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84B1 -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84B1
KR101958484B1 KR1020120111542A KR20120111542A KR101958484B1 KR 101958484 B1 KR101958484 B1 KR 101958484B1 KR 1020120111542 A KR1020120111542 A KR 1020120111542A KR 20120111542 A KR20120111542 A KR 20120111542A KR 101958484 B1 KR101958484 B1 KR 10195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fiber
melting point
sound absorption
thermoplastic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209A (ko
Inventor
김효석
김도현
김안나
김치헌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04H1/56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by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음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흡음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10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도 현저히 향상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압축회복률 및 반발탄성률의 향상으로 우수한 형태안정성 확보를 통해, 제조된 후 롤링되어 보관 및 운송되는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서 제조 당시의 벌키(bulky)성을 상실하지 않기 때문에 흡음 및 보온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Fiber aggregate having excellent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회복률 및 반발탄성률이 향상되고, 고주파뿐 만 아니라 저주파 대역에서의 흡음률이 개선된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 식기세척기, 세탁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컴퓨터, 프로젝터 등과 같이 소음원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소음공해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대생활 속에 다양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해외선진국에서는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의 층간 및 세대간의 소음수준을 규제하기 위한 법적 규제가 점점 엄격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은 엔진에서 발생하여 차체 또는 공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엔진 소음, 바퀴 및 지면과의 마찰음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엔진 커버, 후드 인슐레이션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는 미미하며, 차량의 실외에 부착된 대쉬 아우터, 실내에 부착된 대쉬 인너 및 플로어 카펫 등이 대부분의 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소음을 개선하는 방법에는 흡음성능을 개선하는 것과 차음 성능을 개선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흡음이란 발생한 소리에너지가 소재의 내부경로를 통해 전달되면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멸하는 것이며, 차음은 발생한 소리에너지가 차폐물에 의해 반사되어 차단되는 것이다.
종래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흡,차음재로서는 펠트(felt), 스펀지, 폴리우레탄 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압축섬유, 유리섬유, 암면, 또는 재생섬유 등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흡음재를 열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된 흡음재의 대부분이 방음 성능이 충분하지 않으며, 흡음재의 의 대부분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친환경성 및 재활용 가능 여부에 대한 각 국의 규제가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여서 PET나 PP(polypropyle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섬유 흡음재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하여 차량의 연비 규제도 점차 심화되고 있는데, 연비 향상은 부품의 경량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성능과 더불어 경량화된 흡음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감할 수 있는 흡음 기능이 탁월한 흡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연구 개발된 흡음재로는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섬유에 크림프되는 직경 10 ㎛ 이상인 일반적인 단섬유가 10 중량% 이상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웹 형태인 흡음재가 개시되어 있고,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섬유에 크림프되는 벌키섬유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웹 형태인 흡음재겸 보온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의 공극률이 매우 커서 조직구조가 치밀하지 못하고, 흡음재의 내구성이 부족하고 충분한 흡음 효과를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흡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흡음재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극세섬유를 멜트블로운하여 이루어지는 3차원 부직포웹인 흡음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3차원 부직포웹은 공극률이 커서 조직구조가 치밀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부족하며, 3차원 부직포웹의 특성 상 충분한 흡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3차원 부직포웹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3차원으로 구성되는 부직포웹의 제조가 까다로워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흡음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부직포에서는 평균직경 0.1∼20 ㎛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밀도 50∼4000 g/㎡의 단일 구조인 멜트블로운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단일 구조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역시 종래의 흡음재에 비해 방음 성능이 그다지 개선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체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에 열에 의해 융착이 가능한 스테이플 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흡음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흡음재는 여전히 방음 성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공간을 갖는 벌집 형상의 구조물을 멜트블로운 섬유와 함께 사용하는 흡음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흡음재는 방음 성능이 부족하며, 유연성이 부족하여 용도에 제한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다수의 흡음 제품이 현존하지만, 흡음재의 두께 및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흡음 효과를 나타내는 흡음재의 개발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저주파수에서도 충분한 흡음을 제공하는 차단 제품의 개발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운송, 보관, 부착 이후 등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압축 및 형태 변형에 의하여 흡음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흡음률이 우수한 흡음재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음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주파뿐 만 아니라 저주파 대역에서도 우수한 흡음률을 나타내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압축회복률 및 반발탄성률이 향상되어 우수한 형태안정성을 나타내고, 이로 인해 제조 이후에 장기간 형태가 변하지 않고 고유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고탄성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제조하는 단계; (2)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가 방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혼입하여 섬유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섬유집합체의 상,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열처리를 하여 열처리한 부분을 고밀도화시키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는 탄성회복률이 50%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융점은 140 내지 16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단계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가 15 내지 50중량% 포함되도록 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단계의 열처리 온도는 140 내지 17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단계의 열처리 시간은 5 내지 25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에 있어서, 고밀도 층과 저밀도 층의 층상 구조를 포함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밀도 층과 저밀도층의 평균 밀도 차는 2.75 kg/m3 내지 28.468 kg/m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밀도 층의 평균 밀도는 4.5 kg/m3 내지 30 kg/m3이며, 저밀도 층의 평균 밀도는 1.2 kg/m3 내지 2.3 kg/m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집합체는 저밀도 층의 상?하 양면에 고밀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섬유(staplefiber)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일성분으로 하여 복합방사한 복합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는 탄성회복률이 50%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융점은 140 내지 16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DMI)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산성분(Diacid)으로 1,4-부탄디올(1,4-Butanediol: 1,4-BD),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을 디올성분(Diol)으로 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합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집합체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15 내지 5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에 있어서, 두께 20 mm이하, 면밀도 400 g/m2 이하에서 Alpha Cabin법에 의한 흡음률이 500Hz에서 0.50 이상, 1000Hz에서 0.90 이상인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집합체는 평균 밀도의 차가 2.75 kg/m3 내지 28.468 kg/m3인 고밀도 층과 저밀도 층의 층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는 흡음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흡음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10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도 현저히 향상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압축회복률 및 반발탄성률의 향상으로 우수한 형태안정성 확보를 통해, 제조된 후 롤링되어 보관 및 운송되는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서 제조 당시의 벌키(bulky)성을 상실하지 않기 때문에 흡음 및 보온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고밀도-저밀도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섬유집합체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고밀도-저밀도-고밀도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섬유집합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흡음 제품은, 공극률 및 음파 소산 경로를 증대시켜 흡음 성능 및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섬유 집합체의 면밀도 및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충분한 흡음률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송, 보관, 부착 이후 등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압축 및 형태 변형에 의하여 흡음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에 있어서, 고밀도 층과 저밀도 층의 층상 구조를 포함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흡음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흡음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저주파 대역에서도 우수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압축회복률 및 반발탄성률이 향상되어 제조 이후에 장기간 형태가 변하지 않고 고유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의 단면도로서,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12)를 포함하며, 고밀도 층(200)과 저밀도 층(100)의 층상구조를 형성한다.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 및 상기 단섬유(staple fiber)(12)가 벌키(bulky)하게 포함되는 저밀도 층(100)과 조밀하게 포함되는 고밀도 층(200)이 층상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두께는 감소시키면서도 흡음 성능이 향상되며, 특히 저주파 대역에서도 우수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저밀도 층(100)과 고밀도 층(200)의 평균 밀도 차는 2.75 kg/m3 내지 28.468 kg/m3일 수 있다. 저밀도 층(100)과 고밀도 층(200)의 평균 밀도 차가 2.75 kg/m3 미만일 경우 상하 밀도 차에 의한 저주파 영역의 흡음 성능 효과가 발현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28.468 kg/m3를 초과할 경우 고밀도 층의 과다한 밀도 증가로 섬유 구조체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충분한 공기를 함유하지 못하여 흡음성능이 오히려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밀도 층(200)의 평균 밀도는 4.5 내지 30 kg/m3이며, 저밀도 층(100)의 평균 밀도는 1.2 내지 2.3 kg/m3일 수 있다. 고밀도 층(200)의 평균 밀도가 4.5 kg/m3 미만일 경우 저밀도 층(100)과의 밀도 차가 적어 저주파 영역의 흡음률 향상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30 kg/m3를 초과할 경우 과다한 밀도 증가로 공기층이 적어져 흡음률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저밀도 층(100)의 평균 밀도가 1.2 kg/m3 미만일 경우 지나치게 밀도가 적어 흡음 성능이 저하되며, 2.3 kg/m3를 초과할 경우 고밀도 층(200)과의 밀도 차가 적어 특히 저주파 영역의 흡음률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고밀도 층(200)이 차지하는 중량은 전체 섬유집합체의 약 30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층(200)이 차지하는 중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고밀도 층(200)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어 흡음 효과 향상이 미흡하거나, 고밀도 층(200)이 너무 두꺼우면 섬유집합체의 벌키(bulky)성이 너무 떨어져 오히려 흡음률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집합체는 상기 저밀도 층(100)과 고밀도 층(200)의 층상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면 특별히 구조가 제한되지 않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밀도 층(100)의 상, 하 양면에 고밀도 층(200, 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저밀도 층(100)의 상, 하 양면에 고밀도 층(200, 300)이 형성될 때 상, 하 양쪽으로 들어오는 소음의 흡음 효과가 더욱 우수하며,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흡음률의 향상도 현저히 크게 나타난다. 도2에서와 같이 저밀도 층(100) 상, 하 양면에 고밀도 층(200, 300)이 형성될 경우에도 고밀도 층(200, 300) 각각의 중량을 합한 값이 전체 섬유집합체 중량의 약 30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층(100) 및 고밀도 층(200, 300)의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섬유집합체는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12)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섬유집합체를 형성하는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는 통상적으로 멜트블로운 되어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의 직경은 1.0 내지 8.5 μm일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의 직경이 1.0 μm 미만일 경우 제조원가가 크게 증가되고, 직경이 8.5 μm를 초과하는 경우 섬유집합체의 조직구조가 치밀하게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결국 흡음재의 흡음 성능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섬유집합체에 포함되는 단섬유(staple fiber)(12)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Elastomer)란, 일반적으로 고무류와 같은 탄성이 현저한 고분자 재료를 말하며, 즉,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지닌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섬유(staple fiber)(12)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도록 하여 방사 공정 중의 핫에어(hot air)와 열처리(heat treatment)를 통해 저융점(LM)인 단섬유(staple fiber)(12)와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간의 점접착(point bonding)을 증가시키고, 교락을 보다 긴밀하게 할 수 있으며, 섬유집합체 상, 하면에 추가적인 열처리를 실시하여 열처리한 부분을 고밀도화 시킴으로써 저밀도 층 및 고밀도 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12)가 혼입되므로 섬유집합체의 반발탄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형태안정성과 압축회복률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섬유(staple fiber)(12)에 포함되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융점은 140 내지 160 ℃일 수 있다.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융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방사 공정 중의 핫에어(hot air)와 열처리(heat treatment)과정에서 단섬유(staple fiber)(12)와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와의 결속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추가적인 열처리를 통한 고밀도 층 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섬유(staple fiber)(12)는 탄성회복률이 50%이상 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탄성회복률을 나타낼 수 있다. 탄성회복률이 50% 미만인 경우 섬유집합체가 단단해지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흡음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섬유집합체의 반발탄성 및 압축회복률이 감소하여 제조 후 보관, 운송 과정에서 벌키(bulky)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물 자체의 제조 비용 상승뿐만 아니라 섬유집합체 제조 시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섬유집합체 흡음재의 반발 탄성율(ASTM D 3574)이 미흡하여 매트릭스 구조로 전달되는 진동이 충분히 감쇄하지 못해 흡음률이 저하되며, 형태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섬유집합체의 단섬유(staple fiber)(12)에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도록 하며, 탄성회복률이 바람직하게는50 내지 80%을 나타내어, 섬유집합체의 반발 탄성율(ASTM D 3574)을 50 내지80%까지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매트릭스 내부로 전달되는 진동감쇄 능력이 향상되어 흡음률 및 투과손실을 향상시키며, 제조 이후에 장기간 형태가 변하지 않고 이로 인해 고유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폴리에스터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DMI)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산성분(Diacid)으로 1,4-부탄디올(1,4-Butanediol: 1,4-BD),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을 디올성분(Diol)으로 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합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성분(Diacid)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과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DMI)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IPA)을 사용하는 것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와 테레프탈산(TPA)는 디올성분과 반응하여 결정영역을 형성하고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와 이소프탈산(IPA)은 디올성분과 반응하여 비결정영역을 형성하여 저융점 기능과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의 혼합비는 몰비 0.65~0.80 : 0.2~0.35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레프탈산(TPA)과 이소프탈산(IPA)의 혼합비도 몰비 0.65~0.80 : 0.2~0.35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와 이소프탈산(IPA)의 몰비가 상기 범위보다 적게 사용되며 탄성회복률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저융점 기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와 이소프탈산(IPA)의 몰비가 상기 범위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디올성분(Diol)은 1,4-부탄디올(1,4-Butanediol: 1,4-BD),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을 사용하는 것으로 1,4-부탄디올은 산성분과 반응하여 결정영역을 형성하고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는 산성분과 반응하여 비결정영역을 형성하여 저융점 기능과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1,4-부탄디올(1,4-BD),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의 혼합비는 몰비 0.85~0.95: 0.05~0.15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의 몰비가 상기 범위보다 적게 사용되며 탄성회복률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저융점 기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디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의 몰비가 상기 범위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1,4-부탄디올(1,4-BD)은 상기 범위 내에서 에틸렌글리콜(EG)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의 분자량은 1500~2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가 상기 분자량의 범위를 벗어나면 제조되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의 탄성력 및 물성이 사용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은 몰비 0.9~1.1: 0.9~1.1로 혼합되어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 너무 많이 혼합되면 중합에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산성분과 디올성분은 비슷한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을 산성분(Diacid)으로 1,4-부탄디올(1,4-BD),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을 디올성분(Diol)으로 제조되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융점 140~160℃, 탄성회복률 50~80%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단섬유(staple fiber)(12)는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일성분으로 하여 복합방사한 복합섬유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스-코어(sheath-core)형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의 복합섬유일 수 있으며, 시스-코어(sheath-core)형 복합섬유를 형성할 경우,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시스 성분으로, 일반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등을 코어 성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성분은 제조 단가를 낮추고, 섬유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저융점(LM) 엘라스토머(Elastomer)는 탄성력과 저융점 기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와 일반 폴리에스터의 중량비 40:60~60:40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가 중량비 40미만으로 포함되면 탄성력과 저융점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중량비 60을 초과하면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섬유(staple fiber)(12)의 섬유장은 20 내지 70 mm일 수 있으며, 20 mm 미만인 경우 단섬유(staple fiber)(12)의 탈리, 불균일 혼입으로 인해 안정적 구조체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0 mm를 초과하는 경우 동일 중량 대비 개체수가 적어 흡음률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섬유(staple fiber)(12)의 섬도는 5 내지 8 D일 수 있으며, 상기 단섬유(staple fiber)(12)의 섬도가 5 D 미만인 경우 성능 향상 대비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으며, 8 D를 초과하는 경우 개체수가 적어져 단섬유 혼입으로 인한 효과 발현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는 상기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 50 내지 85중량% 및 상기 단섬유(staple fiber)(12) 15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섬유(staple fiber)(12)가 15중량% 미만인 경우 섬유 집합체 내 공기가 충분히 존재하지 못하여 단섬유를 혼입한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세섬도인 멜트블로운 섬유가 적어져 오히려 고주파에서 흡음 성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 및 내부에 분산되는 단섬유(staple fiber)(12)로 이루어지는 상기 섬유집합체는 강도를 향상시키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집합체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지지층(20, 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와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12)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의 표면에 내장재 커버용으로 적용되는 이미 공지된 각종 소재들 예를 들면 부직포, 직조 직물, 편직 직물, 폼(Foam), 필름, 종이, 스판본드 직물, 멜트블로운 직물, 스테이플 웹 등과 같은 공지된 내장재 커버용 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층(20, 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20, 30)은 차량 내부, 건축물 내부 등에 시공되는 흡음재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흡음재의 형태를 유지하고 강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흡음재의 단섬유(staple fiber)(12)가 탈리되는 것도 방지하여 흡음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흡음 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는 (1)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제조하는 단계; (2)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가 방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혼입하여 섬유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섬유집합체의 상,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열처리를 하여 열처리한 부분을 고밀도화시키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한다.
본 발명의 흡음 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제조를 위해서는 멜트블로운 성형이 진행 중인 부직포의 내부에 상술한 단섬유(staple fiber)(12)가 고압기류에 의해 혼입되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성형하여 섬유집합체를 제조한 후, 제조된 섬유집합체의 상,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추가적인 열처리를 실시하여 열처리한 부분을 고밀도화 시켜 고밀도 층 및 저밀도 층의 층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흡음재의 제조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상술한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11)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고밀도 층 및 저밀도 층의 층상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한 후, 제조된 섬유집합체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추가적인 열처리를 가한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140 내지 170 ℃일 수 있다. 140 ℃ 미만의 온도로 열처리 할 경우 저밀도 층과의 충분한 밀도 차를 갖는 고밀도 층 형성이 어려워 흡음률 향상이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170 ℃를 초과할 경우 형성되는 고밀도 층의 밀도가 지나치게 커져 오히려 흡음률이 저하되거나 열처리 온도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 증가 대비 흡음률 향상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시간은 5 내지 25 분일 수 있으며, 5분 미만으로 열처리 할 경우 저밀도 층과의 충분한 밀도 차를 갖는 고밀도 층 형성이 어려워 흡음률 향상이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25분을 초과할 경우 고밀도 층의 밀도가 지나치게 커지거나, 더 이상의 열처리 시간 증가로 고밀도 층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한 섬유집합체의 상면 및/또는 하면은 고밀도화 되어 고밀도 층이 형성되고, 저밀도 층과 층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고밀도 층 및 저밀도 층을 포함하는 층상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흡음률이 향상되며, 특히 10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도 현저히 향상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는 두께 20 mm이하, 면밀도 400 g/m2 이하에서 Alpha Cabin법에 의한 흡음률이 500Hz에서 0.50 이상, 1000Hz에서 0.9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는 고밀도 층 및 저밀도 층을 포함하는 층상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500Hz, 1000Hz의 저주파 대역에서 0.50 이상, 0.90 이상의 현저히 향상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다.
종래에는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고주파 및 저주파 대역 모두에서 우수한 흡음 성능을 만족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는 우수한 형태 안정성 및 흡음률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흡음재는 외부 소음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또는 기차, 선박, 항공기 등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 부품을 사용하는 전자제품 등에도 소음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1>
혼입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단섬유 제조를 위하여,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75몰%와 이소프탈산 25몰%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고, 디올성분으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8.0몰%, 1,4-부탄디올 92.0몰%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산성분과 상기 디올성분을 몰비 1: 1로 혼합하여 중합시켜 140℃의 융점과 1.4의 고유점도 및 85%의 탄성회복률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단섬유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수지를 다수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구금온도 265℃에서 압출시킴과 동시에 열풍을 공급하고 다이부터 집속장치까지의 거리는 400㎜로 유지하여 2.5㎛의 평균직경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사를 방사하는 동시에, 단섬유 혼입 방법인 수직하강기류를 이용하여 38mm의 평균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단섬유(6 데니어)를 혼입하였다.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사 : 단섬유 = 65중량% : 35중량%가 되도록 하여 평량 300g/㎡의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섬유집합체 제조 후, 섬유집합체의 상, 하면에 145℃의 IR Heater를 이용하여 15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층과 하층을 고밀도화 시켜 고밀도-저밀도-고밀도의 층상구조를 형성하였다. 상, 하면 고밀도층의 중량은 섬유집합체 전체의 약 60 중량%였으며, 고밀도 층의 평균 밀도는 4.5 kg/m3이고, 저밀도 층의 평균 밀도는 1.75 kg/m3로 제조하였다.
<실시예2>
섬유집합체 상면에만 열처리를 실시하여 고밀도-저밀도의 층상구조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3>
섬유집합체의 상, 하면에 120 ℃의 IR Heater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여 고밀도 층의 평균 밀도가 3.0 kg/m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4>
섬유집합체 전체 두께의 10% 낮은 높이의 틀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고밀도 층의 평균 밀도가 32 kg/m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1>
저융점(LM)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단섬유 대신에 260℃의 융점과 0.65의 고유점도를 갖는 일반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포함하며, 섬유집합체의 상면, 하면에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2>
섬유집합체 상, 하면에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섬유집합체의 흡음 성능 및 반발탄성률, 압축회복률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실험하고, 그 결과를 표2,3에 나타내었다.
1. 두께
두께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폭에 걸쳐 20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2. 흡음률
흡음율 측정하기 위해 ISO R 354, Alpha Cabin법에 적용 가능한 시편으로 각각 3매씩 제조하여 흡음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흡음계수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3. 탄성회복률
탄성회복률은 인스트론(Instron)을 사용하여 덤벨(Dumbbell)모양의 두께 2㎜, 길이 10cm의 시료를 200%/분의 속도로 200% 신장 후 5초대기후 동일 속도로 회복 후 신장된 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 구하였다.
탄성회복률(%) = {[20-(L-10)]/20]}x100
(L: 신장된 길이)
4. 반발탄성률(Ball Rebound)
일정한 높이에서 시험편에 쇠구슬을 떨어뜨려 반발되어 튀어 오르는 높이를 측정하였다. (JIS K-6301, 단위: %) 시험편은 한 변 길이가 50 mm 이상 및 두께 50 mm 이상의 정사각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무게 16g, 지름 16mm의 강철 볼을 500mm의 높이에서 시험편에 낙하시켜 최대 반발 높이를 측정한 후, 3개의 시험편 각각에서 1분 이내 연속으로 최소 3회 이상의 반발값을 측정하여 중앙값을 반발탄성률(%)로 하였다.
5. 압축회복률
ASTM D6571 방법을 이용하여 아래와 조건으로 압축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초기에 일정한 조건으로 측정한 두께와 7.26kg 무게 추를 이용해서 일정시간 동안 압축한 후의 두께 비율을 계산한 값을 압축회복률(%)로 하였다.
샘플 사이즈 Plate 사이즈 실험 조건(온?습도) 실험 조건하중
200*200mm2 230*230*6.35mm3, 187g 20~24℃, 습도 무관 7.26 kg
구분 두께
(mm)
흠음률
500Hz 1000Hz 2000Hz 3000Hz 4000Hz
실시예1 12.91 0.541 0.954 1.02 1.001 1.052
실시예2 13.3 0.501 0.941 1.00 0.997 1.031
실시예3 13.68 0.481 0.836 0.971 0.967 0.998
실시예4 10.78 0.460 0.829 0.959 0.956 0.987
비교예1 14.56 0.473 0.834 0.951 0.977 1.018
비교예2 14.58 0.463 0.846 0.961 0,977 1.001
구분 압축회복률(%) 반발탄성률(%)
실시예1 45 49
실시예2 44 46
실시예3 42 47
실시예4 43 47
비교예1 35 28
비교예2 40 45
상기 표2 내지 3에서 알 수 있듯이, 멜트블로운 섬유집합체 상면 및/또는 하면에열처리를 실시하여 밀도 차이를 갖는 비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실시예1 내지 4가 비교예에 비하여 흡음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며, 일반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함유한 비교예1은 본 발명 밀도 차를 만족하지 못해 흡음률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압축회복률, 반발탄성률도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2는 실시예들에 비하여 흡음률이 현저히 떨어지지만, 저융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단섬유를 혼입하여 비교예1에 비해서 압축회복률, 반발탄성률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고밀도, 저밀도 층의 밀도 차가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3,4는 실시예1에비해서 다소 흡음률 향상 효과가 떨어졌으며, 고밀도-저밀도-고밀도 층상구조의 실시예1이 가장 흡음률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저주파 영역에서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소음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또는 기차, 선박, 항공기 등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 부품을 사용하는 전자제품 등에도 소음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Claims (17)

  1. (1) 140 내지 160 ℃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50%이상의 탄성회복률, 20 내지 70 mm의 섬유장을 가지는 단섬유(staple fiber)를 제조하는 단계;
    (2) 1.0 내지 8.5μm의 직경을 가지는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가 방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저융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단섬유가 15 내지 50중량% 포함되도록 혼입하여 섬유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섬유집합체의 양면에 열처리를 하여 열처리한 부분을 고밀도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3)단계의 고밀도화에 의해 섬유집합체는 고밀도 상층, 저밀도 층 및 고밀도 하층의 층상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밀도 상층 및 고밀도 하층의 평균 밀도는 4.5 kg/m3 내지 30 kg/m3이고,
    상기 저밀도 층의 평균 밀도는 1.2 kg/m3 내지 2.3 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열처리 온도는 140 내지 1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열처리 시간은 5 내지 2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의 제조방법.
  7.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 및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단섬유(staple fiber);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섬유는 1.0 내지 8.5μm의 직경, 상기 저융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140 내지 160 ℃의 융점, 상기 단섬유는 50%이상의 탄성회복률, 20 내지 70 mm의 섬유장을 가지고,
    상기 섬유집합체는 저융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단섬유를 15 내지 50중량% 포함하고, 양면을 열처리하여 열처리한 부분을 고밀도화시켜, 고밀도 상층, 저밀도 층 및 고밀도 하층의 층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밀도 상층 및 고밀도 하층의 평균 밀도는 4.5 kg/m3 내지 30 kg/m3이고,
    상기 저밀도 층의 평균 밀도는 1.2 kg/m3 내지 2.3 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staplefiber)는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일성분으로 하여 복합방사한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12. 삭제
  13. 삭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LM)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DMI) 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산성분(Diacid)으로 1,4-부탄디올(1,4-Butanediol: 1,4-BD),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을 디올성분(Diol)으로 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합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15. 삭제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집합체는 두께 20 mm 이하, 면밀도 400 g/m2 이하에서 Alpha Cabin법에 의한 흡음률이 500Hz에서 0.50 이상, 1000Hz에서 0.90 이상인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17. 삭제
KR1020120111542A 2012-10-08 2012-10-08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542A KR101958484B1 (ko) 2012-10-08 2012-10-08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542A KR101958484B1 (ko) 2012-10-08 2012-10-08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09A KR20140047209A (ko) 2014-04-22
KR101958484B1 true KR101958484B1 (ko) 2019-03-14

Family

ID=5065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542A KR101958484B1 (ko) 2012-10-08 2012-10-08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928B1 (ko) * 2016-11-10 2018-07-09 주식회사 휴비스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흡음성 섬유집합체
CN111376553B (zh) * 2020-03-09 2021-08-03 东华大学 三明治结构互穿网络型弹性纤维吸音海绵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559B1 (ko) * 2008-10-23 2009-06-23 (주)크린앤사이언스 부직포 흡음재
JP2009287134A (ja) * 2008-05-28 2009-12-10 Teijin Fibers Ltd 吸音材用繊維構造体および吸音材
JP2012077432A (ja) * 2010-09-08 2012-04-19 Kuraray Co Ltd 透光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60A (ja) * 1995-06-28 1997-01-14 Bridgestone Corp 防音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7134A (ja) * 2008-05-28 2009-12-10 Teijin Fibers Ltd 吸音材用繊維構造体および吸音材
KR100903559B1 (ko) * 2008-10-23 2009-06-23 (주)크린앤사이언스 부직포 흡음재
JP2012077432A (ja) * 2010-09-08 2012-04-19 Kuraray Co Ltd 透光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09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518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89129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3632876B2 (ja) 遮音構造体
JP4616836B2 (ja) 吸音体
WO2018182001A1 (ja) 積層体及び吸音材
KR102113351B1 (ko) 전자파 차폐 및 흡음성능이 우수한 복합섬유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9102B1 (ko)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1193B1 (ko) 흡음성 부직포
KR20170112581A (ko) 흡차음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8484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EP3531415B1 (en) Soundp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 structure
KR20170112571A (ko) 흡음성, 수분흡수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5147B1 (ko) 압축성형체용 숏컷 섬유, 이를 이용한 압축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0162B1 (ko) 압축회복률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KR101432519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5622A (ko) 차량용 흡차음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2522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482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0202933A (ja) 遮音材
KR101672462B1 (ko) 접착성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흡음재용 극세사 복합섬유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KR101875928B1 (ko)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흡음성 섬유집합체
KR102484011B1 (ko) 습식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흡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6518B1 (ko) 자동차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EP4343043A1 (en) Multi-layer meltblown non-woven fabr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58483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