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714A -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 Google Patents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714A
KR20170071714A KR1020150179712A KR20150179712A KR20170071714A KR 20170071714 A KR20170071714 A KR 20170071714A KR 1020150179712 A KR1020150179712 A KR 1020150179712A KR 20150179712 A KR20150179712 A KR 20150179712A KR 20170071714 A KR20170071714 A KR 2017007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eg
head
ha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수
Original Assignee
이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수 filed Critical 이환수
Priority to KR102015017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714A/ko
Publication of KR2017007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관절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조립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구조는, 바디부의 하향으로 상기 레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장부가 구비되며, 바디부의 상부에는 헤드연결 인입홈이 형성되고, 바디부의 양 측면에는 암연결 인입홈을 형성하며, 연장부의 양 측면에는 레그연결 인입홈이 형성되고; 헤드부와 바디부를 상부에서 연결하기 위한 헤드바를 구비하되, 헤드부와 바디부의 경계 위치에서 헤드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헤드바의 상부 모서리가 절개된 헤드연결 절개부가 형성되며; 암연결 인입홈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암 바를 구비하되, 암부와 바디부의 경계 위치에서 암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암 바의 양측 방향으로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암연결 절개부를 형성하고; 연장부의 레그연결 인입홈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레그 바를 구비하되, 레그부와 연장부의 경계 위치에서 레그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레그바의 양측 방향으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레그연결 절개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이로봇 완구의 전개도 상에서 관절부위를 형성함으로써, 관절을 구성하는 별도의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 관절의 체결 및 회전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JOINT STRUCTURE FOR PAPER ROBOT}
본 발명은 종이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 구조를 갖는 종이완구의 관절 부위가 끼움 결합하도록 돌출된 연결부를 마련하고, 연결부가 인입 대응하도록 체결부위로 인입홈을 구성하되, 연결부가 인입홈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의 하부에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종이완구의 관절이 조립 및 회전될 수 있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색채 및 모델을 인쇄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이고 위험성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종이를 이용한 모형완구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종이를 이용한 완구는 아동들이 종이 모형을 조립 후 동작이 고정된 형태의 전시용으로 제작되어 왔다. 이와 같은 완구들은 각 부분을 조립하고 결합하여 하나의 모형을 조립한 후에는 동작의 변형이 불가능하여 단순한 전시용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조립 이후에는 쉽게 싫증을 내고 이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종이 완구의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입체 종이모형 완구가 개시되고 있다. 이는 첨부된 특허 문헌에서와 같이, 각 신체부위를 관절별로 나누어 관절 부분마다 움직임이 가능하며 다양한 동작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 안전하고, 가공이 편리한 종이와 나무로 조립되어 환경친화적이고 신뢰성 있는 입체 종이 모형완구로써 제시되고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종이 로봇은 신체 각 부위 전개도가 그려진 종이를 절취선을 통하여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배열한다. 머리부(101), 목부(121), 몸통부(131), 두 개의 상부팔부(141), 두 개의 하부팔부(151), 두 개의 상부다리(161), 두 개의 하부다리(171), 두 개의 신발부(181)의 전개도로 같은 재질의 종이로 되어 있으며 접기 쉬운 절곡선이 들어가 있어 쉽게 입체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전개도를 조립한 상태의 모습으로 는 머리부(101), 목부(121), 몸통부(131), 두 개의 상부팔부(141), 두개의 하부팔부(151), 두 개의 상부다리(162), 두 개의 하부다리(171), 두 개의 신발부(181)의 입체적인 모습을 제공한다. 또한 신체의 각 머리부(101), 목부(121), 몸통부(131), 두 개의 상부팔부(141), 두 개의 하부팔부(151), 두 개의 상부다리(161), 두 개의 하부다리(171), 두 개의 신발부(181)의 입체적인 모습을 제공한다.
신체의 각 부분이 완성되면 목부(121)와 몸통부(131)의 축구멍을 일치시켜 축을 연결하여 제1 관절부(A)를 형성하고, 몸통부(131)와 상부다리(161)에 축을 연 결한 제2 관절부(B)를 형성하고, 하부다리(171)와 신발부(181)에 축을 연결한 제3 관절부(C)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종이 로봇의 관절은 관절부(C)의 구조는 단순히 핀 형태를 갖고 관절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때문에, 이탈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종이 완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술되는 관절부(C)는 면 대면 상에서 끼움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결합 면이 상호 노출 또는 최소한 일측 면이라도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는 종이완구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훼손의 위험이 잦은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3-0084249 호, 공개일자 2003년 11월 01일, 발명의 명칭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 완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로봇 완구의 전개도 상에서 관절부위를 형성함으로써, 관절을 구성하는 별개의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 관절의 체결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 구조를 갖는 종이완구의 관절 부위가 끼움 결합하도록 돌출된 연결부를 마련하고, 연결부가 인입 대응하도록 체결부위로 인입홈을 구성하되, 연결부가 인입홈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의 하부에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종이완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 구조는, 종이로봇을 구성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으로 헤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으로 각각의 암부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는 두 개의 레그부가 장착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임의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고, 상기 바디부의 하향으로 상기 레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는 헤드연결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는 암연결 인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의 양 측면에는 레그연결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를 상부에서 연결하기 위한 헤드바를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의 경계 위치에서 헤드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바의 상부 모서리가 절개된 헤드연결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연결 인입홈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암 바를 구비하되, 상기 암부와 바디부의 경계 위치에서 암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바의 양측 방향으로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암연결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레그연결 인입홈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레그 바를 구비하되, 상기 레그부와 연장부의 경계 위치에서 레그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그바의 양측 방향으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레그연결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헤드바, 암바 및 레그바는, 단면이 정사각형 구조로 절곡되며, 상기 헤드연결 인입홈, 암연결 인입홈 및 레그연결 인입홈은 상기 각 바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암부의 하단에는, 각각으로 핸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의 측면에는 암연결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핸드부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의 저면에는 원형 구조로 천공된 핸드연결 인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핸드부는 상기 암부와의 접촉면으로서 핸드연결면이 마련되며; 상기 핸드연결면과 핸드연결 인입홈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접합 체결되는 접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판부는, 상기 핸드연결면으로 접합되는 하부 접판;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의 직경보다 작도록 설계된 원형 구조로서 상기 하부 접판상으로 접합되는 연결접판; 및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의 안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접판 상으로 접합되는 상부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부접판 및 상부접판은, 상기 연결접판의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되며, 상기 연결접판은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 구조는, 종이로봇 완구의 전개도 상에서 관절부위를 형성함으로써, 관절을 구성하는 별도의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 관절의 체결 및 회전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로봇 구조를 갖는 종이완구의 관절 부위가 끼움결합하도록 돌출된 연결부를 마련하고, 연결부가 인입 대응하도록 체결부위로 인입홈을 구성하되, 연결부가 인입홈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의 하부에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종이완구의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 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의 관절연결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의 부위별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의 헤드부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의 암부 및 핸드부의 관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 완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이로봇 완구(200)는 종이로봇을 구성하는 바디부(207)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207)의 상부면으로 헤드부(201)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207)의 양 측면으로 각각의 암부(203)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207)의 하부에는 두 개의 레그부(209)가 장착된다. 상기 암부(203)의 하단에는 각각으로 핸드부(205)를 결합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부(207)를 기준으로, 헤드부(201), 암부(203) 및 레그부(209)는 조립 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전술되는 종이로봇의 신체 부위는 임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각 신체부위로 도색되는 그래픽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신체부위로서 헤드부(201), 바디부(207), 암부(203), 핸드부(205) 및 레그부(209)를 각각의 전개도에 따라 분리한 후 부착함으로써, 각각의 신체부위를 제작한다. 제작되는 각각의 신체부위는 상호 결합 되며, 각 신체부위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상기 바디부(207)는 헤드부(201)와의 결합, 상기 암부(203)와의 결합 그리고, 상기 레그부(209)와의 결합을 도모하기 위한 헤브 바(bar), 암 바(bar) 및 레그 바(bar)를 별도를 구성하여 사전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207)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바디부(207)를 조립하기 위한 전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207)는 임의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고, 상기 바디부(207)의 하향으로 상기 레그부(209)를 연결하기 위한 연장부(301)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207)의 상부에는 헤드연결 인입홈(303)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07)의 양 측면에는 암연결 인입홈(305)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301)의 양 측면에는 레그연결 인입홈(30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01)와 바디부(207)를 상부에서 연결하기 위한 헤드바(311)를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201)와 바디부(207)의 경계 위치에서 헤드부(20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바(311)의 상부 모서리가 절개된 헤드연결 절개부(3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연결 인입홈(305)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암 바(321)를 구비하되, 상기 암부(203)와 바디부(207)의 경계 위치에서 암부(20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바(321)의 양측 방향으로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암연결 절개부(32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301)의 레그연결 인입홈(307)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레그 바(331)를 구비하되, 상기 레그부(209)와 연장부(301)의 경계 위치에서 레그부(209)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그바(331)의 양측 방향으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레그연결 절개부(333)를 형성한다.
상기 헤드바(311), 암바(321) 및 레그바(331)는 단면이 정사각형 구조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연결 인입홈(303), 암연결 인입홈(305) 및 레그연결 인입홈(307) 또한 상기 각 바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천공된 구조를 갖는다.
각 바의 단면이 정사각형 구조인 것은 종이재질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각 바의 결합 과정에서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바는 바디부(207)로 인입 설치됨에 있어, 별도의 접합을 요구하지 않으며, 바디부(207)와 체결되는 헤드부(201), 암부(203) 및 레그부(209)의 결합 시 상호 인력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207) 및 각 바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의 (가)에서는 소정 위치에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헤드연결 절개부(313)를 갖는 헤드바(311)와, 소정 위치에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레그연결 절개부(333)를 갖는 레그바(331)와, 소정 위치에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암연결 절개부(323)를 갖는 암바(321)의 조립을 안내한다. 여기서, 각각의 절개부는 종이 두께만큼 천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암바(321)는 두 개의 암부(203)를 연결하기 위해 두 개의 암연결 절개부(3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그바(331)는 두 개의 레그부(209)가 조립되도록 두 개의 레그연결 절개부(333)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바(311)는 하나의 헤드부(201)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헤드연결 절개부(313)를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바는 정사각형의 기둥형상으로 조립되어 바디부(207)와의 결합 시 각 바의 회전을 방지하고, 체결의 용이성을 확보하게 된다.
도 4의 (나)는 바디부(207)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바디부(207)와 연장부(301)가 일체화된 구조로 제시되고 있다. 상기 연장부(301)에는 레그연결 인입홈(307)이 천공되며, 상기 바디부(207)에는 헤드연결 인입홈(303) 및 암연결 인입홈(305)이 천공된다. 이러한 전개도에서는 각각의 인입홈이 사용자에 의해 천공되도록 절취선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07)가 조립된 후, 헤드바(311), 암바(321) 및 레그바(331)가 조립되면, 상기 바디부(207)의 암연결 인입홈(305)으로 상기 암바(323)가 인입 설치된다. 암바(321)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각 암연결 절개부(323)가 암연결 인입홈(305)에 외향으로 근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레그바(331) 또한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레그연결 인입홈(307)으로 인입 설치되고, 레그연결 인입홈(307)의 외향으로 근접하도록 각 레그연결 절개부(333)가 위치한다. 상기 헤드바(311)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헤드바(311)는 헤드연결 인입홈(303)으로 인입 설치되며, 상기 헤 드연결 절개부(313)가 헤드연결 인입홈(303)의 외향으로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부(207) 및 각 바의 조립이 완료되면, 레그부(209) 및 암부(203)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조립은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전개도의 안내에 따라 본딩수단 예컨대, 풀을 이용한 접합이 이루어져 각각의 레그부(209) 및 암부(203)를 조립한다.
조립이 완료된 레그부(209)의 상부 안측에는 레그연결 체결홈(401)이 천공되며, 상기 암부(203)의 안측에는 암연결 체결홈(403)이 천공된다. 여기서, 상기 레그연결 체결홈(401) 및 암연결 체결홈(403)은 레그바(331) 및 암바(321)의 단면 구조와 대응하도록 정사각형으로 천공되며, 레그바(331) 및 암바(321)의 설치 각도로부터 45°회전되도록 천공된다. 이는 바디부(207)로 레그부(209)와 암부(203)가 결합될 때, 레그부(209)와 암부(20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한편, 레그부(209) 및 암부(203)의 조립이 완료되면 헤드부(201)의 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201)는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전개도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전개도의 안내에 따라 본딩 수단 예컨대, 풀을 이용한 접합이 이루어져 상기 헤드부(201)의 구조를 완성한다.
상기 헤드부(201)의 저면에는 상기 헤드바(311)가 인입 설치되기 위한 헤드연결 체결홈(501)이 천공되며, 상기 헤드연결 체결홈(501)은 헤드바(311)의 설치 각도로부터 45°회전되도록 천공된다. 즉, 상기 바디부(207)와 헤드부(201)가 정면에서 수평을 이룰 때 헤드부(20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헤드부(201)는 상기 바디부(207)의 상부로 결합된 헤드바(311)와 체결되며, 상기 헤드바(311)는 정사각형의 기둥 형태를 갖고 그 단면이 상기 헤드연결 체결홈(501)의 형상과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201)는 헤드바(311)의 상부로 인입 설치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헤드부(201)는 헤드바(311)의 설치 각도를 기준으로 45°회전된 상태로 인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헤드연결 절개부(313)는 헤드부(201)가 45°회전된 상태로 상기 헤드바(311)로 인입된 후, 상기 헤드부(201)가 원상태로 복귀(역방향 45°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연결 절개부(313)가 헤드연결 체결홈(501)의 두께를 수용함으로써, 헤드부(201)가 헤드바(31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종이로봇은 암부(203)의 하부로 핸드부(205)가 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핸드부(205)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핸드부(205)는 소형화된 구조로서 이를 연결하기 위한 바(bar)가 구비되기 어려우며, 본 발명에서는 접판을 이용하여 관절 부위의 회전을 도모한다. 상기 접판은 3장의 판형이 상호 접합되되, 연결 접판은 원형 구조이며 원형 구조를 갖는 핸드연결 인입홈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된다.
즉, 상기 접판은 상부접판과 하부접판 사이로 연결접판이 접합된 구조로서, 상기 연결접판은 상부접판 및 하부접판 보다 크기가 작으며, 체결 부위의 연결 인입홈의 외경보다 작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부(203) 및 핸드부(205)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암부(203)와 핸드부(205)를 체결하기 위한 접판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본 전개도는 도 4의 (나)에서 도시되었으나, 설명의 필요성을 위해 설명 부위만을 재도시하였다.
도 6의 (가)는 전개도이고, (나)는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암부(203) 및 핸드부(205)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각각의 전개도가 도시되고, 상기 바디부(207)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203)의 측면에는 암연결 체결홈(403)이 형성되며, 상기 핸드부(205)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203)의 저면에는 원형 구조로 천공된 핸드연결 인입홈(601)이 구비된다. 상기 핸드부(205)는 상기 암부(203)와의 접촉면으로서 핸드연결면(603)이 마련되고, 상기 핸드연결면(603)과 핸드연결 인입홈(601)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접합 체결되는 접판부를 구비한다.
상기 접판부는 상기 핸드연결면(603)으로 접합되는 하부 접판(615)과,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직경보다 작도록 설계된 원형 구조로서 상기 하부 접판(615)상으로 접합되는 연결접판(613)과,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안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접판(613) 상으로 접합되는 상부접판(611)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접판(615) 및 상부접판(611)은 그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상기 연결접판(613)의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되며, 상기 연결접판(613)은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6의 (나)와 같이 암부(203)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접판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부(203)의 조립을 위해 전개도의 안내에 따라 암부(203)의 조립이 이루질 때,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으로 연결접판(613)을 안착시킨 후, 상기 연결접판(613)의 양측면으로 상부접판(611) 및 하부접판(615)을 부착한다. 상기 상부접판(611) 및 하부접판(615)은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핸드연결 인입홈(601)으로 접판부가 체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암부(203)로 내설되는 접판을 상부접판(611)으로 정의하고, 상기 암부(203)의 외향으로 설치되는 접판을 하부접판(615)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판부는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내경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암부(203)의 조립을 완성시킨 후, 상기 핸드부(205)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핸드부(205)는 암부(203)의 접촉면으로 핸드연결면(603)을 보유함에 따라, 상기 하부접판(615)은 상기 핸드연결면(603)에 접합되어 핸드부(205)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조립 이후, 상기 핸드부(205)는 암부(203)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나, 원형구조의 회전관절로써 재질의 마모 또는 훼손을 격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드부(205)는 놀이과정에서 다른 신체부위에 비해 잦은 회전이 이루어지며, 잦은 회전 동작으로 인해 재질의 훼손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원형 관절 구조는 재질의 훼손을 충분히 격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0 : 종이로봇 완구 201 : 핸드부
203 : 암부 205 : 핸드부
207 : 바디부 209 : 레그부
301 : 연장부 303 : 헤드연결 인입홈
305 : 암연결 인입홈 307 : 레그연결 인입홈
311 : 헤드바 313 : 헤드연결 절개부
321 : 암바 323 : 암연결 절개부
331 : 레그바 333 : 레그연결 절개부
401 : 레그연결 체결홈 403 : 암연결 체결홈
501 : 헤드연결 체결홈 601 : 핸드연결 인입홈
603 : 핸드연결면 611 : 상부접판
613 : 연결접판 615 : 하부접판

Claims (6)

  1. 종이로봇을 구성하는 바디부(207)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207)의 상부면으로 헤드부(201)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207)의 양 측면으로 각각의 암부(203)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207)의 하부에는 두 개의 레그부(209)가 장착되는 종이로봇 완구(200)의 관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07)는 임의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고, 상기 바디부(207)의 하향으로 상기 레그부(209)를 연결하기 위한 연장부(301)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207)의 상부에는 헤드연결 인입홈(303)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07)의 양 측면에는 암연결 인입홈(305)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301)의 양 측면에는 레그연결 인입홈(307)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1)와 바디부(207)를 상부에서 연결하기 위한 헤드바(311)를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201)와 바디부(207)의 경계 위치에서 헤드부(20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바(311)의 상부 모서리가 절개된 헤드연결 절개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암연결 인입홈(305)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암 바(321)를 구비하되, 상기 암부(203)와 바디부(207)의 경계 위치에서 암부(20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바(321)의 양측 방향으로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암연결 절개부(323)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301)의 레그연결 인입홈(307)으로 관통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레그 바(331)를 구비하되, 상기 레그부(209)와 연장부(301)의 경계 위치에서 레그부(209)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그바(331)의 양측 방향으로 각 모서리가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레그연결 절개부(3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바(311), 암바(321) 및 레그바(331)는 단면이 정사각형 구조로 절곡되며, 상기 헤드연결 인입홈(303), 암연결 인입홈(305) 및 레그연결 인입홈(307)은 상기 각 바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203)의 하단에는 각각으로 핸드부(20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07)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203)의 측면에는 암연결 체결홈(403)이 형성되며;
    상기 핸드부(205)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203)의 저면에는 원형 구조로 천공된 핸드연결 인입홈(601)이 구비되고;
    상기 핸드부(205)는 상기 암부(203)와의 접촉면으로서 핸드연결면(603)이 마련되며;
    상기 핸드연결면(603)과 핸드연결 인입홈(601)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접합 체결되는 접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판부는 상기 핸드연결면(603)으로 접합되는 하부 접판(615);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직경보다 작도록 설계된 원형 구조로서 상기 하부 접판(615)상으로 접합되는 연결접판(613); 및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안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접판(613) 상으로 접합되는 상부접판(6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판(615) 및 상부접판(611)은 상기 연결접판(613)의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되며, 상기 연결접판(613)은 상기 핸드연결 인입홈(601)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KR1020150179712A 2015-12-16 2015-12-16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KR20170071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712A KR20170071714A (ko) 2015-12-16 2015-12-16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712A KR20170071714A (ko) 2015-12-16 2015-12-16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14A true KR20170071714A (ko) 2017-06-26

Family

ID=5928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712A KR20170071714A (ko) 2015-12-16 2015-12-16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84B1 (ko) * 2020-02-25 2020-11-24 주식회사 도로시커뮤니케이션 접착날개가 양방향에서 가압되게 조립되어져 접착의 안정성이 구비된 페이퍼 토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84B1 (ko) * 2020-02-25 2020-11-24 주식회사 도로시커뮤니케이션 접착날개가 양방향에서 가압되게 조립되어져 접착의 안정성이 구비된 페이퍼 토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794A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JP2013540532A (ja) 玩具組立セット
EP3095496A1 (en) Assembly toy
US9724617B2 (en) Snap-fit connector and toy assembly having the same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TW201632238A (zh) 攀爬架用接頭
JP5416056B2 (ja) 組み立て模型玩具
KR200480215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 및 엔진공유블록과, 엔진블록 또는 엔진공유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US9433872B2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KR20170071714A (ko) 종이로봇 완구의 관절구조
WO2023243284A1 (ja) 玩具の可動構造
JP2006333911A (ja) 回転動作部材を内蔵したブロック玩具単位体
JP3197087U (ja) 変形人形
JP2010015096A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KR200472220Y1 (ko) 완구의 관절구조
KR200460490Y1 (ko) 조립식 블록완구용 스윙연결블록
CN205412250U (zh) 用于牢固地结合模块玩具的模块与模块之间的装置
US20220274031A1 (en) Block-type transformable toy
JP3135024U (ja) 小型人形用可動関節構成部材
JP2006346206A (ja) 玩具用組立ユニット及び形態変形玩具
EP2813271A1 (en) Rotating connection block for assembly block toy
TWM415736U (en) Transitional building blocks group
KR101223971B1 (ko)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JP6966736B2 (ja) 折り畳み陳列台
KR200387701Y1 (ko)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