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395A -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395A
KR20170071395A KR1020160056655A KR20160056655A KR20170071395A KR 20170071395 A KR20170071395 A KR 20170071395A KR 1020160056655 A KR1020160056655 A KR 1020160056655A KR 20160056655 A KR20160056655 A KR 20160056655A KR 20170071395 A KR20170071395 A KR 2017007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spherical
lens
lenses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068B1 (ko
Inventor
이종구
황성길
Original Assignee
(주)다울아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울아토닉스 filed Critical (주)다울아토닉스
Publication of KR2017007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04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lidar signals or the like, e.g. laser illuminators
    • G01S7/4806Road traffic laser det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대칭적 원형 광세기 분포로 보정된 광원을 상기 일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산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 비구면 렌즈; 상기 제1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광원을 퍼지게 하는 제1 구면 렌즈; 상기 제1 구면 렌즈를 통과한 광원을 발산시키는 제2 구면 렌즈;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 상기 제2 구면 렌즈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기결정된 각도로 방사시키도록 배치되는 볼록 또는 오목 면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광원을 검출하여서 상기 객체들의 3차원 방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도록 하는 2차원 검출기를 포함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DETECTING DEVICE FOR LIDAR LIGHT SOURCE WITHOUT ROTATION}
본 발명은 라이다 광원 및 이 반사 빔들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없이 광을 조사하고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라이다와 이들 반사광들을 관측하는 검측기를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다(LiDar)는 단일 광원과 이 광원에 대응하는 단일 검출기를 측정하려는 영역에 2차원 주사(scanning)하거나, 여러 개를 광원들을 직선으로 나열하고 이들 신호들에 1대1 대응하여 검출기들을 부착한다.
또한, 라이다는 이 장치를 360도 회전 주사시켜, 각각의 순간 주사 위치(또는 회전각)에서 조사한 광과 공간의 사물에서 반사된 광의 도달하는 시간차를 얻어 이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의 위치 데이터로 변환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라이더는 각각의 위치에서 얻은 모든 데이터를 조합하여 실시간으로 매 주사 (회전)마다 공간사물의 지형과 객체에 대한 3차원 지형지물과 객체정보 그리고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현재, 라이더는 지리적 정보를 얻기 위해 항공기나 인공위성에 부착되고, 군사적으로 비행체나 적군 객체들을 인식하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라이다의 기술은 미래형 자동차의 자율주행을 위한 3차원 지형지물 및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도 1은 미래형 자동차의 자율주행을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라이다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이다에서 한 방향에 대해서 목표물의 거리를 측정해내는 원리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광원에서 출발한 펄스레이저의 펄스가 검출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과 이미 알고 있는 광속을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TOF(time-of-flight) 방법 및 연속적인 레이저(continuous wave Laser)를 사용하여 돌아온 레이저의 위상 변화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 하는 PBS(phase-based scanning) 방법이 시용된다.
위상차 변화를 이용하는 PBS 방법은 펄스레이저를 이용하는 TOF 방법보다 같은 시간에 많은 공간 정보를 받을 수 있는 반면, 더 심한 노이즈와 더 많은 실패 (false) 데이터를 얻는 경향 때문에 측정 적용 거리가 매우 짧다.
이에 반하여,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TOF 방법은 물체에 반사된 광이 검출부에 인지할 수 있는 한에서 먼 거리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TOF 방법의 경우, 3차원의 지형지물과 객체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광원부와 검출부가 함께 2차원으로 반복 주사되거나 혹은 회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라이다는 회전 주사를 위한 회전체의 내구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라이다 보다 더 내구성 있는 주사 방식, 무회전 주사방식, 및 무주사 방식이 요구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회전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공간 지형지물과 객체에 대한 3차원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무회전과 무주사 라이다 광원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방사 빔을 원형환 선형링 모양 (annual line ring pattern)으로 만들고, 이를 수평 및 수직으로 요구되는 사이 각의 전 영역에 주사함으로써 저출력 무회전 라이다 광원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평형 미소 빔을 만들고, 이 요소들 중에 일부를 비구면 거울에 대해서 상대적인 변위를 줌으로써 수평 및 수직으로 요구되는 사이 각의 전 영역에 주사함으로써 내구성이 확보된 초저출력 라이다 광원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는 일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대칭적 원형 광세기 분포로 보정된 광원을 상기 일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산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 비구면 렌즈; 상기 제1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광원을 모았다가 다시 퍼지게 하는 제1 구면 렌즈; 상기 제1 구면 렌즈를 통과한 광원을 발산시키는 제2 구면 렌즈;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 상기 제2 구면 렌즈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기결정된 각도로 방사시키도록 배치되는 볼록 또는 오목 면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광원을 검출하여서 상기 객체들의 3차원 방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도록 하는 2차원 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는 제1 구면 렌즈 및 제1 비구면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비구면 렌즈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에 따라 원형환 모양으로 발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구면 반사경은, 상기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원형환 모양의 광원을 상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기결정된 각도로 방사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는,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함께 상기 비구면 반사경에 대해 상대 이동시킨다.
상기 제1 선형 변위체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선형 변위체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는 경통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경통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에 의해 상기 비구면 반사경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상기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는 각각 경사진 면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경사진 면이 서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는, 상기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 의해 발산되는 광원을 기결정된 두께 및 입체각을 가지고 발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비구면 렌즈는, 상기 제1 비구면 렌즈에 의해 발산되는 광원을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발산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비구면 반사경에 의해 방사되는 광원의 상기 수평 방향의 기 결정된 각도는, 360도의 각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비구면 반사경은, 임의의 불규칙 곡면들을 구비한다.
상기 비구면 반사경은, 콘 미러(cone mirror), 비구면 볼록 거울(aspheric convex mirror) 또는 비구면 오목 거울(aspheric concave mirror)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구면 렌즈들 및 비구면 거울 등을 구비함으로써, 회전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공간 지형지물과 객체에 대한 3차원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를 통해 광원을 원형환 선형링 모양으로 발산시키고, 이를 수평 및 수직으로 요구되는 사이 각의 전 영역에 주사함으로써 저출력 무회전 라이다 광원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여러 비구면 렌즈들을 사용하여 평형 미소 빔을 만들고, 이 요소들 중에 일부를 비구면 거울에 대해서 상대적인 변위를 줌으로써 수평 및 수직으로 요구되는 사이 각의 전 영역을 주사시켜서 초저광입력 광원으로 활용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는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시항만 한정되어서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라이다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라이다 장치에서 한 방향에 대해서 목표물의 거리를 측정해내는 원리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복수의 라이다 광원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개념도.
도 6은 복수의 라이다 광원에서 광원이 조사되어 하나로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7에는, 볼록면 및 오목면의 반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a)는, 광원부(10), 제1 비구면 렌즈(30),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 비구면 반사경(60), 검출기(90)를 포함한다.
광원부(10)는 도 3, 4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일 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일 방향은 일례로, Z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광원은 광원부(10)에서 투사되어 렌즈 등을 통과하고 반사경에 반사되는 물질일 수 있고, 후술하는 렌즈 및 반사경을 통해서 일정 부분 처리되어 객체에 제공되는 물질일 수도 있다.
광원부(10)는 일례로, 레이저(LASER,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파이버 레이저(fiber LASER),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파이버를 끝단으로 출력되는 원형 광원을 이루는 파이버 레이저(fiber LASER)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원부(10)는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방향을 향해 광원을 조사하는 일례가 도시된다.
제1 비구면 렌즈(30)는 광원부(10)에서 조사된 광원을 상기 일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산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비구면 렌즈(30)는 실린드리컬 렌즈(20)의 상측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광원을 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발산시키며 통과시키는 일례가 도시된다.
제1 구면 렌즈(110)는 제1 비구면 렌즈(30)에서 발산된 광원을 포커싱된 후 다시 퍼지게 하도록 통과시키는데, 이로 인해 광원은 기결정된 각도 만큼 퍼지게 된다.
제1 구면 렌즈(120)는 제1 구면 렌즈(110)를 통과한 광원을 평행각을 가지고 발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는 도 3을 참조하면, 경통(100)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구비된다. 경통(100)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례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는 경통(100)의 양단에 구비됨으로 인해 후술하는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경우,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비구면 반사경(60)은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비구면 반사경(60)은 반사면(60a)을 구비한다. 반사면(60a)은,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방사시키도록 배치된다.
반사면(60a)은 볼록 또는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목한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일 예가 도시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반사면(60a)은 전체적으로 V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110, 120)를 통과한 광원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기결정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산시키도록 한다.
도 7에는, 볼록면(60a-1) 및 오목면(60a-2)의 반사면(60a)을 각각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60)의 일 예가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도 7에서, 볼록면(60a-1)을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60)은 비구면 볼록 거울일 수 있고, 오목면(60a-2)을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60)은 비구면 오목 거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은 하나의 선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객체들의 3차원 방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반사경에 방사되는 광원의 위치는 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에는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가 설치되게 된다.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는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례로, 광원부(10)로부터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을 Z방향이라고 가정한다면,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는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선형 변위체는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선형 변위체는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일방향을 Z 방향이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제1 및 제2방향은 각각 X 방향 및 Y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는,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함께 비구면 반사경(6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는 경통(100)의 가운데 부근의 측면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130, 140)는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X 및 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진 광원이 반사면(60a)에 의해 반사되어 수직 방향으로 기결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방사되는 예가 도시된다.
또한, 후술하는 검출기(90)는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원을 검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2차원 픽셀의 CCD(Charge Coupled Device, 90a)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픽셀의 CCD(90a)는 512 x 512의 차원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는 실린드리컬 렌즈, 무반사 코팅창(미도시) 및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드리컬(cylindrical) 렌즈(20)는 광원들의 비대칭적인 광세기 분포를 대칭적 원형 광세기 분포로 보정한다. 실린드리컬 렌즈(20)는 비대칭적인 광세기 분포의 보정을 위한 것으로, 원형 대칭적 광세기 분포를 가진 광원이 광원부(10)를 통해서 조사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실린드리컬 렌즈(20)를 통해 광원이 보정되면, 단일광원으로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원부(10)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통과시켜서, 비대칭적인 광세기 분포를 대칭적 원형 광세기 분포로 보정시키는 실린드리컬 렌즈(20)의 일례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가 실린드리컬 렌즈(20)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비구면 렌즈에서 발산되는 광원은 실린드리컬 렌즈(20)에서 보정된 광원일 수 있다.
무반사 코팅창은 비구면 반사경(60)에서 방사된 광원을 되반사 없이 투과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무반사 코팅창은 비구면 반사경(60)에서 방사된 광원이 투과시키도록 광원부(10)에서 비구면 반사경(60)이 배치되는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무반사 코팅창은 일례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무반사 코팅창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구면 반사경(60)에서 방사된 광원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는 무반사 코팅창을 투과하고 객체들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온 광원의 선택적인 통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필터는 일례로, 후술하는 검출기(90)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b)에 대하여 서술한다. 다른 실시예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b)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b)에서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를 더 포함한다.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는 제1 구면 렌즈(110) 및 제1 비구면 렌즈(3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비구면 렌즈(30)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에 따라 원형환 모양(annual ring pattern)으로 발산시킨다. 상기 원형환 모양은 선형 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일정한 입체각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환 모양으로 발산된 광원은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반사면(60a)을 통해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결정된 각도로 방사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b)에서의 광원은 일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광원이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를 통과하여 원형환 모양으로 발산되어 비구면 반사경에 의해 방사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기결정된 각도 만큼의 영역에 방사될 수 있게 된다.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는 각각 경사진 콘 형상의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는 경사진 콘 형상의 면이 서로 마주보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일례가 도 4에 도시된다.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는 제1 비구면 렌즈(30)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에 따라 원형환 모양으로 발산시킨다. 또한, 발산된 원형환 모양의 광원은 제1 및 제2 구면 렌즈(110, 120)를 통과하여, 비구면 반사경(60)에 도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b)는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40, 50)를 더 포함하고, 그 외의 구성은 일 실시예의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1000a)와 같다.
수평 방향의 기결정된 각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360°일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의 기결정된 각도는 일례로, 상측으로 5° 하측으로 25°일 수 있다.
비구면 반사경(60)은 콘 미러(cone mirror), 비구면 볼록 거울(aspheric convex mirror) 및 비구면 오목 거울(aspheric concave mirror)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 미러는 원뿔 형상일 수 있다.
검출기(90)는 반사면(60a)에서 방사되어 객체에 도달하였다가 다시 돌아오는 광원을 검출하여서 객체들의 3차원 방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도록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기(90)는 2차원 CCD(9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 를 참조하면, 일례로, 검출기(90)는 비구면 반사경(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10 여개의 검출기(90)가 원호의 형태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판의 형상을 이루는 일례가 도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일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대칭적 원형 광세기 분포로 보정된 광원을 상기 일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발산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 비구면 렌즈;
    상기 제1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광원을 모았다가 다시 퍼지게 하는 제1 구면 렌즈;
    상기 제1 구면 렌즈를 통과한 광원을 발산시키는 제2 구면 렌즈;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
    상기 제2 구면 렌즈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기결정된 각도로 방사시키도록 배치되는 볼록 또는 오목 면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비구면 반사경;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광원을 검출하여서 상기 객체들의 3차원 방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도록 하는 2차원 검출기를 포함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면 렌즈 및 제1 비구면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비구면 렌즈를 통해 발산된 광원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에 따라 원형환 모양으로 발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구면 반사경은, 상기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를 통과한 원형환 모양의 광원을 상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기결정된 각도로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함께 상기 비구면 반사경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 변위체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선형 변위체는,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면 렌즈는 경통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경통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선형 변위체에 의해 상기 비구면 반사경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는 각각 경사진 면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경사진 면이 서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는, 상기 제2 및 제3 비구면 렌즈 의해 발산되는 광원을 기결정된 두께 및 입체각을 가지고 발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구면 렌즈는, 상기 제1 비구면 렌즈에 의해 발산되는 광원을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발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반사경에 의해 방사되는 광원의 상기 수평 방향의 기 결정된 각도는, 360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반사경은,
    임의의 불규칙 곡면들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반사경은, 콘 미러(cone mirror), 비구면 볼록 거울(aspheric convex mirror) 또는 비구면 오목 거울(aspheric concave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KR1020160056655A 2015-12-15 2016-05-09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KR101850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9042 2015-12-15
KR1020150179042 2015-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95A true KR20170071395A (ko) 2017-06-23
KR101850068B1 KR101850068B1 (ko) 2018-04-19

Family

ID=592832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653A KR20170071394A (ko) 2015-12-15 2016-05-09 무회전 무주사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KR1020160056655A KR101850068B1 (ko) 2015-12-15 2016-05-09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653A KR20170071394A (ko) 2015-12-15 2016-05-09 무회전 무주사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7139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823A (ko) * 2017-11-23 2019-05-31 전자부품연구원 전방위 무회전 스캐닝 라이다 시스템
WO2020085562A1 (ko) * 2018-10-22 2020-04-30 전자부품연구원 넓은 시야각 구조를 갖는 고효율 무회전 스캐닝 라이다 시스템
WO2020085561A1 (ko) * 2018-10-22 2020-04-30 전자부품연구원 고효율 무회전 스캐닝 라이다 장치
CN111247481A (zh) * 2017-12-27 2020-06-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学装置
KR20200116276A (ko) * 2019-04-01 2020-10-12 구영욱 모터리스 전방위 장애물 인지 센서
WO2020221619A1 (de) 2019-04-29 2020-11-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Optische detektions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objekten und empfangseinrichtung für eine optische detektionsvorrichtung
EP3839609A1 (de) * 2019-12-16 2021-06-23 Hilti Aktiengesellschaft Lasersystem zur erzeugung einer linienförmigen lasermarkierung
WO2021153828A1 (ko) * 2020-01-31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장치
WO2021201331A1 (ko) * 2020-04-01 2021-10-07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스마트 공장의 작업 안전을 위한 전방위 무회전 라이다 기반 안전 시스템
US11442147B2 (en) * 2018-03-07 2022-09-13 Robert Bosch Gmbh Transmitter unit and lidar device for scanning a scanning reg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21B1 (ko) * 2017-07-27 2022-01-12 주식회사 엠쏘텍 라이다 장치
WO2019131029A1 (ja) * 2017-12-27 2019-07-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学装置
WO2020179342A1 (ja) * 2019-03-01 2020-09-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学装置
CN110231628A (zh) * 2019-04-22 2019-09-13 东莞市光劲光电有限公司 一种三维激光雷达及其定位方法
WO2020218683A1 (ko) * 2019-04-23 2020-10-29 이지스로직 주식회사 라이다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획득 시스템
KR102374619B1 (ko) * 2021-08-10 2022-03-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기형 조종거울 구동 장치 및 시스템
KR102374618B1 (ko) * 2021-08-10 2022-03-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압전형 조종거울 구동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0558B2 (ja) * 2004-03-09 2009-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ビーム光学系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JP2007198951A (ja) * 2006-01-27 2007-08-09 Omron Corp レーダ
JP5468836B2 (ja) * 2009-07-28 2014-04-09 株式会社 光コム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6123163B2 (ja) * 2012-03-21 2017-05-1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距離測定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823A (ko) * 2017-11-23 2019-05-31 전자부품연구원 전방위 무회전 스캐닝 라이다 시스템
CN111247481A (zh) * 2017-12-27 2020-06-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学装置
CN111247481B (zh) * 2017-12-27 2024-03-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学装置
US11442147B2 (en) * 2018-03-07 2022-09-13 Robert Bosch Gmbh Transmitter unit and lidar device for scanning a scanning region
WO2020085562A1 (ko) * 2018-10-22 2020-04-30 전자부품연구원 넓은 시야각 구조를 갖는 고효율 무회전 스캐닝 라이다 시스템
WO2020085561A1 (ko) * 2018-10-22 2020-04-30 전자부품연구원 고효율 무회전 스캐닝 라이다 장치
KR20200116276A (ko) * 2019-04-01 2020-10-12 구영욱 모터리스 전방위 장애물 인지 센서
WO2020221619A1 (de) 2019-04-29 2020-11-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Optische detektions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objekten und empfangseinrichtung für eine optische detektionsvorrichtung
EP3839609A1 (de) * 2019-12-16 2021-06-23 Hilti Aktiengesellschaft Lasersystem zur erzeugung einer linienförmigen lasermarkierung
WO2021122100A1 (de) * 2019-12-16 2021-06-24 Hilti Aktiengesellschaft Lasersystem zur erzeugung einer linienförmigen lasermarkierung
WO2021153828A1 (ko) * 2020-01-31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장치
WO2021201331A1 (ko) * 2020-04-01 2021-10-07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스마트 공장의 작업 안전을 위한 전방위 무회전 라이다 기반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94A (ko) 2017-06-23
KR101850068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068B1 (ko) 무회전 라이다 광원 검출 장치
KR101964971B1 (ko) 라이다 장치
CA3012691C (en) Lidar based 3-d imaging with far-field illumination overlap
US11953626B2 (en) LiDAR device
CN107219533B (zh) 激光雷达点云与图像融合式探测系统
US10782392B2 (en) Scanning optical system and light projecting and receiving apparatus
US10305247B2 (en) Radiation source with a small-angle scanning array
US9285266B2 (en) Object detector including a light source with light emitting region of a first siz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ize in a second direction
KR101785253B1 (ko) 라이다 장치
US10436880B2 (en) Appliance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in a detection region
CN109154661A (zh) 用于基于lidar的3-d成像的集成照射和检测
US11662463B2 (en) Lidar apparatus and method
JP5267786B2 (ja) レーザレーダ及びレーザレーダによる境界監視方法
JP6618042B2 (ja) 投受光装置
KR102607187B1 (ko) 라이다 장치
US20170199272A1 (en) Optical reflection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JPWO2017135224A1 (ja) 光走査型の対象物検出装置
US9964644B2 (en) Laser radar apparatus
JP2016038211A (ja) レーザレーダ装置
KR20170134944A (ko) 광학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을 스캔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090081A (zh) 激光雷达扫描系统及其角度扩束装置和应用
CN115480254A (zh) 一种检测方法及装置
US10634773B2 (en) Monitoring sensor and floor-bound vehicle
JP6920538B2 (ja) 走査装置及び測定装置
US10048492B2 (en) Scanning optical system and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