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889A -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889A
KR20170075889A KR1020150185189A KR20150185189A KR20170075889A KR 20170075889 A KR20170075889 A KR 20170075889A KR 1020150185189 A KR1020150185189 A KR 1020150185189A KR 20150185189 A KR20150185189 A KR 20150185189A KR 20170075889 A KR20170075889 A KR 2017007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m device
distribution automation
wireless modem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지테크
Priority to KR102015018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889A/ko
Publication of KR2017007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3/006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각 전주 상에 설치되어 전기선 단락을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단말,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광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제센터 서버,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상기 광통신망을 연결시키는 광모뎀 장치, 및, 상기 광모뎀 장치 및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연결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뎀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점검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1)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스캔하여 자신에게 접속하려는 단말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a2) 상기 점검 단말은 제1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과 함께 상기 무선모뎀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a3)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접속을 시도하는 점검 단말의 PIN을 인증하여, 인증되면 상기 점검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상기 점검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수신한 사용자 인증을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c1)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암호화 통신을 위한 암호화키, 접속 주파수, 및, 제2 PIN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접속 주파수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설정되는 단계; (c2) 상기 점검 단말은 암호화키, 접속 주파수, 및, 제2 PIN을 수신하고, 자신의 PIN을 상기 제2 PIN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검 단말은 암호화키로 암호화하고, 접속 주파수를 통해 제2 PIN으로 접속하여, 상기 무선모뎀 장치와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의 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전주 상에 승주 하지 않고 무선으로 배전자동화 단말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빠른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 A spot wireless control method for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본 발명은 전주 상에 설치되는 배전자동화 단말에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의 상태를 점검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전자동화 단말의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2개의 통신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통신 대역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다른 통신 대역으로 장비 유지 보수 및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전기 에너지는 전력 계통(electric power system)이라 불리는 시스템을 통하여 생산되고 수송된다. 다양한 형태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고압 송전설비와 변전소를 거쳐 배전설비에 전달되고, 배전 설비는 전달받은 전기 에너지를 다시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용가는 배전선로(distribution line)를 통해 배전설비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기 장치를 구동한다.
배전선로의 곳곳에 위치한 많은 수의 개폐장치 가운데 하나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를 감지한 사용자로부터 신고를 접수받고 장애 발생지로 관리 요원이 방문하여 직접 개폐장치의 연결 상태를 조정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장애 감지 및 복구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제안되었고, 현재 광통신망에 기반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널리 쓰이고 있다.
도 1은 광통신망에 기반하는 종래의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각 전주 상에 설치되는 배전함(930)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전자동화 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은 각 전주 상에 설치되어 전기선 단락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단말(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910), 배전자동화 단말(9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950), 관제센터에 설치되어 데이터 수집장치(950)를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910)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제센터 서버(960), 및, 이들을 연결하는 광통신망(940)으로 구성된다.
각 배전자동화 단말(910)은 광통신망(940)에 연결하기 위한 광모뎀 장치(920)을 구비한다. 즉, 1:N 광통신망은 각 단말에서 1:1 광모뎀으로 시스템이 구성된다. 하나의 배전자동화 단말(910)에 하나의 광모뎀 장치(920)가 구비된다. 또한, 배전자동화 단말(910)과 광모뎀 장치(920)는 전주 상에 설치되는 배전함(930)에 구비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광모뎀 장치(920)는 광케이블(941)을 통해 광통신망(940)과 연결되고, 또한, 광모뎀 장치(920)와 배전자동화 단말(910)은 RS-232 시리얼 케이블(921)을 통해 연결된다. RS-232 케이블을 통해 시리얼(serial) 방식으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DNP3 프로토콜 방식으로 제어 통신을 수행한다.
배전자동화 단말(910)에서 측정되어 수집된 상태 데이터들은 시리얼 케이블(921)을 통해 광모뎀 장치(920)로 전송되고, 광모뎀 장치(92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광통신망(940)을 통해 데이터 수집장치(950)로 수집된다. 관제센터 서버(960)는 데이터 수집장치(950)로부터 배전자동화 단말(910)에서 전송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관제센터 서버(960)는 배전자동화 단말(910)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또는 제어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장치(950)로 전송하면, 데이터 수집장치(950)는 광통신망(940)을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910)로 전송한다. 배전자동화 단말(910)은 광모뎀 장치(920)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선 단락 등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전자동화용 단말 장치를 원격에서 점검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배전자동화 단말은 정기적으로 현장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배전자동화 단말 또는 FRTU(910)는 정기적으로 점검자에 의해 현장 점검을 받는다. 점검자는 배전자동화 단말(910)이 설치된 현장에서, 배전함(930)를 개방하고, 배전자동화 단말(910)에 디버거 케이블을 연결하여 점검을 한다. 또는, 배전자동화 단말(910)에 구비된 LCD 등 화면을 통해 디버그 메시지를 보고, 단말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해 제어를 해보는 등 점검을 수행한다. 특히, 배전자동화 단말(910)은 관제센터 서버(960)와 연동하여 제어를 받거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관제센터 서버(960)와의 연동 작업도 점검을 해야 한다.
그런데, 배전자동화 단말(910)은 전주 상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점검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승주한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한다. 따라서 각 배전자동화 단말(910)을 점검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225054호(2013.01.2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 상에 설치되는 배전자동화 단말에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의 상태를 점검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자동화 단말의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2개의 통신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통신 대역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다른 통신 대역으로 장비 유지 보수 및 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전주 상에 설치되어 전기선 단락을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단말,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광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제센터 서버,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상기 광통신망을 연결시키는 광모뎀 장치, 및, 상기 광모뎀 장치 및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연결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뎀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점검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1)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스캔하여 자신에게 접속하려는 단말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a2) 상기 점검 단말은 제1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과 함께 상기 무선모뎀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a3)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접속을 시도하는 점검 단말의 PIN을 인증하여, 인증되면 상기 점검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상기 점검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수신한 사용자 인증을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c1)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암호화 통신을 위한 암호화키, 접속 주파수, 및, 제2 PIN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접속 주파수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설정되는 단계; (c2) 상기 점검 단말은 암호화키, 접속 주파수, 및, 제2 PIN을 수신하고, 자신의 PIN을 상기 제2 PIN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검 단말은 암호화키로 암호화하고, 접속 주파수를 통해 제2 PIN으로 접속하여, 상기 무선모뎀 장치와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2.5GHz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900MHz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상기 관제센터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때, 배전자동화 단말의 주소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 서버는 사용자 인증시 배전자동화 단말의 주소를 함께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마스터-슬레이브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되, 슬레이브 모드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c1)단계에서,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마스터-슬레이브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되, 마스터 모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은 DNP3 프로토콜을 통해 에크(ACK) 형태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광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콘솔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의 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전주 상에 승주 하지 않고 무선으로 배전자동화 단말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빠른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지중선로 장비는 본체를 열지 않고도 근거리 도로에서 바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지상선로 장비는 전주에 승주 하지 않고도 근거리 도로 및 주차구역에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의하면, 2개의 통신 대역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과 점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배전자동화 단말의 접근 접속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자동화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단말 측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단말의 세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단말의 점검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인증 및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배전자동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배전자동화 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은 각 전주 상에 설치되어 전기선 단락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단말(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20), 배전자동화 단말(2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60), 관제센터에 설치되어 데이터 수집장치(60)를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20)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제센터 서버(70), 및, 이들을 연결하는 광통신망(50)으로 구성된다.
각 배전자동화 단말(20)은 광통신망(50)에 연결하기 위한 광모뎀 장치(30)를 구비한다. 즉, 1:N 광통신망은 각 단말에서 1:1 광모뎀으로 시스템이 구성된다. 하나의 배전자동화 단말(20)에 하나의 광모뎀 장치(30)가 구비된다. 또한, 각 배전자동화 단말(20)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모뎀 장치(40)를 구비한다. 배전자동화 단말의 콘솔은 무선모뎀 장치(40)를 통해 무선으로 제어된다. 또한, 배전자동화 단말(20)과 광모뎀 장치(30), 무선모뎀 장치(40)는 전주 상에 설치되는 배전함(90)에 구비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광모뎀 장치(30)는 광케이블(51)을 통해 광통신망(50)과 연결되고, 또한, 광모뎀 장치(30)와 배전자동화 단말(20)은 RS-232 시리얼 케이블(31)을 통해 연결된다. RS-232 케이블을 통해 시리얼(serial) 방식으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DNP3 프로토콜 방식으로 제어 통신을 수행한다.
배전자동화 단말(20)에서 측정되어 수집된 상태 데이터들은 시리얼 케이블(31)을 통해 광모뎀 장치(30)로 전송되고, 광모뎀 장치(3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광통신망(50)을 통해 데이터 수집장치(60)로 수집된다. 관제센터 서버(70)는 데이터 수집장치(60)로부터 배전자동화 단말(20)에서 전송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배전자동화 단말(20)은 개폐기를 투개방하는 제어 케이블과 연결되어, 제어 케이블을 통해 개폐기의 투개방을 제어한다. 또한, 배전자동화 단말(20)은 개폐기의 투개방 상태 등 상태 데이터를 센싱하여 센싱된 상태 데이터를 관제센터 서버(70)에 전송한다.
또한, 배전자동화 단말(20)은 내부 점검을 위한 자동점검 모듈을 구비하고, 자동점검 모듈과 외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버그(debug) 포트를 구비한다. 즉, 외부 단말이 배전자동화 단말(20)을 점검하기 위하여, 디버그 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점검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관제센터 서버(70)는 배전자동화 단말(20)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또는 제어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장치(60)로 전송하면, 데이터 수집장치(60)는 광통신망(50)을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20)로 전송한다. 배전자동화 단말(20)은 광모뎀 장치(30)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선 단락 등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모뎀 장치(40)는 제1 및 제2 케이블(41,32)을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20)과, 광모뎀 장치(30)에 연결된다. 즉, 무선모뎀 장치(40)는 제1 케이블(41)을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2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상태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또한, 무선모뎀 장치(40)는 제2 케이블(42)을 통해 광모뎀 장치(40)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관제센터 서버(7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제1 케이블(41)은 배전자동화 단말(20)의 디버그(debug) 포트에 연결된다. 배전자동화 단말(20)의 디버그 포트는 자동으로 점검하기 위한 포트로서, 해당 포트를 통해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점검을 위한 제어 명령을 포트를 통해 수신한다.
한편, 무선모뎀 장치(40)는 점검 단말(8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점검 단말(80)은 배전자동화 단말(20)을 제어하거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점검 단말(80)은 무선모뎀 장치(40)를 통해 관제센터 서버(70)에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점검 단말(80)은 무선모뎀 장치(40)를 통해 관제센터 서버(70)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작업 등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모뎀 장치(40)는 적어도 2개의 채널 대역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900Mhz 와 2.4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 중 어느 하나를 제1 주파수 대역, 다른 하나를 제2 주파수 대역이라 부르기로 한다. 이때, 무선모뎀 장치(40)는 사용자 인증 등 인증 처리를 위해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고, 배전자동화 단말의 검사나 제어를 위해서는 저주파 대역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단말(20)의 세부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전자동화 단말(20)은 제어부(210), 인터페이스부(220), 및 점검부(23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를 계측하고 관제센터 서버(70) 또는 점검 단말(80)로 계측된 상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210)가 계측하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는 전류, 전압, 고장전류, 역률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고장표시기 및 단선/결상과 위상불일치 등 계통과 설비에 대한 상태 계측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이벤트 발생시 관제센터 서버(70)로 이벤트 발생을 보고하고, 관제센터 서버(70) 또는 점검 단말(8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개폐 기의 투개방을 제어한다. 제어부(210)가 제어할 수 있는 개폐기는 자동화 개폐기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인접한 배전계통의 어느 한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고 발생시 생기는 고장전류의 경험을 고장표시기(FI : Fault Indicator)의 정보를 통해 관제센터 서버(70)로 전송한다. 고장표시기는 순시 FI와 영구 FI로 나눌수 있고, 순시 FI는 고장전류에 대한 경험이 한번이라도 있으면 무조건 발생시키는 정보이고, 영구 FI는 보호기기의 재폐로 후 완전한 정전이 되었을 때 발생시키는 정보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순시 FI와 영구 FI의 모든 데이터를 취급한다.
인터페이스부(220)는 광모뎀 장치(30) 또는 무선모뎀 장치(4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관제센터 서버(70) 또는 점검 단말(80)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제어 명령을 관제센터 서버(70)로부터 제어부(21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디버그(debug) 포트를 구비하여, 점검부(230)에서 계측된 상태 데이터 및, 점검부(230)로의 제어 명령 등을 송수신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점검부(230)와 점검 단말(80)을 연결하여, 점검 단말(80)에서 점검부(230)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무선으로 제어부(210)의 고장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점검부(230)는 제어부(210)와 개폐기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점검부(230)의 일측면은 제어부(21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면은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제어부(210)가 개폐기를 투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신호는 점검부(230)에 연결된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로 전달된다. 즉, 점검부(230)는 제어부(210)와 개폐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부임과 동시에, 제어부(210)와 개폐기간 데이터 전송의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점검부(230)는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점검 단말(8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점검 단말(80)을 통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점검 단말(80)에서 점검부(230)을 통해 제어부(210)를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 점검 단말(80)은 점검부(230)를 통해 제어부(210)가 계측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점검부(23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개폐기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210)의 점검을 수행한다. 점검부(230)는 제어부(210) 및 개폐기의 점검결과를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점검 단말(80)로 전송함으로서, 무선으로 제어부(210)의 점검 결과를 확인할수 있다.
특히, 점검부(230)이 제어케이블을 통해 개폐기와 상시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점검부(230)가 제어부(210)의 예방점검을 수행하는 중에도, 개폐기의 동작상태를 관제센터 서버(70)로 전송하여, 관제센터 서버(70)가 제어부(210)로 제어명령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점검부(230)는 개폐기 내부의 가스압력 및 온도 등 각종 센서를 통하여 개폐기를 상시 감시진단할 수 있다.
점검부(230)는 전원공급부(240)의 방전전압을 측정하고, 전원공급부(240)의 과방전 여부를 검출하여 전원공급부(240)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체연한이 지난 배터리 또는 불량상태의 배터리를 확인하고, 관리자는 배터리의 교체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40)는 제어부(210) 및 점검부(230), 인터페이스부(220)를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40)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검부(230)의 세부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검부(230)는 디스플레이(232)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에는 배전자동화 단말(20)의 예방점검에 필요한 사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점검부(230)는 키입력부(234)를 구비하고, 점검자는 키입력부(234)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232)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점검부(230)의 일측면은 제어부(210)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고, 다른 일 측면에는 제어케이블(250)과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다. 점검부(230)에 제어부(210)와 제어케이블(250)이 연결되면, 제어부(210)가 개폐기 투개방을 목적으로 하는 제어신호가 제어케이블(250)을 통해 개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10)에는 개폐기의 투개방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경우, 점검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개폐기의 투개방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제 개폐기의 투개방 상태를 비교하여, 제어부(2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검부(230)가 임의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송신한 뒤, 제어부(210)가 계측데이터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지를 점검함으로서, 제어부(210)의 정상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인증 및 접속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무선모뎀 장치(40)는 스캔하여 자신에게 접속하려는 단말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11). 이때, 점검 단말(80)은 무선모뎀 장치(40)로 접속하고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입력하고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S12). 그러면, 무선모뎀 장치(40)는 접속 요청한 점검 단말(80)을 인식하고, 점검 단말(80)과 접속된다.
이때, 인증 및 접속을 위한 주파수는 무선모뎀 장치(40)가 사용하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이를 제1 주파수 대역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2개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하나는 고주파 대역이고, 다른 하나는 저주파 대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 대역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주파수 대역은 2.4 GHz 대역이다.
점검 단말(80)은 무선모뎀 장치(40)에 접속되면, 관제센터 서버(70)에 인증 요청을 위한 접속을 시도한다(S21). 관제센터 서버(70)는 점검 단말(80)로부터 인증을 위한 접속 시도를 수신하면, 점검 단말(80)에 대한 인증을 위해 대기한다(S22). 이때, 점검 단말(80)에 대한 인증은 점검 단말(80)이 접속하려는 배전자동화 단말(20)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점검 단말(80)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한 후 배전자동화 단말(20)에 인증을 요청한다(S23). 이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으로 사용된다.
배전자동화 단말(20)은 점검 단말(8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관제센터 서버(70)에 전송하여 인증 허가를 요청한다(S24).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 외에도 배전자동화 단말의 주소를 함께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전자동화 단말의 주소로서, 모뎀 주소 등이 사용된다.
관제센서 서버(70)는 수신한 배전자동화 주소와,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한다(S25). 즉, 관제센서 서버(70)는 배전자동화 주소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전에 구비하여, 수신한 인증정보를 저장된 인증정보와 대비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무선모뎀 장치(40)는 사용자 인증 및 주소 인증이 성공되면, 암호화 키, 접속 주파수, 접속 인증 정보 등을 랜덤으로 생성하여, 점검 단말(80)로 전송한다(S31). 이때, 접속 인증 정보는 접속 인증을 위한 고유번호로서, PIN 아이디 등이다. 암호화 키는 무선모뎀 장치(40)와 점검 단말(80) 사이에 암호화를 하기 위한 키로서, 암호화 비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암호화 키는 대칭키이다.
또한, 접속 주파수는 앞서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 내에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주파수 대역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주파수 대역은 900MHz 대역의 무선 통신 대역이다.
점검 단말(80)은 무선모뎀 장치(40)로부터 암호화 키, 접속 주파수, 접속 인증 정보 등을 수신하여, 수신한 암호화 키 등으로 접속 정보를 변경한다(S32). 그리고 점검 단말(80)은 무선모뎀 장치(40)로 정상 ACK 정보를 전달한다(S33).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앞서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 즉,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점검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점검 단말(80)은 일정 시간 동안 모뎀으로 접속이 없으면, 동기 비콘을 송신한다(S41). 또한, 무선모뎀 장치(40)는 일정시간 동안 모뎀으로 접속하지 않으면, 앞서 스캔 단계(S11)로 복귀하여, 스캔을 수행한다(S42).
또한, 관제센터 서버(70)는 점검 단말(80)에 의한 점검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폐 회로의 상태, 통신 상태 등을 확인한다(S43). 또한, 관제센터 서버(70)는 점검 단말(80)에 의한 점검 작업이 완료되는지를 대기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점검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무선모뎀 장치(40)는 새로 랜덤하게 생성된 인증 정보와 접속 주파수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S61). 점검 단말(80)은 수신된 동기신호에 접속을 요청한다(S62). 이때, 점검 단말(80)은 인증 과정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와 접속 주파수로 접속을 요청한다. 인증 정보로서, PIN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을 전송한다. 또한, 이들은 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즉, 무선모뎀 장치(40)와 점검 단말(80) 간의 통신은 1:1 동기식 통신을 구성한다. 특히, 이를 유지 하기 위한 동기식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한번 동기가 되어 통신이 되면, 중간에 해당 동기식 통신의 동기가 끊어지면 제 인증을 통한 접속을 해야 한다.
무선 채널 구조는 맨 앞쪽에 RF를 고정하는 부분(RF Lock Area), 즉 RF 주파수 고정(lock)을 위한 시간 구간이 있고, 초기 동기 구간(Preamble) 이 그 다음에 나오고 이 구간은 스캔 코드 값과 코릴레이션(corelation) 값을 맞추는 구간이다. 그 다음에는 채널 정보가 들어가는 헤더 구간(Header)이 나오며 마스터는 현재 채널의 채널에 관련된 여러 정보를 실을 수 있다. 그 이후에는 데이터가 들어가는 페이로드(payload) 구간이 있으며, 실제 데이터가 실리는 구간이다. 페이로드 구간이 끝나는 지점에는 체크섬(check sum) 구간이 들어간다.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동기를 잡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마스터는 먼저 전 채널 또는 따로 선택된 동기 채널을 가지고 채널 정보를 헤더(Header)에 실어서 송신한다. 동기 채널은 1개 또는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레이브 쪽에서는 스캔 채널에 해당하는 몇 개의 채널을 가지고 각 채널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으로 채널을 바꾸어 가면서 마스터와 주파수 동기를 맞추어 마스터에서 전달하는 헤더 정보를 받아야 한다. 다음으로, 슬레이브는 스캔하고 있는 주파수 동기가 맞으면 초기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코릴레이터 동기화를 거쳐 스캔 코드 값 또는 정의된 내부 코드 값이 맞으면 헤더 정보를 읽어서 최종 채널 동기를 맞추게 된다. 기본적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의사 잡음 코드(PN 코드), 스캔코드(Scan Code), 스크램블 코드(Scramble Code), 그룹 코드(Group Code)가 초기 동기 기본 코드 값으로 구성 된다. 다음으로, 채널 동기가 맞으면, 그 이후에는 채널 정보에 따른 물리(Physical) 채널 및 논리(Logical) 채널 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서 채널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최초 배전자동화 단말(20) 측이 무선 모뎀의 슬레이브(Slave)인 이유는 마스터처럼 채널을 점유하여 자기 정보를 계속해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고, 관련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 신호를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다가 해당 무선 마스터 정보가 수신되면 마스터에 의해 무선 동기를 하게 된다. 이렇게 무선 부분이 동기화(SYNC)가 되었을 때는 제어 주체가 마스터에 있게 되므로, 서버 인증 후에는 해당 배전자동화 단말(20)의 무선 모뎀이 마스터가 되어 900MHz 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무선 동기 후 서버 인증시 받은 정보로 암호 코드 및 무선 접속 정모를 변경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어느 누구도 암호화 코드 및 무선 접속 정보를 알 수 없게 한다.
또한 마스터를 배전자동화 단말(20) 측 통신 모뎀에 하는 것은 제어 주최를 현장 사용자보다는 서버 측에 주기 위한 것이다. 이는 무선 동기 인증 및 제어 등을 제한 또는 관리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한 부분에 있어 무선은 한번 끊어지면 다시 서버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서버 인증 절차를 꼭 거쳐야 원격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무선으로도 아무나 연결을 할수 없게 된다.
또한, 마스터 모뎀의 스캔은 일반적으로 가장 통신하기 좋은 채널(CH)을 잡기 위해 주변 환경 사용주파수 대역을 스캔하게 된다. 그런데 900MHz 전환 후에는 배전자동화 단말(20) 측 무선모뎀 장치(40)는 서버 인증시 주고 받은 암호코드를 적용 무선 동기 정보가 맞는 슬레이브에게만 동기 신호롤 송신한다. 아무 슬레이브나 무선 동기 신청을 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이 맞는 슬레이브만 동기를 맞출 수 있게 합류 요청이 된다.
무선모뎀 장치(40)는 접속 주파수로 수신한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인증에 성공되면, 생성된 암호화키로 암호화화 통신을 수행한다(S63).
다음으로, 점검 단말(80)은 점검을 위해 무선모뎀 장치(40)로 상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71).
또한, 무선모뎀 장치(40)는 수신한 점검 명령을 수행한다(S72). 즉, 무선모뎀 장치(40)는 배전자동화 단말(20)의 상태 데이터를 점검 단말(80)로 전송하거나, 점검 단말(8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배전자동화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관제센터 서버(70)는 배전자동화 단말(20) 내에서 수행되는 점검 작업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S73).
서버(70)에서는 현장에서 작업 하는 내용의 배전자동화 단말(20) 내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에크(ACK) 형태로 DNP3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상위로 송신한다. 이 부분에 통신 모뎀의 상태와 접속자 상태를 관련 프로토콜로 서버(70)에 상태 ㄷ데이터를 송신하여 무선 네트워크 관련 어플로 모니터 하게 된다.(무선 부분은 무선 동기화(symc) 및 점검 단말 정보 등 인증 ID와 관리 등을 하게 되며 접속 횟수 등을 관리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점검 단말(80)이 점검 작업을 완료하였거나, 점검자의 명령에 의하여 접속을 해지한다(S81). 접속이 해지되면, 무선모뎀 장치(40)는 다시 스캔 단계(S11)로 복귀한다(S82). 즉, 무선모뎀 장치(40)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여, 점검 단말(80) 등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2.4 GHz 대역으로 스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이때, 슬레이브(slave) 모뎀으로 변경된다. 즉, 슬레이브 모드로 전환하여, 마스터 모뎀을 찾기 위해 채널 스캔(CH scan)을 하여 비콘의 무선 정보가 자신과 맞다면 합류 요청을 하여 마스터 모뎀에게 승인을 받아 동기를 맞춘다.
다음으로, 점검 작업이 완료되면, 점검 단말(80)은 관제센터 서버(70)에 점검작업의 완료를 통보한다(S81). 관제센터 서버(70)는 점검작업 완료 보고가 점검 단말(80)로부터 수신되면, 점검작업의 실시간 확인 작업, 또는 모니터링 작업을 종료한다(S82).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배전함 20 : 배전자동화 단말
30 : 광모뎀 장치 31 : 시리얼 케이블
40 : 무선모뎀 장치 41 : 제1 케이블
42 : 제2 케이블 50 : 광통신망
51 : 광케이블 60 : 데이터 수집장치
70 : 관제센터 서버 80 : 점검 단말
81 : 점검 단말의 무선모뎀

Claims (8)

  1. 각 전주 상에 설치되어 전기선 단락을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단말,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광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원격에서 제어하는 관제센터 서버,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상기 광통신망을 연결시키는 광모뎀 장치, 및, 상기 광모뎀 장치 및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과 연결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뎀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모뎀 장치를 통해 점검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스캔하여 자신에게 접속하려는 단말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a2) 상기 점검 단말은 제1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과 함께 상기 무선모뎀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a3)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접속을 시도하는 점검 단말의 PIN을 인증하여, 인증되면 상기 점검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상기 점검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수신한 사용자 인증을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c1)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암호화 통신을 위한 암호화키, 접속 주파수, 및, 제2 PIN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접속 주파수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에서 설정되는 단계;
    (c2) 상기 점검 단말은 암호화키, 접속 주파수, 및, 제2 PIN을 수신하고, 자신의 PIN을 상기 제2 PIN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검 단말은 암호화키로 암호화하고, 접속 주파수를 통해 제2 PIN으로 접속하여, 상기 무선모뎀 장치와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2.5GHz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900MHz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상기 관제센터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때, 배전자동화 단말의 주소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 서버는 사용자 인증시 배전자동화 단말의 주소를 함께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마스터-슬레이브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되, 슬레이브 모드로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1)단계에서, 상기 무선모뎀 장치는 마스터-슬레이브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되, 마스터 모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배전자동화 단말은 DNP3 프로토콜을 통해 에크(ACK) 형태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광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KR1020150185189A 2015-12-23 2015-12-23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KR20170075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89A KR20170075889A (ko) 2015-12-23 2015-12-23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89A KR20170075889A (ko) 2015-12-23 2015-12-23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889A true KR20170075889A (ko) 2017-07-04

Family

ID=5935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189A KR20170075889A (ko) 2015-12-23 2015-12-23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8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11B1 (ko) * 2019-03-12 2020-06-16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 시스템용 광통신망 연계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KR102400956B1 (ko) * 2021-10-28 2022-05-24 (주)대은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KR20230040601A (ko) * 2021-09-16 2023-03-23 (주)태승정보통신 지상개폐기를 이용한 광심선접속단자함과 광모뎀의 접속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11B1 (ko) * 2019-03-12 2020-06-16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 시스템용 광통신망 연계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KR20230040601A (ko) * 2021-09-16 2023-03-23 (주)태승정보통신 지상개폐기를 이용한 광심선접속단자함과 광모뎀의 접속장치
KR102400956B1 (ko) * 2021-10-28 2022-05-24 (주)대은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WO2023075228A1 (ko) * 2021-10-28 2023-05-04 (주)에코파워텍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2524B (zh) 基于无线通讯的电力系统防误操作方法及其装置
JP5249647B2 (ja) 遠隔検針システム
CN110474429B (zh) 配电网送电防误闭锁方法及系统
CN104504796A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机房智能门禁开启方法及开启系统
US200702974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network over a substation dc/ac circuit
CN110166472A (zh) 一种巡检数据传输方法、巡检机器人及巡检系统
KR20170075889A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 무선 제어 방법
KR20090023240A (ko)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0579693A (zh) 基于无线传输的高处gis局放在线监测装置及在线监测方法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US20060165023A1 (en) Wireless gateway and controller for network protector relays
CN107483570A (zh) 一种基于光纤网络的电缆状态在线监测通讯系统
KR101594765B1 (ko) 자동차 도장 공장 기반 plc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2238599A (zh) 远端射频单元管理装置、系统及方法
CN101873179B (zh) 一种室内覆盖系统的监控方法及其监控装置
CN110913391A (zh) 一种多数据源通信加解密系统及方法
CN106532938A (zh) 中低压配电网监控系统
CN112736760A (zh) 一种电力设备接地线作业系统
KR20210112013A (ko) 배전반 관리 시스템
CN104319896B (zh) 一种高压带电显示闭锁方法、设备及系统
CN207992368U (zh) 一种电缆终端智能监测装置
WO2005064562A1 (en) Multi-function electric power supply automation system that use plc modem
KR102252399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 및 수신신호 식별id 설정방법
CN102842960A (zh) 数字保护继电器的局域监控设备、监控系统和方法
CN112435881B (zh) 用于拉手供电或t接模式的配电网防止送电误操作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