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811A -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811A
KR20170072811A KR1020160170471A KR20160170471A KR20170072811A KR 20170072811 A KR20170072811 A KR 20170072811A KR 1020160170471 A KR1020160170471 A KR 1020160170471A KR 20160170471 A KR20160170471 A KR 20160170471A KR 20170072811 A KR20170072811 A KR 2017007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oft start
soft
constant current
curren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가와노
가츠야 고토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3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ignition at the zero crossing of the voltage or th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3Modifications for switching at zero crossing
    • H03K17/133Modifications for switching at zero cross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2M2001/005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고정밀도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제공한다.
정전류원과,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와, 정전류원과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된 제1 트랜지스터와, 정전류원과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클록 신호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와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SOFT START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CDC 컨버터 등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전원 투입 시의 돌입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 스타트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에서는, 수 msec의 시간 만에 상승하는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얻기 위해, 용량치가 높은 콘덴서가 필요해지며, IC 칩 내에서 큰 면적을 차지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에서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온/오프시켜, 콘덴서를 정전류로 간헐적으로 충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콘덴서를 작게 하여, 회로 규모를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853003호 공보
그러나,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콘덴서를 충전하는 방법에서는, 스위치 온 시와 스위치 오프 시에서, 스위치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점이 상이하므로, 스위치의 전환 직후에 원하는 전류치와는 다른 전류가 콘덴서에 흐른다. 그 때문에, 소프트 스타트 시간이 용량과 전류치로부터 이론적으로 산출되는 값에서 벗어나, 원하는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정밀도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는, 정전류원과,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클록 신호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에서는, 제2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일 때에는 정전류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제2 트랜지스터를 통해 콘덴서에 공급됨으로써 콘덴서가 충전되고, 제2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정전류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 모두가 제1 트랜지스터를 통해 접지 단자에 흐른다. 즉, 제2 트랜지스터가 온, 오프의 어느 상태일 때에도 소프트 스타트 회로에는 전류가 계속 흐른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스위치인 트랜지스터를 오프하여 전류를 중단하는 방법에 비해, 제2 트랜지스터가 온한 직후로부터 동작점이 정해져, 원하는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은 안정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밀도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록 신호의 일례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는, 정전류원(10)과, PMOS 트랜지스터(11 및 12)와, 콘덴서(13)를 구비하고 있다.
정전류원(10)은, 일단이 전원 입력 단자(Vin)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11)는, 정전류원(10)과 접지 단자(Vss)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12)는, 정전류원(10)과 출력 단자(SSout)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클록 신호(CLK)를 받는다.
콘덴서(13)는, PMOS 트랜지스터(12)와 접지 단자(Vss)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입력 단자(Vin)에는 입력 전압이 공급되고, 접지 단자(Vss)에는 접지 전압이 공급되며, 출력 단자(SSout)로부터는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전원 투입 후, 클록 신호(CLK)가 로우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12)가 온이 되고, 트랜지스터(11)는 항상 온하고 있으므로, 트랜지스터(11과 12)의 사이즈비에 따른 전류가 트랜지스터(11 및 12) 각각에 흐른다.
그리고, 트랜지스터(12)를 통해 정전류원(10)로부터의 전류의 일부가 콘덴서(13)에 흘러들어가, 콘덴서(13)가 충전된다.
한편, 클록 신호(CLK)가 하이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12)가 오프가 되고, 항상 온하고 있는 트랜지스터(11)를 통해 정전류원(10)으로부터의 전류 모두가 접지 단자(Vss)에 흐른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트랜지스터(12)가 온, 오프의 어느 상태일 때에도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에는 항상 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정전류원(10)과 트랜지스터(11 및 12)의 접속점의 전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12)는, 온일 때와 오프일 때에서 소스 전압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온한 직후로부터 안정될 때까지, 그 동작점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은 안정적으로 상승하여, 고정밀도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11)의 사이즈를 트랜지스터(12)보다 충분히 크게 한다.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11)와 트랜지스터(12)의 사이즈비를 9 : 1 정도로 크게 한다.
이것은,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는 2개의 트랜지스터(11 및 12)의 사이즈비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이다. 즉, 사이즈비를 크게 함으로써, 콘덴서(13)에 흐르는 전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은 콘덴서로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트랜지스터(12)에 입력되는 클록 신호(CLK)의 DUTY는 작을수록 좋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UTY를 10% 정도로 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이 짧아져, 트랜지스터(12)에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콘덴서(13)에 대한 충전 시간도 짧아지고, 작은 콘덴서로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더욱 길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 트랜지스터(11)를 통해 접지 단자(Vss)에 흐르게 하는 전류량이 많을수록, 또 시간이 길수록, 이 효과는 커진다.
또한, 클록 신호(CLK)의 DUTY를 작게 하는 것은, 정전류원의 정밀도, 즉, 소프트 스타트 시간의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종래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에서는, 정전류원에 의해 100nA 정도의 미소 전류를 생성하고, 이 미소 전류로 콘덴서를 충전함으로써,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길게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록 신호(CLK)의 DUTY를 10%로 하면, 정전류원(10)의 전류를 1μA로 크게 한 경우여도, 트랜지스터(12)에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1/10이 되므로, 종래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에 있어서, 정전류원의 전류를 100nA로 한 경우와 동등한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전류원의 전류를 작게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전류를 커런트 미러에서 꺾어 작은 전류를 형성하려고 하면 오차가 커져 버리고, 또, 전류가 작아지면 리크 전류의 영향이나 노이즈의 영향도 받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작은 전류보다 큰 전류의 정전류원 쪽이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100nA의 정전류원보다 1μA의 정전류원 쪽이 정밀도가 높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밀도가 높은 정전류원(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소프트 스타트 시간의 정밀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전원 장치에 이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를 구비한 DCDC 컨버터(200)의 회로도이다.
DCDC 컨버터(200)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의 출력인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오차 증폭 회로(20)는, 2개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기준 전압 회로(21)의 기준 전압(Vref)과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각각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는 DCDC 컨버터(200)의 출력 전압(Vout)이 분압된 귀환 전압(Vfb)이 입력된다.
오차 증폭 회로(20)는, 기준 전압(Vref) 및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 중 전압이 낮은 쪽과 귀환 전압(Vfb)을 비교하여, 오차 전압(Verr)을 PWM 콤퍼레이터(22)에 출력한다.
전원 투입 후,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서서히 상승해 가지만,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기준 전압(Vref)보다 낮은 동안은, 오차 증폭 회로(20)에서는, 귀환 전압(Vfb)과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비교되고, 기준 전압(Vref)은 출력인 오차 전압(Verr)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소정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이 경과하면,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이 기준 전압(Vref)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그 후는, 오차 증폭 회로(20)에서는, 귀환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이 비교되고, 소프트 스타트 전압(Vref_ss)은 출력인 오차 전압(Verr)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는, DCDC 컨버터(200)에 있어서 소프트 스타트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에 의하면, 고정밀도의 소프트 스타트 시간을 얻을 수 있고, DCDC 컨버터(200)에 있어서, 소프트 스타트 회로(100)를 이용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소프트 스타트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11 및 12)로서 P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트랜지스터(11 및 12)의 양쪽, 혹은 어느 한 쪽에 N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DCDC 컨버터에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프트 스타트가 필요한 전원 장치에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소프트 스타트 회로 200: DCDC 컨버터
10: 정전류원 11, 12: PMOS 트랜지스터
13: 콘덴서 20: 오차 증폭 회로
21: 기준 전압 회로 22: PWM 컨버터

Claims (3)

  1. 정전류원과,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클록 신호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소프트 스타트 회로가 출력하는 소프트 스타트 전압을 이용하여, 전원 투입 시에 소프트 스타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KR1020160170471A 2015-12-17 2016-12-14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 KR20170072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6670 2015-12-17
JP2015246670A JP6594765B2 (ja) 2015-12-17 2015-12-17 ソフトスタート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電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11A true KR20170072811A (ko) 2017-06-27

Family

ID=5906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71A KR20170072811A (ko) 2015-12-17 2016-12-14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08923B2 (ko)
JP (1) JP6594765B2 (ko)
KR (1) KR20170072811A (ko)
CN (1) CN106899201A (ko)
TW (1) TW201725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333B1 (ko) * 2023-08-02 2024-01-19 주식회사 파두 파워시스템용 소프트 스타트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106B1 (en) * 2000-12-04 2002-04-2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Circuit and method of maximum voltage bias control
JP4853003B2 (ja) 2005-12-07 2012-01-11 富士電機株式会社 ソフトスタート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JP2015065735A (ja) * 2013-09-24 2015-04-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ソフトスタート回路及びそれを含む半導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333B1 (ko) * 2023-08-02 2024-01-19 주식회사 파두 파워시스템용 소프트 스타트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99201A (zh) 2017-06-27
US10008923B2 (en) 2018-06-26
JP2017112774A (ja) 2017-06-22
JP6594765B2 (ja) 2019-10-23
US20170179812A1 (en) 2017-06-22
TW201725838A (zh) 201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4272B2 (en) Integrated soft start circuits
US8242760B2 (en) Constant-voltage circuit device
KR101037306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그 펄스폭 조정 방법
KR102299908B1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dcdc 컨버터
US8519782B2 (en) Constant voltage circuit
US9496781B2 (en) Soft start circuit for switching converter and associated soft start method
US7777468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US9054583B2 (en) Power-supply apparatus
US10680504B2 (en) Bandgap reference circuit and DCDC converter having the same
US9584115B2 (en) Duty cycle-controlled load switch
US7528633B2 (en) Current sensing circuit and boost converter having the same
US10468989B2 (en) Switching regulator including a clamp circuit
US9531259B2 (en) Power supply circuit
KR20150095585A (ko) Dc/dc 컨버터 및 전자 기기
US20140241017A1 (en) Input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KR20170072811A (ko)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원 장치
JP6181983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20110030373A (ko) Dc―dc 컨버터
US8395369B2 (en) Buck converter with delay circuit
JP2014241699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回路装置、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