5g)가 제1힌지축(5a-1)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회전캠(5h)이 회전된다. 제1, 제2몸체(1)(2)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개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제1지지부(1b)는 제1캠궤적(5h-2)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제1지지부(1b)는 지지위치에 유지된다.
제1, 제2몸체(1)(2)가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 접히면, 제1캠궤적(5h-2)과 제1지지부(1b)와의 접촉이 종료되고, 제1지지부(1b)가 제2캠궤적(5h-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면, 제1지지부(1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 제2몸체(1)(2) 내에는 수납공간(도 3: 3)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수납공간(3)으로 수납되기 시작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도달되면, 제1지지부(1b)가 수납위치에 도달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 내에는 수납공간(3)이 형성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에는 만곡부(4d)가 형성되고, 수납공간(3)에 수납된다.
복귀 스프링(5k)은 랙기어(5g)에 연결되어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5j)에 인장력을 가한다. 이에 의하여, 제1, 제2몸체(1)(2)를 펼칠 때에는 복귀 스프링(5k)의 탄성력에 의하여 랙기어(5g)가 접힐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회전캠(5h) 역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제1지지부(1b)는 수납 위치로부터 지지위치로 복귀된다.
연결부재(5j)로서 굽힘 탄성을 가진 띠(strip)을 채용하면,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질 때에 띠가 탄성에 의하여 펴지면서 랙기어(5g)를 접힐 때와 반대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5k)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재(8)는 제1, 제2힌지유닛(5-1)(5-2)이 마주하는 영역을 감싸서 접철식 기기의 내부 수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일 예로서, 커버부재(8)는 제1, 제2힌지유닛(5-1)(5-2)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연장부(81)와, 연장부(81)의 양단부에 위치된 측벽부(82)를 구비할 수 있다. 측벽부(82)를 외측으로 약간 벌려서 제1, 제2기어부(52-1b)(52-2b)를 감싸도록 커버부재(8)를 힌지유닛(5)에 결합한다. 이에 의하여 접철식 기기의 외관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하는 지지면(71)을 구비하는 이동 지지부재(7)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 지지부재(7)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하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이동 지지부재(7)는 제1, 제2지지부(1b)(2b) 사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한다.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로 전환되면, 이동 지지부재(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으로부터 이격되어 만곡부(4d)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3)을 형성하는 제2위치에 위치된다. 즉, 이동 지지부재(7)는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로 전환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이동 지지부재(7)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함으로써 제3부분(4c)이 평탄하게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동 지지부재(7)는 접철식 기기가 접힌 위치에서 펼쳐진 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상승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근접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접철식 기기가 소정의 경사 위치에서 사용될 때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제1, 제2지지부(1b)(2b)와 함께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제3부분(4c)에서의 화면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도 17은 이동 지지부재(7)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 지지부재(7)에는 제1, 제2몸체(1)(2)의 접철 방향, 즉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슬롯(72)이 마련된다. 제1, 제2힌지유닛(5-1)(5-2)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 부근에는 슬롯(72)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73-1)(73-2)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73-1)(73-2)는 제1, 제2힌지 프레임(51-1)(5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리브(74-1)(74-2)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 지지부재(7)에는 가이드부(73-1)(73-2)를 슬롯(72)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75)이 마련된다. 삽입홈(75)은 슬롯(72)의 길이방향(72L)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제1, 제2몸체(1)(2)가 접철되는 동안에 가이드부(73-1)(73-2)는 슬롯(72)의 길이방향(72L)으로 움직이는데, 가이드부(73-1)(73-2)의 이동 궤적은 삽입홈(72)과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부(73-1)(73-2)가 슬롯(72)에 삽입된 후에 이동 지지부재(7)가 승강되는 동안에 가이드부(73-1)(73-2)가 삽입홈(75)을 통하여 슬롯(7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18a와 도 18b는 도 17의 F-F' 단면도들로서, 이동 지지부재(7)가 제2위치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 제2몸체(1)(2)가 접힌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부(73-1)(73-2)는 서로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며, 이동 지지부재(7)는 제2위치에 위치된다. 제1, 제2지지부(1b)(2b)와 이동 지지부재(7)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공간(3)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만곡부(4d)가 수용된다.
도 18a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 제2몸체(1)(2)를 펼치면, 가이드부(73-1)(73-2)가 슬롯(72)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서로 접근되고, 이동 지지부재(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를 향하여 상승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속적으로 근접 지지한다. 이에 의하여, 경사 위치에서 접철식 기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제1, 제2고정부(1a)(2a), 제1, 제2지지부(1b)(2b), 및 이동 지지부재(7)의 지지면(7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몸체(1)(2)가 완전히 펼쳐지면, 이동 지지부재(7)는 제1위치에 위치되고 지지부(71)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가이드부(73-1)(73-2)와 슬롯(73)은 이동 지지부재(7)가 제1, 제2위치로 승강될 때에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철식 기기의 폭방향(W)으로 적어도 2개소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73-1)(73-2)의 슬롯(73)의 폭방향(72W)으로의 움직임은 구속되고, 길이방향(72L)으로의 움직임은 허용된다. 즉, 이동 지지부재(7)는 승강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가이드부(73-1)(73-2)에 의하여 구속된다. 따라서, 이동 지지부재(7)가 승강될 때에 승강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몸체(1)(2)가 펼쳐진 위치에 위치된 때에도 이동 지지부재(7)의 지지부(71)가 기울어지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평탄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2...제1, 제2몸체 1a, 2a...제1, 제2고정부
1b, 2b...제1, 제2지지부 1c, 2c...제1, 제2규제 슬롯
1c-a, 2c-a...제1구간 1c-b, 2c-b...제2구간
3...수납공간 4..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4a, 4b, 4c...제1, 제2, 제3부분 5...힌지유닛
5a-1, 5a-2...제1, 제2힌지축 5a-3...차단판
5b-1, 5-2...제1, 제2규제 핀 5c...로킹부재
5c-1, 5c-2, 5c-3...로킹부 5d-1, 5d-2...제1, 제2핀부재
5c-4a, 5c-4b...제1, 제2피벗 홀 5f-1, 5f-2...풀리
5g...랙기어 5h...회전 캠
5h-1...피니언 기어 5h-2...제1캠궤적
5h-3...제2캠궤적 5j...연결부재
5k...복귀 스프링 5-1, 5-2...제1, 제2힌지유닛
5-3...고정힌지 51-1, 51-2...제1, 제2힌지 프레임
51-1b, 51-2b...제1, 제2기어부 52-1, 52-2...제1, 제2이동 프레임
53-1, 53-2...제1, 제2가이드 샤프트 54-1, 54-2...제1, 제2걸림부재
55-1, 55-2...탄성부재 56-1, 56-2...제1, 제2지지아암
56-1a, 56-1b...제1, 제2피벗 핀 56-1b, 56-2b...제1, 제2가이드 핀
57-1, 57-2...제1, 제2가이드 슬롯 57-1a, 57-2a...지지구간
57-1b, 57-2b...수납구간 61, 62...제1, 제2링크아암
63...가이드 핀 64...가이드 슬롯
64a...지지구간 64b...수납구간
7...이동 지지부재 71...이동 지지부
72...슬롯 73-1, 73-2...한 쌍의 가이드부
8... 커버부재
1b, 2b...제1, 제2지지부 1c, 2c...제1, 제2규제 슬롯
1c-a, 2c-a...제1구간 1c-b, 2c-b...제2구간
3...수납공간 4..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4a, 4b, 4c...제1, 제2, 제3부분 5...힌지유닛
5a-1, 5a-2...제1, 제2힌지축 5a-3...차단판
5b-1, 5-2...제1, 제2규제 핀 5c...로킹부재
5c-1, 5c-2, 5c-3...로킹부 5d-1, 5d-2...제1, 제2핀부재
5c-4a, 5c-4b...제1, 제2피벗 홀 5f-1, 5f-2...풀리
5g...랙기어 5h...회전 캠
5h-1...피니언 기어 5h-2...제1캠궤적
5h-3...제2캠궤적 5j...연결부재
5k...복귀 스프링 5-1, 5-2...제1, 제2힌지유닛
5-3...고정힌지 51-1, 51-2...제1, 제2힌지 프레임
51-1b, 51-2b...제1, 제2기어부 52-1, 52-2...제1, 제2이동 프레임
53-1, 53-2...제1, 제2가이드 샤프트 54-1, 54-2...제1, 제2걸림부재
55-1, 55-2...탄성부재 56-1, 56-2...제1, 제2지지아암
56-1a, 56-1b...제1, 제2피벗 핀 56-1b, 56-2b...제1, 제2가이드 핀
57-1, 57-2...제1, 제2가이드 슬롯 57-1a, 57-2a...지지구간
57-1b, 57-2b...수납구간 61, 62...제1, 제2링크아암
63...가이드 핀 64...가이드 슬롯
64a...지지구간 64b...수납구간
7...이동 지지부재 71...이동 지지부
72...슬롯 73-1, 73-2...한 쌍의 가이드부
8... 커버부재
Claims (20)
- 제1,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축;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고정되는 제1, 제2고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힌 위치와 펼쳐진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상기 제3부분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만곡부 형태로 구부러진 상기 제3부분을 수용하는 수납공간을 상기 제1, 제2몸체 내에 형성하는 수납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 제2지지부;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상기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 상기 지지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면 상기 수납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규제 유닛;을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서로 마주보고 근접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제2몸체의 내부로 구부러지면서 물방울 모양으로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접철식 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동기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제1, 제2기어부;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몸체를 상기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경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납 개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상기 경사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 이하인 접철식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유닛은,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각각 지지하고, 각각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 제2지지아암;
상기 제1, 제2지지아암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제2 가이드 핀;
상기 제1, 제2몸체와 함께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제2가이드 핀을 안내하여, 상기 제1, 제2지지아암이 상기 지지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지지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지지구간과 상기 제1, 제2지지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제2지지아암이 상기 제1, 제2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허용하는 수납구간을 구비하는 제1, 제2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지지아암 각각은,
상기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링크아암;
일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 핀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아암과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부와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링크아암;을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유닛은,
상기 제1, 제2지지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위치에 대응되는 제1캠궤적과 상기 수납위치에 대응되는 제2캠궤적을 구비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과 연결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풀리;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몸체가 접철될 때에 상기 랙기어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굽힘 탄성을 갖는 띠 형상인 접철식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철과정에서 상기 제1, 제2몸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접철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힌지축에 대한 이동량을 규제하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차 보상유닛은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펼쳐진 위치에서 전환위치까지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환위치에서 상기 접힌 위치까지는 상기 힌지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철식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상기 수납 개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와 동일한 접철식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된 제1힌지유닛;
상기 제2힌지축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된 제2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몸체는 각각 상기 제1, 제2힌지유닛에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접철식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힌지유닛은,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회전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제1, 제2힌지 프레임;
상기 제1, 제2힌지 프레임에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 제2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몸체는 상기 제1, 제2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접철식 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차 보상 유닛은,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는 규제 핀;
상기 제1, 제2규제 핀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제2몸체와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제1, 제2몸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제2몸체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 슬롯;을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 제1부분,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제3부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각각 고정되며, 펼쳐진 위치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서로 마주보고 근접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제2몸체의 내부로 구부러지면서 물방울 모양으로 구부러져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접힌 위치를 갖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3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펼쳐진 위치로부터 수납 개시 위치까지 상기 제3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수납 개시 위치를 넘어서면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위치로 이동되는 제1,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기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몸체는 각각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펼쳐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1, 제2몸체가 서로 동기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제1, 제2기어부;를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몸체를 상기 펼쳐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경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납 개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는 상기 경사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몸체가 이루는 열림 각도 이하인 접철식 기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몸체는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접철식 기기. - 제19항에 있어서,
접철과정에서 상기 제1, 제2몸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접철경로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제2힌지축에 대한 이동량을 규제하는 경로차 보상유닛;을 더 구비하는 접철식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145135P | 2015-04-09 | 2015-04-09 | |
US62/145,135 | 2015-04-09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718A Division KR101752708B1 (ko) | 2015-04-09 | 2015-06-22 | 접철식 기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4485A Division KR102239278B1 (ko) | 2015-04-09 | 2019-04-16 | 접철식 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7096A true KR20170077096A (ko) | 2017-07-05 |
KR101971232B1 KR101971232B1 (ko) | 2019-04-22 |
Family
ID=572509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718A KR101752708B1 (ko) | 2015-04-09 | 2015-06-22 | 접철식 기기 |
KR1020170080341A KR101971232B1 (ko) | 2015-04-09 | 2017-06-26 | 접철식 기기 |
KR1020190044485A KR102239278B1 (ko) | 2015-04-09 | 2019-04-16 | 접철식 기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718A KR101752708B1 (ko) | 2015-04-09 | 2015-06-22 | 접철식 기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4485A KR102239278B1 (ko) | 2015-04-09 | 2019-04-16 | 접철식 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1752708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0244A (ko) * | 2018-03-20 | 2019-09-30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WO2020189843A1 (ko) * | 2019-03-19 | 2020-09-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N111899645A (zh) * | 2017-11-28 | 2020-11-06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和可折叠显示装置 |
WO2020226335A1 (ko) * | 2019-05-04 | 2020-11-12 | (주)에이유플렉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부 |
WO2021162402A1 (ko) * | 2020-02-14 | 2021-08-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1259428B2 (en) | 2019-06-03 | 2022-02-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
KR20230018755A (ko) * | 2021-07-30 | 2023-02-07 | 주식회사 에스코넥 | 인폴딩 타입 힌지 장치 및 이러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54377B2 (en) | 2017-04-05 | 2020-08-2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KR102583233B1 (ko) | 2018-02-12 | 2023-09-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표시 장치 |
KR102567096B1 (ko) | 2018-04-03 | 2023-08-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WO2020046025A2 (ko) * | 2018-08-29 | 2020-03-05 | (주)오라컴디스플레이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
KR102699648B1 (ko) * | 2018-08-29 | 2024-08-29 | (주)에이유플렉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
KR102290145B1 (ko) | 2018-09-19 | 2021-08-19 | 주식회사 케이티 | 하프 미러를 이용한 원통형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CN108922408B (zh) * | 2018-09-19 | 2024-02-27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折叠支撑装置及可折叠柔性显示装置 |
KR102582595B1 (ko) | 2018-10-02 | 2023-09-25 | 주식회사 케이티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KR102576840B1 (ko) | 2019-02-19 | 2023-09-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587600B1 (ko) | 2019-02-19 | 2023-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US10761572B1 (en) | 2019-03-25 | 2020-09-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WO2021007750A1 (zh) * | 2019-07-15 | 2021-01-21 |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 折叠装置及电子设备 |
US10545541B1 (en) * | 2019-05-06 | 2020-01-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
KR20200139066A (ko) * | 2019-06-03 | 2020-12-11 | (주)에이유플렉스 | 탄성구동체 |
KR102105823B1 (ko) * | 2019-06-25 | 2020-04-29 | 박명애 | 가변형 디스플레이 영상 송출 장치 |
KR102447047B1 (ko) | 2019-10-25 | 2022-09-27 | 주식회사 케이티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KR20210091541A (ko) * | 2020-01-14 | 2021-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힌지 부분에 배치된 회전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CN111352536B (zh) * | 2020-04-15 | 2024-10-15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电子设备 |
CN113586594B (zh) * | 2020-04-30 | 2022-06-0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组件、电子设备 |
KR102429036B1 (ko) * | 2020-05-27 | 2022-08-05 | (주)디비케이 |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220032780A (ko) * | 2020-09-08 | 2022-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KR20220084076A (ko) * | 2020-12-03 | 2022-06-21 |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
KR20220108244A (ko) * | 2021-01-25 | 2022-08-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485965B1 (ko) * | 2021-02-26 | 2023-01-10 | 주식회사 파츠텍 | 슬립형 폴더블 휴대단말기 |
CN113194183B (zh) * | 2021-05-21 | 2023-08-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折叠机构及电子设备 |
CN113870707B (zh) * | 2021-09-28 | 2023-09-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折叠机构及显示装置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44620A1 (en) * | 2010-08-17 | 2012-02-23 | Pantech Co., Ltd. | Mobile device |
US20120243207A1 (en) * | 2011-03-21 | 2012-09-27 | Wistron Corporation |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
US20130021762A1 (en) * | 2011-07-11 | 2013-01-24 | Polymer Vision B.V. |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
US20130037228A1 (en) * | 2011-07-11 | 2013-02-14 | Polymer Vision B.V. |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
US20140042293A1 (en) * | 2012-08-07 | 2014-02-13 | Polymer Vision B.V. |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
US20140111954A1 (en) * | 2012-10-19 | 2014-04-24 | Samsung Display Co., Ltd. | Foldable display device |
KR20140050504A (ko) * | 2012-10-19 | 2014-04-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접이식 표시 장치 |
KR101442622B1 (ko) * | 2013-05-21 | 2014-09-22 | 오재헌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
US20140355181A1 (en) * | 2013-05-28 | 2014-12-04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87016B2 (en) * | 2011-07-06 | 2014-07-22 | Apple Inc. | Flexible display devices |
-
2015
- 2015-06-22 KR KR1020150088718A patent/KR1017527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6-26 KR KR1020170080341A patent/KR101971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16 KR KR1020190044485A patent/KR1022392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44620A1 (en) * | 2010-08-17 | 2012-02-23 | Pantech Co., Ltd. | Mobile device |
US20120243207A1 (en) * | 2011-03-21 | 2012-09-27 | Wistron Corporation |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
US20130021762A1 (en) * | 2011-07-11 | 2013-01-24 | Polymer Vision B.V. |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
US20130037228A1 (en) * | 2011-07-11 | 2013-02-14 | Polymer Vision B.V. |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
US20140042293A1 (en) * | 2012-08-07 | 2014-02-13 | Polymer Vision B.V. |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
US20140111954A1 (en) * | 2012-10-19 | 2014-04-24 | Samsung Display Co., Ltd. | Foldable display device |
KR20140050504A (ko) * | 2012-10-19 | 2014-04-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접이식 표시 장치 |
KR101442622B1 (ko) * | 2013-05-21 | 2014-09-22 | 오재헌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
US20140355181A1 (en) * | 2013-05-28 | 2014-12-04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47867B2 (en) | 2017-11-28 | 2023-09-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isplay device |
CN111899645A (zh) * | 2017-11-28 | 2020-11-06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和可折叠显示装置 |
US11061445B2 (en) | 2017-11-28 | 2021-07-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isplay device |
US12045097B2 (en) | 2017-11-28 | 2024-07-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isplay device |
CN111899645B (zh) * | 2017-11-28 | 2022-03-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便携式通信装置 |
US11340663B2 (en) | 2017-11-28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isplay device |
KR20190110244A (ko) * | 2018-03-20 | 2019-09-30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WO2020189843A1 (ko) * | 2019-03-19 | 2020-09-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12041193B2 (en) | 2019-03-19 | 2024-07-1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WO2020226335A1 (ko) * | 2019-05-04 | 2020-11-12 | (주)에이유플렉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부 |
US11259428B2 (en) | 2019-06-03 | 2022-02-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
WO2021162402A1 (ko) * | 2020-02-14 | 2021-08-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30018755A (ko) * | 2021-07-30 | 2023-02-07 | 주식회사 에스코넥 | 인폴딩 타입 힌지 장치 및 이러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2708B1 (ko) | 2017-07-04 |
KR102239278B1 (ko) | 2021-04-12 |
KR101971232B1 (ko) | 2019-04-22 |
KR20160121350A (ko) | 2016-10-19 |
KR20190042530A (ko) | 2019-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1232B1 (ko) | 접철식 기기 | |
CN110502073B (zh) | 折叠式设备 | |
US11315443B2 (en) | Display device | |
US11609612B2 (en) | Foldable device | |
KR101995045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 |
US10585458B2 (en) | Foldable device | |
US10310551B2 (en) | Foldable device | |
KR102171118B1 (ko) | 접철식 기기 | |
KR101875855B1 (ko) |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97666B1 (ko) | 폴더블 표시 장치 | |
EP3282341B1 (en) | Foldable device | |
RU2683290C2 (ru) | Скла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10212830B2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12049919B2 (en) | Foldable device | |
KR102110975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
US20170115701A1 (en) | Foldable device | |
KR20160108182A (ko) | 단일면 폴딩장치 | |
KR20190077292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 |
KR20220084549A (ko) | 폴더블 표시 장치 | |
KR20190046578A (ko) |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 |
US8744538B2 (en) | Fully flat slider | |
TWI720692B (zh) | 可折式裝置 | |
KR200411022Y1 (ko) | 화면확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