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167A -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 - Google Patents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167A
KR20170072167A KR1020167011345A KR20167011345A KR20170072167A KR 20170072167 A KR20170072167 A KR 20170072167A KR 1020167011345 A KR1020167011345 A KR 1020167011345A KR 20167011345 A KR20167011345 A KR 20167011345A KR 20170072167 A KR20170072167 A KR 20170072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use
module
cursor
remote controller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리앙
캉시 탄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7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모션 센서가 운동 궤적을 수집하고, 에어 마우스 모듈은 운동 궤적을 통하여 에어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고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버튼 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스위치을 구비하는 더블 레벨 버튼이다. 제어 모듈이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커서가 현행 위치에 머물게 한다. 제어 모듈이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한다. 2급 스위치의 설치를 통하여 유저가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선택한 위젯을 로킹한다.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해당 위젯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로써, 유저가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유저의 손 움직임으로 인한 커서의 움직임을 초래하지 않고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버튼 오퍼레이션 정확도를 높인다.

Description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AIR MOUSE REMOTE CONTROLLER OPTIMIZ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AIR MOUSE REMOTE CONTROLLER}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809884X, 출원일 2015년 11월 20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본 출원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 홈퍼니싱 산업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사용현상도 더욱 보편적으로 되어가고, 종래 리모콘을 점차 대체하여 스마트 TV 등 단말 장비를 컨트롤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에어 마우스 리모콘은 모션센서로 운동 궤적을 식별하여 단말 장비 스크린에서 마우스와 커서의 매핑오퍼레이션 방법을 시뮬레이션하여, 에어 마우스 리모콘을 움직여 스크린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를 매핑함으로써, 유저가 버튼을 클릭한 경우 커서로 대응되는 액션을 선택한다. 그러나, 유저가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손이 움지기게 되어 손의 이동에 대해 모션 센서가 움직임을 검출하게 되고 스크린에 매핑된 커서에 의해 선정된 위치도 움직이게 된다. 이로 인해 버튼 클릭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사용자 경험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유저가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손이 움직이게 되어 손의 이동에 대해 모션 센서가 움직임을 검출하게 되고 스크린에 매핑된 커서에 의해 선정된 위치도 움직이게 됨으로 인해, 버튼 클릭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사용자 경험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및 장치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을 제공하며, 싱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은, 제어 모듈, 에어 마우스 모듈, 모션 센서, 무선 통신 모듈, 버튼 어셈블리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버튼 어셈블리 및 상기 전원 모듈은 각자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운동 궤적을 수집한다.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은 상기 운동 궤적을 통하여 에어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여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대응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스위치을 구비하는 더블 레벨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커서가 현행 위치에 머물게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서가 머무는 위치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스코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유닛, 적외선 통신 유닛 및 2.4GHz의 무선 통신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는 케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 모듈,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 상기 모션 센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외측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는 지시등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시등은 상기 케이스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시등과 상기 전원 모듈은 연결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해결 수단은 새로운 에어 마우스 리모콘을 제공한다. 제어 모듈, 에어 마우스 모듈 모션 센서 등을 제외하고 버튼을 더블 레벨 버튼으로 설정하여, 유저가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로킹 명령을 송신하여 단말 장비가 커서의 위치를 로킹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유저의 손 움직임으로 커서의 움직임을 초래하지 않는다.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커서에 의해 선택된 위젯을 수행함으로써 유저의 손이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의 움직임을 감소하고 에어 마우스 리모콘 사용 시 오퍼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높인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을 제공하고 제1 측면의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만약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장비가 커서의 위치를 로킹하도록 하는 단계; 및
만약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 로킹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 취소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선택 취소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의 위치 로킹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가 제공하는 해결 수단은 제1 측면의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기초한 것이다. 버튼의 상태 검출을 통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상이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유저가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한 오퍼레이션인 경우,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 위치를 로킹하도록 한다.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다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유저가 오퍼레이션 과정에서 손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 위치 움직임의 거리를 감소하여 선택 위젯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를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선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서 송신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가 제공하는 해결 수단에 있어서, 수행 주체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개선된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과 종래 리모콘의 차이점은 명령을 두 번 송신하여야 수행 가능함으로서 대응되는 단말 디바이스는 명령을 두 번 수신하여야 한다. 선정 명령을 수신 후 커서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의 위치를 로킹한다. 그 다음에, 계속하여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커서가 있는 위치의 위젯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한편, 만약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하면,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여 커서가 계속하여 움직이게 함으로 사용자 경험을 효과적으로 높인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4 측면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선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컨트롤러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송신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기 최적화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개선된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서 수신 모듈은 명령을 두 번 수신하여야 하며, 선정 명령을 수신하여 커서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의 위치를 로킹하고, 그 다음에 계속하여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커서가 있는 위치의 위젯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한편, 만약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싱 모듈은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여 커서가 계속하여 움직이게 한다.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더블 레벨 버튼을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오퍼레이션 과정에서 손의 움직임으로 인한 커서 선택이 정확하지 않음을 초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선택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효과적으로 높인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할 수 없다.
여기서 개시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에서 본 출원의 원리를 함께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 실시예 1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 최적화 방법 실시예 1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 최적화 방법 실시예 2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 실시예 1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장비 엔티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800)에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때,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출원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출원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 실시예 1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는, 제어 모듈, 에어 마우스 모듈, 모션 센서, 무선 통신 모듈, 버튼 어셈블리 및 전원 모듈이 포함된다. 전원 모듈은 제어 모듈 및 제어 모듈에 연결된 기타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버튼 어셈블리, 및 상기 전원 모듈은 각자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운동 궤적을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은 상기 운동 궤적을 통하여 에어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여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대응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스위치을 구비하는 더블 레벨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커서가 현행 위치에 머물게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서가 머무는 위치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로 싱글칩 또는 범용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고 관련 응용프로그램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실현한다. 즉 구체적인 해결 수단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이다.
자이로스코프는 각도 운동 검출 장치이며, 축을 에워싼 회전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계산을 통하여 축을 에워싼 회전각을 구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원인은 두가지 기본 특징 즉, 관성(gyroscopic inertia) 및 전진성(precession)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모두 각도 운동량보존의 법칙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이다. 자이로스코프는 방향 자이로, 자이로 컴퍼스, 수직 자이로, 자이로 스태빌라이저, 속도 자이로, 자이로 스태빌라이저 플랫폼, 자이로스코프 센서, 광학섬유 자이로스코프,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mems자이로스코프 등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된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자유공간 이동과 제스처의 측위와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현재 이미 광범위하게 스마트 폰, 스마트TV 리모콘 등 모바일 휴대 디바이스에 사용되고 있다. 이는 가상 평면 위에서 커서를 휘두르거나 이동할 수 있고 링크를 에워싸고 원을 그리거나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센서는 게임 잠재력을 확장할 수 있고 체험도를 높이는 등 작용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유닛, 적외선 통신 유닛, 2.4GHz의 무선 통신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과 제어 받는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하여, 채용할 수 있는 방식은: 적외선 신호전송, 또는 블루투스 전송이 있다. 블루투스 전송방식을 적용할 경우, 에어 마우스 리모콘 및 단말 디바이스 사이를 블루투스로 연결; 또는 전용2.4GHz 공공 주파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한다. 해당 2.4GHz의 반복 주파수 확율이 전통 주파 리모콘보다 현저히 낮다. 또한, 2.4GHz 전자파가 비교적 곧고 안테나가 짧아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 2.4GHz 리모콘은 사용할 수 있는 주파대역이 넓다. 또한, 2.4GHz 무선전파 회절능력이 강하여 장애물에 가리워질 때에도 쉽게 제어력을 잃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는 케이스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모듈,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 상기 모션 센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외측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확인 버튼 및/또는 다른 버튼은 모두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는 더블 레벨 버튼으로 만들어졌고 유저가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는 지시등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시등은 상기 케이스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시등과 상기 전원 모듈은 연결되어 있다.
본 출원 실시예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을 제공한다. 이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서, 제어 모듈, 에어 마우스 모듈 모션 센서 등을 제외하고 나머지 버튼을 더블 레벨 버튼으로 설정하여, 유저가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로킹 명령을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의 위치를 로킹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유저의 손 움직임으로 커서의 움직임을 초래하지 않는다.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커서에 의해 선택된 위젯을 수행함으로써 유저의 손이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에서의 움직임을 감소하고 에어 마우스 리모콘 사용 시 오퍼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높인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 최적화 방법 실시예 1의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최적화 방법은 상기 도 1의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사용된다. 구체적인 실시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S101)에서,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의 위치를 로킹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더블 레벨 버튼은 유저의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한 오퍼레이션에 따라 유저의 오퍼레이션 정도를 검출한다. 여기서의 더블 레벨 버튼은 카메라의 2급 셔터 버튼에 해당된다. 제1 레벨 버튼을 살짝 만 클릭하여도 제어 모듈로 상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어 모듈은 해당 메시지에 따라 선정 명령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을 제어된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송신 방식은 블루투스, 무선네트워크, NFC 또는 적외선전송 등의 전송 방식일 수 있다.
해당 선정 명령은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의 현행 위치를 로킹하도록 지시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현행 위치에 고정하게 한다. 즉 해당 제1 레벨 버튼의 오퍼레이션이 취소되기 전까지 해당 커서는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단계 (S102)에서,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 로킹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 만약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유저가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하였음을 검출하였으면, 유저가 현재 선택한 위젯에 대해 오퍼레이션하려고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모듈은 오퍼레이션 명령을 생성한다. 해당 오퍼레이션 명령은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선정한 위젯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더블 레벨 버튼의 사용에서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할 때 힘을 조금 더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제2 레벨 버튼의 오퍼레이션 과정에서 유저의 손이 좀 더 큰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계속 제2 레벨 버튼을 누르고 있을 경우에 커서 위치 고정되고 선정한 위젯이 변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103)에서,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 취소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선택 취소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의 위치 로킹을 취소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 (S103)과 상기 (S102)는 병렬된 방안일 수 있다. 즉 만약 유저가 해당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한 후, 계속하여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하면, 단계 (S102)의 방안대로 수행하고, 만약 유저가 해당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한 후, 제1 레벨 버튼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취소하면, 단계 (S103)의 방안대로 수행한다.
즉, 유저가 제1 레벨 버튼을 놓았을 경우, 유저가 이번 오퍼레이션을 포기한 것으로 인식되는 한편, 제어 모듈은 선택 취소 명령을 생성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이로써,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에 대한 로킹을 취소하도록 한다. 그 후에, 커서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위치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 계속 이동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새로운 위젯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2)의 오퍼레이션을 수행 완료한 후, 즉 단말 디바이스의 위젯을 오퍼레이션한 후, 이 때 커서를 로킹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로킹을 취소하여야 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움직임에 따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본 출원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은 도 1의 에어 마우스 리모콘을 기초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검출된 버튼의 상태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로 상이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유저가 제1 레벨 버튼을 클릭하는 오퍼레이션인 경우,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커서 위치를 로킹하도록 한다. 제2 레벨 버튼을 클릭한 경우 오퍼레이션 명령을 다시 송신한다. 이로써, 유저가 오퍼레이션 과정에서 손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 위치 움직임의 거리를 감소하여 선택된 위젯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를 방지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인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 최적화 방법 실시예 2의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해당 방법은 제어 받는 단말 디바이스 측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 TV, 프로젝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 단계로서는 이하와 같다.
단계 (S201)에서,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송신한 선정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S202)에서,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한다.
단계 (S203)에서,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S204)에서,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서 송신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방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된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한 선정 명령에 따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의 커서 위치를 고정한다.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비로소 선택된 위젯을 수행한다. 또는 오퍼레이션 취소 명령을 수신한 후 커서의 로킹을 취소한다.
본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단계 (S203)과 단계 (S204)는 병렬된 단계이며, 명령의 타입에 따라 그 중의 일 단계를 선택하여 수행한다. 즉,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확인 버튼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는 더블 레벨 버튼으로 만들고,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에어 마우스 또는 에어 마우스의 커서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대대적으로 에어 마우스 버튼의 오퍼레이션 정확도를 대폭적으로 최적화시킨다.
본 출원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에서 수행 주체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개선된 에어 마우스 리모콘과 종래 리모콘의 차이 점은 명령을 두 번 송신하여야 수행 가능하다. 그러므로 대응되는 단말 디바이스는 명령을 두 번 수신하여야 한다. 선정 명령 수신 후 커서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의 위치를 로킹한다. 여기에 계속하여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커서가 있는 위치의 위젯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로킹 취소 명령이 수신된 후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여 커서가 계속하여 움직이게 함으로 사용자 경험을 효과적으로 높인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 실시예 1의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10)에는 수신 모듈(11) 및 프로세싱 모듈(12)이 포함된다.
상기 수신 모듈(11)은,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선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싱 모듈(12)은,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싱 모듈(12)은 만약 상기 수신 모듈(11)이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싱 모듈(12)은, 만약 상기 수신 모듈(11)이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에 있어서, 구체적인 각 모듈의 오퍼레이션 방식은 이미 도3에 나타난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 즉 제어된 단말 디바이스이다. 해당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개선된 후, 수신 모듈은 명령을 두 번 수신하여야 하며, 선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커서의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에서의 위치를 로킹한다. 그 다음에 계속하여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싱 모듈은 커서가 있는 위치의 위젯에 대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 하면 프로세싱 모듈은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여 커서가 계속하여 움직이게 한다.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더블 레벨 버튼을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오퍼레이션 과정에서 손의 움직임으로 인한 커서 선택이 정확하지 않음을 초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선택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효과적으로 높인다.
여기까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 즉 단말 디바이스의 내부 기능 모듈과 구조를 설명하였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 엔티티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해당 단말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행 가능한 명령의 수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프로세서가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정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송신한 선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하고, 만약 수신기가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만약 수신기가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송신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한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엔티티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영문: Central Processing Unit, 약칭: CPU)일 수 있고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영문: Digital Signal Processor, 약칭: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영문: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약칭: ASIC) 등 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 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영문: read-only memory, 약칭: ROM)일 수 있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영문: random access memory, 약칭: RAM)일 수도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또는 SSD일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직접 수행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800)에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800)는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TV, 프로젝터, 컴퓨터, 디지털방송단말기, 메시지송수신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장치, 의료장치, 헬스장치, PDA 등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 디바이스(8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메모리(804), 전원 어셈블리(8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 오디오 어셈블리(8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블리(814) 및 통신 어셈블리(816) 중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되는 단말 디바이스(8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적어도 하나나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여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사이의 인터랙티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각종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디바이스(800)에서의 조작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단말 디바이스(8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에 이용되는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모든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단말 디바이스(8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전원관리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전원, 및 단말 디바이스(800)의 전력 생성, 관리 및 할당과 관련된 그 밖의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단말 디바이스(800)와 유저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및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유저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검출한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8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적 초점 변경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며, 단말 디바이스(8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816)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패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시작버튼 및 로킹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단말 디바이스(800)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814)는 단말 디바이스(8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 예를 들어 어셈블리가 단말 디바이스(800)의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임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800) 또는 단말 장비(8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유저와 단말 디바이스(800)의 접촉 여부, 단말 디바이스(8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단말 디바이스(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접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또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화상센서와 같이 화상 형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814)는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어셈블리(816)는 단말 디바이스(800)와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마련된다. 단말 디바이스(800)는 통신표준 기반의 무선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816)는 방송 채널에 의해 외부 방송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8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전파식별(RFID) 기술, 국제적외선데이터통신협회 (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800)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D), 프로그래머블논리소자(PLD),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Non 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8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단말 디바이스(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Non 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인 경우, 상기 저장 매체 내의 명령은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로 수행되어, 단말기가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선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서 송신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해당 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 및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고려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기타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본 출원에 공개되지 않은 해당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볼 뿐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

  1. 제어 모듈, 에어 마우스 모듈, 모션 센서, 무선 통신 모듈, 버튼 어셈블리 및 전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버튼 어셈블리 및 상기 전원 모듈은 각각 상기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운동 궤적을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은 상기 운동 궤적을 통하여 에어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며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에어 마우스 제어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대응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는 더블 레벨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커서가 현행 위치에 머물게 하고,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서가 머무는 위치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스코프인, 에어 마우스 리모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유닛, 적외선 통신 유닛 및 2.4GHz의 무선 통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상기 에어 마우스 모듈, 상기 모션 센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외측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은 지시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등은 상기 케이스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시등과 상기 전원 모듈은 연결되어 있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
  6.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응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 선정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커서의 위치를 로킹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더블 레벨 버튼의 제2 레벨 버튼이 클릭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로 오퍼레이션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커서 로킹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더블 레벨 버튼의 제1 레벨 버튼이 클릭 취소됨을 검출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선택 취소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의 위치 로킹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8. 에어 마우스 리모콘이 송신한 선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10.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선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선정 명령에 따라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에 대응되는 커서를 오퍼레이션 인터페이스의 현행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한 경우, 커서가 로킹된 상기 현행 위치의 위젯에 대응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에어 마우스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로킹 취소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커서의 로킹을 취소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장치.
KR1020167011345A 2015-11-20 2015-12-29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 KR20170072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09884.X 2015-11-20
CN201510809884.XA CN105468176A (zh) 2015-11-20 2015-11-20 空鼠遥控器的优化方法、装置和空鼠遥控器
PCT/CN2015/099596 WO2017084180A1 (zh) 2015-11-20 2015-12-29 空鼠遥控器的优化方法、装置和空鼠遥控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167A true KR20170072167A (ko) 2017-06-26

Family

ID=5560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345A KR20170072167A (ko) 2015-11-20 2015-12-29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47092A1 (ko)
EP (1) EP3171253A1 (ko)
JP (1) JP2018505454A (ko)
KR (1) KR20170072167A (ko)
CN (1) CN105468176A (ko)
MX (1) MX2016007023A (ko)
WO (1) WO2017084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9373B (zh) * 2018-12-19 2022-03-01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运动轨迹的演示设备控制方法及系统
US20200269338A1 (en) * 2019-02-21 2020-08-27 Lincoln Global,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computer during a welding operation
CN112055241B (zh) * 2020-09-17 2021-11-09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空鼠遥控器及其控制方法
CN112486339A (zh) * 2020-11-26 2021-03-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鼠按键消抖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166A (ja) * 1993-03-12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装置
JP4172307B2 (ja) * 2003-03-31 2008-10-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3次元指示入力装置
US7683883B2 (en) * 2004-11-02 2010-03-23 Pierre Touma 3D mouse and game controller based on spherical coordinates system and system for use
CN101185051B (zh) * 2005-05-04 2010-05-19 希尔克瑞斯特实验室公司 电子节目指南和在gui上切换模式、滚动通过对象的方法
US7821494B2 (en) * 2005-05-13 2010-10-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ertial mouse
US7969418B2 (en) * 2006-11-30 2011-06-28 Cherif Atia Algreatly 3-D computer input device and method
JP2008250562A (ja) * 2007-03-29 2008-10-16 Casio Comput Co Ltd 投影システム、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02774B2 (en) * 2007-08-08 2013-08-06 Sony Corporatio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CN101291400A (zh) * 2008-05-14 2008-10-2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通过屏幕指示用户操作遥控器的电视机
KR101159182B1 (ko) * 2009-01-20 2012-06-27 남기원 키조작 입력이 용이한 iptv 리모콘 및 셋탑장치와 그 키신호 처리방법
US20110304542A1 (en) * 2010-06-10 2011-12-15 Isaac Calderon Multi purpose remote control with display
CN202049450U (zh) * 2011-03-17 2011-11-23 深圳市合智创盈电子有限公司 一种遥控装置和遥控系统
CN102360251B (zh) * 2011-10-08 2014-10-29 张伟明 空中鼠标、空中鼠标控制系统及实现控制的方法
CN102385447B (zh) * 2011-11-23 2015-03-11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触摸识别方法及装置、空间鼠标及其控制方法
CN103024568B (zh) * 2012-12-07 2018-08-28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空中鼠标控制智能电视的控制方法及遥控系统
JP2015018321A (ja) * 2013-07-09 2015-01-29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4345905A (zh) * 2013-07-26 2015-02-11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控式空中鼠标的控制方法
CN203941504U (zh) * 2014-06-24 2014-11-12 何钧 多功能键盘空鼠遥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7023A (es) 2017-06-19
EP3171253A1 (en) 2017-05-24
US20170147092A1 (en) 2017-05-25
CN105468176A (zh) 2016-04-06
WO2017084180A1 (zh) 2017-05-26
JP2018505454A (ja)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767B2 (e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wireless ranging
US11108953B2 (en) Panoramic photo 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033544B2 (en) Notification apparatus and object position notification method thereof
US1004331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3115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ad condition prompt
KR10241503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542282B (zh)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743498B (zh) 一种拍摄参数调整方法及终端设备
AU20162241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3057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US201502688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CN106713598B (zh) 基于指示方向的指令传输方法及装置、智能设备
WO2015023419A1 (en) Context sensitive actions in response to touch input
KR20170072167A (ko) 에어 마우스 리모콘의 최적화 방법, 장치 및 에어 마우스 리모콘
JP6364088B2 (ja) アイコン位置交換方法及び装置
CN109144385A (zh) 悬浮球的移动方法及装置
KR20180081638A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EP3863344A1 (e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165404B2 (en) Method for triggering oper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8476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remote scene creation
KR20170120707A (ko) 터치 스크린의 포인트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23520278A (ja) 測位方法、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プログラム及び製品
CN109901760B (zh) 一种对象控制方法及终端设备
EP37583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mage acquisition component and storage medium
KR10220804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