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290A -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 Google Patents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290A
KR20170074290A KR1020150183026A KR20150183026A KR20170074290A KR 20170074290 A KR20170074290 A KR 20170074290A KR 1020150183026 A KR1020150183026 A KR 1020150183026A KR 20150183026 A KR20150183026 A KR 20150183026A KR 20170074290 A KR20170074290 A KR 2017007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
cross
needle punch
sound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권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주식회사 부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주식회사 부림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5018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290A/ko
Publication of KR2017007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흡음성능을 향상시키고 기존 원형단면사 대비 낮은 면밀도의 부직포만으로도 동일한 흡음성능을 보임으로써 제품 중량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Needle punch nonwoven fabric impoved noise absorb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이형 단면사(육엽 중공)의 섬유를 사용하여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중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외부 소음이 유입되게 된다. 특히 타이어와 지면 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배기 계통의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 유동으로 발생하는 소음, 엔진 계통의 구동으로 인한 기계적 소음 등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어 승객의 귀로 전달되고, 이는 차량의 정숙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서 승객룸으로의 소음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 및 중량의 흡차음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차음재는 자동차의 내외장재로서 차체 등에 부착하거나 자동차의 플로어 카펫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는 유리섬유, 우레탄 폼, 잡사 펠트, 일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친환경성 및 재활용 가능 여부에 대한 각 국의 규제가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여서 PET나 PP(polypropyle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섬유 흡음재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하여 차량의 연비 규제도 점차 심화되고 있는데, 연비 향상은 부품의 경량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성능과 더불어 경량화된 흡음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기반 흡음재의 흡음 및 차음 성능은 섬유 집합체(주로 부직포 형태)를 이루고 있는 섬유의 두께, 섬유 집합체의 면밀도, 섬유 집합체의 두께 등에 의해 좌우된다.
섬유의 두께가 얇아지면 일정 부피 내에 섬유를 더 많이 투입할 수 있고, 이는 공극률을 증가시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의 면밀도 및 두께를 증가시키면 공극률 및 음파 소산 경로가 길어지므로 흡음 성능 및 차음 성능이 향상된다.
이러한 음향 특성에 따라 통상적으로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대형 고급 차종에서는 주로 고중량, 고후도의 차음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음재를 사용하는 경우 소음이 감소하고 차량 정숙성은 향상되나,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므로 연비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중량, 고후도 차음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통기가 형성되는 흡음구조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타 부품에 적용사례가 있다. 그러나 차량의 정숙도 향상과 연비향상에 대한 소비자의 기준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내부의 소음 및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음에 대하여 뛰어난 흡음성을 가지며, 제품 중량 절감이 가능한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섬유와, 상기 이형 단면 섬유 간의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결속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형 단면 섬유는 육엽사(Hexaflower) 모양의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직포는 두께가 0.5 내지 20mm이고, 면밀도가 200 내지 1,500g/㎡이고, 감음계수가 0.3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공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이형 단면 섬유와, 상기 이형 단면 섬유 간의 결속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결속재가 포함된 섬유 집합체를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를 사용하여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흡음성능이 강화되며, 제품 중량 절감이 가능함에 따라 차량의 연비가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단면사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형 단면 섬유의 간이 잔향실법 흡음율 측정 결과를 통한 흡음율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원형이 아닌 이형 단면 섬유, 특히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특정한 단면 형상을 갖는 섬유를 이용한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직포에 사용되는 섬유는 기존에 사용되던 원형 단면사가 아닌 이형 단면사 섬유로서 육엽사(hexaflower)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육엽사 형태의 이형 단면사는 일반 원형 단면 섬유에 비해 표면적이 3 ~ 6 배 수준으로 더 넓어 기존의 원형 단면사 대비 흡음성능이 5%이상 향상된 효과가 있으며 차량 경량화가 가능한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음파는 특정 재료와 마찰하게 되면 점성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음파의 기계적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결국 소음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리적 현상을 바탕으로 할 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는 일반 섬유와는 달리 음파의 점성 손실이 발생하는 섬유 표면이 상대적으로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곧 흡음 및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대면적 표면에 의해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를 사용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에서는 종래의 자동차용 부직포보다 면밀도가 낮아지더라도 동등 수준 이상의 흡음성능이 발현되어 차량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면밀도를 가지고 있는 일반 원형 단면 섬유 흡음재와 비교하더라도 더욱 높은 흡음 성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는 단지 방사 노즐만 교체하여 종래의 폴리머 용융방사를 통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도 종래의 흡음재와 동등 수준의 가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직포로 형성한 부직포, 상기 부직포는 단사섬도가 4 내지 6 데니어인 육엽사 형태의 이형단면(육엽 중공) 극세섬유가 부직포 내의 이형단면 섬유 전체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육엽사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 60 ~ 80 중량%와 결속재 20 ~ 4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이형 단면 섬유와 결속재의 조성 중량비는 8:2 ~ 6:4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형 단면 섬유의 함량이 6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의 표면적이 축소되어 최적의 흡음 및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없으며, 동시에 상대적으로 결속재의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공극이 큰 벌키(bulkiy)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섬유 집합체가 단단해지게 된다. 이 또한 흡음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반면 이형 단면 섬유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바인더 섬유, 즉 결속재의 함량이 20% 미만이 되어, 섬유 간의 충분한 결속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흡음재를 임의의 모양으로 성형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매트릭스 구조가 강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파의 전달로 인해 발생하는 매트릭스 구조로 전달되는 진동이 충분히 감쇄되지 않아 저주파의 흡음률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이형 단면 섬유 간의 결속을 위해 사용되는 결속재로는 섬유 형태(접착용 섬유)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PET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PP 섬유 또는 PP 파우더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직포층은 두께가 0.5 내지 20mm이고, 면밀도가 200 내지 1,500g/㎡이고, 감음계수가 0.3 내지 0.8이고,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육엽 중공)를 사용하며, 상기 이형 단면 섬유는 길이 40~50mm를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길이를 가지면서 두께 4~6 데니어인 것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흡음기능이 있는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육엽 중공)를 사용한 부직포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소음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는 흡음 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공한다.
상기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육엽 중공) 부직포는 두께는 0.5~20mm, 면밀도 200~1,500g/㎡의 부직포가 적합하다. 면밀도가 200g/㎡ 미만인 경우에는 형태 유지 능력 및 흡음성능에 기여효과가 낮고 1,50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차량 부품의 과도한 중량이 문제되고 표면이 지나치게 딱딱해지며 흡음성능 또한 떨어진다.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육엽 중공)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 등의 섬유가 단독 또는 혼합된 소재의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니들펀치 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육엽 중공)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한 가지 섬도의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데니어인 섬유가 부직포 내의 이형 단면 섬유 전체중량의 30~100%를 차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섬도의 섬유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흡음성능 발현에 유리하다. 이때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4 데니어 미만에서는 저주파의 소음이 흡수되기 어려워지고, 쿠션성도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6 데니어를 초과하면 고주파의 소음이 흡수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4 내지 6 데니어인 섬유는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직접방사, 전기방사된 극세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극세 섬유는 자동차 실내에서 공기전달 소음인 주파수 500Hz~2,000Hz 범위의 소음에 대하여 흡음 성능을 발휘하는데 효과가 높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육엽 중공) 부직포의 통기도는 3~70㎤/㎠/sec이며 흡음성능을 나타내는 수치인 감음계수는 0.3~0.8 이다.
일반적인 합성섬유의 단면은 대부분이 첨부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이형 단면 섬유는 방사 구금을 육엽사(Hexaflower)모양으로 제작하여 원사의 단면 모양이 방사 구금의 모양대로 원형이 아닌 특정한 형상을 지니고 있는 섬유를 말한다. 상기 육엽사 형태의 이형 단면 섬유는 일반적인 원형 단면 섬유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음향 물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에 하나인 음파 점성 손실이 발생하는 물체 표면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흡음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의 제조를 위해서 섬유 집합체를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특정의 면밀도를 지닌 부직포의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사섬도가 4데니어인 직접방사 폴리에스테르 이형 단면 섬유를 섬유 전체중량의 50% 사용하고 단사섬도가 6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이형 단면 섬유를 섬유 전체중량의 50% 사용하고, 결속재인 접착용 섬유로서 저융점 PET 섬유와 8:2의 중량비가 되도록 사용하여 니들 펀치 공법을 통해 두께 2.5mm, 면밀도 400g/㎡인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이형 단면 섬유로는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용융 방사를 통해 제조한 육엽사(Hexaflower)형태 단면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두께 2.5mm, 면밀도 600g/㎡ 인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원형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해 두께 2.5mm, 면밀도 600g/㎡인 니들펀치 부직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에서 각각 제조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의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통기성의 평가>
부직포의 통기성 평가는 JIS L1096-1999(8.27.1의 A법) 규격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단위는 ㎤/㎠/sec로 나타내며 초당 1㎠ 단위면적을 투과하는 공기의 량(㎤)을 의미하므로 수치가 클수록 통기성이 우수하다.
<흡음률의 평가>
흡음재료의 표면에 입사하는 음의 에너지를 Ei, 그 표면에서 반사하는 음의 에너지를 Er 이라 할때 흡음계수는 (α)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α= 1- (Er/Ei)
흡음률의 측정은 ISO 354 규격에 따라서 랜덤입사에 가까운 조건이 실현되는 잔향실에서 측정한 잔향실법으로 평가하였고 흡음률의 성능은 감음계수로 평가하였다. 감음계수(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는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전달 소음의 주파수 영역인 500~2000Hz에서의 흡음계수 값의 특성치를 나타내는 수치로써 중심주파수 500, 1000, 2000Hz에서의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하다.
통기성
(㎤/
㎠/sec)
감음계수
(500Hz)
감음계수
(1000Hz)
감음계수
(2000Hz)
실시예 1(면밀도 400g/㎡, 육엽사) 30 0.23 0.23 0.34
실시예 2(면밀도 600g/㎡, 육엽사) 30 0.21 0.25 0.38
비교예 1(면밀도 600g/㎡, 원형단면사) 29 0.20 0.22 0.33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육엽사(Hexaflower) 형태의 이형단면 섬유를 사용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실시예 1 및 2)는 원형 단면 섬유를 사용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비교예 1)에 비해 흡음성능이 월등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원형단면사를 사용하여 제조한 면밀도 600g/㎡ 부직포와 육엽사 형태의 이형단면사를 사용하여 제조한 면밀도 400g/㎡ 부직포의 흡음성능이 거의 동일하거나 우수하여 제품 중량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섬유와, 상기 이형 단면 섬유 간의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결속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 섬유는 육엽사(Hexaflower) 모양의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두께가 0.5 내지 20mm이고, 면밀도가 200 내지 1,500g/㎡이고, 감음계수가 0.3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4. 육엽사(Hexaflower)형태의 이형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이형 단면 섬유와, 상기 이형 단면 섬유 간의 결속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결속재가 포함된 섬유 집합체를 니들 펀칭 공정을 통해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150183026A 2015-12-21 2015-12-21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KR20170074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26A KR20170074290A (ko) 2015-12-21 2015-12-21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26A KR20170074290A (ko) 2015-12-21 2015-12-21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290A true KR20170074290A (ko) 2017-06-30

Family

ID=5927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026A KR20170074290A (ko) 2015-12-21 2015-12-21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2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58444A1 (en) Sound insulation constru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RU2606651C2 (ru) Система звукоизоляци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809871B (zh) 吸声器
US20060289231A1 (en) Acoustic absorber/barrier composite
KR101836623B1 (ko) 자동차 외장용 부직포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9129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518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07675354B (zh) 静电纺-熔喷-干法成网制备三组分吸音棉的方法及装置
JP2007161153A (ja) 自動車用成形敷設内装材
JP4616836B2 (ja) 吸音体
KR20110034522A (ko) 이형 단면 섬유를 이용한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US11270680B2 (en) Soundproof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proof structure
CN106335258B (zh) 多层缓冲隔离垫及包括其的车辆
KR20170074290A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니들펀치 부직포
Mahmoud et al. Using nonwoven hollow fibers to improve cars interior acoustic properties
KR102415147B1 (ko) 압축성형체용 숏컷 섬유, 이를 이용한 압축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6279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KR20170074289A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KR101958482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484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12198A1 (en) Noise-resistant assemblies
KR101875928B1 (ko)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흡음성 섬유집합체
KR101672462B1 (ko) 접착성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흡음재용 극세사 복합섬유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KR20120045505A (ko) 폴리락트산 중공사 부직포,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KR102516518B1 (ko) 자동차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