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650A - 천공 모듈 - Google Patents

천공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650A
KR20170071650A KR1020150179048A KR20150179048A KR20170071650A KR 20170071650 A KR20170071650 A KR 20170071650A KR 1020150179048 A KR1020150179048 A KR 1020150179048A KR 20150179048 A KR20150179048 A KR 20150179048A KR 20170071650 A KR20170071650 A KR 2017007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kin
laser source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호
김승만
이창우
송준엽
김용진
이재학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650A/ko
Publication of KR2017007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106Means for reducing pain or discomfort applied before puncturing; desensitising the skin at the location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106Means for reducing pain or discomfort applied before puncturing; desensitising the skin at the location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B5/150114Means for reducing pain or discomfort applied before puncturing; desensitising the skin at the location where body is to be pierced by tissue compression, e.g. with specially designed surface of device contacting the skin area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34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 A61B5/15136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by use of radiation, e.g. la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피부를 천공하여 혈액 샘플을 얻기 위한 천공 모듈에 있어서,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공급원;내부에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을 가지며, 채혈을 위해서 피부가 접촉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를 가진 케이스; 를 포함하며, 케이스의 내부에 레이저 공급원이 위치되고, 전면부에는, 레이저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피부영역의 주변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천공 모듈{PERFORATION MODULE}
본 발명은 천공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던 레이저가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에는 의료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레이저의 용도 중에 하나는 피부에 레이저를조사하여 피부를 천공하는 것이고, 피부를 천공함으로써 천공된 피부로부터 채혈을 하거나, 천공된 작은 구멍으로 약제를 투여하거나, 피부의 점이나 주근깨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의 천공을 통한 채혈이나 점의 제거는 기존 방식인 주사기나 바늘로 천공하여 채혈 또는 약제를 투여하거나 수술기구를 통한 점의 제거에 비해 통증이 현저하게 적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레이저는 고에너지의 빛이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인체에 잘못 조사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고, 특히 눈으로 조사되면 시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레이저가 부주의하게 조사되지 않도록 여러 안전장치를 갖추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일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안전장치를 소홀히 하고 있어 문제이다. 예를 들면당뇨 환자는 하루에도 몇 번씩 수시로 혈당을 체크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용 레이저 천공기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직접 조작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따라서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사용하는 레이저 천공기에는 더욱 더 안전장치의 필요성이 크다.
혈액 검사를 하기 위해 채혈을 하는 경우, 특히 소량 채혈을 할 때는 바늘로 피부조직에 직접 절개하거나 구멍을 만들어 채혈하는데, 채혈하는 기구는 란셋(Lancet)이라고 불리는 바늘이다.
일반적인 당뇨 환자의 경우, 1일 2~3회 정도의 채혈을 하는데, 채혈시의 고통과 불안감, 출혈, 세균 감염 등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특히, 만성 당뇨환자의 경우 하루 최소 5회 이상 채혈해야 하는데, 란셋에 의한 잦은 채혈로 압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찾은 채혈로 인한 란셋의 반복 사용은 교차 감염의 위험성도 갖고 있다. 또한, 채혈할 때마다 교체 사용해야 하는 란셋 사용의 번거로움과 채혈 후 사후 위생적 처리도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레이저 채혈기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하루에도 몇 번씩 채혈을 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도록 소형화하여야 하나, 레이저 모듈은 소형화 하더라도 레이저 모듈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안전장치가 외부에 구비되어야 했으므로 실질적으로 소형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10-2012-0111053]에서는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레이저 채혈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일회용 캡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12-0111053](공개일자: 2012. 10.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고, 상처부위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천공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용량 측정기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에 근거하여 레이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전한 천공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을 위해 접촉되는 피부영역의 두께를 감소시켜 채혈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천공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를 천공하여 혈액 샘플을 얻기 위한 천공 모듈에 있어서,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공급원;내부에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을 가지며, 채혈을 위해서 피부가 접촉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를 가진 케이스; 를 포함하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레이저 공급원이 위치되고, 전면부에는, 레이저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피부영역의 주변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에 의해서 레이저 공급원의 레이저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레이저의 출력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혈시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에 손가락을 밀착시킴으로써, 일시적으로 피부두께를 감소시켜 채혈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집광시키기 위한 실린더형 포커싱 렌즈에 의해 상처부위 크기를 줄임으로써, 채혈 이후 상처가 빨리 아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포커싱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돌출부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표시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두께나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직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 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천공 모듈(10)은 정전용량 측정부(1), 레이저 공급원(3), 제어부(5), 전원공급장치(7),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9)를 포함한다.
정전용량 측정부(1)는 피부에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정전용량 측정부(1)는 예를 들면 전극부(21)와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 측정부(1)의 전극부(21)는 컨덕터(conductor) 패턴 또는 컨덕터(conductor) 트랙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 측정부(1)는 전원공급장치(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접촉된 피부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 또는 측정된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5)에 제공할 수 있다.
물의 유전율(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은 다른 물질에 비해 높기 때문에,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높으면 정전용량이 커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피부의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전용량 측정부(1)의 전극부(21)에 피부를 접촉된 상태에서 회로부(미도시)에 의해서 피부영역의 정전용량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측정부(1)는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채혈기가 피부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피부의 수분함유량도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 공급원(3)은 레이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공급원(3)은 전원공급장치(7) 및 제어부(5)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레이저 공급원(3)에는 후술하는 포커싱 렌즈와 같은 광학 소자(33)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5)는 정전용량 측정부(1)가 측정한 정전용량 또는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으면, 정전용량 또는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에 기초하여 레이저 공급원(3)의 레이저 출력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는 정전용량 측정부(1)로부터 정전용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 받은 정전용량을 기초로 하여 수분 값을 직접 산출한 후 산출된 수분 값에 근거하여 레이저 공급원(3)의 레이저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는 정전용량 측정부(1)로부터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수분 값에 근거하여 레이저 공급원(3)의 레이저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5)는 수분 값에 따라서 레이저 출력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는 정전용량 측정부(1)로부터 정전용량 또는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이 피부의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레이저 공급원(3)의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안전하게 채혈할 수 있도록 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에는 상태가 표시되는 LED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2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9)의 사용자 입력부(25)를 통하여 명령(예를 들면, 채혈 동작 수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는 사용자 입력부(25)를 통해서 채혈 동작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정전용량 측정부(1)가 정전용량을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한 정전 용량으로부터 수분 값을 산출하여, 수분 값에 따라서 레이저 공급원(3)의 출력을 제어한다. 수분 값이 만약 사람의 피부의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면, 수분 값이 “0”으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레이저 공급원(3)이 레이저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수분 값이 사람의 것이라고 판단되면(수분 값이 사람의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는 실험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그러한 기준 데이터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5)는 저장부(미도시)(천공 모듈(10)이 포함하거나 또는 천공 모듈(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장치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정전용량 측정부(1)에 의해 측정된 정전용량으로부터 측정된 수분 값을 이용하여 레이저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는 정전용량을 기초로 하여 산출된 수분 값 및 수분 값에 근거한 레이저 출력 값을 유저 인터페이스부(9)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부(9)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천공 모듈(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10)은한 손으로 손쉽게 컨트롤 할 수 있는 크기의(리모컨 사이즈 이하의 소형)통 형상의 케이스(11) 및 케이스(12)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되는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2)의 외부는 전면부(20), 후면부(30), 및 측면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12)의 측면부(40)의 일부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정전용량 측정부의 회로부(미도시), 레이저 공급원(3) 및 제어부(5)가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12)의 전면부(20)에는 케이스(12)의 내부에 위치된 레이저 공급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정전용량 측정부(1)의 전극부(21)가 위치되어 있다.
후면부(40)는 전면부(20)의 반대측에 위치된 부분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2)의 내부를 열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전면부(20)에 형성되는 개구부(2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구부(23)를 통해서 레이저가 방출되며, 개구부(23)의 형상은 채혈을 위해서 접촉되는 피부영역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피부영역을 팽창시켜 피부영역의 표피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팽창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십자가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전용량 측정부의 전극부(21)는 케이스(12)의 전면부(20)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개구부(23)의 주위(개구부(23)를 둘러싸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채혈을 하려는 사용자는 케이스(12)의 측면부(40)를 감싸는 형식으로 케이스(12)를 손에 쥔 상태에서, 채혈을 하려는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 손가락)으로케이스의 전면부(20)에 형성된 개구부(23)를 완전히 막으면서, 동시에 정전용량 측정부(1)의 전극부(21)에 접촉되도록 손가락을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부(9)에 구비된 채혈 동작 수행 명령을 하는 동작버튼(미도시)를 선택하면, 정전용량 측정부(1)가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수분 값이 산출되며(상술한 바와 같이 수분 값은 정전용량 측정부(1)가 계산하거나 또는 제어부(5)가 계산할 수 있음), 산출된 수분 값에 따라서 제어부(5)가 레이저 공급원(3)의 출력을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포커싱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천공 모듈(10)은레이저 공급원(3)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 소자, 예를 들면 포커싱 렌즈(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렌즈(33)는 레이저 공급원(3)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이동경로에 위치되어 있고, 그 형상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 형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포커싱 렌즈(33)를 사용하여 채혈을 하는 경우, 레이저가 조사되는 피부영역은 원형으로 천공이 되지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의 포커싱 렌즈(3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피부영역은 타원형으로 천공된다. 즉, 실린더형의 포커싱 렌즈를 사용할 경우가 원형의 포커싱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피부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형의 포커싱 렌즈를 사용하면 채혈시 상처부위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채혈 이후 상처 회복에 걸리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 모듈의 돌출부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천공 모듈의 전면부(20)에는 돌출부(2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채혈을 하기 위해 손가락(100)을 케이스의 전면부(20)에 접촉시킬 때 돌출부(25)로 인한 자극에 의해 약간의 통증이 먼저 발생됨으로써 레이저가 피부에 조사되어 천공 할 때 레이저에 의한 통증은 상대적으로 덜 아프게 느낄 수 있다. 즉, 돌출부(25)에 의해 신경이 분산되면서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돌출부(25)의 형상은 채혈을 하고자 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돌출부(25)의 형상은 복수개의 삼각뿔 또는 사각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채혈을 하기 위해 손가락은 케이스의 전면부(20)에 위치된 정전용량의 전극부(21)에 접촉되는 상태이므로, 돌출부(25)는 정전용량 측정부의 전극부(21) 주위에 복수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 측정부(21)와 개구부(23) 사이에 돌출부(25)가 적어도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정전용량 측정부 3: 레이저 공급원
5: 제어부 7: 전원공급장치
9: 유저인터페이스부 10: 천공 모듈
12: 케이스 20: 케이스의 전면부
21: 정전용량 측정부의 전극부 23: 개구부
25: 돌출부 33: 광학소자(포커싱 렌즈)

Claims (7)

  1. 피부를 천공하여 혈액 샘플을 얻기 위한 천공 모듈에 있어서,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공급원;
    내부에 공간을 가진 통 형상을 가지며, 채혈을 위해서 피부가 접촉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레이저 공급원이 위치되고,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레이저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피부영역의 주변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에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부와 회로부로 이루어진 정전용량 측정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분 값에 의해서, 레이저 공급원의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의 회로부가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레이저 공급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채혈을 위해서 접촉되는 피부영역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피부영역의 표피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및 십자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집광시키기 위한 포커싱 렌즈;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커싱 렌즈가 원형 또는 실린더형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복수개의 삼각뿔 또는 사각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부의 주위에 복수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복수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공 모듈.
KR1020150179048A 2015-12-15 2015-12-15 천공 모듈 KR20170071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48A KR20170071650A (ko) 2015-12-15 2015-12-15 천공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48A KR20170071650A (ko) 2015-12-15 2015-12-15 천공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650A true KR20170071650A (ko) 2017-06-26

Family

ID=5928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048A KR20170071650A (ko) 2015-12-15 2015-12-15 천공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6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9699C2 (ru) Лазерный перфоратор кожи
KR100782142B1 (ko) Er:YAG레이저를 이용한 극소량 무통채혈장치 및 이를이용한 혈당측정장치
KR101058728B1 (ko) 혈액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8681B1 (ko)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방법
JPWO2004021886A1 (ja) 侵襲装置、及び生体内液測定装置
AU2001297665A1 (en) Laser skin perforator
EP3021752A1 (en) Blood sampling device and methods
JP2015528345A (ja) 体内施術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視鏡装置
US2019010497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Pain of Glucose Monitoring and Diabetes Treatment
JP4473564B2 (ja) 痛み測定装置
CN204972418U (zh) 负压护理系统
US11376070B2 (en) Medical laser device
KR101976046B1 (ko)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KR20170071650A (ko) 천공 모듈
JP4425593B2 (ja) 穿刺器具および穿刺器具用光照射装置
EP2684520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laser
KR101483428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수술용 로봇 장치
KR101650127B1 (ko) 천공 디바이스
KR20110030380A (ko) 비접촉식 무통 피부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CN205569317U (zh) 埋线针组件
TW200918022A (en) Bleeding apparatus
KR200420950Y1 (ko) Er:YAG레이저를 이용한 극소량 무통채혈장치 및 이를이용한 혈당측정장치
KR101483429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RU2142832C1 (ru) Способ взятия крови пациента для анализа
DE112019004738T5 (de) Lanzettenvorrichtung mit Anästhesie-Funk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