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850A - 액체유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유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850A
KR20170073850A KR1020150182535A KR20150182535A KR20170073850A KR 20170073850 A KR20170073850 A KR 20170073850A KR 1020150182535 A KR1020150182535 A KR 1020150182535A KR 20150182535 A KR20150182535 A KR 20150182535A KR 20170073850 A KR20170073850 A KR 2017007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injection tube
expansion member
fixing stopper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986B1 (ko
Inventor
정천섭
Original Assignee
정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천섭 filed Critical 정천섭
Priority to KR102015018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9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63B17/0036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63B271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기타 구조물 등에서 파공이 발생된 경우에 그 파공부를 통해 액체의 유입 또는 유출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액체유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공부에 삽입되어 팽창이 가능한 방수부(110)와; 상기 방수부 내에 삽입 위치하여 상기 방수부(110) 내에 팽창물질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주입관(120)과; 상기 주입관(120)에 고정되어 상기 방수부(110)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스토퍼(130)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120)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130)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110)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1팽창부재(140)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120)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130)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110)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2팽창부재(150)와; 상기 제1팽창부재(140)와 상기 제2팽창부재(150)를 각각 팽창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유출 방지장치{Apparatus for liquid leakage prevention}
본 발명은 선박이나 기타 구조물 등에서 파공이 발생된 경우에 그 파공부를 통해 액체의 유입 또는 유출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액체유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을 운행하는 선박들은 충돌이나 좌초 등의 원인 또는, 운항 중에 파도에 의한 선체 일부에 집중된 응력, 부식 등으로 인하여 선체에 균열 또는 파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는 대량의 기름 유출로 인하여 해양을 오염시키거나 선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선박이 침몰하는 등의 크고 작은 해난사고에 항상 노출된다.
특히 대형 선박, 유조선에서 기름탱크가 파손되어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에는 해양을 오염시켜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연근해 자원을 고갈시키며 양식 어류들이 폐사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체에 파공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는 장치들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3002호(공개일자: 2013.04.29)에서는 유연성을 확보한 얇은 스프링강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며 쿠션력이 우수한 탄성체인 EVA로 구성된 접지판과, 접지판의 전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동심으로 형성된 패킹결합홈 및 패킹 결합홈에 고정되는 패킹과, 패킹결합홈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다수개의 자석결합홈 및 자석홈에 설치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액체 유출 방지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파공 부위가 플레이트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큰 파공 부위에 대해서는 면적이 큰 플레이트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서 작업 시에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0652호(공개일자: 2015.10.28)에서 선박 등의 파공부를 막을 수 있는 액체유출 방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개량하여 출원하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3002호(공개일자: 2013.04.29)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0652호(공개일자: 2015.10.28)
본 발명은 파공부의 액체 유출입 방향에 따라서 파공부의 차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액체유출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유출 방지장치는, 파공부에 삽입되어 팽창이 가능한 방수부와; 상기 방수부 내에 삽입 위치하여 상기 방수부 내에 팽창물질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에 고정되어 상기 방수부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스토퍼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1팽창부재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2팽창부재와; 상기 제1팽창부재와 상기 제2팽창부재를 각각 팽창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관은 상기 고정스토퍼를 기준으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팽창물질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되, 배출홀은 상기 제1팽창부재와 상기 제2팽창부재의 위치에 연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팽창부재는, 상기 주입관 전단에 고정되는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에 방사형으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1펼침살과; 상기 고정스토퍼 전단에서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펼침살 각각에 대응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펼침살과 상기 제1슬라이더와 힌지 조립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팽창부재는, 상기 고정스토퍼 후단에서 상기 주입관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에 방사형으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2펼침살과; 상기 고정스토퍼 후단에서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펼침살 각각에 대응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펼침살과 상기 제2슬라이더와 힌지 조립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관은 상기 제1슬라이더 또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록킹 위치 구간 범위 내에 팽창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 또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위치와 연동되어 배출홀의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유출 방지장치는, 방수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각각 팽창시킬 수 있는 제1팽창부재와 제2팽창부재와, 각 팽창부재의 팽창 조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파공부의 액체 유출입 방향에 따라서 파공부의 차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물질을 방수부 내에 주입하게 되는 주입관에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며, 이 배출홀은 제1팽창부재와 상기 제2팽창부재의 록킹 위치와 연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써 방수부 내에 팽창물질이 주입되기 전에 먼저 각 팽창부재의 전개가 먼저 이루어져 파공부의 초기 차단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의 작동 전후의 단면 구성도,
도 2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작동 전후의 단면 구성도,
도 3의 (a)(b)와 도 4의 (c)(d)는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의 (a)(b)와 도 6의 (c)(d)는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는, 파공부에 삽입되어 팽창이 가능한 방수부(110)와; 방수부(110) 내에 삽입 위치하여 방수부(110) 내에 팽창물질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주입관(120)과; 주입관(120)에 고정되어 방수부(110)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스토퍼(130)와; 고정스토퍼(130)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120)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130)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방수부(110)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1팽창부재(140)와; 고정스토퍼(130)에 탄성 지지되어 주입관(120)을 따라서 고정스토퍼(130)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110)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2팽창부재(150)와; 주입관(120)에 마련되어 1팽창부재(140)와 제2팽창부재(150)의 팽창 조작을 선택하게 되는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방수부(110)는 내부에 팽창물질이 채워져서 팽창공간을 형성하여 파공부를 막는 역할을 하며, 인열강도가 우수하고 내수성, 내유성을 갖는 재질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팽창물질은 압축공기, 또는 발포제일 수 있다.
또한 방수부(110)는 특별히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팽창된 상태에서 중앙을 따라 함몰 형성된 이탈방지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11)는 파공부의 테두리에 삽입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탈방지부(111)의 전후단의 방수부(110)는 큰 체적을 갖고 파공부 사이에 위치하여 파공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관(120)은 팽창물질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일단에 체결부(121)가 마련되어 팽창물질을 공급하는 팽창물질 공급 용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주입관(120)의 입구단에는 팽창물질의 주입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주지의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주입관(120)은 일부 구간에 배출홀(122)(123)이 형성되어 주입관(120)을 따라서 공급된 팽창물질은 배출홀(122)(123)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져 방수부(110)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주입관(120)의 대략 중간에는 고정스토퍼(130)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홀(122)은 고정스토퍼(130)를 기준으로 하여 전단과 후단에 각각 일정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홀(122)은 제1팽창부재(140)의 팽창 여부와 연동되고 개폐가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예는 관련 도면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될 것이다.
제1팽창부재(140)와 제2팽창부재(150)는 고정스토퍼(130)를 기준으로 하여 전단과 후단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전개가 이루어져 방수부(110)의 전단 또는 후단을 팽창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팽창부재(140)는 주입관(120) 전단에 고정되는 엔드캡(141)과, 엔드캡(141)에 방사형으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1펼침살(142)과, 고정스토퍼(130) 전단에서 주입관(120)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제1슬라이더(143)와, 제1펼침살(142) 각각에 대응되어 양단이 각각 제1펼침살(142)과 제1슬라이더(143)와 힌지 조립되는 제1링크(144)와, 제1슬라이더(143)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145)(14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145)(146)는 엔드캡(141)과 제1슬라이더(143) 사이에 삽입되는 제1인장스프링(145)과, 제1슬라이더(143)와 고정스토퍼(130) 사이에 삽입되는 제1압축스프링(146)으로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145)(146)는 제1슬라이더(143)를 고정스토퍼(130)의 전방으로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각 제1펼침살(142)은 단부에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가요성 펼침살이 추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요성 펼침살은 제1펼침살이 급격히 전개되는 과정에서 방수부(11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팽창부재(150)는 고정스토퍼(130) 후단에서 주입관(120)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151)와, 손잡이몸체(151)에 방사형으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2펼침살(152)과, 고정스토퍼(130) 후단에서 주입관(120)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제2슬라이더(153)와, 제2펼침살(152) 각각에 대응되어 양단이 각각 제2펼침살(152)과 제2슬라이더(153)와 힌지 조립되는 제2링크(154)와, 제2슬라이더(153)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55)(156);를 포함한다.
제2탄성부재(155)(156)는 손잡이몸체(151)와 제2슬라이더(153) 사이에 삽입되는 제2인장스프링(155)과, 제2슬라이더(143)와 고정스토퍼(130) 사이에 삽입되는 제2압축스프링(1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55)(156)는 제2슬라이더(153)를 고정스토퍼(130)의 후방으로 후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조작부(160)는 제1팽창부재(140)와 제2팽창부재(150)를 각각 팽창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써, 작업자는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제1팽창부재(140)와 제2팽창부재(150)의 팽창 조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160)는 손잡이몸체(151)에 설치된 두 개의 조작버튼(161)(162)을 포함하며, 각 조작버튼(161)(162)의 조작에 의해 제1팽창부재(140) 또는 제2팽창부재(150)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도 2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작동 전후의 단면 구성도이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팽창부재의 제1슬라이더(143)와 제2슬라이더(153)만을 도시하였다. 한편, 제1슬라이더(143)와 제2슬라이더(153)는 각각에 마련된 탄성부재에 의해 도면상의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조작부는 제1팽창부재와 제2팽창부재와 대응되어 두 개의 조작버튼(161)(162)을 포함하며, 각 조작버튼(161)(162)의 조작에 의해 제1팽창부재 또는 제2팽창부재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조작버튼(161)은 주입관(120) 내부에 연장된 로드(161b)에 의해 후크돌기(161c)가 구비되며, 후크돌기(161c)는 주입관(120)에서 돌출되어 제1슬라이더(143)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로드(161b)와 후크돌기(161c)가 상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부재가 주입관 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슬라이더가 후크돌기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록킹'상태라고 하고 그 위치를 '록킹 위치'라 하고 이러한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해제'상태와 '해제 위치'로 약칭한다.
제1조작버튼(161)은 조작 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161a)이 마련된다.
도 2의 (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1조작버튼(161)을 누르게 되면, 제1후크돌기(161c)는 주입관(120) 내부로 인입되고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슬라이더(143)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의 펼침살의 전개가 이루어진다.
제2조작버튼(162) 역시도 제1조작버튼(161)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조작버튼(162)의 조작에 의해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2슬라이더(153)는 제2후크돌기(162c)가 해제되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방으로의 펼침살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주입관(120)에 형성되어 배출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홀(122)(123)은 고정스토퍼(13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배출홀(122)과, 고정스토퍼(130)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배출홀(1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단 배출홀(122)과 후단 배출홀(123)은 각각 제1슬라이더(143)와 제2슬라이더(153)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단 배출홀(122)은 고정스토퍼(130)의 전단에서 제1슬라이더(143)가 록킹 위치하는 구간에만 형성되며, 따라서 록킹 상태에서 전단 배출홀(122)은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주입관(120)을 통해 팽창물질이 공급되더라고 제1슬라이더(143)가 전진하여 제1팽칭부재(140)가 전방으로 전개되기 전에는 팽창물질이 방수부(110)의 팽창 공간으로 공급되지 않으며, 팽창물질은 제1슬라이더(143)가 전진하여 제1팽창부재(140)가 전방으로 전개된 이후에 팽창물질은 방수부(110)의 팽창 공간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팽창물질이 방수부로 주입되기 전에 먼저 각 팽창부재가 방수부를 전개시킨 후에 팽창물질이 방수부로 주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신속히 파공부의 막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슬라이더는 고정스톱퍼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2슬라이더는 후방으로 탄성 지지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의 (a)(b)와 도 4의 (c)(d)는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선박(10)에 파공부(11)가 발생되어 선박(10) 내의 액체(기름 등)가 바깥으로 유출되는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준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선박(10) 바깥에서 작업자는 파공부로 액체유출 방지장치(100)를 적당히 밀어 위치시키게 되며, 이때 제1슬라이더(143)와 제2슬라이더(153)는 록킹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의 (c)를 참고하면, 제1조작버튼(161)을 누르게 되면 제1슬라이더(143)가 전진하면서 복수의 제1펼침살(142)이 방사형으로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방수부(110) 전단부를 팽창시키게 되며, 이때 전단 배출홀(122)이 개방되어 팽창물질이 방수부(110)를 또한 팽창시키게 된다.
따라서, 선박(10)의 파공부를 통해 바깥으로 유출되는 액체는 파공부의 안쪽에 먼저 팽창이 이루어진 방수부(110)에 의해 파공부를 막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조작버튼(162)을 누르게 되면 제2슬라이더(153)가 후진하면서 복수의 제2펼침살(152)이 방사형으로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방수부(110) 후단부를 팽창시키게 되며, 또한 후단 배출홀(123)이 개방되어 팽창물질이 방수부(110) 후단의 팽창공간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부(110)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순차적으로 파공부를 사이에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방수부(110)는 파공부를 견고히 차단하게 되어 선박 내의 액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a)(b)와 도 6의 (c)(d)는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선박(10)에 파공부(11)가 발생되어 선박(10) 바깥의 바닷물이 선박(10) 내에 유입되는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준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선박(10) 바깥에서 작업자는 파공부로 액체유출 방지장치(100)를 적당히 밀어 위치시키게 되며, 이때 제1슬라이더(143)와 제2슬라이더(153)는 록킹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6의 (c)를 참고하면, 제1조작버튼(162)을 누르게 되면 제2슬라이더(153)가 후진하면서 복수의 제2펼침살(152)이 방사형으로 후방으로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방수부(110) 후단부를 팽창시키게 되며, 이때 후단 배출홀(123)이 개방되어 팽창물질이 방수부(110) 후방을 또한 팽창시키게 된다.
따라서, 선박(10)의 파공부를 통해 선박(10)으로 유입되는 바닷물은 파공부의 바깥에서 먼저 팽창이 이루어진 방수부(110)에 의해 파공부의 차단이 먼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6의 (d)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1조작버튼(161)을 누르게 되면 제1슬라이더(143)가 전진하면서 복수의 제1펼침살(142)이 방사형으로 전방으로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방수부(110) 전단부를 팽창시키게 되며, 또한 전단 배출홀(122)이 개방되어 팽창물질이 방수부(110) 전단의 팽창공간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부(110)의 후단부와 전단부가 순차적으로 파공부 사이에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방수부(110)는 파공부를 견고히 차단하게 되어 선박 내로 유입되는 바닷물을 신속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의 바깥으로 유출되는 액체(기름) 또는 선박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액체(바닷물)의 차단이 모두 선박의 바깥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두 작업이 모두 선박의 안쪽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제1팽창부재와 제2팽창부재의 팽창 순서만이 달라질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유출 방지장치는 선박에 파공이 발생된 경우에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선박 내부나 외부에서 액체의 유출이나 유입 방향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파공부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액체유출 방지장치 110 : 방수부
120 : 주입관 121 : 체결부
122 : 전단 배출홀 123 : 후단 배출홀
130 : 고정스토퍼 140 : 제1팽창부재
141 : 엔드캡 142 : 제1펼침살
143 : 제1슬라이더 144 : 제1링크
145 : 제1인장스프링 146 : 제1압축스프링
150 : 제2팽창부재 151 : 손잡이몸체
152 : 제2펼침살 153 : 제2슬라이더
154 : 제2링크 155 : 제2인장스프링
156 : 제2압축스프링 160 : 조작부
161 : 제1조작버튼 162 : 제2조작버튼

Claims (5)

  1. 파공부에 삽입되어 팽창이 가능한 방수부와;
    상기 방수부 내에 삽입 위치하여 상기 방수부 내에 팽창물질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에 고정되어 상기 방수부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스토퍼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의 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1팽창부재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상기 고정스토퍼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상기 방수부를 팽창시키게 되는 제2팽창부재와;
    상기 제1팽창부재와 상기 제2팽창부재를 각각 팽창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액체유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기 고정스토퍼를 기준으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팽창물질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되, 배출홀은 상기 제1팽창부재와 상기 제2팽창부재의 위치에 연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출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팽창부재는,
    상기 주입관 전단에 고정되는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에 방사형으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1펼침살과;
    상기 고정스토퍼 전단에서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펼침살 각각에 대응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펼침살과 상기 제1슬라이더와 힌지 조립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체유출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팽창부재는,
    상기 고정스토퍼 후단에서 상기 주입관에 고정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손잡이몸체에 방사형으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2펼침살과;
    상기 고정스토퍼 후단에서 상기 주입관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펼침살 각각에 대응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펼침살과 상기 제2슬라이더와 힌지 조립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체유출 방지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기 제1슬라이더 또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록킹 위치 구간 범위 내에 팽창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 또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위치와 연동되어 배출홀의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유출 방지장치.
KR1020150182535A 2015-12-21 2015-12-21 액체유출 방지장치 KR10181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35A KR101814986B1 (ko) 2015-12-21 2015-12-21 액체유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35A KR101814986B1 (ko) 2015-12-21 2015-12-21 액체유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850A true KR20170073850A (ko) 2017-06-29
KR101814986B1 KR101814986B1 (ko) 2018-01-04

Family

ID=5928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535A KR101814986B1 (ko) 2015-12-21 2015-12-21 액체유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221A (ko) *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하늘연소프트 벽면 파손을 통한 액체 유출 및 침수 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876B1 (ko) * 2009-02-24 2012-08-02 박철홍 선박 파공부 응급처치 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221A (ko) *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하늘연소프트 벽면 파손을 통한 액체 유출 및 침수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986B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4391B (zh) 泄漏部密封设备和用于密封泄漏部的方法和系统
US4329132A (en) Hole plugging system
KR101635909B1 (ko) 선박의 유체 누설 차단장치
KR101814986B1 (ko) 액체유출 방지장치
KR20190009221A (ko) 벽면 파손을 통한 액체 유출 및 침수 차단 장치
JP6668423B2 (ja) 膨張装置、及び、浮揚体ユニット
KR20150138728A (ko)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KR20140078595A (ko) 선박 파공부위 셔터형 차폐 장치
US4012822A (en) System for sealing and repairing leaks in ruptured containers
KR102013797B1 (ko)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US8424478B1 (en) Device for temporary remediation of holes in ship hulls
KR101665403B1 (ko) 오일 펜스의 자동설치 장치
JP6464981B2 (ja)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KR101591897B1 (ko) 액체유출 방지장치
KR102403084B1 (ko) 수중 글라이더를 이용한 파공봉쇄장치
JP4826215B2 (ja) 可撓性ブイ
KR20160149737A (ko) 팽창형 오일펜스
KR101787968B1 (ko) 내부 투입형 선박수리로봇 및 이를 이용한 선박수리방법
JP2006035110A (ja) 管洗浄装置
US20100263764A1 (en) Spill curtailing tool
KR20150130096A (ko) 선박 파공부위 봉쇄장치
JP2010071451A (ja) 流体圧回路
KR101857439B1 (ko) 파공부의 봉쇄장치
KR101520815B1 (ko) 선박 사고 시 유체 유출차단장치 및 방법
CN214776451U (zh) 一种适用于船体堵漏的囊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