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032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032A
KR20170077032A KR1020160169271A KR20160169271A KR20170077032A KR 20170077032 A KR20170077032 A KR 20170077032A KR 1020160169271 A KR1020160169271 A KR 1020160169271A KR 20160169271 A KR20160169271 A KR 20160169271A KR 20170077032 A KR20170077032 A KR 2017007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abin
air
dri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루 다케나카
고오스케 미츠모리
요오헤이 시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7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1Devices in the floor or side wall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효과적으로 공조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캐빈(14)의 루프부(34)에 수용되고, 캐빈(14)의 실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39)과, 에어컨 유닛(39)의 공조 공기를 캐빈(14)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덕트(43)가 구비되어 있고, 송풍 덕트(43)에, 루프부(34)의 내부에 설치되고, 캐빈(14)의 실내의 상부로 공조 공기를 분출하는 상부 덕트(44)와, 루프부(3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덕트(45)가 구비되어 있고, 세로 덕트(45) 중 분출구(51B)는, 캐빈(14)의 실내에 있어서의 상하 중앙부보다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에어컨 유닛의 공조 공기를 캐빈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덕트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캐빈의 실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이, 캐빈의 루프부에 수용되어 있다. 루프부의 내부에는, 에어컨 유닛의 공조 공기를 캐빈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덕트(문헌에서는 「송풍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6588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공조 공기가 송풍 덕트로부터 캐빈의 실내의 상부로 분출되므로, 공조 공기가 운전자의 발밑 공간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여름철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발밑 공간이 엔진의 발열의 영향에 의해 더워지기 쉽다.
상기 상황에 비추어,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효과적으로 공조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석을 갖는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를 덮는 캐빈과,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설치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상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상기 운전석을 적재 지지하는 보닛과,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수용되고, 상기 캐빈의 실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과,
상기 에어컨 유닛의 공조 공기를 상기 캐빈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덕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 덕트에, 상기 루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실내의 상부로 상기 공조 공기를 분출하는 상부 덕트와, 상기 루프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덕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 중 분출구는, 상기 캐빈의 실내에 있어서의 상하 중앙부보다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조 공기가 세로 덕트로부터 캐빈의 실내에 있어서의 상하 중앙부보다 하측으로 분출되므로, 공조 공기가 운전자의 발밑 공간에 도달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여름철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발밑 공간이 엔진의 발열의 영향에 의해 더워지기 쉽지만,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세로 덕트로부터의 냉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시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있어서는, 냉기가 캐빈의 실내의 하부에 모이기 쉽지만,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세로 덕트로부터의 난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효과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운전석의 시트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 또는 상기 운전석의 시트면보다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조 공기가 세로 덕트로부터 운전자의 발밑 공간의 근방으로 분출되므로, 공조 공기가 운전자의 발밑 공간에 한층 도달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의 필러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세로 덕트가 강성이 높은 필러에 지지되게 되어, 세로 덕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캐빈의 실내측에 개구되는 U자 형상이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필러의 개구측을 덮는 상태로 상기 필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러의 내부 공간은, 상기 세로 덕트의 송풍로로서 상기 세로 덕트에 도입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세로 덕트의 송풍로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필러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개수 및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세로 덕트로 공조 공기가 분기되도록, 상기 세로 덕트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덕트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부 중 상기 세로 덕트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송풍 방향 상측 부분이, 상기 저부 중 상기 접속부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보다 낮아지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 상기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종벽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상부 덕트 내의 공조 공기가 접속부의 단차에 의해 흐름이 저지되어, 세로 덕트로 유입되기 쉬워진다. 게다가, 종벽부가 공조 공기의 저항이 되어, 상부 덕트 내에서 종벽부로부터 송풍 방향 하측으로 흐르는 공조 공기의 풍량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세로 덕트로 유입되는 공조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세로 덕트를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양측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공조 공기의 풍속이 저하되지 않고, 운전자에게 적당한 드래프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통상, 운전부 중 운전석에 대해 승강구와는 반대측에는,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캐빈 중 승강구와는 반대측에는, 공간에 여유가 없어, 세로 덕트를 캐빈 중 승강구와는 반대측에 설치하면, 세로 덕트가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기 쉽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세로 덕트가 캐빈 중 비교적 공간에 여유가 있는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로 덕트가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기 어렵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운전 캐빈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루프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운전 캐빈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운전 캐빈의 내부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세로 덕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측 덕트의 우측 후방 필러에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상측 덕트의 우측 사이드 덕트에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라디에이터의 급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백미러의 스토퍼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프론트 커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측 덕트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측」,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측」,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L의 방향을 「기체 좌측」, 화살표 R의 방향을 「기체 우측」으로 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이른바 자탈형 콤바인(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에 상당)을 도시하고 있다. 본 자탈형 콤바인에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와, 주행 장치(1)에 지지되는 기체 프레임(2)이 구비되어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는, 운전 캐빈(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4)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하방에는, 원동부(5)가 설치되어 있다. 원동부(5)에는, 엔진(6)이나 라디에이터(7), 냉각 팬(8)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9)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10)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10)에는, 곡립 저류 탱크(10)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3)에는, 운전석(12)을 갖는 운전부(13)와, 운전부(13)를 덮는 캐빈(14)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13) 중 운전석(12)에 대해 우측에는, 승강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구(15)에는, 승강 도어(1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우측부 중 승강구(15)의 전방측에는, 운전자가 승강할 때에 사용하는 난간(17)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3)의 전방부에는, 프론트 커버(18)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8)의 상단부는, 운전석 프레임(19)에 지지되어 있다.
승강 도어(16)는, 후방측 지지점에서 요동 개폐 가능해지도록, 상하 한 쌍의 힌지(20)를 통해, 캐빈(14)의 우측 후방 필러(21)(본 발명에 관한 「필러」에 상당)에 지지되어 있다. 승강 도어(16) 중 도어 프레임(22)의 후방 모서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측 후방 모서리부(22a)와, 상부측 후방 모서리부(22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측 후방 모서리부(22b)와, 상부측 후방 모서리부(22a)와 하부측 후방 모서리부(22b)에 걸쳐 승강 도어(16)의 내주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만곡되는 만곡 후방 모서리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석(12)은, 엔진(6)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보닛(23)에 적재 지지되어 있다. 운전석(12)의 전방에는, 프론트 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24)에는, 미터 패널(25)이나 조향 레버(2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12)의 좌측에는 사이드 패널(27)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7)에는, 변속 레버(28)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12)의 우측에는, 캐빈(14)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횡측벽(29)이 설치되어 있다.
보닛(23)의 전방 공간은, 운전석(12)에 착좌한 운전자의 발밑 공간 S로 되어 있다. 보닛(23)에는, 엔진(6)을 상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운전석(12)을 적재 지지하는 천장판(23A)과, 엔진(6)을 전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운전자의 발밑 공간 S에 면하는 전방벽(23B)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23)의 내부에는, 엔진 룸(30)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 룸(30)에는, 엔진(6)이나 라디에이터(7), 냉각 팬(8)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 룸(30)의 우측부에는, 방진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방진 커버(31)는, 하측 지지점에서 요동 개폐 가능하다.
캐빈(14)의 전방부에는, 프론트 글래스(32)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글래스(32)의 하단부는, 캐빈 프레임(32A)에 지지되어 있다. 캐빈(14)의 우측부에는, 백미러(33)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14)의 상부에는, 루프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루프부(34)에는, 아우터 루프(34A)와, 이너 루프(34B)가 구비되어 있다. 루프부(34)는, 루프 프레임(35)에 지지되어 있다. 루프 프레임(35)에는, 루프부(34)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방 프레임(36)과, 루프부(34)의 좌측 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프레임(37)과, 루프부(34)의 우측 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프레임(38)이 구비되어 있다. 루프부(34)의 후방부에는, 캐빈(14)의 실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39)이 수용되어 있다. 루프부(34)의 후단부에는, 에어컨 유닛(39)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39)에는, 열교환기(41)와, 송풍 팬(42)이 구비되어 있다. 열교환기(41)의 전방부에는 분출구(41a)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39)은, 열교환기(41(분출구(41a)))의 좌우 중심 C1이 운전 캐빈(3)의 좌우 중심 C2에 대해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송풍 덕트〕
에어컨 유닛(39)의 공조 공기를 캐빈(14)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덕트(43)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덕트(43)에는, 상부 덕트(44)와, 세로 덕트(45)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덕트(44)는, 루프부(34)의 내부에 설치되고, 캐빈(14)의 실내의 상부에 공조 공기를 분출한다. 세로 덕트(45)는, 상부 덕트(44)(우측 사이드 덕트(48))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덕트〕
상부 덕트(44)에는, 센터 덕트(46)와, 좌측 사이드 덕트(47)와, 우측 사이드 덕트(48)가 구비되어 있다. 센터 덕트(46)는, 열교환기(41(분출구(41a)))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센터 덕트(46)의 후방부에는, 열교환기(41)의 분출구(41a)가 삽입 접속되어 있다. 센터 덕트(46)의 좌우 양단부는, 각각, 좌측 사이드 덕트(47)와 우측 사이드 덕트(48)에 삽입하기 쉽도록 전방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덕트(47)에는, 센터 덕트(46)의 좌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7A)와, 제1 연장부(47A)의 전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47B)와,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분출구(47C)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연장부(47A)의 후단부에는, 센터 덕트(46)의 좌측 단부가 삽입 접속되어 있다. 제1 연장부(47A)에는, 4개의 분출구(47C) 중 후방측 2개의 분출구(47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연장부(47B)에는, 4개의 분출구(47C) 중 전방측 2개의 분출구(47C)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덕트(48)에는, 센터 덕트(46)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8A)와, 제1 연장부(48A)의 전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48B)와,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분출구(48C)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연장부(48A)의 후단부에는, 센터 덕트(46)의 우측 단부가 삽입 접속되어 있다. 제1 연장부(48A)에는, 4개의 분출구(48C) 중 후방측 2개의 분출구(48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연장부(48B)에는, 4개의 분출구(48C) 중 전방측 2개의 분출구(48C)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 덕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덕트(45)는, 캐빈(14) 중 승강구(15)측(우측)에만 설치되어 있다. 세로 덕트(45)는, 캐빈(14)의 실내에서 보닛(23)의 우측 단부보다 기체 횡 외측(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세로 덕트(45)의 외주부에는, 결로 방지용 패킹(49)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도 8 참조). 세로 덕트(45)에는, 상측 덕트(50)와, 하측 덕트(51)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 덕트〕
상측 덕트(50)는, 우측 후방 필러(21)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후방 필러(21)의 횡단면 형상은, 캐빈(14)의 실내측에 개구되는 U자 형상(U자 형상 및 대략 U자 형상을 포함함)이다. 우측 후방 필러(21)에는, 전방 판부(21A)와, 후방 판부(21B)와, 전방 판부(21A)와 후방 판부(21B)에 걸치는 횡판부(21C)와, 전방 판부(2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21D)가 구비되어 있다. 플랜지부(21D)에는, 도어 프레임(22)과 우측 후방 필러(21)의 간극을 폐색하는 도어 시일(52)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판부(21B) 및 플랜지부(21D)로부터는, 각각 돌출판(21E)이 캐빈(14)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측 덕트(50)의 횡단면 형상은, 캐빈(14)의 실외측에 개구되는 U자 형상(U자 형상 및 대략 U자 형상을 포함함)이다. 상측 덕트(50)에는, 전방 판부(50A)와, 후방 판부(50B)와, 전방 판부(50A)와 후방 판부(50B)에 걸치는 횡판부(50C)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 덕트(50)는, 우측 후방 필러(21)의 개구측을 덮는 상태로 우측 후방 필러(21)에 설치되어 있고, 우측 후방 필러(21)의 내부 공간은, 상측 덕트(50)의 송풍로로서 상측 덕트(50)에 도입되어 있다.
상측 덕트(50) 중 전방 판부(50A) 및 후방 판부(50B)는, 우측 후방 필러(21) 중 전후 한 쌍의 돌출판(21E)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상측 덕트(50) 중 전방 판부(50A)는, 우측 후방 필러(21) 중 플랜지부(21D)에 캐빈(14)의 실내측으로부터 부딪혀져 있다. 상측 덕트(50) 중 후방 판부(50B)는, 우측 후방 필러(21) 중 후방 판부(21B)에 캐빈(14)의 실내측으로부터 부딪혀져 있다.
상측 덕트(50) 중 패킹(49)의 전단부는, 도어 시일(52)에 접촉하고 있다. 상측 덕트(50) 중 패킹(49)의 후단부는, 상측 덕트(50) 중 후방 판부(50B)와 우측 후방 필러(21) 중 후방 판부(21B)의 맞댐면 P를 덮도록, 맞댐면 P보다 우측 후방 필러(21)측(우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덕트(50)의 송풍로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사이드 덕트(48)로부터 세로 덕트(45)에 공조 공기가 분기되도록, 상측 덕트(50)의 상단부가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에는, 상측 덕트(50)의 상단부가 삽입 접속되는 접속부(48Aa)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48Aa)는, 최후단부의 분출구(48C)보다 송풍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센터 덕트(46)의 우측 단부와 인접하는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 중 접속부(48Aa)의 송풍 방향 상측 부분이,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 중 접속부(48Aa)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보다 낮아지는 상태에서, 접속부(48Aa)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 중 접속부(48Aa)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는,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종벽부(48Ab)(본 발명에 관한 「종벽부」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종벽부(48Ab)는, 최후단부의 분출구(48C)와 접속부(48A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 중 최후단부의 분출구(48C)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는,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종벽부(48Ac)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천장부에는, 공조 공기를 최후단부의 분출구(48C)나 세로 덕트(45)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부(48Ad) 및 제2 안내부(48Ae)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종벽부(48Ab)가 공조 공기의 저항이 되어, 우측 사이드 덕트(48) 내에서 제1 종벽부(48Ab)로부터 송풍 방향 하측으로 흐르는 공조 공기의 풍량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세로 덕트(45)에 유입되는 공조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종벽부(48Ac)가 공조 공기의 저항이 되어, 우측 사이드 덕트(48) 내에서 제2 종벽부(48Ac)로부터 송풍 방향 하측으로 흐르는 공조 공기의 풍량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최후단부의 분출구(48C)에 유입되는 공조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때, 공조 공기가 제1 안내부(48Ad) 및 제2 안내부(48Ae)에 의해, 최후단부의 분출구(48C)나 세로 덕트(45)에 안내된다.
〔하측 덕트〕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덕트(51)는 상측 덕트(5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덕트(51)의 상단부에는, 상측 덕트(50)의 하단부가 삽입 접속되어 있다. 하측 덕트(51)와 상측 덕트(50)의 접속 개소의 위치는, 도어 프레임(22) 중 상부측 후방 모서리부(22a)와 만곡 후방 모서리부(22c)의 접속 개소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하측 덕트(51)는, 측면에서 보아, 도어 프레임(22) 중 만곡 후방 모서리부(22c)의 경사 방향 D를 대략 따르는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22) 중 만곡 후방 모서리부(22c)의 하방의 영역으로 들어가 있다.
하측 덕트(51)의 횡단면 형상은, 캐빈(14)의 실외측에 개구되는 U자 형상(U자 형상 및 대략 U자 형상을 포함함)이다. 하측 덕트(51)는, 그 개구측이 횡측벽(29)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횡측벽(29)에 고정구(예를 들어, 볼트나 나사 등. 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하측 덕트(51)에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하는 설치부(51a)가 송풍 방향의 상측과 하측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부(51a)는, 하측 덕트(51)의 횡폭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나뉘어 있다.
하측 덕트(51)의 하단부에는, 송풍로의 폭이 송풍 방향 하측을 향해 확대되는 폭 확대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폭 확대부(51A)에는, 분출구(51B)가 설치되어 있다. 분출구(51B)는, 측면에서 보아, 운전석(12) 중 시트부(12A)의 전방부와 중복되어 있다. 분출구(51B)는, 캐빈(14)의 실내에 있어서의 상하 중앙부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구(51B)는, 보닛(23) 중 전방벽(23B)보다 전방측에 있어서, 운전석(12)의 시트면(12Aa)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분출구(51B)에는, 개폐 가능한 그릴(5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릴(53)을 수동으로 개폐함으로써, 공조 공기를 세로 덕트(45)에 의해 캐빈(14)의 실내로 송풍할지 여부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조 공기가 세로 덕트(45)로부터 캐빈(14)의 실내에 있어서의 운전석(12)의 시트면(12Aa)보다 하측으로 분출되므로, 공조 공기가 운전자의 발밑 공간 S에 도달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여름철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발밑 공간 S가 엔진(6)의 발열 영향에 의해 더워지기 쉽지만, 운전자의 발밑 공간 S를 세로 덕트(45)로부터의 냉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시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있어서는, 냉기가 캐빈(14)의 실내의 하부에 모이기 쉽지만, 운전자의 발밑 공간 S를 세로 덕트(45)로부터의 난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의 발밑 공간 S를 효과적으로 공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컨 유닛(39)을 열교환기(41)(분출구(41a))의 좌우 중심 C1이 운전 캐빈(3)의 좌우 중심 C2에 대해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송풍 덕트(43)의 좌우의 풍량 밸런스(송풍 덕트(43)의 좌측의 풍량과 송풍 덕트(43)의 우측의 풍량의 비율)를, 송풍 덕트(43)의 우측의 풍량이 송풍 덕트(43)의 좌측의 풍량보다 많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덕트(43)의 좌측의 풍량과 송풍 덕트(43)의 우측의 풍량의 비율을, 4:6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좌측 사이드 덕트(47)에 있어서의 4개의 분출구(47C)의 합계 풍량과, 우측 사이드 덕트(48)에 있어서의 4개의 분출구(48C)와 세로 덕트(45)의 분출구(51B)의 합계 풍량의 비율을, 4:6으로 설정하고 있다.
〔라디에이터의 급수 구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커버(31)의 기체 횡 내측부 중 하반부에는, 프레임(54)이 방진 커버(3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54)은,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그 내부에는, 엔진(6)의 보조 기계류(예를 들어, 인터쿨러 등)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방진 커버(31)의 기체 횡 내측부 중 상반부에는, 패킹(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횡측벽(29)에는, 외측 개구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개구부(29a)에는, 급수 캡(55)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닛(23) 중 천장판(23A)에는, 내측 개구부(23A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개구부(23Aa)는, 라디에이터(7) 중 라디에이터 캡(7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개구부(23Aa)는, 프레임(54)에 설치된 덮개판(56)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덮개판(56)의 하면에는, 패킹(57)이 설치되어 있다. 횡측벽(29)에는, 덮개판(56)을 끼우고 빼기 가능한 삽입 발출구(29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진 커버(31)를 기체 횡 외측으로 개방하면, 프레임(54)이 방진 커버(31)와 일체적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덮개판(56)이 삽입 발출구(29b)로부터 기체 횡 외측으로 빼내어져, 라디에이터 캡(7a)이 내측 개구부(23Aa)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급수 캡(55)을 외측 개구부(29a)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외측 개구부(29a)로부터 캐빈(14)의 실내에 손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개구부(23Aa)로부터 보닛(23) 내에 손을 삽입하여, 라디에이터 캡(7a)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냉각수가 들어 있는 용기(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외측 개구부(29a) 및 내측 개구부(23Aa)로부터 라디에이터(7)에의 급수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 횡 외측의 넓은 공간에서, 라디에이터(7)에의 급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백미러의 스토퍼 구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미러(33)는, 미러 스테이(58)를 개재하여 미러 브래킷(59)에 지지되어 있다. 백미러(33)는, 미러 스테이(58)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Z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미러 스테이(58)는, 미러 브래킷(59)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Z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미러 브래킷(59)은, 루프 프레임(35) 중 우측 프레임(38)에 설치되어 있다.
미러 스테이(58)가 맞닿음으로써, 백미러(33)가 미러 스테이(58)를 개재하여 요동 축심 Z2 주위로 기체 횡 내측으로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판(60)이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판(60)은, 스토퍼 스테이(61)를 개재하여 스토퍼 브래킷(62)에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 브래킷(62)은 난간(17)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브래킷(62)에는, 안테나(6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러 스테이(58)가 스토퍼판(60)에 맞닿은 상태에서, 백미러(33)가 회전 축심 Z1 주위로 회전하였다고 해도, 백미러(33)가 프론트 글래스(32)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프론트 커버의 시일 구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32A)과 프론트 커버(18) 사이에는, 캐빈 프레임(32A)과 프론트 커버(18)의 간극을 폐색하는 시일(64)이, 캐빈 프레임(32A)과 프론트 커버(18) 사이에 끼이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시일(64)은, 캐빈 프레임(32A)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시일(64) 중 프론트 커버(18)측의 단부와 캐빈 프레임(32A)측의 단부에는, 각각 립(6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가인 코킹을 행하지 않아도, 저렴한 시일(64)에 의해, 캐빈 프레임(32A)과 프론트 커버(18)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하측 덕트(51)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하측 덕트(151)를 채용해도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덕트(151)의 내부에는, 수축부(151b)가 송풍 방향의 상측과 하측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수축부(151b)는, 하측 덕트(151)의 횡폭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나뉘어 있다. 수축부(151b)는, 하측 덕트(151) 중 측벽이 횡폭 방향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 덕트(151)의 외주부 중 수축부(151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고정구(예를 들어, 볼트나 나사 등. 도시 생략)에 대응하는 설치부(1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 수축부(151b)에 의해, 공조 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공조 공기가 하측 덕트(151) 내를 원활하게 흘러, 분출구(151B)로부터 전방으로 흐르는 풍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컨 유닛(39)이 루프부(34)의 후방부에 수용되어 있지만, 루프부(34)의 전방부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덕트(45)가 우측 사이드 덕트(48)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에어컨 유닛(39)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즉, 세로 덕트(45)가 에어컨 유닛(39)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덕트(45) 중 분출구(51B)가 운전석(12)의 시트면(12Aa)보다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운전석(12)의 시트면(12Aa)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캐빈(14)의 실내에 있어서의 상하 중앙부보다 하측의 위치이면, 세로 덕트(45) 중 분출구(51B)가 운전석(12)의 시트면(12Aa)보다 상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덕트(50)의 단면 형상은, 캐빈(14)의 실외측에 개구되는 U자 형상이지만, 우측 후방 필러(21)의 개구측을 덮는 것이 가능하면, 상측 덕트(5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후방 필러(21)의 내부 공간이 상측 덕트(50)의 송풍로로서 상측 덕트(50)에 도입되어 있지만, 상측 덕트(50)의 송풍로가 우측 후방 필러(21)의 내부 공간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 중 접속부(48Aa)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만,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사이드 덕트(48)의 저부 중 접속부(48Aa)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 제1 종벽부(48Ab)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종벽부(48Ab)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덕트(45)가 캐빈(14) 중 승강구(15)측(우측)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세로 덕트(45)가 캐빈(14) 중 승강구(15)와는 반대측(좌측)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세로 덕트(45)가 캐빈(14) 중 승강구(15)측(우측)과 승강구(15)와는 반대측(좌측)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컨 유닛(39)은, 열교환기(41)(분출구(41a))의 좌우 중심 C1이 운전 캐빈(3)의 좌우 중심 C2에 대해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열교환기(41)(분출구(41a))의 좌우 중심 C1이 운전 캐빈(3)의 좌우 중심 C2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송풍 덕트(43)의 좌측의 풍량과 송풍 덕트(43)의 우측의 풍량의 비율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송풍 덕트(43)의 좌측의 풍량과 송풍 덕트(43)의 우측의 풍량의 비율은, 송풍 덕트(43)의 좌측의 풍량과 송풍 덕트(43)의 우측의 풍량이 동일(5:5)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6 : 엔진
12 : 운전석
12Aa : 시트면
13 : 운전부
14 : 캐빈
15 : 승강구
21 : 우측 후방 필러(필러)
23 : 보닛
34 : 루프부
39 : 에어컨 유닛
43 : 송풍 덕트
44 : 상부 덕트
45 : 세로 덕트
48Aa : 접속부
48Ab : 제1 종벽부(종벽부)
51B : 분출구

Claims (19)

  1. 운전석을 갖는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를 덮는 캐빈과,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설치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상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상기 운전석을 적재 지지하는 보닛과,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수용되고, 상기 캐빈의 실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과,
    상기 에어컨 유닛의 공조 공기를 상기 캐빈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덕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 덕트에, 상기 루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실내의 상부로 상기 공조 공기를 분출하는 상부 덕트와, 상기 루프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덕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 중 분출구는, 상기 캐빈의 실내에 있어서의 상하 중앙부보다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운전석의 시트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 또는 상기 운전석의 시트면보다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의 필러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캐빈의 실내측에 개구되는 U자 형상이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필러의 개구측을 덮는 상태로 상기 필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필러의 내부 공간은, 상기 세로 덕트의 송풍로로서 상기 세로 덕트에 도입되어 있는, 콤바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세로 덕트로 공조 공기가 분기되도록, 상기 세로 덕트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덕트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부 중 상기 세로 덕트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송풍 방향 상측 부분이, 상기 저부 중 상기 접속부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보다 낮아지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 상기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종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세로 덕트로 공조 공기가 분기되도록, 상기 세로 덕트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덕트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부 중 상기 세로 덕트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송풍 방향 상측 부분이, 상기 저부 중 상기 접속부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보다 낮아지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 상기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종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세로 덕트로 공조 공기가 분기되도록, 상기 세로 덕트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덕트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부 중 상기 세로 덕트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송풍 방향 상측 부분이, 상기 저부 중 상기 접속부의 송풍 방향 하측 부분보다 낮아지는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 방향 하측 부분에, 상기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종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상기 운전석에 대해 상기 일측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 덕트는, 상기 캐빈 중 상기 승강구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60169271A 2015-12-25 2016-12-13 콤바인 KR20170077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4611A JP2017112961A (ja) 2015-12-25 2015-12-25 コンバイン
JPJP-P-2015-254611 2015-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032A true KR20170077032A (ko) 2017-07-05

Family

ID=5923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271A KR20170077032A (ko) 2015-12-25 2016-12-13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112961A (ko)
KR (1) KR20170077032A (ko)
CN (1) CN106912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1616A1 (en) * 2018-12-19 2021-09-23 Kubota Corporation Cab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8067A (zh) * 2018-05-22 2019-11-29 株式会社久保田 作业机
JP7264074B2 (ja) * 2020-01-29 2023-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420A (en) * 1990-07-19 1991-06-11 Brim Walter L Lawn mower shade apparatus
JP5829589B2 (ja) * 2012-08-29 2015-12-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095536B2 (ja) * 2013-09-12 2017-03-15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N204149807U (zh) * 2014-08-05 2015-02-11 株式会社久保田 收割机以及空调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91616A1 (en) * 2018-12-19 2021-09-23 Kubota Corporation Cabin
US11780286B2 (en) * 2018-12-19 2023-10-10 Kubota Corporation Ca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12961A (ja) 2017-06-29
CN106912255A (zh)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4492A1 (en) Cabin for a work vehicle
JP3622483B2 (ja) 車両の空調装置
US9126477B2 (en) Ductless cooling system for a vehicle power storage unit
US6361428B1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EP2674310B1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the cabin of a construction machine
JP4443485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KR20170077032A (ko) 콤바인
US10906477B2 (en)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vent structure
US6398294B1 (en) Easy access HVAC module on work vehicle
US6878054B2 (en) Ventilation cap for a motor vehicle roof
KR20160036651A (ko) 콤바인
JP4216773B2 (ja)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H05139156A (ja) 作業機の空調用ダクトのグリルドア
JP2007030723A (ja) ダンパーユニットおよび空調装置
CA2355773A1 (en) Driver ventilation for delivery truck
JP3331797B2 (ja) トラクタ等のキャビン
JP2009255919A5 (ko)
JP4960998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US11148507B2 (en)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vent structure
KR102520053B1 (ko) 작업차용 캐빈
JP2005008126A (ja) 車両用換気装置
JP2505720Y2 (ja) キャブのボディ構造
JP5188332B2 (ja) 作業車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