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29A -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29A
KR20170073429A KR1020150182405A KR20150182405A KR20170073429A KR 20170073429 A KR20170073429 A KR 20170073429A KR 1020150182405 A KR1020150182405 A KR 1020150182405A KR 20150182405 A KR20150182405 A KR 20150182405A KR 20170073429 A KR20170073429 A KR 20170073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owner
server
res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18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429A/ko
Publication of KR2017007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하여 차량 소유주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METHOD FOR PARKING CONTROL BY SHARING, SERV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거 밀집 지역의 경우 주차장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주택가, 상가와 같은 경우 거주자에게 주차 공간이 우선 할당되기 때문에 외부 차량이 주차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거주자 우선 주차제도는 주차공간의 확보, 비상차량의 통행로 확보, 이웃간의 주차분쟁 예방 등을 위해 골목길 또는 이면도로 등의 노상주차공간에 특정 주차구획을 지정하여 일정기간동안 우선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이를 위해, 주거공간 인근의 골목길 또는 이면도로에 주차구획선을 그어 차량들이 주차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주차구역을 만든 후에 거주자 우선 주차를 희망하는 주민들로부터 거주자 우선 주차를 신청받아 임의의 주차구역에 주민 소유의 차량을 배정하고, 배정되지 않은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불법 주차한 경우에는 이를 단속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 우선 주자 공간이 24시간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빈 시간 동안 다른 사람이 주차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방법은 주차 관제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에서 주차 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관제를 수행하며,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소유주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서버는 주차 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관제를 수행하며,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소유주확인부; 및 기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소유주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여 계산하는 주차요금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계산된 주차 요금 정보를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은, 복수의 주차 구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 상기 번호판 인식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해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서버; 및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공유 주차 관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에 따라 차량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자인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 등의 우선 등록된 차량 소유주의 편의를 고려함과 동시에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번호판 인식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주차 구역들에 배치되는 번호판 인식 장치들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공유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10)은 번호판 인식 장치(100), 서버(110) 및 휴대용 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번호판 인식 장치(100)는 주차 구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를 위해, 번호판 인식 장치(100)는 주차된 차량의 번호판이 부착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번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번호판 인식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1), 카메라 모듈(102) 및 센서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번호판 인식 장치(100)에 구비된 표시부(101)는 LED 표시등으로 구성되어, LED 표시등의 색상 또는 점멸 등으로 해당 주차 구역의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구역이 비어있어 "입차대기" 상태인 경우 LED 표시등이 녹색으로 점등되며, 해당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입차완료" 상태인 경우 LED 표시등이 적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가 종료되어 "요금과금" 상태인 경우 LED 표시등이 적색으로 점멸되며, 해당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요금 정산이 완료되어 "정산완료" 상태인 경우 LED 표시등이 녹색으로 점멸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2)은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102)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미도시)가 번호판 인식 장치(10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영상 처리부가 차량 전면 또는 후면 영상으로부터 번호를 인식하는 방법은 다양한 종래의 문자 또는 숫자 인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103)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전방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해당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와, 번호판 인식 장치(100)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110)는 번호판 인식 장치(100)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차량 소유주가 해당 주차 구역이나 주차와 관련하여 우선하는 권리를 가진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를 거주자와 비거주자로 구분할 수 있다.
서버(110)는, 미리 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해,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인 경우와 비거주자인 경우로 구분하여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한다.
또한, 서버(110)는 상기와 같이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인지 비거주자인지 여부에 따라 차등 적용되어 결정된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차량 소유주인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20)로 차량을 주차한 구역에 대한 정보와 함께 주차 요금 정보를 제공받고, 휴대용 단말기(120)를 이용해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서버(110)는 통신부(111), 차량소유주확인부(112), 주차요금계산부(113), 제어부(114) 및 메모리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공유 주차 관제 방법을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11)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100)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한다(S400 단계).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주차 구역들(401 내지 406) 각각에 대응되도록 그에 인접한 위치에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이 배치될 수 있다.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은 각각 해당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주차된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번호판 인식 장치(111)에서 인식된 차량(450)의 번호는 서버(110)로 전송되며, 그를 위해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이 각각 서버(1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거나, 또는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버(110)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주차 관리 서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이 각각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은 주차된 차량의 전면(또는 후면)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을 서버(110)로 전송하고, 서버(110)가 상기 전송된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111 내지 116)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차 구역들(401 내지 406) 각각에 대한 현재 상태(예를 들어, 현재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 등)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복수의 주차 구역들(401 내지 406) 각각에 대한 현재 주차 가능 상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차 구역의 형태 등에 따라 번호판 인식 장치들(121 내지 126)의 구성이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주차 구역들(411 내지 415)의 양 끝 부분에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단방향의 번호판 인식 장치(121, 126)가 배치되며, 나머지 부분에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들이 구비되어 동시에 2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양방향의 번호판 인식 장치(122 내지 125)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번호판 인식 장치들(121 내지 126)을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451)의 전면 및 후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차량 번호 인식의 오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후 번호판이 서로 상이한 도난 차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소유주확인부(112)는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를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거주자와 비거주자로 구분한다(S410 단계).
차량의 소유주가 거주자로 등록된 차량의 번호 및 해당 소유주에 대한 정보는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관리되며, 상기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10)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서버(110)와 별도로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 후, 주차요금계산부(113)는 미리 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소유주에 대한 구분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여 계산한다(S420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은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거주자인 경우와 비거주자인 경우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차 및 요금 징수 기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거주자/비거주자로 구분하여 시간당(또는, 10분당, 분당) 주차 요금과 최대 주차 가능 시간 등을 서로 다르게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서버(110)의 메모리부(11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주차 요금 징수 정책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주차 요금 징수 정책은 외부로부터 서버(110)로 전송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보다 비거주자에게 주차 요금이 더 높게 적용되며, 거주자의 경우 장기 주차가 허용되마 비거주자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시간) 이내의 단기 주차만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인지 여부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 차량의 종류, 차량의 용도, 운전자, 주차 시간, 주차 위치, 주차 목적 또는 주차장 종류 등 다양한 기준이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포함되어 그에 따라 주차 요금이 차등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종류가 경차, 중,대형,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으로 구분되거나, 차량 용도가 관용, 거주자, 응급차량로 구분되거나, 운전자가 장애인, 국가유공자, 민주유공자, 다둥이, 자원봉사, 경로 등으로 구분되어, 그에 따라 주차 요금이 차등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간이 평일, 주말, 주간, 야간으로 구분되거나, 주차 위치가 출입구에 얼마나 가까운가, 지상, 지하, 얼마나 지상 위로 올라가는지, 지하 아래로 내려가는지 등으로 구분되거나, 주차시간 기준이 장기인지 여부로 구분되거나, 주차 목적이 병원 방문, 호텔사용자, 쇼핑, 영화, 공연, 경기, 식사, 관광, 회의, 업무, 방문 등으로 구분되거나, 주차장 종류가 공영, 민영, 부설, 노상, 노외 등으로 구분되어, 그에 따라 주차 요금이 차등 적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주차 요금이 결정되면, 통신부(111)는 계산된 주차 요금 정보를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440 단계).
이 경우,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는 휴대용 단말기(120)를 이용해 주차 요금 등을 확인한 후, 휴대용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직접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20)를 이용한 주차 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110)는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주차 요금 결제 정보는 추후 정산 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주차 요금 징수 정책의 보완 등을 위하여 분석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공유 주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500)에 주차 관련 정보와 함께 주차 요금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번호로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한 결과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인 경우, 장시간 주차가 가능하며, 10분당 100원의 주차 요금이 징수될 수 있다.
차량 소유주는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표시된 소유자 구분 및 그에 따른 주차 요금을 확인한 후, "결제하기" 버튼(510)을 눌러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번호로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한 결과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가 아닌 방문자인 경우, 3시간 이내 주차만이 가능하며, 10분당 500원의 주차 요금이 징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10)이 하나의 서버(11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서버(110)의 동작은 2 이상의 서버들로 분할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10)은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100 내지 102), 정산 장치(130), 제1 서버(110), 제2 서버(120), 주차 정치 DB(140) 및 휴대용 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산 장치(130)는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100 내지 102)과 연결되어,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이외에 번호판 인식 장치들(100 내지 102)과 제1 서버(1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서버(110)는 번호판 인식 장치들(100 내지 1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정산 장치(1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제2 서버(111)로 전송하여 해당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거주자인지 비거주자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서버(111)는 휴대용 단말기(12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공유 주차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차 정책 DB(140)에는 거주자로 등록된 차량 번호 및 차량 소유주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1 서버(110)가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기 위한 기준인 주차 요금 징수 정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주차 관제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주차 관제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에서 주차 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관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소유주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차량 소유주를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거주자와 비거주자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요금은
    거주자보다 비거주자에게 더 높게 적용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인지 비거주자인지 여부에 따라, 최대 주차 가능 시간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요금은
    차량의 종류, 차량의 용도, 운전자, 주차 시간, 주차 위치, 주차 목적 및 주차장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을 통해 확인된 복수의 주차 구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가능 상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주차 관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9. 주차 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관제를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주차 구역에 배치된 번호판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소유주확인부; 및
    기설정된 주차 요금 징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소유주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여 계산하는 주차요금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계산된 주차 요금 정보를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소유주확인부는
    상기 차량 소유주를 거주자 우선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거주자와 비거주자로 구분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금계산부는
    거주자보다 비거주자에게 시간 당 주차요금을 더 높게 적용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소유주가 거주자인지 비거주자인지 여부에 따라, 최대 주차 가능 시간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금계산부는
    차량의 종류, 차량의 용도, 운전자, 주차 시간, 주차 위치, 주차 목적 및 주차장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주차 요금을 결정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을 통해 확인된 복수의 주차 구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가능 상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공유 주차 관제 서버.
  16. 주차 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주차 구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번호판 인식 장치들;
    상기 번호판 인식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해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주차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서버; 및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공유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0150182405A 2015-12-20 2015-12-20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KR20170073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405A KR20170073429A (ko) 2015-12-20 2015-12-20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405A KR20170073429A (ko) 2015-12-20 2015-12-20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29A true KR20170073429A (ko) 2017-06-28

Family

ID=5928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405A KR20170073429A (ko) 2015-12-20 2015-12-20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4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981A (ko) * 2018-05-09 2019-11-19 이용석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981A (ko) * 2018-05-09 2019-11-19 이용석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665B2 (en) Tracking a vehicl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EP2925564B1 (en) Controlling use of a single multi-vehicle parking space using multiple cameras
RU2607043C1 (ru) Управлени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дного парковоч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для нескольк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осредством применения множества камер
US1168821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US20160140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Tracking
WO2019052352A1 (zh) 基于车辆检测的泊位服务与管理系统及方法
US201403721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reservation and finding parking space suitable for user's vehicle size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BR112015017793B1 (pt) Parquímetro
CN1784702A (zh) 公共服务系统
EP3895089B1 (en) Smart parking system
CN107067809A (zh) 一种智慧城市云计算停车管理信息系统
KR101746924B1 (ko) 거주자 우선 주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9063880B (zh) 停车场车位预约方法及系统
JP2019061686A5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7401292B2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駐車場管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117334A1 (zh) 一种车库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JP2021118473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駐車場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73429A (ko)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CN108257407A (zh) 一种车辆停放导航及导航信息的处理方法、装置
KR20210074424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CN107516418A (zh) 基于云平台的智能停车控制方法及装置
TW202001822A (zh) 停車場車輛識別管控系統及流程
KR102064776B1 (ko)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582134A (zh) 一种基于智能交互的全程指引停车场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