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708A -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708A
KR20210047708A KR1020190131614A KR20190131614A KR20210047708A KR 20210047708 A KR20210047708 A KR 20210047708A KR 1020190131614 A KR1020190131614 A KR 1020190131614A KR 20190131614 A KR20190131614 A KR 20190131614A KR 20210047708 A KR20210047708 A KR 2021004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measuring device
chamber
high humidit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947B1 (ko
Inventor
이정훈
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9013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9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시료 튜브에 기준 측정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미세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이용하여 챔버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연결된 기준 측정기기의 계수치가 소정 값에서 변동없이 유지될 때까지 챔버 내를 소정 시간 동안 청정하게 유지하는 단계, 시료 튜브에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수분 공급부 및 온도조절부를 제어하여 챔버 내부를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 블로어를 동작시켜 미세먼지가 포함된 시험 공기를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기준 측정기기의 측정값 및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값의 변화폭이 소정 값 이내가 될 때까지 유지하는 안정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측정값이 안정화 되면,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기준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미세먼지 측정기기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METHOD FOR TESTING PERFORMANCE OF FINE DUST MEASURING DEVICE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AL CONDITIONS}
본 발명은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성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복합한 성분을 가진 대기 중 부유 물질로,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먼지로 PM(Particulate Matter)10이라고 한다.
대부분 자동차 배출 가스나 공장 굴뚝 등을 통해 주로 배출되며 중국의 황사나 심한 스모그 때 날아오는 크기가 작은 먼지를 말한다.
이러한 미세먼지 중 지름 2.5㎛ 이하의 먼지는 PM 2.5로 정의되며,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대부분 폐포까지 침투해 심장질환과 호흡기 질병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훨씬 유해하다.
이러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은 수동 측정법과 자동 측정법이 있으며, 수동 측정법으로는 중량법(Gravimetric method)이 있으며, 자동 측정법으로는 베타선 측정법 및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방법이 있다.
수동 측정 방법인 중량법은 임펙터 또는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먼지(PM 10: 10 마이크로 이하입자)를 분리하고, 포어(pore) 사이즈 2 마이크로 이하 GFC (glass fiber filter) 여과지에 먼지를 포집한 다음, 여과지에 포집 전 후 무게를 이용 순수한 먼지의 무게를 구하고, 이후 포집 총유량 값을 계산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자동 측정 방법인 베타선 흡수법 기반의 측정 방법은 임펙터 또는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 (PM10: 10마이크로 이하입자)를 분리하고, 필터에 먼지를 포집한 다음, 베타선소스를 투과하여 투과도를 측정하고, 이 투과도를 무게로 정량화 하는 것이다.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방법은 입자를 광학챔버로 공급하고, 광학챔버에 입자가 들어오면 광원에서 조사된 빛과 입자가 만나 산란광이 만들어지는데, 90도 굴절된 산란광을 검출기에서 인식하여 산란광의 크기에 따라 입자 사이즈를 결정하며 산란광의 개수를 파악하여 입자의 사이즈별 개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중량 포집법은 실시간 측정이 어렵고, 포집 전후 여과지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외부 영향을 많이 받아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베타선 측정법에 의한 미세먼지 측정은 정확하지만 정밀한 측정기기임에 따라 복잡하며 가격이 고가인 단점과 베터선에 의한 인체의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방법은 실시간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하고, 다른 측정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다수의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방법을 이용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기질을 쉽고 빠르게 측정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신뢰도, 정확도 등과 같은 성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은 상기 시료 튜브에 상기 기준 측정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미세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기준 측정기기의 계수치가 소정 값에서 변동없이 유지될 때까지 상기 챔버 내를 소정 시간 동안 청정하게 유지하는 단계, 상기 시료 튜브에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수분 공급부 및 온도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를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 블로어를 동작시켜 미세먼지가 포함된 시험 공기를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의 측정값 및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값의 변화폭이 소정 값 이내가 될 때까지 유지하는 안정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안정화 되면,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은 온도 18℃ ~ 20℃ 및 습도 85 ~ 9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 평가 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미세먼지 수용액을 공급하는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 상기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로부터 미세먼지 수용액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받은 미세먼지 수용액을 이용하여 미세먼자가 포함된 시험용 공기를 제조하는 입자 발생부, 상기 챔버 내부의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을 위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습도값을 기초로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 조절을 위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을 기초로 챔버 내부의 온도 조절을 수행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챔버는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청정 공기를 제공받고 상기 입자 발생부로부터 시험용 공기를 제공받으며, 상기 청정 공기와 상기 시험용 공기가 혼합된 혼합 공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측정기기는 베타선 흡수법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기기 이고,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는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는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값의 보정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는 주변 환경, 특히,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온 및 고습 조건에서 측정기기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오차발생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고습한 환경에서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가 정확하게 미세먼지를 측정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습 환경에서 평가함으로써, 오차 발생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품질향상 및 제품경쟁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실제 사용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주변 습도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기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및 수분 공급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성능 평가 장치(1000)는 공기 공급부(100),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150), 입자 발생부(200), 입력부(250), 수분 공급부(300), 온도 조절부(350), 챔버(500) 및 배출부(550)를 일부 또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에는 성능 평가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1,..400-N : 4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성능 평가 장치(1000)에 연결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란되는 광량 및/또는 횟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에는 미세먼지 측정기기(400)의 성능 평가를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측정기기(45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측정기기(450)는 베타선 흡수법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는 성능 평가 장치(1000)에 연결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성능 평가를 위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에 복수의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1000)가 연결된 경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는 연결된 복수의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 대하여 동시에 성능 평가를 위한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청정공기 : HEPA 필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필터로 미세먼지를 여과한 공기를 의미한다.
* 시험용 공기 :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판별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공기로서, 건조된 청정공기 중에 지름을 알고 있는 미세먼지를 부유시킨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미세먼지는 PSL(polystyrene latex) 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 : 성능 평가의 대상이 되는 기기로, 공기를 흡인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질량농도로 환산하여 결과값을 기록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는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일 수 있다.
* 기준 측정기기 : 성능 평가의 기준이 되는 기기로, 공기를 흡인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질량농도로 환산하여 결과값을 기록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준 측정기기의 측정 결과값은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결과값과 상대 비교되고, 비교에 따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 정확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측정기기는 베타선 흡수법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기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의 공기 공급부(100)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한 후 입자 발생부(200) 및 챔버(50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공급부(100)는 외부 대기 등으로부터 공기를 제공받는 공기 공급원(미도시), 상기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헤파 필터 등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미세먼지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 공기를 생성하는 청정공기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공급부(100)는 청정공기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청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한 후 입자 발생부(200) 및 챔버(500)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공기 공급부(100)는 챔버(500) 상부와 연결되어 챔버(500)로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150)는 미세먼지 입자를 내포하고 있는 미세먼지 수용액을 입자 발생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200)는 미세먼지 수용액을 담고 있는 미세먼지 수용액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150)는 미세먼지 수용액 수용부의 배출양을 제어하여 미세먼지 수용액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먼지 수용액을 입자 발생부(200)에 공급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 제어부(미도시)는 기 설정된 시간당 공급양에 따라 미세먼지 수용액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먼지 수용액을 입자 발생부(200)에 공급하도록 미세먼지 수용액 수용부를 제어할 수 있다.
입자 발생부(200)는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150)에서 제공받은 미세먼지 수용액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입자를 부유시킨 시험용 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입자 발생부(200)는 챔버(50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조된 시험용 공기를 챔버(50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자 발생부(200)는 공기공급계(미도시), 분무계(미도시), 건조 희석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자 발생부(200)의 공기공급계는 공기 공급부(100)로부터 청정 공기를 제공받아 분무계, 건조희석계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입자 발생부(200)의 분무계는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150)에서 제공받은 미세먼지 수용액을 분무기를 이용하여 분무할 수 있다. 그리고, 입자 발생부(200)의 건조 희석계는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기체를 분무 계통과 다른 경로로 냉온건조기, 건조관, 필터유량계, 필터 순으로 에어로졸 혼합관에 공급하고 분무기에서 분무시킨 미립자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를 부유시킨 시험용 공기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챔버(500)는 일정한 압력, 온도, 습도 등을 유지하기 위한 성능을 갖춘 표준화된 시험실로 밀폐된 공간을 의미 한다.
이러한 챔버(500)의 일 단에는 미세먼지 입자를 부유시킨 시험용 공기를 송출하는 블로어가 설치될 수 있고, 공기 공급부(100)로부터의 청정 공기를 챔버(500)에 전달하는 청정 공기 공급 튜브가 블로어의 취출구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챔버(500)는 공기 공급부(100)로부터 청정 공기를 제공받고, 입자 발생부(200)로부터 미세먼지 입자를 부유시킨 시험용 공기를 제공받으며, 챔버(500) 내에서 청정공기가 블로어의 시험용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챔버(500)의 일 단은 챔버의 상부일 수 있다. 여기서, 블로어는 개방 유량이 매분 약 1 ~ 5 m3, 폐지정압이 최저 50 Pa 인 것으로서 유량 조절용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챔버(500) 내부에서 생성된 혼합 공기는 챔버(500)의 상단에서 챔버(500)의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챔버(500)의 내부는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는 주변 환경, 특히,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성능 평가 장치(1000)는 챔버(500)의 내부를 상온 및 고습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2는 주변 습도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기준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PM 2.5를 매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며, (b)는 시간 별로 주변의 습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c)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PM 2.5를 매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기준 측정기기는 베타선 흡수법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기기로, 어떤 환경 조건(특히, 고습 환경 조건)에서도 미세먼지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준 측정기기는, 도 2(b)와 같은 습도 변화에의 영향 없이, 주변 환경의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함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2(c)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는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다. 즉,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는 습도가 올라감에 따라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정확한 입자 사이즈 분리를 하지 못하여, 수분과 미세먼지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습 환경 조건에서, 기준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의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은,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값은 잘못된 값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성능 평가 장치(1000)는 미세 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정확한 성능 평가를 위하여, 챔버(500)의 내부를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으로 설정하고,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능 평가 장치(1000)는 챔버(500) 내부를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250), 수분 공급부(300), 온도 조절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챔버(500) 내부의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을 위한 입력값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 및 습도값은 수분 공급부(300) 및 온도 조절부(350)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50)에는 을 위한 온도 18℃ ~ 22℃ 및 습도 80 ~ 95 % 범위의 값이 입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온도 20℃ 및 습도 90%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50)는 현재 챔버(500)의 환경 조건(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250)는 도 3의 (b)와 같이 챔버(5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챔버(500)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값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수분 공급부(300)는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 또는 초순수(Ultrapure Water)를 만드는 장치로써,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습도값을 기초로 챔버(500) 내부의 습도 조절을 위한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 공급부(300)는 전여과압, 활성탄 필터, 이온교환장치, 자외선등 순수 또는 초순수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순수 또는 초순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순수 또는 초순수는 챔버(500)로 제공되어 습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수분 공급부(300)는 도 3의 (a)와 같이 물의 순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의 순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챔버(500)는 수분 공급부(300)로부터 순수 또는 초순수를 공급받아 내부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350)는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을 기초로 챔버 내부의 온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50)를 통해 온도값 20℃가 입력된 경우, 온도 조절부(350)는 챔버(500) 내부의 온도가 20℃를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챔버(500)의 타 단에는 기준 측정기기(450) 및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시료 튜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시료 튜브는 기준 측정기기(450) 및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공기 흡입구 치수에 맞는 지름의 내면이 평활한 것으로 하고 튜브의 길이는 1 m 이내로, 흡입구를 포함한 일부는 챔버(500)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챔버(50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시료 튜브 각각의 흡입구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시료 튜브의 재료는 금속, 유리 또는 대전성이 없고 가소재가 발산되지 않는 합성수지제의 튜브일 수 있다. 그리고 시료 튜브의 흡입구는 챔버(500)의 중심에 근접시켜 설치되고, 복수의 시료 튜브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치는 균등하되 서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550)는 챔버(500)의 하부와 연결되어 챔버(500) 내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챔버(500)에 유입된 청정 공기, 순수 또는 초순수, 미세먼지 입자를 포함하는 시험용 공기가 혼합된 혼합 공기의 일부는 챔버(500)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부(5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550)에는 혼합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배출부(550)는 미세먼지를 여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챔버(500)에 유입된 청정 공기, 미세먼지 입자를 포함하는 시험용 공기가 혼합된 혼합 공기의 다른 일부는 챔버(50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시료 튜브를 통하여 성능 평가의 기준이 되는 기준 측정기기(450) 및 성능 평가 대상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500)의 혼합 공기 중 일부는 챔버(50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시료 튜브를 통하여 기준 측정기기(450)로 이동할 수 있다. 기준 측정기기(450)는 챔버(500) 내부의 시료 튜브를 통해 수집된 혼합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해서 혼합 공기 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질량농도로 환산하여 결과값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0)의 혼합 공기 중 일부는 챔버(50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시료 튜브를 통하여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로 이동할 수 있다.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는 챔버(500) 내부의 시료 튜브를 통해 수집된 혼합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해서 혼합 공기 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질량농도로 환산하여 결과값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측정기기(450)의 측정 결과값은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결과값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기준 측정기기(450)의 측정 결과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비교하고, 양 결과값의 차이에 따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성능이 평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는 챔버(500) 내부의 혼합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속 측정부는 튜브 형상으로 구현되어, 유속 측정 기능을 구비한 부분은 챔버(500)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챔버(50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챔버(500)의 내부에 위치한 유속 측정 기능을 구비한 부분은 챔버(500)의 상단에서 챔버(500)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미세먼지 혼합 공기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유속 측정부에서 측정된 혼합 공기의 유속값은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성능 평가시, 성능 평가 지표로 이용되거나 또는 실험 환경의 설정을 위한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성능 평가시 기준이 되는 유속값과 유속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속값을 비교하고,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와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농도값을 비교에 따른 양자의 유속값 차이값을 기초로 보정하며, 보정된 농도값을 기초로 성능 평가 대상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성능 평가시 기준이 되는 유속값과 유속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속값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양자의 차이값을 기초로 챔버(500) 내부의 블로어 등을 제어하여 혼합 공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성능 평가 대상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는 산란되는 광량과 횟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는 광원부(10), 광 가이드부(20), 광 검출부(30) 및 프로세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0)은 광을 방출하고, 광가이드부(20)는 내부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광로를 통하여 광원부(10)에서 방출된 광을 가이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 검출부(30)는 광가이드부(20)를 통과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40)는 광 검출부(30)에서 검출된 광의 검출 데이터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0)에서 방출된 광이 산란경로의 먼지입자에 의해 산란되고, 광 검출부(30)는 산란광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산란광을 기초로 프로세서(40)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는 기준 측정기기(450)와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 각각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초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에 연결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 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시료 튜브 중 하나에 기준 측정기기(450)를 연결할 수 있다(S110). 이 경우, 복수의 시료 튜브 중 기준 측정기기(450)를 연결을 위한 시료 튜브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료 튜브는 챔버(500)에서 떼어낼 수 있다.
이후, 챔버(500)로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S120). 이 때, 챔버의 블로어는 운전하지 않고 청정 공기량이 기준 측정기기(450)의 흡입량보다 많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후, 기준 측정기기(450)의 계수치가 소정 값(예를 들어, 0 또는 이에 근접한 숫자)에서 변동없이 유지될 때까지 챔버(500) 내를 소정 시간 동안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S130).
이후, 복수의 시료 튜브 중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를 연결을 위한 시료 튜브를 챔버(400)에 설치하고, 시료 튜브에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를 연결할 수 있다(S140).
이후, 수분 공급부 및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챔버(500) 내부를 상온 및 고습 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S150). 여기서, 상온 및 고습 환경은 입력부(250)에서 입력된 습도값 및 온도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온 및 고습 환경은 온도 18℃ ~ 22℃ 및 습도 80 ~ 95 % 일 수 있다.
이후, 블로어를 동작시켜 미세먼지 포함된 시험 공기를 챔버(50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S160).
이후,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기준 측정기기(450)의 측정값의 변화폭 및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측정값의 변화폭이 소정 값(예를 들어, 5%) 이내가 될 때까지 유지하는 안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S170).
이후, 상온 및 고습 환경에서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180). 이 경우,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80)는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 대응되는 온도 조건 범위 내에서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건 범위 내에서 습도를 조절하며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능 평가 단계(S180)는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미세먼지 농도값일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 대응되는 온도 조건 범위 내에서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조건 범위 내에서 습도를 조절하며 측정된 측정값으로, 온도 및 습도 별로 값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성능 평가 단계(S180)는 획득된 측정값을 기초로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400)의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20) 는 소정 범위 습도(예를 들어, 80 ~ 95 %) 환경에서 기준 측정기기(450)의 습도 별 미세먼지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습도 별 측정값 사이의 차이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1과 같은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습도 85 86 87 88 89 90
기준 측정 기기 40.1 40 40.2 40.2 40.3 40.2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 1 80.1 85 90 98.2 105 120
오차 데이터 40 45 49.8 58 64.7 79.8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 2 60.1 61 62.5 65 68 60
오차 데이터 20 21 22.3 24.2 28.3 29.8
그리고, 성능 평가 단계(S180)는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기초로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400)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기초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230)에서는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의 편차 및 오차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오차 분포 데이터의 편차가 작을수록, 오차크기가 작을수록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400)에 대한 성능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오차 분포 데이터의 편차가 클수록, 오차크기가 클수록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400)에 대한 성능을 낮게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성능 평가 단계(S170)는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210) 이후에 유속 측정부에서 측정된 챔버(500) 내부의 혼합 공기의 유속값을 기초로 시료 채취 정확성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료 채취 정확성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성능 평가시 기준이 되는 유속값과 유속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속값의 차이의 절대값을 유속 측정부에서 측정된 유속값으로 나눔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간이 측정 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상기 산출된 시료 채취 정확성값을 기초로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20)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보정값과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보정값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20)에서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는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값의 보정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성능 평가 장치(1000)를 통해 성능 평가 수행된 "A 미세 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메모리에는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20)에서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A 미세 먼지 간이 측정기기"에는 습도 측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습 환경 조건에서 "A 미세 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경우, "A 미세 먼지 간이 측정기기"는 측정값을 메모리에 저장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여 측정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는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는 프로세서(600), 메모리(650) 및 표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10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일 예로, 도 6에 따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5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00)는 기준 측정기기(45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측정값을 기초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의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하며, 성능 평가 대상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400)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700)는 프로세서(600)에서 수행된 성능을 평가의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는 주변 환경, 특히,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온 및 고습 조건에서 측정기기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오차발생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고습한 환경에서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가 정확하게 미세먼지를 측정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습 환경에서 평가함으로써, 오차 발생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품질향상 및 제품경쟁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의 실제 사용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기 공급부 150 :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
200 : 입자 발생부 250 : 입력부
300 : 수분 공급부 350 : 온도 조절부
400 :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 450 : 기준 측정기기
500 : 챔버 550 : 배출부
600 : 프로세서 650 : 메모리
700 : 표시부

Claims (6)

  1.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 장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성능 평가의 기준이 되는 기준 측정기기 및 성능 평가의 대상인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시료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평가 방법은,
    상기 시료 튜브에 상기 기준 측정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미세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기준 측정기기의 계수치가 소정 값에서 변동없이 유지될 때까지 상기 챔버 내를 소정 시간 동안 청정하게 유지하는 단계;
    상기 시료 튜브에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수분 공급부 및 온도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를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
    블로어를 동작시켜 미세먼지가 포함된 시험 공기를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의 측정값 및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값의 변화폭이 소정 값 이내가 될 때까지 유지하는 안정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안정화 되면,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 성능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은,
    온도 18℃ ~ 22℃ 및 습도 80 ~ 9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 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미세먼지 수용액을 공급하는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
    상기 미세먼지 수용액 공급부로부터 미세먼지 수용액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받은 미세먼지 수용액을 이용하여 미세먼자가 포함된 시험용 공기를 제조하는 입자 발생부;
    상기 챔버 내부의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을 위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습도값을 기초로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 조절을 위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온도값을 기초로 챔버 내부의 온도 조절을 수행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청정 공기를 제공받고 상기 입자 발생부로부터 시험용 공기를 제공받으며, 상기 청정 공기와 상기 시험용 공기가 혼합된 혼합 공기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는 베타선 흡수법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기기이고,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는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상기 기준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습도 별 오차 분포 데이터는 상기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측정값의 보정값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KR1020190131614A 2019-10-22 2019-10-22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KR10227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14A KR102275947B1 (ko) 2019-10-22 2019-10-22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14A KR102275947B1 (ko) 2019-10-22 2019-10-22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08A true KR20210047708A (ko) 2021-04-30
KR102275947B1 KR102275947B1 (ko) 2021-07-12

Family

ID=7574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14A KR102275947B1 (ko) 2019-10-22 2019-10-22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20B1 (ko) * 2023-01-02 2023-10-27 서울특별시 인공지능을 이용한 미세먼지 예측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090A (ja) * 2004-06-15 2006-01-05 Dkk Toa Corp 浮遊粒子状物質測定装置
KR101752019B1 (ko) * 2009-09-16 2017-06-2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먼지 로딩 용량 및 다습 환경에 대한 개선된 저항을 갖는 공기 여과 매체
KR20170105990A (ko) * 2016-03-11 2017-09-20 김중구 미세먼지 측정용 항온 항습기
KR101932945B1 (ko) * 2018-10-25 2018-12-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광산란식 미세먼지측정기의 성능평가방법
KR20190055646A (ko) * 2017-11-15 2019-05-23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바이오필터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성능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090A (ja) * 2004-06-15 2006-01-05 Dkk Toa Corp 浮遊粒子状物質測定装置
KR101752019B1 (ko) * 2009-09-16 2017-06-2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개선된 먼지 로딩 용량 및 다습 환경에 대한 개선된 저항을 갖는 공기 여과 매체
KR20170105990A (ko) * 2016-03-11 2017-09-20 김중구 미세먼지 측정용 항온 항습기
KR20190055646A (ko) * 2017-11-15 2019-05-23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바이오필터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성능 평가 방법
KR101932945B1 (ko) * 2018-10-25 2018-12-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광산란식 미세먼지측정기의 성능평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947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4394B (zh) 呼气一氧化氮检测装置
JP5372924B2 (ja) β線煙塵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試料の有効性確認方法
EP1059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borne particulate
KR101799951B1 (ko)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CN108827843A (zh) 固定污染源颗粒物的质量浓度和粒度谱的测量装置及方法
KR102275947B1 (ko) 상온 및 고습 환경 조건에서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CN107703021A (zh) 一种便携式空气水含量测量装置
KR101012087B1 (ko) 항원 폭로장치
CN110631971A (zh) β射线颗粒物监测仪的去除干扰装置及方法
Pitz et al. Quali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at an urban monitoring station in Augsburg, Germany
CN103487489A (zh) 自标定呼气一氧化氮分析仪
CN111122392B (zh) 一种气溶胶吸湿特性综合测量仪器
CN207557037U (zh) 一种便携式空气水含量测量装置
WO20200078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erosol delivery
CN108120659A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和方法
CN107132202B (zh) 一种蒸发光散射检测器
CN115201080A (zh) 烟尘浓度测量机构的校准装置及方法
CN205384206U (zh) 一种抽取式低浓度粉尘仪
CN109557254B (zh) 一种建立标准化卷烟烟气小鼠口鼻暴露方法的方法
CN209372639U (zh) 酸雾粒径检测装置
KR102435967B1 (ko) 상이한 입경 입자상 물질의 질량 농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209695217U (zh) 一种医疗影像设备校准装置
CN207472723U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
KR102253468B1 (ko) 블랙카본 측정기기의 성능 평가 장치
CN207601001U (zh) 一种智能回流式油烟浓度在线监控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