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254A -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254A
KR20170076254A KR1020150186294A KR20150186294A KR20170076254A KR 20170076254 A KR20170076254 A KR 20170076254A KR 1020150186294 A KR1020150186294 A KR 1020150186294A KR 20150186294 A KR20150186294 A KR 20150186294A KR 20170076254 A KR20170076254 A KR 2017007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ain body
air
casing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951B1 (ko
Inventor
최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5018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9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9/00Separation of different isotopes of the same chemical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3Tox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라돈가스 감지를 위한 라돈센서를 비롯하여 공기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각각의 사용환경과 사용수명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고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일면에 공기의 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구비되되, 이들 센서들 중 일부는 공기 청정기의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일부는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AIR CLEANER OPTIMIZING POSITION OF SENSOR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돈가스 감지를 위한 라돈센서를 비롯하여 공기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각각의 사용환경과 사용수명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고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복수의 필터와 공기순환용 팬을 구비하여 공기순환용 팬의 작동에 의해 먼지와 냄새 등이 포함된 공기가 복수의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정화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같은 공기 청정기는 본체의 개방된 전면에는 전면 패널이 설치되며, 복수의 필터와 공기순환용 팬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면 패널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들을 거친 후 본체의 측면이나 상면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게 된다. 예컨대, 공기 청정기에 적용 가능한 센서들로는 먼지센서, 일산화탄소센서, 이산화탄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냄새센서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은 각각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조건 혹은 환경이 요구되며, 서로 간에 사용수명이 달라서 어떤 것은 2년 정도의 수명을 갖고 있으나 어떤 것은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들 센서들에 대한 사용조건, 수명을 고려하여 집약적인 설치공간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 청정기들의 경우 이들 다양한 센서들을 함께 적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먼지센서 위주로 몇 개의 센서들만 적용하는 정도로만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센서들 중 일부는 비교적 사용수명이 짧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지만 획일적으로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10280호(2010.02.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돈가스 감지를 위한 라돈센서를 비롯하여 공기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각각의 사용환경과 사용수명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고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일면에 공기의 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구비되되, 이들 센서들 중 일부는 공기 청정기의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한 착탈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메인본체에 착탈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PCB와; 상기 PCB에 장착되는 교체형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형 센서들은 발열소자로 이루어진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LPG센서와 냄새를 감지하는 VOCs센서이며, 이들 LPG센서와 VOCs센서는 발열에 따른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mm 이상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PG센서와 VOCs센서 사이에는 포름알데이드를 감지하는 포름알데히드센서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에 대한 상기 착탈부재의 착탈식 결합을 위해, 상기 케이싱의 좌편과 우편에는 각각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케이싱이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좌편과 우편에는 각각 상기 케이싱의 스냅돌기가 스냅핑 결합되도록 스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의 후면 상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본체에 안착된 상기 케이싱을 분리할 때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한 압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상기 메인본체의 일면 상부에 설치되되, 라돈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라돈센서는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상부 중앙에 단독 배치되어 제1그룹을 형성하고, 미세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센서는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상부 좌측에 단독 배치되어 제2그룹을 형성하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와, 일산화탄소를 감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센서 및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는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 대해 발열에 의한 간섭을 하지 않는 센서들로서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상기 미세먼지센서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3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착탈부재에 장착된 센서들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부 우측에 배치되어 제4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센서, 이산화탄서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는 하나의 PCB에 모듈화된 형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한 센서와 제3그룹에 속한 센서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의 렌즈로 통하는 청소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라돈가스 감지를 위한 라돈센서를 비롯하여 공기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을 각각의 사용환경과 사용수명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물론 센서들에 대한 유지관리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후면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착탈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착탈부재에 구비된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모듈화된 고형정 센서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메인본체 후면에 형성된 청소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메인본체(110)와, 커버(120) 및 필터(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S1,S2,S3,S4,S5,S6,S7,S8,S9)과, 상기 센서들에서 측정된 수치를 근거로 공기 청정기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기(119)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115), 조작버튼(116), 흡배기팬(117)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S1,S2,S3,S4,S5,S6,S7,S8,S9)들을 각각의 사용환경과 사용수명을 고려하여 서로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영역으로 그룹화하여 배치되고, 그 중 일부는 메인본체(110)에 고정된 형태에서 탈피하여 착탈부재(140)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수명이 다된 센서를 교체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후면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착탈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착탈부재에 구비된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모듈화된 고형정 센서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 메인본체 후면에 형성된 청소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본체(110)의 후면에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구비된다. 이들을 열거하면 라돈가스를 감지하는 라돈센서(S1),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S2),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센서(S3),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센서(S4),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5),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S6), 포름알데히드를 감지하는 포름알데히드센서(S7), 냄새를 감지하는 VOCs센서(S8), LPG 가스를 감지하는 LPG센서(S9)이다.
이들 센서들은 사용환경, 사용수명에 따라 각각 그룹화되어 제1그룹(A)에서 제4그룹(D)까지 분류되고 영역을 달리하여 설치된다.
제1그룹(A)의 경우 라돈센서(S1) 단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돈센서(S1)는 상기 메인본체(110)의 후면 상부 중앙에 고정된다. 상기 라돈센서(S1)는 반영구적인 사용수명의 반도체 측정장비로서 챔버 내부에 라돈가스 및 기타 방사능 가스가 침투하게 되면 라돈가스의 스펙트럼만을 검출하여 라돈가스의 수치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라돈센서(S1)는 정확한 감지를 위해 실내 바닥에서 적어도 1m 높이에는 설치되어야 하며 챔버에 라돈가스의 침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른 센서들과 격리시켜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그룹(A)에 단독으로 배치한 것이다. 한편, 상기 라돈센서(S1)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110)의 일면에는 상기 라돈센서(S1)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공기 유통공(111a)이 형성된다.
제2그룹(B)의 경우, 미세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센서(S2) 단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본체(110)의 후면 상부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미세먼지센서(S2)는 내부 히터(저항)의 발열에 의하여 미세먼지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미세먼지 입자가 내부 조명영역을 통과하면 미세먼지 입자에 의한 산란광 펄스를 측정함으로써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미세먼지센서(S2)의 경우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발열을 하기 때문에 다른 센서들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다가 자신은 렌즈에 의한 측정을 하는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민감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이같은 미세먼지센서(S2)는 라돈센서(S1)와 마찬가지로 다른 센서들과 격리시켜 단독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같은 미세먼지센서(S2)는 높은 위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라돈센서(S1)와 함께 메인본체(110) 후면에서 최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미세먼지센서(S2)의 사용수명은 5년 정도이다.
한편, 상기 미세먼지센서(S2)의 경우 장기간 정확한 측정을 위해 면봉(M)으로 렌즈를 청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메인본체(110) 후면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S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미세먼지센서(S2)의 렌즈로 통하는 청소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청소공(114)에 알콜이 묻혀진 면봉(M)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미세먼지센서(S2)의 렌즈를 간단히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일 상기 청소공(114)이 없다면 렌즈 청소를 위해 메인본체(110)의 후면판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그와 같은 번거로움이 없다.
제3그룹(C)의 경우, 일산화탄소센서(S3), 이산화탄소센서(S4), 온도센서(S5) 및 습도센서(S6)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본체(110) 후면의 좌측에 설치된 미세먼지센서(S2)보다 좌측으로 치우쳐 설치된다. 상기 일산화탄소센서(S3), 이산화탄서센서, 온도센서(S5), 습도센서(S6)가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것은 이들 모두의 사용수명이 5년 이상에 달하므로 교체주기가 길기 때문이며 온도센서(S5) 및 습도센서(S6)의 경우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 중요한 이유로 일산화탄소센서(S3)와 이산화탄소센서(S4)는 각각 전기화학식 센서 및 비분산 적외선센서이면서 발열이 없으므로 온도의 영향을 받으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온도센서(S5) 및 습도센서(S6)와 함께 설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들 제3그룹(C)에 속한 센서들은 하나의 PCB(119)에 모듈화된 형태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일산화탄소센서(S3), 이산화탄소센서(S4), 온도센서(S5), 습도센서(S6)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110)의 일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111b)이 형성된다.
제4그룹(D)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센서(S7)와, VOCs센서(S8)와, LPG센서(S9)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메인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착탈부재(140)에 포함된다. 상기 착탈부재(14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메인본체(110)에 착탈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싱(141)과, 상기 케이싱(14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PCB(142)와, 상기 PCB(142)에 장착되는 포름알데히드센서(S7)와, VOCs센서(S8)와, LPG센서(S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LPG센서(S9)와 VOCs센서(S8)는 발열소자로 이루어진 관계로 발열에 따른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mm 이상 이격되며, 실 제품에서는 공간이 허용된다면 바람직하게는 40mm 정도 이격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LPG센서(S9)와 VOCs센서(S8) 사이에 상기 포름알데이드를 감지하는 포름알데히드센서(S7)가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41)은 포름알데히드센서(S7), VOCs센서(S8), LPG센서(S9)가 메인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해주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본체(110) 후면 상부 우측에 형성된 안착홈(113)에 대응하여 안착되며, 좌편과 우편에는 상기 메인본체(110)의 안착홈(113) 좌편과 우편에 형성된 스냅홈(113a)에 스냅핑 결합되는 스냅돌기(141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41)의 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141a)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41)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141)의 후면 상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본체(110)에 안착된 상기 케이싱(141)을 분리할 때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한 압지홈(141c)이 형성된다. 단, 상기 케이싱(141)이 상기 메인본체(110)의 안착홈(113)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메인본체(110)와 상기 케이싱(141) 간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110)의 안착홈(113)과 상기 케이싱(141)의 전면에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주는 접속단자(미도시됨)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메인본체 111a, 111b, 141a : 공기 유통공
112 : 공기 배출구 113 : 안착홈
113a : 스냅홈 114 : 청소공
115 : 디스플레이 116 : 조작버톤
117 : 흡배기팬 118 : 제어기
120 : 커버 130 : 필터
140 : 착탈부재 141 : 케이싱
141b : 스냅돌기 141c : 압지홈
119, 142, : PCB

Claims (11)

  1.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하는 일면에 공기의 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구비되되, 이들 센서들 중 일부는 공기 청정기의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일부는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메인본체에 착탈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PCB와;
    상기 PCB에 장착되는 교체형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센서들은 발열소자로 이루어진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LPG센서와 냄새를 감지하는 VOCs센서이며, 이들 LPG센서와 VOCs센서는 발열에 따른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mm 이상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PG센서와 VOCs센서 사이에는 포름알데이드를 감지하는 포름알데히드센서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센서로는,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LPG센서와, 냄새를 감지하는 VOCs센서와, 포름알데히드를 감지하는 포름알데히드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에 대한 상기 착탈부재의 착탈식 결합을 위해, 상기 케이싱의 좌편과 우편에는 각각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케이싱이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좌편과 우편에는 각각 상기 케이싱의 스냅돌기가 스냅핑 결합되도록 스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의 후면 상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본체에 안착된 상기 케이싱을 분리할 때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한 압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상기 메인본체의 일면 상부에 설치되되,
    라돈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라돈센서는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상부 중앙에 단독 배치되어 제1그룹을 형성하고,
    미세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센서는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상부 좌측에 단독 배치되어 제2그룹을 형성하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와, 일산화탄소를 감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센서 및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는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 대해 발열에 의한 간섭을 하지 않는 센서들로서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된 형태로 상기 미세먼지센서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3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착탈부재에 장착된 센서들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부 우측에 배치되어 제4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센서, 이산화탄서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는 하나의 PCB에 모듈화된 형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한 센서와 제3그룹에 속한 센서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의 렌즈로 통하는 청소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50186294A 2015-12-24 2015-12-24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KR10179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94A KR101799951B1 (ko) 2015-12-24 2015-12-24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94A KR101799951B1 (ko) 2015-12-24 2015-12-24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54A true KR20170076254A (ko) 2017-07-04
KR101799951B1 KR101799951B1 (ko) 2017-11-22

Family

ID=5935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294A KR101799951B1 (ko) 2015-12-24 2015-12-24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95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0673A (zh) * 2018-07-27 2019-10-22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有监测甲醛的传感器的空气净化器
KR20200036703A (ko) * 2019-06-11 2020-04-07 여정환 환경정보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00065384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크리자인 공기질 변화를 인식하여 대응하는 IoT 기반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200069960A (ko) * 2018-12-07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EP3667316A1 (en) * 2018-12-07 2020-06-17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20200089016A (ko) * 2019-01-16 2020-07-24 임상순 공기 유로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장치
KR20200131379A (ko) 2019-05-13 2020-11-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라돈 여과장치
KR20210069131A (ko) * 2019-11-27 2021-06-11 주식회사 미로 센서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76B1 (ko) * 2017-11-26 2018-06-26 주식회사 제이와이팩토리 공기청정기 제어방법 및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816A (ja) * 2000-12-19 2002-07-02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機
US20070082601A1 (en) 2005-03-10 2007-04-12 Desrochers Eric M Dynamic control of dilution ventilation in one-pass, critical environment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7319B2 (en) 2017-11-27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CN110360673A (zh) * 2018-07-27 2019-10-22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有监测甲醛的传感器的空气净化器
KR20200065384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크리자인 공기질 변화를 인식하여 대응하는 IoT 기반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200069960A (ko) * 2018-12-07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EP3667316A1 (en) * 2018-12-07 2020-06-17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KR20200069961A (ko) * 2018-12-07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US11307185B2 (en) 2018-12-07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US11516918B2 (en) 2018-12-07 2022-11-29 Lg Electronics Inc. Air-quality detection apparatus
KR20200089016A (ko) * 2019-01-16 2020-07-24 임상순 공기 유로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장치
KR20200131379A (ko) 2019-05-13 2020-11-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라돈 여과장치
KR20200036703A (ko) * 2019-06-11 2020-04-07 여정환 환경정보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10069131A (ko) * 2019-11-27 2021-06-11 주식회사 미로 센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951B1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951B1 (ko)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US8974585B2 (en) Fan-and-filter unit
EP3093660A1 (en) Hybrid environment sensor
JP6491767B2 (ja) 空気清浄機
KR200491354Y1 (ko) 빌트인 타입의 공기청정장치를 구비한 시트백커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KR20190007993A (ko) 자동청소기능 미세먼지센서
CN107036949B (zh) 粉尘浓度检测装置及设有粉尘浓度检测装置空气净化设备
JP5991893B2 (ja) フィルタ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CN109567670B (zh) 一种智能吸尘器
KR100836725B1 (ko) 공기청정기용 먼지 센서의 보상 제어방법
KR20200058695A (ko) 다목적 공기청정기
CN209132198U (zh) 一种多回路气体检测仪
KR20180083113A (ko) 필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
JP3214850U (ja) 粒子検出センサ
KR20200049142A (ko) 공기질 측정 장치
KR20090113697A (ko) 공기 청정기
KR100507832B1 (ko) 실험실용 덕트리스 흄 후드
EP4080189A1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and vehicle air conditioner assembly
CN208238012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6404621A (zh) 一种教学用的粉尘检测箱
CN207081639U (zh) 颗粒物浓度传感器及传感系统
KR20210047708A (ko)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KR20200106416A (ko) 공기 청정기 및 그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
KR20060018664A (ko) 공기 청정기
KR102437900B1 (ko) 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