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028A - 다용도 의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028A
KR20170076028A KR1020150185729A KR20150185729A KR20170076028A KR 20170076028 A KR20170076028 A KR 20170076028A KR 1020150185729 A KR1020150185729 A KR 1020150185729A KR 20150185729 A KR20150185729 A KR 20150185729A KR 20170076028 A KR20170076028 A KR 20170076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unit
module
present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지
Original Assignee
김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지 filed Critical 김현지
Priority to KR102015018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028A/ko
Publication of KR2017007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자는 배치 각도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용도 의자는 의자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지지체 모듈(110); 및 상기 지지체 모듈(110)의 외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모듈(12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모듈(110)은 일 지점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선형 구조체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의자{Multi-functional chair}
본 발명은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치되는 각도의 변경을 통해서 기능 변화를 가하고 이를 통해 착석하는 사용자의 사용감을 변화하게 할 수 있는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편히 앉을 수 있도록 좌판과 등판으로 구성되고, 특히 등판은 사람이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45도 이상 기댈 수 없게 설계되고, 이는 수업용 의자나 사무용 의자들과 같이 대부분의 의자가 갖는 공통된 등판구조이다. 한편,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가구의 일종으로서 앉기 편한 것, 앉아서 편한 것, 쓰기 편한 것이어야 하고,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질 때에 비로소 우수한 기능성 의자라 할 수 있다.
시중에는 앉아 있는 경우에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흔들 의자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인데, 흔들 의자는 요람에서 흔들어주면 편안함을 느끼듯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흔들림 동작을 함으로써 착석자가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의자를 말한다. 그런데, 흔들 의자만을 전용으로 제공하고 있어서 사무용 의자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에는 흔들 의자의 기능을 갖추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 사무용 의자나 듀오백과 같이 시중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의자에는 흔들 의자 기능을 갖추지 못하고, 전문 제작 업체에서 흔들 의자를 전용으로만 제작하여 보급하여야만 하는 실정이다.
즉, 평상시에는 식탁 의자 또는 사무용 의자와 같이 고정 형태의 의자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흔들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는 현재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고정 형태의 의자 및 안락 의자의 기능 변환 구조를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156885호(1999.09.01)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어린이용 의자의 전면 지주를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평상시 어린이용 의자로 사용을 하다가 필요에 따라 흔들목마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흔들목마 겸용 어린이 의자 구조를 개시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회의용 또는 식탁용 의자로 사용하기는 어렵다는 점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다소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20-0156885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배치되는 각도를 간단하게 변경하는 작업을 통해서 의자의 기능 변화를 가하고 이를 통해 착석하는 사용자의 사용감을 변화하게 할 수 있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의자는 배치 각도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다용도 의자는 의자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지지체 모듈(110); 및 상기 지지체 모듈(110)의 외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모듈(12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모듈(110)은 일 지점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선형 구조체이다.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은 인접하는 상호 간의 단위 지지체들 사이의 각이 상이하다.
상기 프레임 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을 연결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다용도 의자는 배치되는 각도를 간단하게 변경하는 작업을 통해서 의자의 기능 변화를 가하고 이를 통해 착석하는 사용자의 사용감을 변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다용도 의자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다용도 의자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는 의자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지지체 모듈(110) 및 지지체 모듈(110)의 외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모듈(120)을 포함한다.
지지체 모듈(110)은 일 지점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은 인접하는 상호 간의 단위 지지체들 사이의 각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 상에는 통기 및 무게 저감을 위해서 복수의 관통공들(112)이 형성된다.
프레임 모듈(120)은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선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일예로, 직사각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 각각의 가장자리 양 끝단을 대칭되는 형태로서 한쌍을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프레임 모듈(120)은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 및 4개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을 갖는다.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 중 제1 단위 프레임(121)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게 되는데, 상기 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는 제1 단위 프레임(121)이 바닥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안락 의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단위 프레임(121)에 직접 연결되는 제2 단위 프레임(125) 및 제4 단위 프레임(127)은 직선 또는 곡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제1 단위 프레임(121)에 마주하는 제3 단위 프레임(123)은 직선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사용자의 착석시에 요동이 없게 하는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서, 프레임 모듈(120) 중 제3 단위 프레임(123)이 바닥에 위치하게 한 상태를 보인다.
한편, 도 2 및 도 4는 사용자의 착석시에 요람과 같은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서, 프레임 모듈(120) 중 제1 단위 프레임(121)이 바닥에 위치하게 한 상태를 보인다.
사용자는 전체적으로 의자의 구조 분해 또는 변경이 없는 상태에서 간단히 프레임 모듈(120)을 이루는 단위 프레임의 바닥 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어렵지 않게 의자의 사용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용도 의자의 배치 각도의 변화를 통해서 별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식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집중을 높이게 하는 동시에 회전식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휴식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다용도 의자는 배치되는 각도를 간단하게 변경하는 작업을 통해서 의자의 기능 변화를 가하고 이를 통해 착석하는 사용자의 사용감을 변화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지지체 모듈
111,113,115,117 : 단위 지지체
120 : 프레임 모듈
121,123,125,127 : 단위 프레임

Claims (3)

  1. 배치 각도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용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의자는
    의자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지지체 모듈(110); 및
    상기 지지체 모듈(110)의 외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모듈(12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모듈(110)은 일 지점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선형 구조체인,
    다용도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은 인접하는 상호 간의 단위 지지체들 사이의 각이 상이한,
    다용도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 지지체들(111,113,115,117)을 연결하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임들(121,123,125,12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인,
    다용도 의자.
KR1020150185729A 2015-12-24 2015-12-24 다용도 의자 KR20170076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729A KR20170076028A (ko) 2015-12-24 2015-12-24 다용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729A KR20170076028A (ko) 2015-12-24 2015-12-24 다용도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28A true KR20170076028A (ko) 2017-07-04

Family

ID=5935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729A KR20170076028A (ko) 2015-12-24 2015-12-24 다용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859B1 (ko) * 2019-10-25 2020-05-11 조유진 다기능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859B1 (ko) * 2019-10-25 2020-05-11 조유진 다기능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WO2018026355A1 (en) Classroom chair having multifunction seatback
KR20170076028A (ko) 다용도 의자
KR101405302B1 (ko) 착탈식 의자 등받이
US11419425B2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CN201854933U (zh) 座板
CN103504872A (zh) 一种儿童便携折叠餐桌
CN1985708A (zh) 桌椅互化家具
KR20160105701A (ko) 접이식 등받이와 팔걸이가 부착된 의자.
KR200471106Y1 (ko) 자세교정의자
US20210085084A1 (en) Chair seat board and chair including same
TWI569755B (zh) 乘坐支撐裝置
US20190110602A1 (en) Back support including armpit support parts
JP2016059577A (ja) 座具及び椅子
GB2502827A (en) A chair that pivots along a continuous floor rail between a vertical, forward leaning and reclined position
US20100102606A1 (en) Chair Structure
CN209186148U (zh) 折叠式高脚椅
JP2017042451A (ja) 椅子になる座椅子
KR20130062621A (ko) 자세 교정용 의자
RU150856U1 (ru) Бескаркасный мягкий диван-трансформер
KR200355172Y1 (ko) 좌식 겸용 의자
JP3085747U (ja) 幼児用多目的ロッキングチェア
JP3199154U (ja) スツール
CN105686436A (zh) 一种多功能椅子
JP5915241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