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36B1 -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36B1
KR102429036B1 KR1020200063678A KR20200063678A KR102429036B1 KR 102429036 B1 KR102429036 B1 KR 102429036B1 KR 1020200063678 A KR1020200063678 A KR 1020200063678A KR 20200063678 A KR20200063678 A KR 20200063678A KR 102429036 B1 KR102429036 B1 KR 10242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tation
rotating
rotating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640A (ko
Inventor
박상근
Original Assignee
(주)디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비케이 filed Critical (주)디비케이
Priority to KR102020006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힌지 장치는 힌지케이스: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를 각각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 사이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회전결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Folding Hin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본 발명은 폴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를 0도에서 180도 사이로 폴딩 회전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의 파손 없이 폴딩을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테블릿,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키패드와 같은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와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본체와 디스플레이는 폴딩 힌지 장치로 연결되어 접거나 펼쳐지는 형태를 갖는다.
최근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패널이 널리 사용되면서, 조작버튼이 없는 좀 더 단순하고 콤팩트한 사이즈의 전자기기를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가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 형태로 개발되면서 좀 더 다양한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도 가속화되고 있다. 일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조작버튼이 구비된 본체가 폴딩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노트북 형태 제품이 있다. 이러한 제품의 경우 폴딩 힌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회전 동작 중 파손되지 않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49762호(2012.05.1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폴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면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힌지 장치는 힌지케이스: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를 각각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 사이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회전결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결합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회전축; 한 쌍의 상기 제2회전부재를 상기 제1회전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고정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하고 회전단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단과 회전단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연동링크의 고정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중심에서 동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대응면 중 어느 하나에는 안내돌기가 돌출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대응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홈 사이는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걸림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 일 실시에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상기 폴딩 힌지 장치; 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폴딩 힌지 장치에 의해 0도에서 180도 사이에서 상호 폴딩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 이면 양측이 한 쌍의 상기 몸체 표면에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링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중앙부 단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 사이가 0 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접철부위를 가리는 가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폴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면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딩 힌지 장치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딩 힌지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폴딩 힌지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로, 전자기기의 몸체 사이가 180도로 펼진 상태에서 0도로 접철되는 과정에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측면도로, 몸체 사이가 180도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전자기기의 몸체 사이가 0도를 이루도록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힌지 장치(2)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기기(1)는 태블릿, 노트북, PDA, 휴대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힌지 장치(2)는 전술한 전자기기들에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폴딩 힌지 장치(2)와, 폴딩 힌지 장치(2)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몸체(3)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몸체(3)에는 전자기기(1)의 동작 제어를 위한 회로모듈과, 전원공급모듈, 충전배터리 등이 마련될 수 있고, 몸체(3)는 별도의 프레임이 더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5는 폴딩 힌지 장치(2)를 몸체(3)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폴딩 힌지 장치(2)나 몸체(3)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가리킨다.
한 쌍의 몸체(3)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폴딩 힌지 장치(2)를 통해 0도에서 108도 사이에서 상호 폴딩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0 도로 폴딩 회전한 한 쌍의 몸체(3) 사이는 상호 접철되고, 한 쌍의 몸체(3)는 180도로 폴딩 회전한 상태에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는 이면 양측이 한 쌍의 몸체(3) 표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폴딩 힌지 장치(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중앙부 이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폴딩 힌지 장치(2)는 힌지케이스(6)와, 힌지케이스(6)의 길이방향으로 양 쪽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모듈(7)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케이스(6)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배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6a)을 구비하고, 한 쌍의 힌지모듈(7)은 홈(6a)의 양 단부 내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힌지모듈(7)은 힌지케이스(6)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10) 및 제2고정부재(20)와, 제1고정부재(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30)와, 제2고정부재(2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2회전부재(40)와,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를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유닛(50)을 구비한다.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는 힌지케이스(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는 한 쌍의 몸체(3)에 대응하도록 힌지케이스(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해당 고정부재(10,20)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회전부재(30)와 한 쌍의 제2회전부재(40) 사이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하도록 몸체(3)의 회전방향으로 서로 걸림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의 대응면 중 어느 하나에는 안내돌기(31)가 돌출하고,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의 대응면 중 다른 하나에는 안내돌기(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내홈(4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가 함께 회전하도록 안내돌기(31)와 안내홈(41)은 몸체(3)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걸림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 안내돌기(31)와 안내홈(41) 중 어느 한 쪽에는 반대 쪽으로 걸림돌기(32)가 돌출하고, 안내돌기(31)와 안내홈(41) 중 다른 한 쪽에는 걸림돌기(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걸림홈(42)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42)은 걸림돌기(32)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면서 그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돌기(31)는 제1회전부재(30)에 마련되고, 안내홈(41)은 제2회전부재(40)에 마련되며, 걸림돌기(32)는 안내돌기(31)의 일단 쪽에서 돌출하고, 걸림홈(42)은 안내돌기(3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안내홈(41)의 내벽 안쪽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는 몸체(3)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걸림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정해진 구간 내에 상호 간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결합유닛(50)은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를 각각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에 회전하도록 연결시키고, 이들의 회전동작을 연동시켜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에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유도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몸체(3) 사이가 폴딩 회전하는 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 동작에 따른 길이변화가 보상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결합유닛(50)은 한 쌍의 제1회전부재(30)를 제1고정부재(10)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회전축(60)과, 한 쌍의 제2회전부재(40)를 제1회전부재(3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2고정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동링크(71,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동링크(71,72)는 일단과 타단의 고정단(73,74)과 회전단(75,76)이 각각 제2고정부재(20)와 제2회전부재(40)에 결합하고, 고정단(73,7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부재(40)의 회전반경이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부재(30)의 회전반경보다 커질 수 있게 회전축(60)은 고정단(73,74)과 회전단(75,76)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부재(40)의 회전반경이 제1회전부재(30)의 회전반경보다 커지게 되면서 한 쌍의 몸체(3) 사이를 접는 과정에서는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는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 동작에 다른 길이변화를 보상하게 된다.
연동링크(71,72)의 고정단(73,74)은 고정단축(73a)을 통해 제2고정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연동링크(71,72)의 회전단(75,76)은 회전단축(75a,76a)을 통해 양쪽의 제2회전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회전부재(40)의 회전반경이 제1회전부재(30)의 회전반경보다 커질 수 있게 회전축(60)은 고정단축(73a)과 회전단축(75a,76a)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단축(73a)은 제2고정부재(20)로부터 연장되고, 회전단축(75a,76a)은 양쪽의 제2회전부재(4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는 힌지케이스(6)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제2회전부재(40)는 양쪽의 몸체(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고정부재(10,20)와 제2회전부재(40)의 고정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1,21,42는 체결수단(미도시)의 체결을 위한 형성되는 체결홀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를 이루도록 상호 펼쳐져 있던 한 쌍의 몸체(3) 사이가 0 도를 이루도록 상호 접철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는 회전결합유닛(50)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의 회전반경 차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는 상호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몸체(3)에 고정된 제2회전부재(40)와 힌지케이스(6)에 고정된 제1회전부재(30) 사이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힌지케이스(6)는 몸체(3)에 대하 하강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반대로 한 쌍의 몸체(3)는 힌지케이스(6)에 대해 상승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6에서 부호 a는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의 슬라이딩 거리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몸체(3) 사이가 접철되도록 폴딩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도 양 측면 사이가 접철되고, 이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 동작에 따른 길이변화는 몸체(3)와 힌지케이스(6) 사이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에 의해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 사이에는 한 쪽 몸체(3)의 회전에 연동하여 반대 쪽의 몸체(3)가 회전하도록 한 쌍의 몸체(3)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연동기어(80)가 마련될 수 있다.
연동기어(80)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30)와 함께 회전하도록 외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연동기어(81)와, 한 쌍의 제1연동기어(81)에 의해 회전하도록 내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연동기어(82)와, 제1연동기어(81)와 제2연동기(82)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쪽 몸체(3)가 회전하게 되면, 연동기어(80)를 통해 그 회전력을 전달받은 다른 쪽 몸체(3)가 함께 회전하는 방식으로 한 쌍의 몸체(3)는 서로 대칭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의 회전반경 차이가 최대화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연동링크(71,72)의 고정단(73)은 제2고정부재(20)의 중심에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호 일치될 수 있다.
즉 양쪽 연동링크(71,72)의 고정단(73)은 상호 포개어진 상태에서 하나의 고정단축(7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의 슬라이딩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힌지케이스(6)의 길이방향으로 제2회전부재(40)의 맞은편에는 제1회전부재(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안내부재(90)가 더 마련되고, 슬라이딩 안내부재(90)는 제2회전부재(40)와 함께 몸체(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30)는 힌지케이스(6)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제2회전부재(40)와 슬라이딩 안내부재(90)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회전부재(30)와 슬라이딩 안내부재(90) 사이에는 전술한 제1회전부재(30)와 제2회전부재(40) 사이의 슬라이딩 안내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연동링크(71,7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중앙부 단부 외측으로 위치하게 되고, 연동링크(71,72)에는 몸체(3) 사이가 0 도를 이루도록 접철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부위(4a)를 가리는 가림부(77,78)가 마련될 수 있다.
가림부(77,78)는 연동링크(71,71) 둘레 일측으로부터 상호 접철되는 몸체(3) 사이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U자 형태를 이루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부위(4a)의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동링크(71,72)의 가림부(77,78)는 몸체(2) 사이가 상호 접철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부위(4a)가 몸체(3) 사이를 통해 전자기기(1) 외부로 노출되는 차단함으로써, 몸체(1)의 접철 상태에 있는 전자기기(1)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의 접철부위(4a)를 보호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리이(4)의 접철부위(4a)와 폴딩 힌지 장치(2)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1: 전자기기 2: 폴딩 힌지 장치
3: 몸체 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6: 힌지케이스 7: 힌지모듈
10: 제1고정부재 20: 제2고정부재
30: 제1회전부재 40: 제2회전부재
50: 회전결합유닛 60: 회전축
71,72: 연동링크 80: 연동기어
90: 슬라이딩 안내부재

Claims (6)

  1. 힌지케이스: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를 각각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 사이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회전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결합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회전축;
    한 쌍의 상기 제2회전부재를 상기 제1회전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고정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하고 회전단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단과 회전단 사이에 마련되는 폴딩 힌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동링크의 고정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중심에서 동축 상에 위치하는 폴딩 힌지 장치.
  4. 힌지케이스: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를 각각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 사이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회전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대응면 중 어느 하나에는 안내돌기가 돌출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대응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내홈이 마련되며,
    상기 안내돌기와 안내홈 사이는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걸림구조를 이루는 폴딩 힌지 장치.
  5. 폴딩 힌지 장치;
    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폴딩 힌지 장치에 의해 0도에서 180도 사이에서 상호 폴딩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
    이면 양측이 한 쌍의 상기 몸체 표면에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힌지 장치는,
    힌지케이스: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힌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를 각각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켜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 사이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회전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결합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회전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회전축;
    한 쌍의 상기 제2회전부재를 상기 제1회전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고정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하고 회전단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단과 회전단 사이에 마련되는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링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중앙부 단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 사이가 0 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접철부위를 가리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00063678A 2020-05-27 2020-05-27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42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678A KR102429036B1 (ko) 2020-05-27 2020-05-27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678A KR102429036B1 (ko) 2020-05-27 2020-05-27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40A KR20210146640A (ko) 2021-12-06
KR102429036B1 true KR102429036B1 (ko) 2022-08-05

Family

ID=7890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678A KR102429036B1 (ko) 2020-05-27 2020-05-27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0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80B1 (ko) 2010-11-09 2012-08-02 (주) 유원컴텍 접철식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752708B1 (ko) * 2015-04-09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442942B1 (ko) * 2017-12-27 2022-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114080B1 (ko) * 2018-03-20 2020-05-26 주식회사 다이아벨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40A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80599B (zh) 铰接模块和包括铰接模块的可折叠电子设备
US10480227B1 (en) Hinge device with dual shaft
KR101941584B1 (ko)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819547B1 (ko) 휴대형 전자 장치용 모듈형 힌지
JP5170950B2 (ja) ヒンジ装置
KR20190110244A (ko)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432149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22003062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9212683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US8353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nge
US20190163240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12029626A1 (ja) 情報処理端末
KR102429036B1 (ko)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285837B1 (ko)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58664B1 (ko) 캠기어방식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KR101051412B1 (ko) 회전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470325B1 (ko)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7445554B2 (ja) 2軸ヒンジ機構
KR20040036071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107124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15480617A (zh) 铰链组件及可折叠的电子设备
CN220067475U (zh) 折叠装置、壳体组件和电子设备
KR20210073248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폴더블 폰
JP2006234162A (ja) 折畳み式電子機器
JP6823704B1 (ja) 携帯用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