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455A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455A
KR20170071455A KR1020170065034A KR20170065034A KR20170071455A KR 20170071455 A KR20170071455 A KR 20170071455A KR 1020170065034 A KR1020170065034 A KR 1020170065034A KR 20170065034 A KR20170065034 A KR 20170065034A KR 20170071455 A KR20170071455 A KR 2017007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kebox
terminal
sound source
station
p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현
Original Assignee
미래엔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엔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엔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455A/ko
Publication of KR2017007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Abstract

본 발명은 주크박스(jukebox)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및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접속되고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을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posting)하는 포스팅 단말을 포함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JUKEBOX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주크박스(jukebox)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원하는 음원을 선택하면 선택한 음원을 특정 위치에 위치한 주크박스에 재생하여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음원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크박스(jukebox)는 동전을 넣으면 음악을 들려주는 음악 기계를 말한다. 보통은 동전을 투입하고 그 주크박스 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에서 청취하고 싶은 곡명을 선택하면 선택된 곡을 청취하게 된다.
현재의 주크박스는 여러 개의 씨디롬(CD-ROM)을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크박스에는 서너 장의 디스크를 다룰 수 있는 단순한 내장형 기기부터, 수백 장을 넣을 수 있는 외장형 기계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런데, 종래 주크박스는 기본적으로 오프라인에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음악 재생을 위해서는 주크박스 내에 다수의 기록매체를 항상 내장해 두고 있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인터넷망의 보급으로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하여 음악을 다운로드받아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매장 내에서 점주가 개인적으로 다운로드받은 음악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음원 저작권의 문제로 음악 재생이 자유롭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가 점주 개인의 성향이 반영되므로 고객 위주의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방송'이라고 하여 음악 채널에 접속하여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음악을 재생하는 서비스 방법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 방법 또한 음악 채널로 할당된 서버에 일방적으로 음악을 편성해 두고 사용자(또는 점주)가 음악 채널에 업로드된 음악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매장 내 고객이 원하는 음악을 골라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형태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오프라인 형태의 주크박스 서비스와 인터넷을 결합하여, 매장 내 주크박스에서 고객이 원하는 음원을 선택하면 해당 주크박스에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실시간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1401호(발명의 명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위한 주크박스 단말, 등록일: 2004년 09월 22일)가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과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이 선택된 음원을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전송하여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통해 실시간 재생함으로써, 매장이나 가정 등 사용자가 머무르는 공간에서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을 자유롭게 업로드하여 청취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와 함께 청취하면서 감성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 음악 채널을 통해 미리 편성된 음원을 송출하여 재생하다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현재 재생 중인 음원의 재생을 종료하고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 내에 저장된 음원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나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멜론, 카카오뮤직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골라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전송하므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내 저장 공간의 용량이나 저장 공간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음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이용하여 적립된 포인트로 우선 신청을 요청하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모바일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음원 중에서 우선 신청이 요청된 음원을 우선적으로 재생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및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접속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청취하고 싶은 음원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을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posting)하는 포스팅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음향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은 상기 음향기기와 유무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음원을 상기 음향기기로 전달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음악 채널에 미리 편성된 음원을 업로드하고 상기 음악 채널에 접속한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게 업로드된 음원을 송출하는 음악 채널 송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은, 상기 음악 채널 송출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재생하다가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포스팅된 음원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음악 채널 송출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포스팅 단말이 특정 공간에 마련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포스팅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음원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음원에 대하여 음원 재생을 신청받는 단계; 상기 포스팅 단말이 선택받은 음원을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posting)하는 단계; 및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기초하여 실시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음향기기로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을 전달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악 채널 송출 서버가 음악 채널에 미리 편성된 음원을 업로드하고 상기 음악 채널에 접속한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게 업로드된 음원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팅 단말이 선택받은 음원을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posting)하기 이전에,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은 상기 음악 채널 송출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재생하다가,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포스팅된 음원을 실시간 재생하고, 상기 포스팅된 음원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음악 채널 송출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듣고 싶은 음원을 골라서 원하는 장소의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하면 해당 장소에서 사용자의 개인 단말이 아닌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통해 청취할 수 있고 특히 다른 사용자와 함께 들으면서 감성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카페나 헬스장, 의류매장 등 사용자가 머무르는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포스팅하여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신청 사연을 부가하여 포스팅하면 음원 재생 전에 신청 사연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재생함으로써 이벤트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도 혼자 음원을 듣다가 감성에 젖어서 가족들과 같이 듣고싶은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 음악 채널을 통해 미리 편성된 음원을 송출하여 재생하다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현재 재생중인 음원의 재생을 종료하고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매장의 영업 방침에 따른 음악 장르의 음원을 제공하거나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내에 저장된 음원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나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골라서 주크박스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의 저장 용량 및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모바일 단말로부터 포스팅되어 한번 재생된 음원에 대해서는 자동 삭제하고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의 전원을 끄는 경우에도 재생 대기 중이던 음원 파일을 모두 삭제하여 소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저장 용량에 구애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이용하여 적립된 포인트로 우선 신청을 요청하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모바일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순서에 따라 음원을 실시간 재생하다가 우선 신청이 요청된 음원을 우선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포스팅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포스팅(posting)'은 사용자 측의 포스팅 단말에서 재생 단말(이하의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음원 파일을 직접 전송하여 재생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 측의 포스팅 단말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또는 외부의 서버(이하의 음악 채널 송출 서버 또는 매장 음악 서비스 서버)에 있는 음원을 선택하여 재생 요청을 명령하는 것 또한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칭함)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음향기기(200), 포스팅 단말(300), 가입 관리 서버(400),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 포인트 관리 서버(600), 광고 관리 서버(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음향기기(200)는 카페나 헬스장, 의류매장과 같이 하나의 공간(area)에 구현하고, 포스팅 단말(300)을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공간(area)에 방문하거나 머무르는 동안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연계하여 주크박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성이다.
이를 위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포스팅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가입 관리 서버(400),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 포인트 관리 서버(600), 광고 관리 서버(700)와 각각 연계되어 주크박스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와 연동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오프라인 주크박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실시간 재생한다. 여기서, 외부는 포스팅 단말(300)이 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연계된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가 될 수 있다. 또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의 내장 메모리,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장 메모리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되는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기초하여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단말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또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개인 클라우드, u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등)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가지고 재생 리스트를 편성하여 편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해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재생 중에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그 재생 리스트에 의해 송출되던 음악을 중지하고 포스팅된 음원을 송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하다가,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로부터 송출된 음원과 음원 사이에 재생을 종료하고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되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하거나,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로부터 송출된 음원의 재생을 즉시 종료하고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되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포스팅된 음원의 재생이 완료되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다시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이어서 재생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매장 음악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버(이하, 매장 음악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매장 음악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음원 리스트에 기초하여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매장 음악 서비스 서버는 매장 음악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재생 가능한 음원 목록을 제공하고,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또는 포스팅 단말(300)에서 목록 보기 또는 검색 등을 통해 음원 목록 중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을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송출한다. 따라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매장 음악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음원 중 고객이 원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MOD(Music On Demand)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매장 브랜드의 이미지 또는 점주 영업 방침에 의해 업로드할 수 있는 음악의 장르를 제한하면서 동시에 고객이 원하는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실시간 재생 시, 유무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음향기기(200)로 음원을 전달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실시간 재생 후에, 재생된 음원을 자동 삭제하고, 일정 시간(예컨대, 1시간 이상) 동안에 재생되지 않은 음원에 대해서도 자동 삭제할 수 있다. 또,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재생 대기 중이던 음원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을 통해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하거나,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미리 음원을 다운로드받고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download & play)하거나 음원을 다운로드받으면서 재생(progressive download & play)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드 방식을 택일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두 방식을 혼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포스팅 단말(300)을 통해 송출되는 음원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고,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를 통해 송출되는 음원은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한다 하더라도 실시간 재생 후에는 해당 음원을 자동 삭제한다.
또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기 설정된 재생 순서를 포스팅 시간 순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되는 시간 순서를 기준으로 음원 재생 리스트에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음원 재생 리스트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또,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매장 운영 방침에 벗어나는 음원, 매장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음원 등의 불량곡에 대하여 관리자가 스킵이나 삭제 등의 기능을 통해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이상의 기능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주크박스 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앱 스토어에서 주크박스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설치된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스테이션 모드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주크박스 앱을 통해 포스팅 단말(300) 또는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와 연계되고 이들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주크박스용 전용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으나, 매장 내에 구비되는 PC, 태블릿 PC, PDA, 또는 매장 점주 또는 직원의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음향기기(200)는 스피커, 앰프, 헤드셋,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헤드셋이나 이어폰은 하나의 공간 내에서 다수 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매장 내 테이블 단위로 마련하여 각 테이블에 좌석하는 고객들 개개인이 선명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음향기기(200)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이어폰잭, 블루투스, WIDI(Wireless Display, 와이다이)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포스팅 단말(300)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마련된 공간에 방문하거나 머무르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매장 내에서는 다수의 고객이 될 수 있고 가정 내에서는 가족 개개인의 단말이 될 수 있다.
포스팅 단말(300)은 사용자로부터 청취하고 싶은 음원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을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포스팅(posting)한다. 이때, 포스팅 단말(300)은 청취하고 싶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간 접속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스팅 단말(300)은 접속 가능한 다수의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목록에서 원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을 선택하거나, 또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마련된 공간에 근접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자동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팅 단말(300) 또한 주크박스 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포스팅 단말(300)이 온라인 앱 스토어를 통해 주크박스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설치된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포스팅 모드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포스팅 단말(300)에서 주크박스 앱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신청 화면을 제공하고, 신청 화면에는 회원 가입을 통해 기 등록되거나 또는 포스팅 단말(300)과 접속 가능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목록에서 포스팅 단말(300)은 사용자로부터 청취하고 싶은 공간의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을 선택받고 선택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주크박스 앱을 통해 음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 외, 포스팅 단말(300)은 해당 공간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직접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한 번의 접속 설정이 이루어지면 이후부터는 접속 정보가 남아있으므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의 탐색을 통해 자동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은 포스팅 단말(3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파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 또는 오픈 API를 통한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멜론, 벅스, 지니, 카카오뮤직 등)과 연동하여 원하는 음원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포스팅 단말(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포스팅할 때 신청 사연을 녹음하거나 텍스트(text)로 입력된 파일을 음원과 매칭하여 포스팅할 수 있다. 텍스트로 입력된 파일은 포스팅 단말(300)에서 TTS(Text To Speech)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포스팅되거나, 또는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서 음성으로 변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스팅 단말(300)은 동일 공간 내에서 다수의 포스팅 단말(300)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한꺼번에 포스팅하는 경우 업로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스팅 단말(300)은 음원의 전송을 대기하고 있다가, 전송할 수 있는 해당 순서가 되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음원을 스트리밍한다.
또한, 포스팅 단말(300)은 포인트 관리 서버(600)와 연계하여 회원 가입과 동시에 개별적으로 적립 포인트가 부여되는데, 이 적립 포인트를 사용하여야만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음원을 포스팅할 수 있거나, 이 적립 포인트를 사용하여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포스팅한 음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우선 신청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포스팅하는 자체가 유료 서비스인 경우 포스팅 단말(300)은 개별적으로 부여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원하는 음원을 포스팅하고 우선 신청 시에는 포스팅하는 데 필요한 포인트보다 더 많은 포인트를 사용하여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스팅 단말(300)이 적립 포인트를 사용하는 경우, 포인트 관리 서버(600)는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인트의 사용 내역을 수신하고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각 포스팅 단말(300)의 적립 포인트를 차감한다.
그리고,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서는 포스팅 단말(300)의 우선 신청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음원을 포스팅된 리스트에서 재생 순서를 상향하여 우선적으로 재생한다.
한편, 포스팅 단말(300)은 주크박스 앱을 통해 자신이 포스팅한 음원 내역, 자신이 포스팅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현재 포스팅된 전체 음원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포스팅 단말(300)은 주크박스 앱을 통해 자신이 포스팅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서 현재 실시간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이어폰을 통해 개별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이때, 포스팅 단말(300)은 음악을 들으면서 다른 작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스팅 단말(300)이 주크박스 앱을 통해 음원을 포스팅하는 경우 포스팅 단말(300)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해당 공간을 벗어나는 경우라도 선택된 음원이 포스팅되며, 포스팅 단말(300)이 주크박스 앱을 종료하거나 포스팅 동작을 강제 종료하는 경우에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포스팅하는 동작을 중지한다.
가입 관리 서버(400)는 주크박스 서비스에 대한 회원 가입을 관리한다. 즉, 가입 관리 서버(400)는 회원 가입에 필요한 등록 화면을 제공하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포스팅 단말(300)에 대한 가입 정보를 관리한다.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대한 가입 정보는 기본적으로 단말 식별번호, 스테이션명, 위치, 상호, 업종 등을 포함하며, 포스팅 단말(300)에 대한 가입 정보는 가입자명, 단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 가입 관리 서버(400)는 포인트 관리 서버(600)와 연동하여 각 단말에 부여된 적립 포인트의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는 하나 이상의 음악 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각 음악 채널에 서비스 사업자가 미리 편성된 음원을 업로드한다. 그리고, 각 음악 채널에 접속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게 업로드된 음원을 송출한다.
포인트 관리 서버(600)는 가입 관리 서버(400)에 가입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및 포스팅 단말(300)에 적립 포인트를 부여하고 포인트의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관리한다. 더 정확하게는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의 소유주인 가입자별로 적립 포인트를 부여하고 이의 사용 및 적립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포인트 관리 서버(600)는 우선 신청에 대하여 순위 상향 레벨에 따라 적립 포인트의 금액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 등급에서 5등급 상향에 대해서는 10포인트를 적용하고, 10등급 상향에 대해서는 15포인트를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관리 서버(700)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의 위치, 업종에 적합한 광고를 송출한다. 송출 시,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와 연동하여 각 음악 채널에 업로드된 음원 대신 광고를 삽입하거나 또는 음원과 음원이 재생되는 사이(예컨대, 5곡 재생 후)에 광고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는 음성만을 출력하는 소리 광고이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주변의 음식점, 유흥점 등에 관한 맞춤형 광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해당 공간에 스테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은 포스팅 모드로 동작하여 모바일 단말에 있는 음원을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업로드하면 해당 공간 내에서 업로드되는 순서(또는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음원을 재생한다.
이때,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음원이 포스팅되기 전에, 아무런 음원도 송출하지 않거나,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로부터 받은 음원을 스트리밍 재생하거나, 또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이나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가지고 재생 리스트를 편성하여 편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해 음원을 송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포스팅 단말(300)을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주크박스 앱의 모드 설정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포스팅 단말(300)에서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스테이션 모드로 설정하면 다른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음원을 포스팅받아 실시간 재생할 수 있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나의 주크박스 앱에 스테이션 모드와 포스팅 모드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공통 앱을 다운로드받고 각 단말이 수행할 기능에 따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지만, 또는 각 모드별로 주크박스 앱이 별도로 구현되어 스테이션 단말은 스테이션 모드용 앱을, 포스팅 단말은 포스팅 모드용 앱을 다운로드받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입력부(110), 표시부(120), 인터페이스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모드 설정부(160), 음원 파일 수신부(170), 음원 파일 재생부(18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PC, 태블릿 PC, PDA, 모바일 단말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크박스 앱을 실행하여 구동이 가능하고 통신망을 통해 포스팅 단말과 외부 서버간 연계가 가능한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모바일 단말이 아닌 PC, 태블릿 PC인 경우, 주크박스 앱 대신 PC 프로그램 형태로 제작되어 PC 또는 태블릿 PC에 설치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크박스 앱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키 입력부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경우 표시부(12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주크박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 입력, 음원 재생 관련 조작 등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헤드셋(210)이나 스피커(220) 등을 포함한 음향기기(200), 스마트폰(800)와 같은 외부 기기, 외장 메모리(900) 등과 연결되어 인터페이스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USB포트, 이어폰잭 등과 같이 기구적인 연결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와이다이(WIDI) 등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주크박스 앱 정보, 음원, 음원 재생 리스트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모드 설정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입력에 기초하여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스테이션 모드 또는 포스팅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한다.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라면 스테이션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모드 설정부(160)는 스테이션 모드용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스테이션 모드가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음원 파일 수신부(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포스팅 단말(도 1의 300), 음악 채널 송출 서버(도 1의 500), 외장 메모리(900) 등으로부터 송출되는 음원 파일을 수신한다. 수신 방법으로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 다운로드 방식(download & play 방식 또는 progressive download & play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운로드 방식의 경우, 음원 파일 수신부(170)는 미리 다운로드받은 음원을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저장 완료된 음원의 정보를 음원 파일 재생부(180)로 전달하여 음원 재생 리스트에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또는 음원 파일 수신부(170)가 음원을 저장부(150)에 다운로드하면서 음원 파일 재생부(180)로 즉시 전달하여 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음원 파일 재생부(180)는 음원 파일 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음원 재생 리스트에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음원 재생 리스트에 기초하여 실시간 재생한다. 기 설정된 재생 순서는 음원 파일 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즉, 포스팅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평상시에는 음악 채널 송출 서버(도 1의 500)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재생하고 포스팅 단말로부터 특정 음원이 포스팅되면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음원 파일 재생부(180)는 포스팅된 음원의 재생이 종료되면 다시 음악 채널 송출 서버(도 1의 500)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이어서 재생하도록 재생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파일 재생부(180)는 포스팅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에 대하여 우선 신청의 요청이 있으면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해당 음원의 재생 순서를 상향하여 우선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음원 파일 재생부(180)는 음원의 재생이 완료되면 재생된 음원을 자동 삭제하고, 일정 시간동안 재생되지 않은 음원에 대해서도 자동 삭제한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주크박스 앱의 실행이 요청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주크박스 앱 정보를 불러 와 실행하고, 주크박스 앱을 실행한 이후부터 제어부(140)는 실행 중인 주크박스 앱을 통해 모드 설정부(160), 음원 파일 수신부(170), 음원 파일 재생부(180)의 기능을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음원 재생 리스트에 재생 대기 중이던 음원을 모두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포스팅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말(300)은 입력부(310), 표시부(320), 제어부(330), 저장부(340), 모드 설정부(350), 음원 파일 전송부(360), 음성 녹음부(370), 클라우딩 연동부(380)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스팅 단말(300) 또한 사용자 개인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주크박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 입력, 음원 및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선택 등 사용자의 조작으로 인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부(320)는 주크박스 서비스에 관한 설정 화면, 동작 화면, 정보 알림 화면 등을 표시한다.
저장부(340)는 주크박스 앱 정보, 음원 등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포스팅 단말(300)의 내장 메모리, 외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350)는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입력에 기초하여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포스팅 모드로 설정한다. 필요에 따라 스테이션 모드로 모드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모드 설정부(350)는 포스팅 모드용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포스팅 모드가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음원 파일 전송부(360)는 저장부(34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음원 파일 중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을 골라서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사전에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또는 음원을 포스팅할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선택 및 접속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음성 녹음부(370)는 음성을 녹음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포스팅할 때 신청 사연을 녹음한다.
클라우딩 연동부(380)는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 또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한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음원 관련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주크박스 앱의 실행이 요청되면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주크박스 앱 정보를 불러 와 실행하고, 주크박스 앱을 실행한 이후부터 제어부(330)는 실행 중인 주크박스 앱을 통해 모드 설정부(350), 음원 파일 전송부(360), 음성 녹음부(370), 클라우딩 연동부(380)의 기능을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실행 중인 주크박스 앱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신청 화면을 제공하고, 신청 화면에는 기 등록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목록으로부터 제공부(330)가 사용자로부터 청취하고 싶은 공간의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선택받으면 선택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앱을 통해 음원을 포스팅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해당 공간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주크박스 앱을 이용하지 않고 음원을 포스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음성 녹음부(370)를 통해 신청사연이 녹음되면 녹음된 파일을 음원 파일 전송부(360)에서 전송할 음원과 매칭하여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전송한다.
이상 제어부(330)에서 설명하지 않은, 적립 포인트를 이용한 우선 신청 기능, 신청 사연의 텍스트 입력에 따른 음성 변환 기능 등에 대해서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포스팅 단말의 구성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및 포스팅 단말(300)은 본 발명의 주크박스 서비스에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가입하고, 각 단말에 주크박스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이후, S100 및 S101 단계와 같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 및 포스팅 단말(300)은 설치된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스테이션 모드, 포스팅 모드로 각각 설정한다. 각 설정에 의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스테이션 모드로 동작하고 포스팅 단말(300)은 음원을 포스팅하는 포스팅 모드로 동작한다.
다음 S102 단계에서, 포스팅 단말(300)이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중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원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또는, 단말 외 클라우스 서버, 오픈 API를 통한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과 연동하여 이들에 업로드되어 있는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포스팅 단말(300)은 청취하고자 하는 공간 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즉, 주크박스 앱에서 기 등록되어 있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목록이 제공되고, 이 목록으로부터 포스팅 단말(300)이 원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 S103 단계에서, 포스팅 단말(300)이 선택된 음원을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전송하여 포스팅(posting)한다.
다음 S104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download & play 방식 또는 progressive download & play 방식)에 의해 수신한다.
다음 S105 및 S106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수신한 음원을 음원 재생 리스트에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재생 순서에 기초하여 포스팅 단말(300)이 포스팅한 음원을 재생한다.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스트리밍되는 음원을 즉시 재생하고 음원 재생 리스트에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다운로드 방식의 경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미리 다운로드받은 음원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 완료된 음원 정보를 음악 재생 리스트에 업데이트해 두었다가, 재생 순서가 되면 저장부로부터 해당 음원을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download & play 방식). 또,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음원을 저장부(150)에 다운로드하면서 음원 파일 재생부(180)로 즉시 전달하여 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progressive download & play 방식).
이러한 재생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공간 내에서 청취하고 싶은 음원을 공개적으로 청취할 수 있고 또 다른 사용자가 함께 청취하면서 감성을 공유할 수 있다.
실시간 재생 시, S107 단계와 같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유무선 또는 블루투스, 와이다이(WIDI)를 통해 연결된 별도의 음향기기(200)가 있는 경우 음향기기(200)로 재생할 음원을 송출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카페나 헬스장과 같은 매장에 각 테이블, 운동머신 단위로 다수의 헤드셋을 마련하여 각 헤드셋을 통해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들 개개인이 혼자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 주크박스 앱을 통해 현재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현재 재생하고 있는 음원을 포스팅 단말(300)에서 직접 청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크박스 앱을 통해 청취할 수 있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의 대상은 포스팅 단말(300)이 포스팅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 해당되며, 포스팅 단말(300)은 음원 재생과 동시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간 재생 후, S108 단계와 같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재생이 완료된 음원을 자동 삭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스팅 단말(300)이 단말에 저장된 자신의 음원을 포스팅하면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포스팅되는 음원 위주로 실시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에 추가적으로 음악 채널에서 송출되는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음악 채널을 통해 미리 편성된 음원을 재생하고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개인 사용자들이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포스팅된 음원을 즉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S200 단계에서,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가 음악 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음악 채널에 미리 편성된 음원을 업로드한다. 이후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가 각 음악 채널에 접속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게 미리 편성된 음원을 스트리밍한다.
다음 S201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음악 채널을 통해 전송받은 음원을 재생한다.
재생 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S202 단계와 같이 유무선 또는 블루투스, 와이다이(WIDI)를 통해 연결된 별도의 음향기기(200)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 S203 단계에서, 포스팅 단말(300)이 사용자로부터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거나, 클라우드 서버 또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에 업로드된 음원 중 원하는 음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음원 선택 시, 청취하고 싶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의 선택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청취하고 싶은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직접 접속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 S204 단계에서, 포스팅 단말(300)이 선택된 음원을 해당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로 전송하여 포스팅(posting)한다.
다음 S205 및 S206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의 정보를 음원 재생 리스트에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업데이트한다.
다음 S207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현재 음악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음원을 재생하고 있으므로 재생 중인 음원의 종료 시점을 확인한다. 즉, 음원과 음원 사이를 구분하여 음원 단위로 재생을 종료할 수 있고 또는 음원 단위의 구분없이 즉시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다음 S208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현재 재생 중인 음원을 종료하고,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한다.
다음 S209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과 연결된 음향기기(200)가 있을 경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음향기기(200)로 음원을 송출하여 출력한다.
다음 S210 단계에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이 재생 완료된 음원을 자동 삭제한다. 음원 재생 리스트에는 음원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에서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의 재생이 종료되면 다시 음악 채널 송출 서버(500)와 연계하여 해당 음악 채널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100)은 포스팅 단말(300)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에 대한 우선 신청이 요청되는 경우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해당 음원의 재생 순서를 상향하여 우선적으로 재생한다. 이 과정에서 포스팅 단말(300)은 개별적으로 부여된 적립 포인트를 사용하여 자신의 단말에서 포스팅한 음원에 대하여 우선 신청을 할 수 있다. 신청 시 순위 상향 레벨에 따라 적립 포인트의 레벨을 부가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과정에서 회원 가입 과정, 주크박스 앱의 스테이션 모드 또는 포스팅 모드 설정 과정은 도 4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200: 음향기기
300: 포스팅 단말 400: 가입 관리 서버
500: 음악 채널 송출 서버 600: 포인트 관리 서버
700: 광고 관리 서버 110, 310: 입력부
120, 320: 표시부 130: 인터페이스부
140, 330: 제어부 150, 340: 저장부
160, 350: 모드 설정부 170: 음원 파일 수신부
180: 음원 파일 재생부 360: 음원 파일 전송부
370: 음성 녹음부 380: 클라우딩 연동부

Claims (7)

  1.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및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접속되고 사용자로부터 청취하고 싶은 음원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을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posting)하는 포스팅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팅 단말은,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연계되는 주크박스 앱을 통해 상기 포스팅 단말과 접속 가능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목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의 선택 입력을 통해 접속하거나,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마련된 공간에 근접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자동 접속하되, 한 번의 접속 설정이 이루어지면 이후부터는 기존에 남아 있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탐색하여 탐색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자동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음악 채널에 미리 편성된 음원을 업로드하고 상기 음악 채널에 접속한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게 업로드된 음원을 송출하는 음악 채널 송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은,
    상기 음악 채널 송출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재생하다가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이 포스팅되면 포스팅된 음원을 재생하고, 상기 포스팅된 음원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음악 채널 송출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음원을 이어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팅 단말은,
    상기 음원을 단말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파일로부터 획득하거나, 클라우드 서버 또는 오픈 API를 통한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앱을 통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팅 단말은,
    스테이션 모드와 포스팅 모드를 포함하는 상기 주크박스 앱을 탑재하고,
    상기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상기 스테이션 모드 또는 상기 포스팅 모드로 설정 또는 변경한 후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포스팅 단말에서 상기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상기 포스팅 모드에서 상기 스테이션 모드로 변경하면 다른 포스팅 단말로부터 음원을 포스팅받아 실시간 재생할 수 있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재생 가능한 음원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 또는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상기 음원 목록 중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을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송출하는 매장 음악 서비스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마련된 공간에 방문하는 사용자의 포스팅 단말이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포스팅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음원을 선택받고 선택된 음원에 대하여 음원 재생을 신청받는 단계;
    상기 포스팅 단말이 선택받은 음원을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 포스팅(posting)하는 단계; 및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상기 포스팅 단말로부터 포스팅된 음원을 기 설정된 재생 순서에 기초하여 실시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팅 단말은,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과 연계되는 주크박스 앱을 통해 상기 포스팅 단말과 접속 가능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대한 목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의 선택 입력을 통해 접속하거나,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이 마련된 공간에 근접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자동 접속하되, 한 번의 접속 설정이 이루어지면 이후부터는 기존에 남아 있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을 탐색하여 탐색된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에 자동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팅 단말은,
    스테이션 모드와 포스팅 모드를 포함하는 상기 주크박스 앱을 탑재하고, 상기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상기 스테이션 모드 또는 상기 포스팅 모드로 설정 또는 변경한 후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포스팅 단말에서 상기 주크박스 앱의 모드를 상기 포스팅 모드에서 상기 스테이션 모드로 변경하면 다른 포스팅 단말로부터 음원을 포스팅받아 실시간 재생할 수 있는 주크박스용 스테이션 단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65034A 2017-05-26 2017-05-26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1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34A KR20170071455A (ko) 2017-05-26 2017-05-26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34A KR20170071455A (ko) 2017-05-26 2017-05-26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350 Division 2015-12-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439A Division KR20180021045A (ko) 2018-02-19 2018-02-1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455A true KR20170071455A (ko) 2017-06-23

Family

ID=5928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034A KR20170071455A (ko) 2017-05-26 2017-05-26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367B2 (en) Music player connection system for enhanced playlist selection
US9084089B2 (en) Media data exchange transfer or deliv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U2006335157B2 (en) Media data transfer
JP4972160B2 (ja) メディアファイルの公開、共有、及びアクセスを行うための移動無線通信端末、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23004758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ng playlists
CN101969467B (zh) 在镜像设备中提供客户服务的方法
CN106462918A (zh) 用于发送播放列表的方法和系统
US10976995B2 (en) Media sharing community
KR101924205B1 (ko)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관리 방법
KR20150097894A (ko) 기분에 기초한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23650B1 (ko) 다자접속 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그 미디어 재생방법
KR20180065218A (ko)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매장 맞춤형 음악 채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15518B1 (ko) 플레이리스트 기반의 음악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22161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7915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70071455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1045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252453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ヘッドフォン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45140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크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과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위한 주크박스 단말
KR102307639B1 (ko) 핸드폰 영상밴드 노래반주 시스템
JP2014027514A (ja) イコライザ設定支援システム及びイコライザ設定装置
KR102369682B1 (ko) 음원 재생정보 제공시스템
JP6665941B2 (ja) 情報処理装置、スマートフォン、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08075847A1 (en) The real time download system and method of music file on the air
JP202106078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