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819A -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819A
KR20170069819A KR1020150177496A KR20150177496A KR20170069819A KR 20170069819 A KR20170069819 A KR 20170069819A KR 1020150177496 A KR1020150177496 A KR 1020150177496A KR 20150177496 A KR20150177496 A KR 20150177496A KR 20170069819 A KR20170069819 A KR 2017006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dhesive layer
film
acrylate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545B1 (ko
Inventor
문성현
곽병도
이우진
김일진
김지호
조익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5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실리콘계 점착층 및 상기 실리콘계 점착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표시장치는 윈도우 필름, 도전성 필름 및 유기발광소자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터치패드(touch pad)는 윈도우 필름과 도전성 필름 사이에 투명 점착필름(OCA, optical clear adhesive)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터치패드는 사람의 손 또는 소정의 물체 등의 윈도우 필름의 접촉으로 정전 용량이 변함으로써 발생된 신호로 작동된다.
최근, 투명 점착필름은 여러 개의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점착층을 복수 개 적층시켜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층의 투명 점착필름은 실리콘계 점착층과 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층은 점착필름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고, 실리콘계 점착층은 점착필름의 신뢰성,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점착층과 아크릴계 점착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 계면 박리강도가 낮아, 서로 박리될 수 있다.
한편, 최근 광학표시장치에서 접고 펼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flexible)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장치에 포함되는 각종 광학 소자들이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투명 점착필름은 윈도우 필름과 도전성 필름 사이에 형성되므로, 양면의 접착력이 우수해야 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벤딩성 및/또는 폴딩성도 좋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3-06773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가 높은,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황변 발생이 없고, 고온 및/또는 고습에서 신뢰성이 우수한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항변화율이 낮아 신뢰성이 우수한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벤딩 및/또는 폴딩 조건에서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갖는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필름은 실리콘계 점착층 및 상기 실리콘계 점착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상기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가 높은,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황변 발생이 없고, 고온 및/또는 고습에서 신뢰성이 우수한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저항변화율이 낮아 신뢰성이 우수한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벤딩 및/또는 폴딩 조건에서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갖는 다층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된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C1 내지 C10의 알킬기, C1 내지 C10의 티오알킬기,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 할로겐(F, Cl, Br 또는 I), C3 내지 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C6 내지 C20의 아릴기로 치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필름 중 실리콘계 점착층과 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는 점착필름이 아크릴계 점착층, 실리콘계 점착층, 아크릴계 점착층의 3층 구조인 경우 각각 아크릴계 점착층을 유리판과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점착시키고, 300mm/분의 속도로 25℃에서 180°로 박리시 박리강도이고, 점착필름이 아크릴계 점착층, 실리콘계 점착층의 2층 구조인 경우 아크릴계 점착층을 유리판에 실리콘계 점착층을 코로나 처리된 PET 필름에 점착시키고, 300mm/분의 속도로 25℃에서 180°로 박리시 박리강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층 또는 점착필름의 "모듈러스"는 저장 모듈러스이고, 점착층 또는 점착필름을 복수 개 적층시키고 천공하여 두께 500㎛ 및 직경 8mm의 시편을 제조하고, shear rate 1rad/sec, strain 1%에서 auto strain 조건에서 8mm의 지그를 이용하여 -60℃ 내지 90℃의 온도 범위에서 5℃/min의 온도 상승 속도로 측정을 수행하고, 이 중 -20℃, 25℃ 및 80℃에서 각각 모듈러스를 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Malvern社의 Zetasizer nano-ZS 장비로 수계 또는 유기계 용매에서 측정하여 Z-average 값으로 표현되는 유기 입자의 입경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착필름(10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 및 실리콘계 점착층(120)을 포함하고,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유화제(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과 실리콘계 점착층(120) 사이에 어떠한 점착층, 접착층도 개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점착필름(10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을 포함함으로써 실리콘계 점착층(120)과 제1 (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 간의 계면 박리강도를 높여, 실리콘계 점착층(120)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이 서로 분리되지 않아 점착필름(10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점착층(120)과 제1 (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 간의 계면 박리강도는 600gf/in 이상, 더 구체적으로 600gf/in 내지 5,000gf/in, 더 구체적으로 600gf/in 내지 1,500gf/in가 될 수 있다.
점착필름(100)은 실리콘계 점착층(120)을 포함함으로써, 응력 완화 특성이 좋고, 실리콘계 점착층(120)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계면 박리강도가 높아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점착필름(100)은 벤딩 및/또는 폴딩 조건에서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가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100)은 하기 식 1을 만족하고, 25℃에서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신뢰성 및 작업성도 우수할 수 있다:
<식 1>
G2(25) x 2 ≤ G1(25) ≤ G2(25) x 10
(식 1에서, G2(25)는 25℃에서 실리콘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G1(25)은 25℃에서 제1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100)은 하기 식 2를 만족하고, 저온에서도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점착필름의 박리강도가 유지되고, 신뢰성 및 작업성도 우수할 수 있다:
<식 2>
G2(-20) x 10 ≤ G1(-20)
(상기 식 2에서, G2(-20)는 -20℃에서 실리콘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G1(-20)은 -20℃에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100)은 하기 식 3을 만족하고, 고온에서도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실리콘계 점착층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박리력이 유지되고, 신뢰성 및 작업성도 우수할 수 있다:
<식 3>
G1(80) ≤ G2(80)
(상기 식 3에서, G2(80)는 80℃에서 실리콘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G1(80)은 80℃에서 제1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점착필름(10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을 포함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이 좋고, 실리콘계 점착층(120)을 포함함으로써 내구 신뢰성이 좋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착체"는 윈도우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편광자, 편광판, 유기발광소자 배리어층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필름(100)은 -20℃에서 모듈러스가 10KPa 내지 500KPa, 25℃에서 모듈러스가 10KPa 내지 400KPa, 80℃에서 모듈러스가 10KPa 내지 300K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온, 고온에서 폴딩이 우수할 수 있다. 점착필름(100)은 가시광 영역(예: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헤이즈가 1% 이하, 구체적으로 0.1% 내지 0.9%,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 구체적으로 95% 내지 9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투명성이 좋아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100)은 두께가 20㎛ 내지 300㎛, 구체적으로 70㎛ 내지 2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점착필름(100)에 접착력과 내구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의 두께: 실리콘계 점착층(120)의 두께는 두께비가 1:0.5 내지 1:5, 구체적으로 1:1 내지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접착력과 내구 신뢰성이 좋고,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을 나타내어 유연성이 좋을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두께가 10㎛ 내지 100㎛, 구체적으로 1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실리콘계 점착층 대비 적정 두께를 가져 점착필름에 응력 완화 특성과 접착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25℃에서 모듈러스가 10KPa 내지 400KPa, 구체적으로 50KPa 내지 300K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필름은 신뢰성과 접착성이 좋을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하, 구체적으로 -150℃ 내지 0℃, 더 구체적으로 -150℃ 내지 -10℃, 더욱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저온 및 상온에서의 점탄성 특성이 우수하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은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계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개시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 중합되어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을 부분 중합하여 점도가 500 내지 5000cps인 점성 액체를 얻은 후, 코팅 후 경화시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부분 중합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g/mol 내지 2,500,000g/mol 구체적으로 700,000g/mol 내지 2,000,000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온 및 고습 테스트에서 신뢰성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 이하,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 더욱 구체적으로 -150℃ 내지 -30℃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저온 및 상온에서의 점탄성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계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점착필름(100)은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하, 구체적으로 -80℃ 내지 -10℃이며, 하기 식 4의 저항변화율(△R)이 5% 이하, 구체적으로 0% 내지 5%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시 정전 용량값을 낮추고, 신호에 시간 지연의 발생을 줄여 센싱 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식 4>
Figure pat00001
(상기 식 4에서, P1은 점착필름 양 말단에 전극이 형성된 샘플에 대해 측정한 초기 저항(단위:Ω)이고, P2는 상기 샘플을 60℃ 및 90% 상대습도에서 24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저항(단위:Ω)이다).
비-수산기계 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가 될 수 있고,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 및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점착력의 증대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는 에틸렌옥사이드기(-CH2CH2O-)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모노메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모노프로필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모노부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디메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디에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알킬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에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프로필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모노부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디메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디에틸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알킬에터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는 모노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tert-뷰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옥시에틸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다이페닐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페인설폰산나트륨 등의 설폰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는 p-tert-부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o-바이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페닐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는 2-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비닐 트리스(β-메톡시에틸)실란, 비닐트라이아세틸실란, 메트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기를 지닌 비닐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력 상승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Tg)가 -80℃ 내지 -2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유리전이온도에서 점착필름은 저온 및 상온에서의 점탄성 특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유리전이온도(Tg)가 -20℃ 이하이고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계 단량체 60중량% 내지 95중량%, 구체적으로 60중량% 내지 80중량%,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5중량% 내지 40중량%, 구체적으로 20중량% 내지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비-수산기계 단량체로써,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지환족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지환족 헤테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비닐기를 갖는 카르복시산, 또는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β-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 산, 푸마르산, 비닐초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3중량% 미만, 구체적으로 0중량%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필름의 접착력을 높이는 결과를 얻으면서, 저항 변화율을 낮출 수 있다.
지환족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분자 내에 하나의 올레핀 이중 결합 및 하나 이상의 지환족 구조를 포함하는 단량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시클로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α-에톡시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페닐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지환족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α-에톡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시클로헥실 메틸 이타코네이트, 디시클로옥틸 이타코네이트, 디시클로도데실 메틸 숙시네이트, 비닐 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지환족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지환족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0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유리 기재 부착력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지환족 헤테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탄소수 4 내지 6으로 질소, 산소 또는 황을 갖는 단일환의 지환족 헤테로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환족 헤테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0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유리 기재 부착력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개시제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점착필름 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활성화시켜 라디칼 반응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개시제는 히드록시 케톤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질케탈 타입 화합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 케톤계 화합물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 p-t-부틸 트리클로로 아세토페논, p-t-부틸 디클로로 아세토페논, 4-클로로 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 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 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모폴리노 페닐)-부탄-1-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개시제는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계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온 및/또는 고습에서 신뢰성이 우수하며,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모듈러스를 달성할 수 있어 폴딩성이 용이한 점착필름으로써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유화제는 실리콘계 점착층과 접하는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 실리콘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유화제는 점착필름 제조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 실리콘계 점착층을 합지한 후 소정 시간 가열 처리함으로써 표면 개질 효과를 더 높여 실리콘계 점착층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를 높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화제는 공중합체 제조시 사용되는 첨가제로 공중합체 제조 후 경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어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공중합체 제조 후 유화제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 실리콘계 점착층의 계면 박리강도가 향상된다는 것에 기초한 것이다. 유화제는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전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중 실리콘계 점착층과 접하는 표면 부분에만 일부 포함될 수도 있다. 유화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8중량부,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실리콘계 점착층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박리강도를 높이고,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좋게 하여, 황변 발생이 없게 할 수 있다. 유화제는 액상의 화합물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에 포함시 헤이즈를 낮추고 표면 개질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유화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동시에 가짐으로써 실리콘계 점착층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를 높일 수 있다. 유화제는 지방산계, 직사슬 알킬벤젠계, 고급 알코올계, 알킬페놀계, 알파올레핀계, 노르말파라핀계, 알킬글루코시드계,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계,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계, 로진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타슘 소프(potassium soap), 포타슘 스테아레이트(potassium, stearate), 술포숙신산의 하프 에스테르(모노 에스테르) 솔트(salt of half ester of succinic acid),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가교제, 실란커플링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트)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교제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계 점착층(120)과의 점착력이 좋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제조할 수 있다. 가교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0.15중량부,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0.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용제성 및 UV 반응시 적당한 가교도를 가져 내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메트)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신뢰성이 우수하고, 접착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유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또는 점착필름에는 유기 입자가 더 포함됨으로써, 저온 및/또는 상온 점탄성이 우수하고, 가교된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온 점탄성이 안정적으로 발현된다. 구체예에서, 유기 입자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수산기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nm 내지 400nm, 구체적으로 10nm 내지 300nm, 더욱 구체적으로 10nm 내지 2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 입자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투명도가 우수하다. 유기 입자는 코어-쉘 구조이고, 유기 입자는 하기 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식 5>
Tg(c) < Tg(s)
(상기 식 5에서 Tg(c)는 코어의 유리전이온도(단위:℃)이고, Tg(s)는 쉘의 유리전이온도(단위:℃)이다).
코어의 유리전이온도는 -150℃ 내지 10℃, 구체적으로 -150℃ 내지 -5℃, 더욱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저온(-20℃)에서 요구되는 저장 모듈러스 값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저온 및/또는 상온 점탄성 특성이 우수하다. 코어는 상기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는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폴리헥실 아크릴레이트, 폴리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를 포함할 수 있다. 쉘의 유리전이온도는 15℃ 내지 150℃, 구체적으로 35℃ 내지 150℃, 더욱 구체적으로 50℃ 내지 140℃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유기입자의 분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쉘은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입자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하여 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 구체적으로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0.5중량부 내지 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점탄성과 저장 모듈러스 및 리커버리력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수지(폴리올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다이엔 수지 등),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3중량부 내지 3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5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리콘계 점착층(120)에 대해 설명한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은 점착필름(100)에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은 두께가 30㎛ 내지 200㎛, 구체적으로 4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벤딩/폴딩 조건에서의 응력 완화 및 들뜸 현상이 적은 장점이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은 -20℃에서 모듈러스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대비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점착필름은 양호한 벤딩 및 양호한 폴딩성을 가져 유연성이 좋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점착층(120)은 -20℃에서 모듈러스가 1KPa 내지 300K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벤딩/폴딩 특성이 좋고,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의 박리력이 우수하고 신뢰성 및 작업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은 실리콘 중합체, 및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중합체는 실리콘 결합된 비닐기(Si-vinyl)를 갖는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고,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과 히드로실릴화 반응(hydrosilylation)함으로써 실리콘계 점착층의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리콘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D 단위 RaRbSiO2 /2(이때,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다)와 *-SiRcRdVi(이때, *는 원소의 연결 부위,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고, Vi는 비닐기이다)를 포함하는 선형의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a,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의 알킬기, 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또는 헥실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R1R2ViSiO-(R3R4SiO)n-SiR5R6Vi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고, Vi는 비닐기이고, 상기 n은 정수이다). 실록산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g/mol 내지 200,000g/mol인 경우, 상기 범위에서, 양호한 벤딩 및 양호한 폴딩을 갖는 점착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R1, R2, R3,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6의 알킬기, 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또는 헥실기가 될 수 있다. n은 1 이상의 자연수가 될 수 있고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실리콘 중합체는 실리콘 중합체 단독 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서로 다른 2종의 실리콘 중합체의 혼합물로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g/mol 초과 내지 200,000g/mol인 제1실리콘 중합체와,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g/mol 내지 100,000g/mol인 제2실리콘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1실리콘 중합체와 제2실리콘 중합체의 합 100중량부에 대해 제1실리콘 중합체는 80중량부 내지 90중량부, 제2실리콘 중합체는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이 있을 수 있다.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은 실리콘 중합체와 히드로실릴화 반응함으로써, 실리콘계 점착층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오르가노히드로젠실록산(organohydrogensiloxane)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D 단위 HReSiO2 /2(이때, Re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다)를 갖는 오르가노히드로젠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은 D 단위 HReSiO2/2(이때, Re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와 하나 이상의 D 단위 RaRbSiO2/2(이때, Ra 및 Rb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를 갖는 오르가노히드로젠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R7R8R9SiO-(HR10SiO)x-(R11R12SiO)y-SiR13R14R15
(상기 화학식 2에서,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고, x는 1 이상의 자연수, y는 0 이상의 정수). 상기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2,000인 경우, 실리콘 점착층의 폴딩 및 벤딩 특성이 좋다.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은 실리콘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모듈러스가 향상되며, 폴딩 및 벤딩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 중 실리콘 중합체의 Si-vinyl의 몰수에 대한 실리콘 화합물의 Si-H의 몰수의 비(Si-H의 몰수/Si-vinyl의 몰수)가 0.6 내지 0.9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온에서 유연성 및 접착력을 가지게 되므로, 점착필름은 벤딩/폴딩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Si-vinyl의 몰수에 대한 Si-H의 몰수의 비(Si-H의 몰수/Si-vinyl의 몰수)가 0.95 초과 1.5 이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1가 실록산 M 단위와 4가 실록산 Q 단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MQ 실리콘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듈러스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력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MQ 실리콘 수지는 M 단위 R'R"R"'SiO1/2(이때, R',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다)와 Q 단위 SiO4 /2를 포함할 수 있다. MQ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 수지 중 M 단위의 몰수:Q 단위의 몰수의 비는 0.5:1 내지 1.5:1, 구체적으로 0.6:1 내지 1.2:1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실리콘 중합체,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등과 잘 혼합될 수 있고, 내구성이 좋은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D 단위 R'ViSiO2 /2(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기이고, Vi는 비닐기이다)를 갖는 실록산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록산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이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모듈러스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및 실리콘 결합된 비닐기(Si-vinyl)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와 하나 이상의 Si-vinyl기를 포함함으로써 실리콘계 점착층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양자와 반응함으로써 계면 박리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비닐디메틸실록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비스(비닐디메틸실록시)메틸실란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실리콘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구체적으로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좋을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위한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위한 촉매는 실리콘 중합체,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및 실리콘 결합된 비닐기(Si-vinyl)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간의 반응을 촉매함으로써 실리콘계 점착층의 형성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위한 촉매는 통상의 알려진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위한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촉매는 백금 촉매, 로듐 촉매, 팔라듐 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촉매는 미분된 백금 분말,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알코올 용액, 백금-알케닐실록산 착물, 백금-올레핀 착물, 및 백금-카르보닐 착물로 예시될 수 있다. 알케닐실록산은 1,3-다이비닐-1,1,3,3-
테트라메틸다이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전술한 알케닐실록산 중 메틸의 일부분을 예를 들어 에틸 또는 페닐로 대체함으로써 제공되는 알케닐실록산, 및 전술한 알케닐실록산 중 비닐기를 예를 들어 알릴기 또는 헥세닐기로 대체함으로써 제공되는 알케닐실록산으로 예시될 수 있다. 게다가, 이 백금-알케닐실록산 착물의 안정성은 알케닐실록산, 예를 들어 1,3-다이비닐-1,1,3,3-테트라메틸다이실록산, 1,3-다이알릴-1,1,3,3-테트라메틸다이실록산, 1,3-다이비닐-1,3-다이메틸-1,3-다이페닐다이실록산, 1,3-다이비닐-1,1,3,3-테트라페닐다이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등, 또는 유기실록산 올리고머, 예를 들어 다이메틸실록산 올리고머 등을 상기 착물에 첨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첨가가 바람직하다.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위한 촉매는 금속 원자 기준으로 0.01ppm 내지 500ppm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히드로실릴화 반응을 촉매할 수 있고, 잔량이 많이 남아서 실리콘계 점착층의 투명성이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위한 제1도막을 제조하고,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 실리콘계 점착층을 위한 제2도막을 제조하고, 제1도막과 제2도막을 합지시켜 제조될 수 있다. 경화는 광경화, 열경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는 UV 파장에서 자외선 세기 10mW/cm2 내지 500mW/cm2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는 100℃ 내지 200℃에서 1분 내지 1시간의 열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 합지한 후, 50℃ 내지 80℃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유화제의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표면 개질 효과를 높여,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 실리콘계 점착층 간의 박리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에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한 후, 유화제 및 선택적으로 개시제, 가교제, 실란커플링제, 및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벌크 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막과 제2도막을 합지하기 전에, 제1도막과 제2도막 중 하나 이상에 선량 50 내지 80(예:78)dose로 총 2회 코로나 처리하여 총 선량 100 내지 160(예:156)dose로 코로나 처리함으로써 계면 박리강도를 더 높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20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 실리콘계 점착층(120), 및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의 일면에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이 더 형성됨으로써, 점착필름(200)은 피착제에 따라서 저온 및 고온에서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리콘계 점착층(120)의 일면에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이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은 실리콘계 점착층(12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대비 -20℃, 25℃ 또는 80℃에서 모듈러스의 비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모듈러스: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의 모듈러스 = 1:0.5 내지 1:2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제의 열팽창율에 따라서 폴딩성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과 모듈러스가 동일할 수 있다.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 대비 두께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의 두께: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의 두께는 1:0.5 내지 1:3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제의 열팽창율에 따라서 폴딩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은 두께가 10㎛ 내지 100㎛, 구체적으로 1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실리콘 점착층 대비 적정 두께를 가져 점착필름에 응력 완화 특성과 접착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130)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110)과 동일 또는 이종의 점착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이 서로 다른 조성을 갖거나 두께가 다른 경우를 나타낸 것이나,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과 동일한 점착층용 조성물로 형성되거나 및/또는 두께가 동일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계면 박리강도 등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고,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부재는 양호한 벤딩 및/또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가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광학필름은 편광판, 칼라필터, 위상차 필름, 타원 편광필름, 반사필름, 반사방지 필름, 보상필름, 휘도 향상필름, 배향막, 광확산 필름, 유리비산 방지 필름, 표면 보호필름, 플라스틱 LCD 기판, ITO(indium tin oxide) 필름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드에 점착필름을 이용하여 윈도우나 광학 필름에 부착하여 터치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종래와 같이 통상의 편광필름에 점착필름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10), 점착층(320), 편광판(330), 터치스크린패널(340), 및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350)을 포함하고, 점착층(3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점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OLED, LED 또는 LCD 소자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310)는 하부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 평탄화층, 보호막,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330)은 내광의 편광을 구현하거나 또는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 보호코팅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340)은 인체나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도전체가 터치할 때 발생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10)가 구동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340)은 플렉시블하고 도전성이 있는 도전체를 패턴화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제1센서 전극 및 제1센서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제1센서 전극과 교차하는 제2센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340)을 위한 도전체는 금속나노와이어,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35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최 외곽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판(330)과 터치스크린패널(340) 사이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과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350) 사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됨으로써 편광판, 터치스크린패널,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간의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점착층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경화제, 개시제 및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점착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310)의 하부에는 편광판이 더 형성됨으로써, 내광의 편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Irgacure 651 50ppm을 유리 용기 내에서 잘 혼합하고,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한 후, 1분 동안 저압 램프 (50mW/cm2, Sankyo社의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혼합물을 부분 중합시켜 점성 액체 형태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합 100중량부 기준으로, Irgacure 184 0.35중량부, 유화제 SB(로진 에스테르의 포타슘 소프, ㈜한국니케, BUREZ K25 502D, 고형분 25중량%) 0.5중량부를 첨가한 후 잘 혼합하여 (메트)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을 두께 50㎛의 이형 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코팅하고 중합에 악영향을 미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두께 75㎛의 이형 필름을 커버한 후, 두 표면으로부터 약 6분 동안 저압 램프(50mW/cm2, Sankyo社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50㎛의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도막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중합체(DMS-V41, 중량평균분자량 55,000~70,000) 100중량부,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HMS-501(Gelest社) 1.084중량부, 백금 촉매 (Umicore社, Karstedt 촉매) 10ppm을 혼합하여 5분 동안 교반하여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을 불소 이형 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두께 50㎛로 코팅하고 120℃ 오븐에서 20분간 열경화시켜 실리콘계 점착층용 도막을 제조하였다.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 중 (실리콘 화합물의 Si-H기의 몰수/실리콘 중합체의 Si-vinyl기의 몰수)는 0.8이었다.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도막과 실리콘계 점착층용 도막의 일면을 각각 코로나 처리(각 도막마다 선량 78dose로 총 2회 처리하여 총 선량 156dose로 코로나 처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면을 서로 합지하고,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도막/실리콘계 점착층 도막/(메트)아크릴계 점착층 도막의 순서로 합지하고, 50℃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메트)아크릴계 점착층(두께:50㎛)/실리콘계 점착층(두께:50㎛)/(메트)아크릴계 점착층(두께:50㎛)의 점착필름(총 두께: 15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실리콘 중합체(DMS-V41, 중량평균분자량 55,000~70,000) 100중량부, 규소-수소(Si-H)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HMS-501(Gelest社) 1.084중량부, 백금 촉매(Unicore社, Karstedt 촉매) 10ppm,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스(비닐디메틸실록시)실란(MATVS, Gelest사) 1중량부를 혼합하여 5분 동안 교반하여 실리콘계 점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유화제 SB(로진 에스테르, ㈜한국니케, BUREZ K25 502D)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도막/실리콘계 점착층 도막의 순서로 합지하고, 50℃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메트)아크릴계 점착층(두께:50㎛)/실리콘계 점착층(두께:50㎛)의 점착필름(총 두께: 100㎛)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유화제 SB(로진 에스테르, ㈜한국니케, BUREZ K25 502D)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필름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고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1)계면 박리강도: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점착필름의 일면((메트)아크릴계 점착층쪽)을 선량 78 dose로 2회 코로나 처리된 50㎛ 두께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전사하고, 점착필름의 다른 일면((메트)아크릴계 점착층쪽)을 유리판에 점착시키고, 가로x세로(1.27cm × 15cm) 의 샘플로 절단하였다. 2킬로그램 롤러를 상기 샘플 위에 1회 통과시켰다. 부착 후 25℃에서 30분 경과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TA.XT_Plus Texture Analyzer(Stable Micro System(제))를 사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25℃에서 180°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6의 경우 점착필름 중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쪽을 유리판에 점착시키고, 실리콘계 점착층 쪽을 선량 78dose로 2회 코로나 처리된 50㎛ 두께의 PET 필름에 점착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계면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2)황변: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필름을 60℃/상대습도 90%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황변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황변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양호, 황변이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3)신뢰성: 유리판,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필름 및 ITO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60℃/90% 상대습도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점착필름으로부터 ITO 필름의 들뜸이나 박리 또는 기포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기포나 박리가 없는 경우 양호, 기포나 박리가 다수 발생하는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4)저항변화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필름을 PET 필름에 부착하고, 은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PET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 전극을 형성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샘플에 대하여 초기 저항(P1)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60℃ 및 90% 상대습도에서 24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저항(P2)을 측정하였다. 이 때, 저항의 측정은 Checkman 휴대용 저항ㆍ전압ㆍ전류 측정기(태광전자 제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후, 상기 각각의 조건에서 측정된 저항치를 상기 식 4에 대입하여 저항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저항 변화율이 5% 이하인 경우 양호, 5% 초과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1
유화제
(중량부)
0.5 0.5 1 2.5 5 0.5 -
MAVTS 포함 여부 - 포함 포함 포함 포함 포함 포함
계면 박리강도
(gf/in)
600
1050
1110 1132 1158 1,100 190
황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신뢰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저항변화율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가 높아서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박리가 어려우며, 저항변화율도 낮고 황변이 없으며 신뢰성도 좋았다. 반면에,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실리콘계 점착층과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박리강도가 낮아 박리가 용이함을 확인하였고, 그에 따라 신뢰성도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실리콘계 점착층 및 상기 실리콘계 점착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점착층과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 간의 계면 박리강도는 600gf/in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포타슘 소프(potassium soap), 포타슘 스테아레이트(potassium, stearate), 술포숙신산의 하프 에스테르(모노 에스테르) 솔트(salt of half ester of succinic acid),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계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개시제 및 상기 유화제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용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유화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8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계 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가 -20℃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 비-수산기계 단량체 60중량% 내지 95중량%, 상기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5중량%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점착층은
    실리콘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및 실리콘 결합된 비닐(Si-vinyl)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비닐디메틸실록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비스(비닐디메틸실록시)메틸실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상기 실리콘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두께:상기 실리콘계 점착층의 두께는 1:0.5 내지 1:5인 것인, 점착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은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은 상기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실리콘계 점착층, 상기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순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두께: 상기 제2(메트)아크릴계 점착층의 두께는 1:0.5 내지 1:3인 것인, 점착필름.
  12.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광학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판, 칼라필터, 위상차 필름, 타원 편광필름, 반사필름, 반사방지 필름, 보상필름, 휘도 향상필름, 배향막, 광확산 필름, 유리비산 방지 필름, 표면 보호필름, 플라스틱 LCD 기판, 도전성 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부재.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50177496A 2015-12-11 2015-12-11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0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496A KR101900545B1 (ko) 2015-12-11 2015-12-11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496A KR101900545B1 (ko) 2015-12-11 2015-12-11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819A true KR20170069819A (ko) 2017-06-21
KR101900545B1 KR101900545B1 (ko) 2018-09-19

Family

ID=5928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496A KR101900545B1 (ko) 2015-12-11 2015-12-11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5901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ダイセル 積層体、及び前記積層体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20220119195A (ko) * 2021-02-19 2022-08-29 (주)트러스 양면의 점착특성이 상이한 무기재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281211A1 (en) * 2021-03-02 2022-09-08 Nlu Products, L.L.C. Environmentally friendly screen prot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851A (ja) * 1991-10-14 1993-04-27 Nitto Denko Corp 感圧性接着テ―プ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4665A (ja) * 2011-07-01 2013-01-24 Nitto Denko Corp 多層粘着性物品及び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851A (ja) * 1991-10-14 1993-04-27 Nitto Denko Corp 感圧性接着テ―プの製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5901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ダイセル 積層体、及び前記積層体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JP2019025903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ダイセル 積層体、及び前記積層体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JP2019025902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ダイセル 積層体、及び前記積層体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20220119195A (ko) * 2021-02-19 2022-08-29 (주)트러스 양면의 점착특성이 상이한 무기재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58211A (zh) * 2021-02-19 2022-08-30 特乐司有限公司 两面的胶粘特性不同的无基材胶带及其制造方法
JP2022127611A (ja) * 2021-02-19 2022-08-31 トラ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両面の粘着特性が相違する無基材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281211A1 (en) * 2021-03-02 2022-09-08 Nlu Products, L.L.C. Environmentally friendly screen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545B1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24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22700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814247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N107123370B (zh) 柔性显示装置
KR20160083583A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KR102040299B1 (ko) 윈도우 필름용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9239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567109B (zh)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KR101585270B1 (ko) 점착 필름 및 터치패널
JP5753103B2 (ja) 感圧接着剤
KR101712749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N113980586B (zh)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KR20170070370A (ko)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6299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2089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55755B1 (ko)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7690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139173A1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
KR101712750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780542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040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888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5137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08182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00545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